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54298A1 -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54298A1
WO2013154298A1 PCT/KR2013/002785 KR2013002785W WO2013154298A1 WO 2013154298 A1 WO2013154298 A1 WO 2013154298A1 KR 2013002785 W KR2013002785 W KR 2013002785W WO 2013154298 A1 WO2013154298 A1 WO 20131542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case
support
mounting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278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아름
임다운
임미래
임철수
Original Assignee
Lim A Reum
Lim Da Un
Lim Mi Lea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724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190666B1/ko
Application filed by Lim A Reum, Lim Da Un, Lim Mi Lea filed Critical Lim A Reum
Publication of WO20131542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542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mounting a display device and a mount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 stan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an outer case protecting a display device without preparing a separate stand for watching a video screen through the display device.
  • Forming relates to a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mounting method that can be mounted to the display device by a simple operation.
  • a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iewing a phone call or watching a video broadcast with a user, and includes a smartphone, a mobile phone, a PDA, a tablet PC, an iPad, and the like.
  • terminals use a terminal exterior case for portable protection and fashion sense while carrying.
  • the mounting member should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and the case should be thickened to form a space that pushes and pulls out the mounting member on the outside of the case, which has a problem that cannot be formed in a thin case preferred by consumers.
  • the existing case (case in use, a general case produced without the mounting function) contained a problem that can not form a cradle.
  • the case since the holder must be formed outside the case, the case should be made of a hard material only to make a hinge, a hinge groove, a stand, etc.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older can not be formed in the soft soft case preferred by consumers. In order to form a hinge groove, a cradle, etc. on the outside of the case, the case has to be thick,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thin case preferred by the consumer cannot form a cradle.
  • the existing case (case in use, a general case produced without the mounting function) contained a problem that can not form a cradl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meet the technical needs described abov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well a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be easily develop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mounting method solves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olders (such as a hold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or a holder formed separately from the case),
  • the challenge is to provide a new concept of cradl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radle.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body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An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unting portion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form that can be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when the case body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the first shape of the shape is press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case body;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deformed into a second shape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which may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lding portion to facilitate the deform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forms.
  •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the receiving portion when the mounting portion is deformed into the first for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ressed inside.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the pedestal is mount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A first support connected to the pedestal and supporting the pedestal; And a second support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to support the pedestal, the second support being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wherein the pedestal and the first support are folded through a first folding part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can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a second folding portion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have a third folding portion formed at the mounting portion. It can be folded or unfolded,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the pedestal of the cas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fourth fold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A support that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an A support connected to the A support, supported by the A support, and supporting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A support and the A support are formed of a first folding portion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It can be folded or unfolded,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A support and the cas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A second fold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the pedestal is mount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a support strap connected to the pedestal and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pedestal, wherein the pedestal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can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a folding portion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the pedestal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formed of a flexible (flexible) material; An adhesive part for attaching the pedestal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a support part which can be coupled while forming the second shape in a curved shape of the pedestal.
  • the cradle for a display devic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coupling portion for mount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case; And a mounting part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through the coupling part and deformable to mount the display device when the case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 the cradle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for the display device, the cas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display device or the battery for the display device replacement. do.
  • the cradle for a display device the mounting portion, the first shape of the shape that is pressed to the case body; And a second shape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that allows the display device to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cradle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dle comprises a folding portion to facilitate the deformation to the first form and the second form.
  • the cradle for a display device the cradle, the pedestal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A first support connected to the pedestal and supporting the pedestal; And a second support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to support the pedestal, the second support being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pedestal and the first support can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a first folding portion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may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a second folding part formed at the connection part, and the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support may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a third folding part formed at the connection part,
  • the coupling part and the pedestal may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a fourth folding part formed at the connection part.
  • the cradle for a display device the cradle, A support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an A support connected to the A support, supported by the A support, and supporting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A support and the A support are formed of a first folding portion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It can be folded or unfolded, the A support and the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A second fold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 the mount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step of separating the display device case and the display device; A step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de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compressed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case can be mounted on the display apparatus; And mounting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deformed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 the holder since the holder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conventional holders (such as holder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or holder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ase) were held.
  • the problem can be solved.
  • the mounting function can be given without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case, and it can be given to the display device case through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without any inconvenience when carrying.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can be freely mount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t was difficult to mount the display dev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mounting method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holder even in the case of a soft, flexible and soft material.
  • a cradle wa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or a cradle was form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Therefore, the case and the cradle were made of hard materials only to make a hinge, a hinge groove, and a pedestal, but could not be formed in a soft case.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holder even in a thin case.
  • a cradle wa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or a cradle was form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 a thick case was formed by attaching a hinge, a hinge groove, and a pedestal.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the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mounting portion on the lid (lid / removable lid case when replacing the battery) of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device, anytime and anywhere cradle for the display device Can be formed. (In the past, a cradle was formed outside the case, so a cradle could not be formed on the lid behind the display unit.)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holder in the existing case that is produced and distributed / used without the mounting function. Therefore, even if the mounting function is not given to the case in the produc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give the mounting function to the general case of various types after the fact. (In the past,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ase, the mounting member, the insertion part, the support part, the fastener, the support jaw, etc. wer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mounting function was not provid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display device case.
  • FIG 2 to 4 are perspective views of various forms of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part included in FIG. 2.
  •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form of the mounting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6 is a plan view of the state in which A of FIG. 5 is opened.
  •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tter K in FIG. 5A.
  •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 through H of FIG. 5B.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 to K in a state in which FIG. 5A is slightly folded.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K at S in a state of fully folding FIG. 5A.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K in S of FIG. 2.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f FIG.
  • FIG. 1 It is a top view of the state which opened FIG.
  • FIG. 13 to 14 are perspective views of various forms of a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included in FIG. 13.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included in FIG. 13.
  • FIG. 16 is a plan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of FIG.
  •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S in FIG. 15.
  •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 to K in a state in which FIG. 15 is slightly folded.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K at S in a state of fully folding FIG. 15.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K at S in a state of fully folding FIG. 15.
  •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K in FIG. 13.
  •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part of which the support of the mounting part of FIG. 15 is narrowly processed;
  • FIG. 22 is a plan view of a state where the mounting part of FIG. 21 is unfolded.
  • 23 and 25 are perspective views of a mounting part of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FIG. 1 It is a top view of the state which opened FIG.
