KR200410938Y1 -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938Y1
KR200410938Y1 KR2020050035412U KR20050035412U KR200410938Y1 KR 200410938 Y1 KR200410938 Y1 KR 200410938Y1 KR 2020050035412 U KR2020050035412 U KR 2020050035412U KR 20050035412 U KR20050035412 U KR 20050035412U KR 200410938 Y1 KR200410938 Y1 KR 200410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ar plate
plate
support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원
Priority to KR2020050035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9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후판; 단말기의 전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후판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후판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되며, 잠금 장치에 의해 후판과의 사이가 잠금 가능하게 된 전판; 단말기의 측방을 지지할 수 있게 후판의 내측 면에 형성된 지지 부재; 전판이 후판의 외측 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전판의 내측 면에 일단이 고정되며, 고정된 부위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된 거치대; 및 거치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전판과 거치대 사이에 연결된 제한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에 마련된 거치대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에 마련된 돌출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단말기 110..후판
120..전판 130..지지 부재
140..거치대 150..제한 부재
160..돌출대 170..포켓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장착하여 휴대할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휴대폰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통신기기를 말한다.
최근에는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기능을 반영한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TV 등의 기능이 복합된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 중에서도 최근에 가장 주목받는 것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는 기능이다. DMB는 고화질의 영상과 CD 수준의 음악을 이동 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감상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로서, 휴대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성과 잘 부합되므로 큰 각광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단말기가 다양한 기능을 가짐에 따라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고가의 전자부품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수리비의 부담이 과중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휴대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로 인해 오염될 수 있는바,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 및 휴대할 수 있기 위한 케이스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스로는 단말기를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DMB 등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열어 둔 채로 책상 등에 거치할 수 있게 구성된 것도 있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대부분의 케이스는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외측 면에 거치대가 설치됨에 따라 케이스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단말기를 장착하여 휴대하는 중에 때때로 케이스에 힘이 가해져 키패드가 불 필요하게 눌러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키패드의 수명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전원이 켜져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입력 오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더라도 키패드가 불필요하게 눌러지지 않을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는, 단말기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후판; 상기 단말기의 전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후판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후판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되며, 잠금 장치에 의해 상기 후판과의 사이가 잠금 가능하게 된 전판; 상기 단말기의 측방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후판의 내측 면에 형성된 지지 부재; 상기 전판이 상기 후판의 외측 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판의 내측 면에 일단이 고정되며, 고정된 부위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상기 전판과 거치대 사이에 연결된 제한 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후판은 가로 변과 세로 변의 길이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판은 상기 후판의 긴 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단말기를 가로 보기 상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후판의 긴 변에 수직이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치대는 고정된 단부가 상기 후판과 전판 사이의 경계 부위를 향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단말기의 최전방에 마련된 키패드가 상기 전판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이 될 수 있게 돌출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단말기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후판으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판들과, 상기 단말기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측판들의 하측에 양단이 연결된 하단 지지대, 및 상기 하단 지지대와 함께 상기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하단 지지대와 후판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연결 지지대를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100)는, 이동통신단말기(10)를 장착하여 휴대 가능하게 하는 한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을 편리하게 시청하기 위해 단말기(10)를 거치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후판(110), 전판(120), 지지 부재(130), 및 거치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판(110)은 단말기(10)를 장착한 상태에서 단말기(10)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게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판(110)은 내측 면에 단말기(10)의 후방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단말기(10)의 후면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거나, 단말기(10)의 후면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후판(110)은 단말기(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의 세로 변이 가로 변보다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에 상응하여 후판(110) 또한 세로 변이 가로 변보다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판(110)은 외부로부터 단말기(10)의 후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할 수 있는 소재, 예컨대 피혁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판(120)은 후판(1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전판(1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판(110)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판(120)은 외부로부터 단말기(10)의 전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할 수 있도록 후판(110)과 마찬가지로, 피혁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판(120)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더욱 강건할 수 있게 심 부재가 더 내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판(120)은 후판(110)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되되, 후판(110)의 내측 면으로 접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대 방향으로 뒤집혀 후판(110)의 외측 면으로도 접혀질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단말기(10)를 용이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게 되며, 단말기(10)를 장착한 상태에서 단말기(10)의 전방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전판(120)이 후판(110)으로부터 펼쳐지거나 후판(110)의 외 측 면으로 접혀져 단말기(10)의 전방이 개방되면, 통상적으로 단말기(10)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화면(17)이 사용자게 보일 수 있게 되므로, 단말기(10)를 장착한 채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판(120)이 후판(110)의 내측면을 향해 접혀지게 되면 단말기(10)의 전방이 폐쇄되므로 디스플레이 화면(17)이 덮여져 보호될 수 있다.
