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21Y1 -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21Y1
KR200471121Y1 KR2020120007736U KR20120007736U KR200471121Y1 KR 200471121 Y1 KR200471121 Y1 KR 200471121Y1 KR 2020120007736 U KR2020120007736 U KR 2020120007736U KR 20120007736 U KR20120007736 U KR 20120007736U KR 200471121 Y1 KR200471121 Y1 KR 200471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se member
region
intermediate member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성 filed Critical 김대성
Priority to KR2020120007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곡면으로 형성된 측면 영역(110) 및 상기 측면 영역의 표면보다 후퇴되어 두께가 얇은 가운데 부분인 평면 영역(120)을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100),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상기 측면 영역(110)과 평면 영역(120)이 접하는 위치에서 접이식으로 부착 연결된 중간 부재(200), 및 상기 중간 부재(200)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상기 평면 영역(120)을 덮도록 형성된 외장 커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서 상기 외장 커버(300)를 펼치는 경우 상기 외장 커버(300)에 부착된 상기 중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와 기 결정된 각도로 각을 이루고, 상기 외장 커버(3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와 동일한 각도로 펼쳐지면서 상기 외장 커버(300)의 하나의 측면이 상기 평면 영역(120)과 상기 측면 영역(110)이 접하는 홈(102)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삽입된 스마트폰(10)을 세워진 형태로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의 외부에 별도의 거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디자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케이스{SmartPhone Cas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을 세워 거치할 수 있는 거치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스마트폰이 갖지 못하는 심미감을 제공하는 디자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스마트폰만을 휴대하여 사용하기보다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스마트폰은 동영상이나 DMB TV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보여주는데, 스마트폰 케이스에 거치기능이 있으면 스마트폰을 삽입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세워두고 사용자가 편안하게 동영상 등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한 몇몇 기술들이 공개되고 있는데, 이들 종래의 기술들은 기본적으로 케이스의 후면에 거치 장치를 부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본래 케이스가 의도하지 않은 심미적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이러한 거치기능의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거치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선택하기를 꺼리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디자인의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거치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장 커버의 안쪽에 중간 부재를 부가하여 외장 커버 자체가 거치 기능을 하도록 하여 디자인의 손상이 없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곡면으로 형성된 측면 영역(110) 및 상기 측면 영역의 표면보다 후퇴되어 두께가 얇은 가운데 부분인 평면 영역(120)을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100),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상기 측면 영역(110)과 평면 영역(120)이 접하는 위치에서 접이식으로 부착 연결된 중간 부재(200), 및 상기 중간 부재(200)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상기 평면 영역(120)을 덮도록 형성된 외장 커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서 상기 외장 커버(300)를 펼치는 경우 상기 외장 커버(300)에 부착된 상기 중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와 기 결정된 각도로 각을 이루고, 상기 외장 커버(3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와 동일한 각도로 펼쳐지면서 상기 외장 커버(300)의 하나의 측면이 상기 평면 영역(120)과 상기 측면 영역(110)이 접하는 홈(102)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삽입된 스마트폰(10)을 세워진 형태로 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평면 영역(12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상기 중간 부재(200)가 접혀 덮히는 위치에 상기 절개에 의한 중공(16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부재(2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돌출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상기 돌출부(210)가 끼워지면서 상기 중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외장 커버(300)에 부착되는 사각형의 형상의 부착 영역(220)과 상기 케이스 부재(100)와의 연결을 형성하는 연결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 영역(230)은 상기 부착 영역(220)의 두께보다 얇아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스마트폰 케이스에 의하면, 케이스의 외부에 별도의 거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디자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스의 일부를 절개하여 사용되는 중간 부재로 인하여 불필요한 장치의 추가로 인한 비용의 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케이스 부재 및 외장 커버를 각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라 도시된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및
도 4는 도 3의 연결 영역(230)에 대한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케이스 부재 및 외장 커버를 각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케이스 부재(100), 중간 부재(200), 및 외장 커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부재(100)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곡면으로 형성된 측면 영역(110) 및 상기 측면 영역의 표면보다 후퇴되어 두께가 얇은 가운데 부분인 평면 영역(120)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상기 측면 영역(110)과 평면 영역(120)이 접하는 위치에서 접이식으로 부착 연결된다.