  • FIG. 1 It is a top view of the state which opened FIG.
  •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 to K in a state in which FIG. 27 is folded; FIG.
  • 29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for moun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 FIG. 3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included in FIG. 29.
  • FIG. 3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S in FIG. 30.
  • FIG. 32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for moun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 FIG. 33 is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part included in FIG. 32.
  • 35 is a view when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a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case having a front cover.
  • accommodating part 10 mounting part
  • first adhesive part 16 second adhesive part
  • a stand 112 A support
  • a second folding portion 310 mounting portion
  • the case body is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and formed in the case body and in the form that can be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when the case body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It may include a mount that can be deformed.
  • the display device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 the display device is a portable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 tablet PC, a PDA, an iPad, and the like.
  • the display device case or mounting case is configured to combine with the display device in order to enhance the protection or external aesthetics of the display device, the form coupled to the back, the form coupled to the front, the back and the front coupled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book-shaped form in which a covering cover is formed, a lid of a display device main body (a lid case detachable / attached when the battery is replaced).
  • the case body refers to the body of the case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preferably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display device, it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a lid on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bod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function can be given to the rear lid of the display apparatus body.)
  • the case body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oft or hard.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art a mounting function to a soft case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may be deformed in a three-dimensional form to mount the display device when the case body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 the mounting portion when the case body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can be fluidly deformed in the first form or the second form, according to the fluid deformation to the first form or the second form
  • the mounting function can be given without affecting the case appearance.
  • the first shape is a modified form wh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case are coupled, and 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is deformed to be compress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case body.
  • the second shape is a three-dimensional shap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can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preferably, the case body is deformable after being detached from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at an angle at which viewing is easy.
  •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folding portion (foldable or unfoldable structure) that can facilitate deformation into the first and second forms, and includes a configuration of the adhesive portion for mounting on the case body can do.
  • the case body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art (see FIG. 34) for accommodating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us, the accommodating part may be compress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when the accommodating part is deformed into the first shape.
  • the mounting portion is deformed into a first shape and compressed between the case body and the display device. Therefore, the mounting part can be provided with a mounting func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case body and the display device.
  • a case for mounting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case body 1 and a holder 10.
  • the mounting portion 10 the support 11 is mount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the first support 13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supporting the support, and the first support and And a second support 14 connected to support the pedestal and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wherein the pedestal 11 and the first support 13 are formed of a first folding portion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 18) can be folded or unfolded, the first support 13 and the second support 14 can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second folded portion 19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the inside of the case body
  • the bottom surface 3 and the second support 14 may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third folding portion 20 formed at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3 and the pedestal 11 of the case body may be It may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fourth folding portion 21 formed at the mounting portion.
  •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foldable portion 19 is folded is such that the first foldable portion 18, the third foldable portion 20, and the fourth foldable portion 21 are folded as shown in FIGS. 8 to 9. It may be the opposite of the direction.
  • the second folding part may have a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of the folding side faces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art 10 and may be opposite to the first folding part, the third folding part, and the fourth folding part. .
  • the mounting portion 10 further includes a third adhesive portion 17 for mounting the pedestal 11 and the second support 14 to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as shown in FIG. 4. And it can be mounted togethe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is adhesive.
  • first support 13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edestal 11, as shown in Figs. 5B and 7B, in which case the first support 13 and the pedestal It can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one folding portion 18-1.
  • first support 13 and the second support 14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narrower width than the pedestal 11, as shown in Figs.
  • the case body (1) coupl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the case body for mounting the display device pedestal 11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 to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the second adhesive part 16 is bonded, and the first adhesive part 15 is attached to mount the second support 14 of the mounting part 10 at a proper position of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the mounting portion 10 can be erect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second form) and folded (first form) to support the display device 11,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 3) a support 12 for supporting the pedestal 11 from falling down, a first adhesive part 15 for mounting the pedestal 10 on the display device bottom 3,
  • the first foldable portion 18, the second foldable portion 19, and the third foldable portion 16 allow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6 and the mounting portion 10 to be folded up and up from the bottom surface 3 of the display apparatus case. 20) and a fourth folding part 21.
  • the folding portions 18 to 21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perforation or wrinkles such as dotted lines.
  • the adhesive parts 15 and 16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the components for mounting the pedestal 11 and the support 12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ommon feature of mounting the pedestal and the support, the folding por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the material of the mounting portion 10 is a thin panel, such as a plastic sheet, or thin vinyl, or thin aluminum, or a thin iron plate It will be possible to use any material that supports the display device.
  • the support 12 may be made of a thin string like a thread instead of a wide panel.
  • the display device pedestal When carrying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pedestal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folding part 18, the second folding part 19, the third folding part 20, and the fourth folding part 21 of the mounting part 10.
  • the case body 1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13 and the second support 14 are both folded (first type) on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the display device When the user wants to watch a video through a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is detached from the case body 1 and the first folding part 18 is raised when the holder 10 is fol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 the second folding unit 19, the third folding unit 20, and the fourth folding unit 21, the display device base 11, the first support 13 and the second support 14 are extended
  • the mounting portion 10 is erected (second form)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the display device pedestal 11 supports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stably mounted.
  • the base 11 supports the back of the display when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and the support 12 supports the base 11 so that the base 11 does not fall when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base 11. It plays a role.
  • the display device support 2 of the case body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so as not to slip.
  • the display device is stable even if the pedestal 11 does not fall and the mounted display device is shaken or exerts a slight force.
  • first folding unit 18, the second folding unit 19, the third folding unit 20, the fourth folding of the mounting portion 10 when carrying the display device after watching the video of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apparatus pedestal 11, the first support 13, and the second support 14 are all folded through the portion 2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Then, if you combine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inside the case body to protect the display device with the case can be used as usual.
  • the support 12 may be narrowly processed and connected to a centr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pedestal 11 to support the pedestal 11. (The rest of the descrip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2 above.)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may include a case body 1 and a mounting portion 110.
  • the mounting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A support 112 and the A support, which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is supported by the A support, and serves to support the display device.
  • a support 111 for the purpose, wherein the A support 111 and the A support 112 can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A first folding portion 115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the A support ( 112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2 of the case body may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A second folding portion 116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further include an A-adhesive portion 113 for mounting the A support 112 on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as shown in FIGS. 13 and 15.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dhesive portion 113,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a first folding unit 115 can be folded in both directions as shown in Figs. 17 to 19, and form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can be mounted using the shape conversion, or the display device and the It can be compressed between the case body.