이 같은 전판(120)은 후판(110)의 긴 변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DMB 등을 디스플레이 화면(17) 전체를 활용하여 최대한 넓게 시청하기 위해서는 단말기(10)를 가로 방향으로 90도 돌려서, 소위 가로 보기로 시청하는 것인데, 이렇게 단말기(10)를 90도 돌려서 후술할 거치대(140)에 의해 거치할 경우, 전판(120)이 후판(110)의 외측 면으로 접혀진 상태가 단말기(10)의 자체 하중에 의해 유지될 수 있어 유리하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판(120)은 단말기(10)를 휴대할 때나 보관할 때에는 후판(110)의 내측면으로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게끔, 후판(110)과의 사이가 잠금 가능하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판(120)의 후판(110)으로부터 연장된 반대측 단부로부터 잠금대(125)가 연장되되 절첩 가능하게 형성됨과 더불어, 잠금대(125)와 후판(110) 사이에는 잠금 장치가 마련된다. 여기서, 잠금 장치로는 잠금대(125)와 후판(110) 사이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도록, 자석 버튼(126)이 이용될 수 있으나, 스냅 단추, 벨크로 테이프 등도 이용가능하다. 그리고, 잠금대(125)는 유연성을 가지며, 후판(110) 및 전판(120)과 마찬가지로 피혁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부재(130)는 후판(110)의 내측 면에 배치되어 후판(110)과 함께 단말기(10)를 지지함으로써, 케이스(100)에 단말기(10)가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지지 부재(130)는 단말기(10)의 측방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되, 단말기(10)의 양 측면과 하단을 함께 감싸서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말기(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와, 본체(11)의 전방에서 본체(11)의 길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슬라이더(16)로 구성되더라도, 전판(120)을 후판(110)으로부터 펼치게 되면 슬라이더(16)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화면(17) 및 키패드(18)가 보일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체(11)가 고정된 채로 슬라이더(16)의 이동이 자유로이 될 수 있으므로, 슬라이더(16)의 이동에 따라 노출되는 본체(11)에 전면에 마련된 키패드(12)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지지 부재(130)는 일 예로서, 측판(131) 및 하단 지지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판(131)은 단말기(10)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은 후판(110)의 하반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단말기(10)의 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측판(131)은 박음질에 의해 후판(110)과 결합이 되거나, 접착 부재에 의해 후판(110)과 결합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측판(131)은 피혁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 지지대(132)는 좌우 측판(131)들과 양단이 연결되어 단말기(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단 지지대(132)는 피혁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 며, 단말기(10)의 하단을 더욱 강건하게 지지할 수 있게 철 등과 같은 강성 소재의 심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단 지지대(132)는 측판(131)과 박음질에 의해 결합이 되거나, 접착 부재에 의해 결합이 될 수 있다. 한편, 하단 지지대(132)와 측판(131) 사이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도록, 하단 지지대(132)의 측판(131)과 결합하는 부위는 측판(131)의 상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하단 지지대(132)와 함께 단말기(10)를 지지할 수 있게 하단 지지대(132)와 후판(110) 사이에는 연결 지지대(13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지지대(133)는 하단 지지대(132)와 후판(110)에 양단이 연결되어 단말기(10)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 지지대(133)는 단말기(10)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단말기(10)의 하단에 통신 및 충전을 위해 통상적으로 마련되는 접속 포트 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연결 지지대(133)는 피혁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며, 하단 지지대(132) 및 후판(110)과 박음질에 의해 결합이 되거나, 접착 부재에 의해 결합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재(130)는 슬라이더(16)가 본체(11)의 폭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경우라면 이에 상응하게 90도로 돌려져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거치대(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판(120)이 후판(110)의 외측 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단말기(1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거치대(140)는 전판(120)의 내측 면에 마련되며, 단말기(10)를 가로 보기 상태로 90 도 돌려서 거치할 수 있도록 전판(120)의 중앙 측에서 후판(110)의 긴 변에 수직이게 배치된다. 