상기 외장 커버(300)는 상기 중간 부재(200)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상기 평면 영역(120)을 덮도록 형성된다. 외장 커버(300)는 케이스 부재(100)의 측면 영역(110)보다 후퇴된 평면 영역(120)을 덮어 측면 영역(110)보다 높이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측면 영역(110)의 일부에 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 홈에 삽입하여 당김으로써 외장 커버(300)의 일측을 케이스 부재(100)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외장 커버(300) 상에는 다양한 도안 및 장식이 부가될 수 있다. 종래의 케이스에 부착된 거치 장치에 의하면, 상기 외장 커버(300) 상의 도안 및 장식을 해할 수 있고, 도안 및 장식이 존재하지 않는 커버의 경우에도 종래의 거치 장치는 커버의 단순한 미감을 해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의 외장 커버(300)는 거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커버(300)의 외면에 거치 장치가 별도로 부가되지 않기 때문에 본래 거치 기능이 없는 케이스가 가질 수 있는 외관을 그래도 포함하여 외관의 손상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서 상기 외장 커버(300)를 펼치는 경우 상기 외장 커버(300)에 부착된 상기 중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와 기 결정된 각도로 각을 이루고, 상기 외장 커버(3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와 동일한 각도로 펼쳐지면서 상기 외장 커버(300)의 하나의 측면이 상기 평면 영역(120)과 상기 측면 영역(110)이 접하는 홈(102)에 걸쳐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삽입된 스마트폰(10)을 세워진 형태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평면 영역(12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평면 영역(120) 상에는 중간 부재(200)가 접히어 들어오는 위치에 절개에 의한 중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거치 장치를 위한 별도의 재료를 소비하지 않고 이미 제조된 케이스의 일부를 중간 부재(200)로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거치 기능이 있는 케이스보다 경제적으로 우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폰 케이스 자체는 본래 예정된 스마트폰의 정상적 방열 효과를 저해하는 부정적 효과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중공(160)의 형성에 의하여 스마트폰이 본래의 방열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간 부재(2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돌출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상기 돌출부(210)가 끼워지면서 상기 중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10)는 상기 중간 부재(200)와 케이스 부재(100)의 고정 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두 부재(100, 200)가 접하는 면에 다소의 경사를 두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외장 커버(300)에 부착되는 사각형의 형상의 부착 영역(220)과 상기 케이스 부재(100)와의 연결을 형성하는 연결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부재(200)의 모양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장 커버(300)의 내부에 수용될 정도의 크기라면 사각형 이외에, 원형 기타 다양한 모양이 채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라 도시된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영역(230)은 상기 부착 영역(220)의 두께보다 얇아 휘어질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접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이러한 부착 영역(220)의 형성은 케이스 부재(100)의 내부를 절단하여 중간 부재(200)를 형성할 때 케이스 부재(100)와 중간 부재(200)가 접하는 라인을 압착하여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연결 영역(230)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 영역(230)에 대한 더 나아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영역(230)은 중간 부재(200)가 케이스 부재(100)에 접힌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100)의 내부로 볼록하게 주름이 지도록 형성되고, 케이스 부재(100)에서 펼쳐진 상태에서는 연결 영역(230)도 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부재(200)가 케이스 부재(100)로부터 펼쳐질 때 연결 영역(230)이 소정의 길이만큼 늘어나면서 펼쳐질 수 있기 때문에(또는 다른 실시 예로서, 중간 부재(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100)로 접히는 동안에 연결 영역(230)이 휘어지면서 축소될 수 있기 때문에), 외장 커버(300)의 일단이 케이스 부재(100)의 홈(102)에서 벗어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외장 커버(300)는 케이스 부재(100)의 평면 영역(120)과 어긋남이 없이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어 외관 디자인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영역(230)의 말단을 힌지(207)로 연결하여 외장 커버(300)의 회전에 의한 펼침을 더욱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스마트폰 102: 홈
100: 케이스 부재 110: 측면 영역
120: 평면 영역 160: 중공
200: 중간 부재 210: 돌출부
220: 부착 영역 230: 연결 영역
300: 외장 커버

Claims (6)