  • mounting portion 110 as shown in Figure 21 to 2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the width of the A support 112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pedestal.
  • an A-adhesive unit for mounting the A support 112 of the mounting unit 110 on the case body 1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113).
  • the mounting portion 110 is composed of the A first folding portion 115 and the A second folding portion 116 to be folded up and down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when carrying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A first folding portion 115, the A second folding portion 116 of the mounting portion 110, both the A support 111 and the A support 112 are fol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First Embodiment)
  • the case body 1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in a close contact state, when the user wants to watch a video through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body is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1 and the inside of the case body is opened.
  • the mounting portion 110 When the mounting portion 110 is folded up on the bottom surface 3, the A base 111 and the A support 112 are opened through the A first folding portion 115 and the A second folding portion 116, and the case body.
  • the mounting part 110 is erected from the inner bottom 3 (second form).
  • the display device is supported by the A pedestal 111 so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mounted stably.
  • the A stand 111 serves to support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and the A support 112 supports the A stand so that the A stand 111 does not fall when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A stand 111. It serves to support 111.
  • the A support 112 pulls the A support 111 through the A first folding portion 115, and the display device support 2-1 of the case body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A support 111 so as not to slide. Therefore, even if the mounted display device is shaken or applied a little force, the display device can be mounted stably.
  • the A pedestal 111 and the A support through the first folding portion 115 and the second folding portion 116 of the mounting portion 110. All of the 112 are fold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Then, if you combine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inside the case body to protect the display device with the case can be used as usual.
  • a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may include a case body and a mounting portion 310.
  • the mounting portion 310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connected through the C support 311, the C support 311 and the through groove 331 is formed with a through groove 331.
  • a C support 312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 support stand 311 through the protrusion 330, but the C support 312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 Silver may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first folding portion 320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 support 311 and the case body through the second folding portion 321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It can be folded or unfolded.
  • the C support 312 and the C support are provided from the C third adhesive part 317 to be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through the C first folding part 320 and the C second folding part 321.
  • 311 is folded and unfolded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310 is folded (first form)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second form).
  • the C support 312 is moved forward (331-1) and backward (331-2) along the through groove 331.
  • the protrusion 330 of the C support supports the C support 311 so that the C support 311 is not separated from the C support 312.
  •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part of the other method of FIG. 23, and FIG. 26 is a plan view of the state of FIG.
  • the C first adhesive part 315 and the C second adhesive part 316 are formed instead of the C third adhesive part 317 of the mounting part 310, and the remaining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3. Same as
  • a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may include a case body and a mounting portion 410.
  • the mounting portion 410, D support 411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D support and the D support 412 for supporting the D support, and the D support It includes a D adhesive portion 413 for mounting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the D support 411 and the D support 412 is folded through the D first folding portion 414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or
  • the D base 411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may be folded (first type) or extended (second type) through the D second folding portion 415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 the D adhesive part 413 is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case holder case and is supported by the D first folding part 414 and the D second folding part 415 from the D adhesive part 413. 411 and the D support 412 is folded and made.
  • the D stand 411 When the D stand 411 is mounted from the bottom of the inside of the display device case and the display unit is mounted, the D stand 411 serves to support the display device, and the D support 412 extends beyond the D stand 411. It serves to support the D support 411 so as not to support, and the display device support 2-1 of the case body is support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D support 412 does not slip.
  • the mounting portion 410 is fol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se bottom surface 3.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may include a case body and a mounting portion.
  • the mounting portion a support 710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the support strap 730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710, and the support 710 to the inner bottom of the case body
  • Including an adhesive portion 712 for mounting on the surface 3, the pedestal 710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can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folding portion 714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 the pedestal 710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and may be folded (first form) or extend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second form).
  • first form first form
  • second form second form
  • the pedestal 710 is fold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and is compressed (first type), and the case body 1 and the
  • the display device is separated, the display device is deformed (second form)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a shape erected at an angle so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mounted) while being unfold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the support strap 730 refers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pport 710 is supported so as not to be de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when the support 710 is unfold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the support strap 730 is connect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and the pedestal 710, and when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pedestal 710, the pedestal 710 is the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To prevent and support it.
  • the adhesive part 712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a configuration for mounting the mounting portion on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the folding portion 714 is configured to allow the pedestal 710 to be folded or unfold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may include a case body and a mounting portion.
  • the mounting portion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a pedestal 810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flexible), the adhesive portion 812 for mounting the pedestal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body , And the support 830 may be coupled to form the second shape in a curved shape.
  • the pedestal 81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and is configured to be transform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orm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Specifically, when the case body 1 and the display device are coupled, the pedestal 810 is deformed (first type) into a flat shape as shown in the left part of FIG. 33, and between the case body 1 and the display device. Squeezed at In addition, the pedestal 810, when the case body 1 and the display device is separated to mount the display device can be bent using a flexible material,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It form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second form), and allows the display device to be mounted through this structure.
  • the adhesive part 812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a component for mounting the pedestal 810 on the inner bottom surface 3 of the case body.
  • the support part 830 is configured to allow the pedestal to be fixed in a bent form, and is configured to maintain and support deformation due to the bend of the pedestal, and may be preferably formed in a recessed groove shape. have.
  • the support 830 may be formed in plural as shown in FIG. 32. Accordingly,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pedestal 810 may be adjusted step by step, and ultimately, the mount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adjusted step by step. Will be.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may include a case body and the receiving portion receiving portion.
  • the housing body 5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body as shown in FIG. 34 to store the mounting portion. Accordingly, when the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case body is deformed to the first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portion may be formed. (5) can be compressed inside.
  • the mounting portion mounted to the case body is deformed into a first shape when the case body is coupled with the display device, and is compressed between the case body and the display device. Can be stored inside. Therefore, the mounting part 5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func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coupling of the case body and the display device.
  • the mounting portion that can be mounted to the case body as a configuration for mounting the display device it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included in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mounting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may mount the display device while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is coupled to the back as shown in Figure 35 or as shown in Figure 36 combined with the back, but in the form of a book-shaped cover that covers the front, or the display device body back lid (battery replacement)
  • the lid case to be removed / attache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orm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 the cradle for a display device includes a coupling part for mounting on an inner surface of a case for a display device, and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through the coupling part, and the display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It may include a mount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form that can mount the device.