그리고, 거치대(140)는 전판(120)과 후판(110) 사이의 경계 부위를 향한 단부가 고정되며, 고정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거치대(140)는 전판(120)에 접혀진 상태에서 전판(12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전판(120)의 좌우 폭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치대(140)는 피혁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말기(10)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치대(140)는 사용자가 보기 편한 각도로 단말기(10)를 거치할 수 있게 회동 각도가 제한되는데, 이를 위해 거치대(140)와 전판(120) 사이에는 제한 부재(150)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한 부재(150)는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서 양단이 거치대(140)와 전판(120)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부재(150)는 거치대(140)가 전판(120)에 접혀진 상태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게 얇은 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같은 거치대(140)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전판(120)의 내측면으로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게끔, 전판(120)과의 사이가 잠금 가능하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거치대(140)와 전판(120) 사이에는 잠금 장치가 마련된다. 여기서, 잠금 장치로는 거치대(140)와 전판(120) 사이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해제할 수 있도록, 스냅 단추(146)가 이용될 수 있으나, 자석 버튼이나 벨크로 테이프 등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치대(140)가 전판(120)의 내측 면에 마련됨에 따라, 단말기(10)의 휴대시 거치대(140)가 숨겨질 수 있어 케이스(100) 전체의 외관이 미려 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전판(120)의 내측면에는 돌출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돌출대(160)는 전판(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더(16)에 마련된 키패드(18)의 주변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돌출대(160)는 단말기(10)를 장착하여 전판(120)으로 덮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의 최전방에 위치한 키패드(18)가 전판(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이 될 수 있게 함으로써, 단말기(10)의 휴대시 때때로 케이스(100)에 힘이 가해져 키패드(18)가 불필요하게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이 같은 돌출대(160)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피혁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건함을 위해 심 부재가 더 내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판(120)의 내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나 스마트 카드 등의 수납을 위한 포켓(17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포켓(170)은 피혁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에 의하면, 단말기를 안전하게 장착하여 휴대할 수 있을뿐더러,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열어 둔 채로 책상 등에 거치할 수 있어 DMB 등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됨에 따라 단말기의 휴대시 거치대가 숨겨질 수 있어 케이스 전체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케이스의 내측에 돌출대가 더 마련된 경우에는 휴대시 단말기의 키 패드가 케이스 내측 면과 이격이 될 수 있어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더라도 키패드가 불필요하게 눌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단말기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후판;
    상기 단말기의 전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후판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후판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되며, 잠금 장치에 의해 상기 후판과의 사이가 잠금 가능하게 된 전판;
    상기 단말기의 측방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후판의 내측 면에 형성된 지지 부재;
    상기 전판이 상기 후판의 외측 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판의 내측 면에 일단이 고정되며, 고정된 부위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상기 전판과 거치대 사이에 연결된 제한 부재;
    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은 가로 변과 세로 변의 길이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판은 상기 후판의 긴 변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단말기를 가로 보기 상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후판의 긴 변에 수직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고정된 단부가 상기 후판과 전판 사이의 경계 부위를 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와 후판 사이에는 상기 거치대를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단말기의 최전방에 마련된 키패드가 상기 전판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이 될 수 있게 돌출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판의 내측면에는 포켓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단말기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후판으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판들과, 상기 단말기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측판들의 하측에 양단이 연결된 하단 지지대, 및 상기 하단 지지대와 함께 상기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하단 지지대와 후판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연결 지지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20050035412U 2005-12-16 2005-12-16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0410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412U KR200410938Y1 (ko) 2005-12-16 2005-12-16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412U KR200410938Y1 (ko) 2005-12-16 2005-12-16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938Y1 true KR200410938Y1 (ko) 2006-03-15