  1. 스마트폰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곡면으로 형성된 측면 영역(110) 및 상기 측면 영역의 표면보다 후퇴되어 두께가 얇은 가운데 부분인 평면 영역(120)을 포함하는 케이스 부재(100);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상기 측면 영역(110)과 평면 영역(120)이 접하는 위치에서 접이식으로 부착 연결된 중간 부재(200); 및
    상기 중간 부재(200)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상기 평면 영역(120)을 덮도록 형성된 외장 커버(300);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서 상기 외장 커버(300)를 펼치는 경우 상기 외장 커버(300)에 부착된 상기 중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와 기 결정된 각도로 각을 이루고, 상기 외장 커버(3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와 동일한 각도로 펼쳐지면서 상기 외장 커버(300)의 하나의 측면이 상기 평면 영역(120)과 상기 측면 영역(110)이 접하는 홈(102)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삽입된 스마트폰(10)을 세워진 형태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평면 영역(12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상기 중간 부재(200)가 접혀 덮히는 위치에 상기 절개에 의한 중공(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2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돌출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상기 돌출부(210)가 끼워지면서 상기 중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고정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외장 커버(300)에 부착되는 사각형의 형상의 부착 영역(220)과 상기 케이스 부재(100)와의 연결을 형성하는 연결 영역(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230)은 상기 부착 영역(220)의 두께보다 얇아 상기 케이스 부재(100)에 대하여 상기 중간 부재(200)를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230)은 상기 중간 부재(200)가 상기 케이스 부재(100)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부재(100)의 내부로 볼록하게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20120007736U 2012-08-30 2012-08-30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1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736U KR200471121Y1 (ko) 2012-08-30 2012-08-30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736U KR200471121Y1 (ko) 2012-08-30 2012-08-30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121Y1 true KR200471121Y1 (ko) 2014-02-07

Family

ID=5141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736U KR200471121Y1 (ko) 2012-08-30 2012-08-30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71U (ko) 2015-05-11 2016-11-21 최성원 스마트폰 거치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38Y1 (ko) * 2005-12-16 2006-03-15 주식회사 현원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120001434U (ko) * 2012-01-17 2012-02-29 최광성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38Y1 (ko) * 2005-12-16 2006-03-15 주식회사 현원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120001434U (ko) * 2012-01-17 2012-02-29 최광성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71U (ko) 2015-05-11 2016-11-21 최성원 스마트폰 거치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94145S1 (en) Foldable mobile phone
USD894144S1 (en) Foldable mobile phone
USD901419S1 (en) Foldable mobile phone
USD870087S1 (en) Foldable mobile phone
USD898693S1 (en) Foldable mobile phone
USD552382S1 (en) Folding table with pedestal base
USD626767S1 (en) Foldable and nestable table
USD551050S1 (en) Foldable knife
USD906994S1 (en) Foldable mobile phone
USD921601S1 (en) Foldable mobile phone
USD617539S1 (en) Twist foldable sun visor for hard hat
USD538269S1 (en) Foldable headset
USD879108S1 (en) Foldable support for mobile devices
USD562321S1 (en) Folding keyboard
USD643230S1 (en) Foldable stand
USD624200S1 (en) Step ladder
USD516403S1 (en) Foldable utility knife
USD900390S1 (en) Hair dryer
USD563407S1 (en) Folding keyboard
USD698941S1 (en) Collapsible vehicle awning
USD586123S1 (en) Collapsible container
USD637416S1 (en) Folding chair
USD591408S1 (en) Portable and foldable toilet
USD627001S1 (en) Advertising device
USD527788S1 (en) Foldable bayo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