  • the coupling par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order to couple the hold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or the display device.
  • the case for the display device the case is coupled to the front or rear for the protection of the display device
  • the book-shaped case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 the front cover is formed
  • the rear lid of the display device itself battery
  • the case may be a variety of cases, such as a lid case to be attached / detached, and the cradle is mounted inside the various types of cases.
  • the mounting portion is mounted inside the case to provide a mounting function,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amples 1 to 6, etc.). (In order to omit duplicate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 the pedestal includes a pedestal 11 for mounting on an inner surface of a case for a display device and a pedestal 12 connected to the pedestal and supporting the pedestal, wherein the pedestal 11 and the pedestal 12 are supported.
  • a pedestal 11 for mounting on an inner surface of a case for a display device and a pedestal 12 connected to the pedestal and supporting the pedestal, wherein the pedestal 11 and the pedestal 12 are supported.
  • the support 12 may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first support 13 and the second support 14, the first support 13 and the second support 14 is a second folding portion ( 19) can be connected in a form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 the pedestal 11 and the support 12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or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first adhesive portion 15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6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or the coupling It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or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third adhesive portion 17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 the salping holder may be mounted inside the various case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and the mounting function may be provided without affecting the appearance.
  • the holder may be mounted inside the case coupled to the rear side for prot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may also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having the front cover.
  • the holder may be mounted inside the rear lid of the display device itself (lid case detachable / attached when replacing the battery) can be given a mounting function.
  • the display device case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b)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the mounting was pressed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case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forming to a three-dimensional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c)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through a deformed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 the display device case and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nd the contents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so far may be applied as it is.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mounting method since the holder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a conventional cradle (stand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or a stand formed separately from the case, etc.) Solve the problems they were having. Specifically, the mounting function can be given without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case, and it can be given to the display device case through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without any inconvenience when carrying.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can be freely mount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t was difficult to mount the display dev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mounting method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holder even in the case of a soft, flexible and soft material.
  • a cradle wa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or a cradle was form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Therefore, the case and the cradle were made of hard materials only to make a hinge, a hinge groove, and a pedestal, but could not be formed in a soft case.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holder even in a thin case.
  • a cradle wa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or a cradle was form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 a thick case was formed by attaching a hinge, a hinge groove, and a pedestal.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the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mounting portion on the lid (lid / removable lid case when replacing the battery) of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device, anytime and anywhere cradle for the display device Can be formed. (In the past, a cradle was formed outside the case, so a cradle could not be formed on the lid behind the display unit.)
  • the display device mounting case and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a holder in the existing case that is produced and distributed / used without the mounting function. Therefore, even if the mounting function is not given to the case in the produc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give the mounting function to the general case of various types after the fact. (In the past,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ase, the mounting member, the insertion part, the support part, the fastener, the support jaw, etc. wer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mounting function was not provided.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되는 케이스몸체; 및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몸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소에는 디스플레이장치케이스로 사용하다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고자할 때 별도의 거치대 없이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케이스를 벗겨 케이스 내부바닥면의 거치부를 세우고 디스플레이장치를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동영상화면을 시청하기 위하여 별도의 거치대를 준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를 보호하는 외장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거치대를 형성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 디스플레이장치는 휴대하면서 사용자와의 전화 통화나 동영상방송 등 시청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핸드폰, PDA, 테블릿PC, 아이패드 등이 있다.
이러한 단말기들은 휴대하면서 단말기 보호 및 패션 감각을 위하여 단말기 외장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방송 보기, 인터넷 강의 등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를 손에 들고 시청하면 불편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거치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먼저,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54002,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54003를 살펴보면, 별도의 거치대를 휴대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 케이스 뒷면(외부면)에 거치부재를 돌출하게 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디스플레이장치 케이스의 뒷면(외부면)에 거치부재를 밀어 넣었다 빼어냈다 하도록 되어있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과 디스플레이장치 휴대 시 매끄럽지 않은 문제점, 복잡한 제조과정의 문제점,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했을 경우 안정적인 거치가 되지 않아 디스플레이장치를 조금만 건드리거나 흔들려도 디스플레이장치가 넘어지는 결정적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를 세로로 거치하고자 할 경우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스 외부에 거치부재를 형성하여야 하고, 케이스 외부에 거치부재를 밀어 넣었다 빼어냈다 하는 공간을 형성해야 하므로 케이스가 두꺼워져야 하는데, 이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얇은 케이스에는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뒷면 뚜껑(배터리 교체시 탈/부착하는 뚜껑 케이스)에 거치대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 불가능한 문제점도 내포되어 있었다.