Family

ID=4176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412U KR200410938Y1 (ko) 2005-12-16 2005-12-16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938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368B1 (ko) 2006-01-18 2007-02-22 주식회사 현원 이동통신 단말기용 휴대케이스
KR200447424Y1 (ko) 2008-02-22 2010-01-25 김종호 지지대가 구비된 이중 체결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50544Y1 (ko) 2008-06-12 2010-10-11 전재창 부착 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1103609B1 (ko) * 2009-01-22 2012-01-09 용숙 이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0463477Y1 (ko) 2010-12-28 2012-11-05 서채원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WO2013154298A1 (ko) * 2012-04-10 2013-10-17 Lim A Reum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KR200471121Y1 (ko) * 2012-08-30 2014-02-07 김대성 스마트폰 케이스
KR101373747B1 (ko) 2012-02-16 2014-03-17 (주)플레이스아이티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KR200472573Y1 (ko) 2012-11-01 2014-05-30 박경숙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73292Y1 (ko) 2013-02-06 2014-06-27 (주)하운 히든포켓부가 구비된 모바일기기 케이스
WO2014171585A1 (en) * 2013-04-15 2014-10-23 Cho Sung-Sil The frame and cell phone cover that consists of horizontal and vertical prop system
KR101491951B1 (ko) 2014-03-10 2015-02-09 맹용주 입력수단으로 활용가능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KR20220100238A (ko) * 2021-01-08 2022-07-15 최정욱 휴대단말용 케이스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368B1 (ko) 2006-01-18 2007-02-22 주식회사 현원 이동통신 단말기용 휴대케이스
KR200447424Y1 (ko) 2008-02-22 2010-01-25 김종호 지지대가 구비된 이중 체결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50544Y1 (ko) 2008-06-12 2010-10-11 전재창 부착 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1103609B1 (ko) * 2009-01-22 2012-01-09 용숙 이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0463477Y1 (ko) 2010-12-28 2012-11-05 서채원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KR101373747B1 (ko) 2012-02-16 2014-03-17 (주)플레이스아이티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WO2013154298A1 (ko) * 2012-04-10 2013-10-17 Lim A Reum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KR200471121Y1 (ko) * 2012-08-30 2014-02-07 김대성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2573Y1 (ko) 2012-11-01 2014-05-30 박경숙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73292Y1 (ko) 2013-02-06 2014-06-27 (주)하운 히든포켓부가 구비된 모바일기기 케이스
WO2014171585A1 (en) * 2013-04-15 2014-10-23 Cho Sung-Sil The frame and cell phone cover that consists of horizontal and vertical prop system
KR101491951B1 (ko) 2014-03-10 2015-02-09 맹용주 입력수단으로 활용가능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KR20220100238A (ko) * 2021-01-08 2022-07-15 최정욱 휴대단말용 케이스
KR102480891B1 (ko) * 2021-01-08 2022-12-22 최정욱 휴대단말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938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US7369882B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US8380264B2 (en) Case for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KR1012652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JP2007127980A (ja) 携帯機器用保護カバー
KR20070084645A (ko) 휴대용 접이 거치대
KR200463463Y1 (ko) 거치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CN209748968U (zh) 保护壳以及具有该保护壳的电子设备
KR101472033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JP3765364B2 (ja) 携帯情報端末
EP1594293A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KR100827095B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73182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20130006934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JP4985125B2 (ja) 巻取り装置および巻取り装置を用いた吊下げ装置
CN216416304U (zh) 一种电子设备保护套和电子设备组件
KR20160026602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0490393Y1 (ko) 액세서리 겸용 휴대폰 케이스
JP4547328B2 (ja) 携帯端末装置の置台
KR200477277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4932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20000423U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