또한, 기존 케이스(사용 중인 케이스, 거치 기능 없이 생산된 일반 케이스)에는 거치대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출원번호 10-2010-0061407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장치 케이스 뒷면(외부면)에 고정구와 받침구를 설치하여 별도의 거치대 없이 받침구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 또한 케이스 외부에 고정구와 받침구가 장착되어있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과 디스플레이장치 휴대 시 매끄럽지 않은 문제점, 특히 고정구와 받침구를 철 구조물로 설치하여 제조과정의 복잡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세로로 거치하려고할 때 불가능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스 외부에 거치대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힌지, 힌지홈, 받침대 등을 만들기 위하여 딱딱한 재질로만 케이스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부드러운 연질의 케이스에는 거치대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힌지, 힌지홈, 거치대 등을 케이스 외부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케이스가 두꺼워야 하므로 소비자가 선호하는 얇은 케이스에는 거치대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뒷면 뚜껑(배터리 교체시 탈/부착하는 뚜껑 케이스)에 거치대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 불가능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또한, 기존 케이스(사용 중인 케이스, 거치 기능 없이 생산된 일반 케이스)에는 거치대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거치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기술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발명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개발할 수 없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은, 종래에 사용되던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케이스 외부 면에 형성되는 거치대 또는 케이스와 별도로 형성된 거치대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종래의 거치대와는 다른 새로운 개념의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되는 케이스몸체; 및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몸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면과 상기 케이스몸체 사이에서 압착되는 형상의 제1형태; 및 분리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일정한 각도로 거치 될 수 있는 3차원 형상의 제2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형태 및 제2형태로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면에 상기 거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형태로 변형될 때 상기 수납부 내부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와 상기 제1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1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2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제2지지대는 장착부위에 형성된 제3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받침대는 장착부위에 형성된 제4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A지지대; 및 상기 A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A지지대에 의해 지지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A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A받침대와 상기 A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A제1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A지지대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은 연결부위에 형성된 A제2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끈;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은 연결부위에 형성된 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며,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를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하기 위한 접착부; 및 상기 받침대가 휘어진 형상으로 상기 제2형태를 이루면서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 내부 면에 장착되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 면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가, 디스플레이장치 보호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 될 수 있는 케이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터리 교체를 위한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케이스몸체에 압착되는 형상의 제1형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일정한 각도로 거치 될 수 있게 하는 3차원 형상의 제2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형태 및 제2형태로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와 상기 제1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1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2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2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3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받침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4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A지지대; 및 상기 A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A지지대에 의해 지지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A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A받침대와 상기 A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A제1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A지지대와 상기 결합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A제2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가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되는 단계; 상기 케이스 내부 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서 압착되어 있던 거치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 될 수 있는 3차원 형상으로 변형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스 내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의 변형된 형상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은, 케이스 내부 바닥면에 거치대가 장착되므로, 종래의 거치대(케이스 외부 면에 형성되는 거치대 또는 케이스와 별도로 형성된 거치대 등)들이 안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 케이스의 외관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휴대 시에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간단한 제조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 케이스에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된 이후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거치시킬 수 있다.(종래에는 케이스 외부에 거치대를 형성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거치하기가 힘들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은, 연질의 유연하고 부드러운 재질의 케이스에도 거치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케이스 외부에 거치대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거치대를 형성하므로, 힌지, 힌지홈, 받침대 등을 만들기 위하여 딱딱한 재질로만 케이스 및 거치대를 형성하였으며, 연질의 케이스에는 형성할 수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은, 얇게 만들어진 케이스에도 거치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케이스 외부에 거치대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거치대를 형성하므로, 힌지, 힌지홈, 받침대 등을 장착함에 따라 두꺼운 케이스가 형성되었으며, 얇은 케이스에는 거치기능을 부여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 뒤 뚜껑(배터리 교체시 탈/부착하는 뚜껑케이스)에거치부를 형성하여, 언제 어디서나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케이스 외부에 거치대를 형성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뒤 뚜껑에는 거치대를 형성할 수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방법은, 거치기능 없이 생산되어 유통/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케이스에도 거치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과정에서 케이스에 거치 기능을 부여하지 않더라도, 사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일반 케이스에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종래에는 케이스의 생산 과정에서 거치부재, 삽입부, 지지부, 고정구, 지지턱 등을 일체로 형성하여 거치기능을 부여하였으므로, 생산해 놓은 일반 케이스에는 사후적으로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없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다양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도 2에 포함되어 있는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를 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 A는 도 5 A의 S에서 K의 단면도이다.
도 7 B는 도 5 B의 H에서 I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 A를 조금 접은 상태의 S에서 K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 A를 완전히 접은 상태의 S에서 K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S에서 K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 A의 거치부 중 지지대를 좁게 처리한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을 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다양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포함되어 있는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거치부를 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S에서 K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를 조금 접은 상태의 S에서 K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5를 완전히 접은 상태의 S에서 K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3의 S에서 K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5의 거치부 중 지지대를 좁게 처리한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거치부를 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3 및 도 25는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을 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를 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을 접은 상태의 S에서 K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에 포함되어 있는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S에서 K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도면이다.
도 33은 도 32에 포함되어 있는 거치부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4는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케이스몸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했을 때의 도면이다.
도 36은 앞면 덮개가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케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몸체
2 : 케이스몸체의 디스플레이장치 지지부
2-1 : 케이스몸체의 디스플레이장치 지지부
3 :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
5 : 수납부 10 : 거치부
11 : 받침대 12 : 지지대
13 : 제1지지대 14 : 제2지지대
15 : 제1접착부 16 : 제2접착부
17 : 제3접착부 18, 18-1 : 제1접이부
19 : 제2접이부 20 : 제3접이부
21 : 제4접이부 22 : 거치대 안쪽
23 : 거치대 바깥쪽 110 : 거치부
111 : A받침대 112 : A지지대
113 : A접착부 115 : A제1접이부
116 : A제2접이부 310 : 거치부
311 : C받침대 312 : C지지대
315 : C제1접착부 316 : C제2접착부
317 : C제3접착부 320 : C제1접이부
321 : C제2접이부 330 : 돌출부
331 : 관통홈 331-1 : 전
331-2 : 후 410 : 거치부
411 : D받침대 412 : D지지대
413 : D접착부 414 : D제1접이부
415 : D제2접이부 710 : 받침대
712 : 접착부 714 : 접이부
730 : 지지끈 810 : 받침대
812 : 접착부 830 : 지지부
1000 : 케이스의 앞면 덮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제1, 제2, 제3' 또는 A, B, C, D 등과 같은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기 구성요소들의 속성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되는 케이스몸체, 및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몸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PDA, 아이패드 등 휴대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케이스 또는 거치용 케이스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보호나 외적인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뒷면에 결합하는 형태, 앞면에 결합하는 형태, 뒷면과 결합하되 앞면을 덮는 덮개가 형성되어 있는 책 모양의 형태,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뒷면 뚜껑(배터리 교체시 탈/부착하는 뚜껑케이스)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몸체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되는 케이스의 몸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뒷면 뚜껑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뒷면 뚜껑에도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연질 또는 경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연질의 케이스에도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케이스몸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3차원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몸체가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경우에,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 유동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의 유동적인 변형에 따라 케이스 외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채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형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케이스가 결합하는 경우의 변형형태로서, 이 경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면과 상기 케이스 몸체 사이에서 압착되는 형태로 변형된다.
상기 제2형태는 상기 케이스몸체로부터 분리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일정한 각도로 거치 될 수 있는 3차원 형상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몸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탈착된 이후에 변형될 수 있는 형태이며, 이러한 제2형태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시청이 용이한 각도로 거치 된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형태 및 제2형태로의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접이부(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몸체에 장착되기 위한 접착부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거치부 수납을 위한 수납부가 형성(도 34 참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형태로 변형될 때에 이러한 수납부 내부에 압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몸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할 때에, 제1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케이스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에서 압착되는데, 이러한 압착 시에 상기 수납부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납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결합을 전혀 방해하지 않으면서,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실시예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케이스몸체(1)와 거치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3)에 장착되는 받침대(11),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13), 및 상기 제1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제2지지대(14)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11)와 상기 제1지지대(13)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1접이부(18)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대(13)와 상기 제2지지대(14)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2접이부(19)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3)과 상기 제2지지대(14)는 장착부위에 형성된 제3접이부(20)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3)과 상기 받침대(11)는 장착부위에 형성된 제4접이부(21)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이부(19)가 접히는 방향은,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제1접이부(18), 상기 제3접이부(20) 및 상기 제4접이부(21)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제2접이부는, 접히는 쪽의 면이 향하는 방향이 상기 거치부(10)의 외부로서, 상기 제1접이부, 상기 제3접이부, 상기 제4접이부와는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0)는, 도 2 및 도 5 등과 같이 상기 받침대(11)를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장착하기 위한 제2접착부(16), 상기 제2지지대(14)를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다면(3)에 장착하기 위한 제1접착부(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부들을 통해 상기 거치부(10)가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0)는, 도 4와 같이 상기 받침대(11) 및 상기 제2지지대(14)를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장착하기 위한 제3접착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부의 구성을 통해 함께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3)는 도 5 B 및 도 7 B와 같이 상기 받침대(11)의 중앙부분에 연결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있으며, 이 경우 제1지지대(13) 및 상기 받침대는 제1접이부(18-1)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대(13) 및 제2지지대(14)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받침대(11)보다 좁은 폭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실시예 1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몸체(1),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바닥면(3)에 거치부(10)의 디스플레이장치 받침대(11)쪽을 장착하기 위해 제2접착부(16)를 접착시키고, 또한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바닥면(3)의 적당한 위치에 거치부(10)의 제2지지대(14)를 장착하기 위해 제1접착부(15)를 접착시킨다.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으로부터 세웠다(제2형태) 접었다(제1형태) 할 수 있도록 하며 디스플레이장치를 받쳐주는 받침대(11),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바닥면(3)으로부터 세웠다 접었다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받침대(11)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12), 상기 거치부(10)를 디스플레이장치 바닥면(3)에 장착하기 위한 제1접착부(15) 및 제2접착부(16) 와 상기 거치부(10)가 디스플레이장치케이스 바닥면(3)으로부터 접었다 세웠다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접이부(18)와 제2접이부(19), 제3접이부(20), 제4접이부(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이부(18 내지 21)는 점선과 같은 천공 또는 주름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부(15, 16)는 상기 받침대(11) 및 지지대(12)를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대와 지지대, 접이부, 케이스 내부 면 장착의 공통된 특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부(10)의 재질은 책받침처럼 얇은 플라스틱, 또는 얇은 비닐, 또는 얇은 알루미늄, 또는 얇은 철판 등의 넓은 판넬 식으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장치를 받쳐줄 수 있는 모든 재질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2)는 넓은 판넬 대신 실처럼 가느다란 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를 휴대 시에는 상기 거치부(10)의 제1접이부(18), 제2접이부(19), 제3접이부(20), 제4접이부(2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받침대(11)와 제1지지대(13)와 제2지지대(14)가 케이스몸체 내부바닥면(3)에 모두 접혀져(제1형태) 밀착된 상태에서 케이스몸체(1)가 디스플레이장치 후면에 결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동영상등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케이스몸체(1)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를 분리하고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접혀져 있는 상기 거치부(10)를 세우면 제1접이부(18), 제2접이부(19), 제3접이부(20), 제4접이부(2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받침대(11)와 제1지지대(13)와 제2지지대(14)가 펴지면서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으로부터 상기 거치부(10)가 세워지게(제2형태) 된다.
그 이후 디스플레이장치 후면을 디스플레이장치 지지대(12)쪽에 거치하면 디스플레이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 받침대(11)가 받쳐주므로 안정되게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다.
이때 받침대(11)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 시 디스플레이장치 뒷면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지지대(12)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받침대(11)에 거치했을 때 받침대(11)가 넘어지지 않도록 받침대(1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스몸체의 디스플레이장치 지지부(2)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아랫부분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지지대(12)가 제1접이부(18)를 통하여 받침대(11)를 당겨주고 있으므로 받침대(11)가 넘어지지 않아 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흔들리거나 약간의 힘을 가한다 해도 디스플레이장치는 안정적으로 거치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영상시청을 마친 후 디스플레이장치를 휴대하고자 할 때 상기 거치부(10)의 제1접이부(18), 제2접이부(19), 제3접이부(20), 제4접이부(2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받침대(11)와 제1지지대(13)와 제2지지대(14)가 모두 접혀져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밀착된다. 그 후 케이스몸체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 후면을 결합하면 평상시 디스플레이장치를 케이스로 보호하며 사용했던 것과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10)가 접힐 때는 제1접이부(18), 제3접이부(20), 제4접이부(21)를 통해 받침대(11)와 제1지지대(13), 바닥면(3)과 제2지지대(14), 바닥면(3)과 받침대(11)는 각각 안쪽(22)으로 접히게 되고 제2접이부(19)를 통해 제1지지대(13)와 제2지지대(14)는 바깥쪽(23)으로 접히게 된다.
도11 및 도12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11)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11) 일측의 중앙부분에 지지대(12)를 좁게 처리하여 연결할 수 있다. (나머지설명은 상기 도 2의 설명과 같다.)
[실시예 2]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케이스몸체(1)와 거치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110)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3)에 장착되는 A지지대(112), 상기 A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A지지대에 의해 지지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A받침대(111)를 포함하되, 상기 A받침대(111)와 상기 A지지대(112)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A제1접이부(115)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A지지대(112)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2)은 연결부위에 형성된 A제2접이부(116)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10)는, 도 13 및 도 15 등과 같이 상기 A지지대(112)를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장착하기 위한 A접착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A접착부(113)의 구성을 통해 상기 거치부(110)가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3)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제1접이부(115)는 도 17 내지 도 19와 같이 양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 변환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케이스몸체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110)는, 도 21 내지 도 22와 같이 상기 A지지대(112)의 폭이 상기 받침대의 폭보다 좁은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실시예 2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3부터 도 22까지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몸체(1),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상기 거치부(110)의 A지지대(112)를 장착하기 위해 A접착부(113)를 접착시킨다.
상기 거치부(110)는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바닥면(3)으로부터 세웠다 접었다 할 수 있도록 A제1접이부(115)와 A제2접이부(116)로 이루어지며, 이때 디스플레이장치를 휴대 시에는 상기 거치부(110)의 A제1접이부(115), A제2접이부(116)를 통하여 A받침대(111)와 A지지대(112)가 케이스몸체 내부바닥면(3)에 모두 접혀져(제1형태) 밀착된 상태에서 케이스몸체(1)가 디스플레이장치 후면에 결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동영상등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케이스몸체(1)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를 분리하고 케이스 몸체 내부바닥면(3)에 접혀져 있는 거치부(110)를 세우면 A제1접이부(115), A제2접이부(116)를 통하여 A받침대(111)와 A지지대(112)가 펴지면서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으로부터 상기 거치부(110)가 세워지게(제2형태) 된다.
그 이후 디스플레이장치 후면을 A지지대(112)쪽에 거치하면 디스플레이장치를 A받침대(111)가 받쳐주므로 안정되게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다.
이때 A받침대(111)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 시 디스플레이장치 뒷면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A지지대(112)는 디스플레이장치를 A받침대(111)에 거치했을 때 A받침대(111)가 넘어지지 않도록 A받침대(11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A지지대(112)가 A제1접이부(115)를 통하여 A받침대(111)를 당겨주고 있고 케이스몸체의 디스플레이장치 지지부(2-1)가 상기 A받침대(111)의 아래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므로 거치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흔들리거나 약간의 힘을 가한다 해도 디스플레이장치는 안정적으로 거치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영상시청을 마친 후 디스플레이장치를 휴대하고자 할 때 상기 거치부(110)의 A제1접이부(115), A제2접이부(116)를 통하여 A받침대(111)와 A지지대(112)가 모두 접혀져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밀착된다. 그 후 케이스몸체 내부에 디스플레이장치 후면을 결합하면 평상시 디스플레이장치를 케이스로 보호하며 사용했던 것과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110)가 접힐 때는 A제1접이부(115)를 통하여 A받침대(111)와 A지지대(112)가 상기 거치부(110)를 세웠을 때의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접혀지게(제1형태) 된다.
[실시예 3]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케이스몸체와 거치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310)는,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며, 관통홈(331)이 형성되어 있는 C받침대(311), 상기 C받침대(311)와 상기 관통홈(331)을 통해 연결되고 돌출부(330)를 통해 상기 C받참대(311)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C지지대(312)를 포함하되, 상기 C지지대(312)와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은 연결부위에 형성된 C제1접이부(320)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C받침대(311)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은 연결부위에 형성된 C제2접이부(321)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다.
이하,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실시예 3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3 및 도 24에 의하면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부착될 C제3접착부(317)로부터 C제1접이부(320)와 C제2접이부(321)를 통하여 C지지대(312)와 C받침대(311)가 접혔다 펴졌다 하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거치부(310)를 접었다(제1형태) 세웠다(제2형태) 할 수 있다.
이때 C지지대(312)가 관통홈(331)을 따라 전진(331-1) 후진(331-2) 움직이게 된다.
이때 C받침대(311)가 C지지대(31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C지지대의 돌출부(330)가 C받침대(311)를 지지한다.
도 25는 도 23의 다른 방법의 거치부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를 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5와 도 26에 따르면 도 23 거치부(310)의 C제3접착부(317) 대신 C제1접착부(315)와 C제2접착부(316)로 형성하였으며 나머지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23의 설명과 같다.
[실시예 4]
도 27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케이스몸체와 거치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410)는,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D받침대(411), 상기 D받침대의 중앙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D받침대를 지지하기 위한 D지지대(412), 및 상기 D받침대를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하기 위한 D접착부(413)를 포함하되, 상기 D받침대(411)와 상기 D지지대(412)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D제1접이부(414)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D받침대(411)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은 연결부위에 형성된 D제2접이부(415)를 통해 접혀지거나(제1형태) 펴질(제2형태) 수 있다.
이하, 도 27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실시예 4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7과 도 28에 따르면 D접착부(413)가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 케이스내부 바닥면에 접착되며 D접착부(413)로부터 D제1접이부(414), D제2접이부(415)를 통하여 D받침대(411)와 D지지대(412)가 펴졌다 접혔다하며 이루어진다.
D받침대(411)가 디스플레이장치 케이스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하게 되면 D받침대(411)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이때 D지지대(412)는 D받침대(411)가 넘어지지 않도록 D받침대(41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D지지대(412) 아래쪽 끝부분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케이스몸체의 디스플레이장치 지지부(2-1)가 지지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케이스(1)에 장착하고자할 경우 상기 D받침대(411)와 상기 D지지대(412)를 접으면 상기 거치부(410)가 접혀져 케이스바닥면(3)에 밀착되게 된다.
[실시예 5]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케이스몸체와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받침대(710),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끈(730), 및 상기 받침대(710)를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장착하기 위한 접착부(712)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710)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3)은 연결부위에 형성된 접이부(714)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대(710)는,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으로 접혀지거나(제1형태) 펴질 수 있다(제2형태). 이러한 상기 받침대(710)는, 케이스몸체(1)가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3)으로 접혀지면서 압착(제1형태)되며, 상기 케이스몸체(1)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3)으로부터 펼쳐지면서 3차원형상(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 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세워지는 형상)으로 변형(제2형태)되게 된다.
상기 지지끈(730)은 상기 받침대(710)가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으로부터 펼쳐지는 경우에 상기 받침대(71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끈(730)은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과 상기 받침대(710)와 연결되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받침대(710)에 거치 되는 경우에 상기 받침대(710)가 디스플레이장치의 무게에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한다.
상기 접착부(712)는 상기 거치부를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이부(714)는, 상기 받침대(710)가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으로부터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실시예 6]
도 32 및 도 3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케이스몸체와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장착되며,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받침대(810), 상기 받침대를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하기 위한 접착부(812), 및 상기 받침대가 휘어진 형상으로 상기 제2형태를 이루면서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810)는, 휘어질 수 있는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며, 이러한 재질 상의 특징을 이용하여 위에서 살펴본 제1형태 및 제2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대(810)는, 케이스몸체(1)와 디스플레이장치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도 33의 왼쪽 부분과 같이 편평한 형상으로 변형(제1형태)되며, 상기 케이스몸체(1)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에서 압착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810)는, 케이스몸체(1)와 디스플레이장치가 분리되어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랙시블한 재질을 이용하여 휘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휘어짐을 통해 도 33의 오른쪽과 같이 3차원 구조를 형성(제2형태)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 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접착부(812)는 상기 받침대(810)를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3)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830)는, 상기 받침대가 휘어진 형태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받침대의 휘어짐에 의한 변형을 유지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음각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기 지지부(830)는 도 32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받침대(810)가 휘어지는 정도를 단계별로 조정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 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7]
도 3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케이스몸체와 거치부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에는 도 34와 같이 상기 거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몸체에 장착되는 거치부가 위에서 살펴본 제1형태로 변형될 때에 이러한 수납부(5) 내부에 압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몸체에 장착되는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몸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할 때에, 제1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케이스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에서 압착되는데, 이러한 압착 시에 상기 수납부(5)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납부(5)를 통해 상기 케이스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결합을 전혀 방해하지 않으면서,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몸체에 장착될 수 있는 거치부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실시예 1 내지 6에 포함되어 있는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케이스 내부 바닥면에 거치부를 형성하여, 앞서 살펴보았던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도 35와 같이 뒷면에 결합하는 형태 또는 도 36과 같이 뒷면과 결합하되 앞면을 덮는 덮개가 형성되어 있는 책 모양의 형태, 또는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뒷면 뚜껑(배터리 교체시 탈/부착하는 뚜껑 케이스) 내부에 거치부가 형성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 내부 면에 장착되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 면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는 상기 거치대를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 내부 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보호를 위하여 앞면 또는 뒷면에 결합 되는 케이스, 디스플레이장치의 뒷면과 결합하되 앞면 덮개가 형성되어 있는 책 형태의 케이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자체의 뒷면 뚜껑(배터리 교체시 탈/부착하는 뚜껑 케이스) 등의 다양한 케이스일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거치대가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는,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서 거치 기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서, 위에서 살펴본 실시예들(실시예 1 내지 6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복 기재를 생략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부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 내부면에 장착되기 위한 받침대(11) 및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대(12)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11)와 상기 지지대(12)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1접이부(18)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케이스 내부면과 상기 지지대(12)는 장착부위에 형성된 제3접이부(20)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2)는 제1지지대(13)와 제2지지대(14)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대(13)와 상기 제2지지대(14)는 제2접이부(19)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받침대(11)와 상기 지지대(12)는, 상기 결합부에 해당하는 제1접착부(15) 및 제2접착부(16)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 내부면에 장착되거나, 상기 결합부에 해당하는 제3접착부(17)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 내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상기 거치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다양한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부 장착을 통해 외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보호를 위해 뒷면에 결합 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앞면 덮개가 있는 케이스의 내부 면에도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디스플레이장치 자체의 뒷면 뚜껑(배터리 교체시 탈/부착하는 뚜껑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서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방법은, (a)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가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되는 단계, (b) 상기 케이스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서 압착되어 있던 거치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 될 수 있는 3차원 형상으로 변형되는 단계, (c) 상기 케이스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의 변형된 형상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 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 및 거치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제까지 살펴본 다양한 실시예들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중복기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은, 케이스 내부 바닥면에 거치대가 장착되므로, 종래의 거치대(케이스 외부 면에 형성되는 거치대 또는 케이스와 별도로 형성된 거치대 등)들이 안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 케이스의 외관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휴대 시에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간단한 제조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 케이스에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된 이후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거치시킬 수 있다.(종래에는 케이스 외부에 거치대를 형성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를 세로 방향으로 거치하기가 힘들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은, 연질의 유연하고 부드러운 재질의 케이스에도 거치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케이스 외부에 거치대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거치대를 형성하므로, 힌지, 힌지홈, 받침대 등을 만들기 위하여 딱딱한 재질로만 케이스 및 거치대를 형성하였으며, 연질의 케이스에는 형성할 수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은, 얇게 만들어진 케이스에도 거치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케이스 외부에 거치대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거치대를 형성하므로, 힌지, 힌지홈, 받침대 등을 장착함에 따라 두꺼운 케이스가 형성되었으며, 얇은 케이스에는 거치기능을 부여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 뒤 뚜껑(배터리 교체시 탈/부착하는 뚜껑케이스)에거치부를 형성하여, 언제 어디서나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케이스 외부에 거치대를 형성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뒤 뚜껑에는 거치대를 형성할 수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방법은, 거치기능 없이 생산되어 유통/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케이스에도 거치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과정에서 케이스에 거치 기능을 부여하지 않더라도, 사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일반 케이스에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종래에는 케이스의 생산 과정에서 거치부재, 삽입부, 지지부, 고정구, 지지턱 등을 일체로 형성하여 거치기능을 부여하였으므로, 생산해 놓은 일반 케이스에는 사후적으로 거치 기능을 부여할 수 없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되는 케이스몸체; 및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몸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거치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면과 상기 케이스몸체 사이에서 압착되는 형상의 제1형태; 및
    분리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일정한 각도로 거치 될 수 있게 하는 3차원 형상의 제2형태;
    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형태 및 제2형태로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면에 상기 거치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형태로 변형될 때 상기 수납부 내부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제2지지대;
    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와 상기 제1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1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2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제2지지대는 장착부위에 형성된 제3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받침대는 장착부위에 형성된 제4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A지지대; 및
    상기 A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A지지대에 의해 지지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A받침대;
    를 포함하되,
    상기 A받침대와 상기 A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A제1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A지지대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은 연결부위에 형성된 A제2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끈;
    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 바닥면은 연결부위에 형성된 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며,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를 상기 케이스몸체 내부 바닥면에 장착하기 위한 접착부; 및
    상기 받침대가 휘어진 형상으로 상기 제2형태를 이루면서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9.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 내부 면에 장착되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 면에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거치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는,
    디스플레이장치 보호용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 될 수 있는 케이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배터리 교체를 위한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몸체에 압착되는 형상의 제1형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일정한 각도로 거치 될 수 있게 하는 3차원 형상의 제2형태;
    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형태 및 제2형태로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며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2지지대;
    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와 상기 제1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1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2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2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3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받침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4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A지지대; 및
    상기 A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A지지대에 의해 지지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A받침대;
    를 포함하되,
    상기 A받침대와 상기 A지지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A제1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상기 A지지대와 상기 결합부는 연결부위에 형성된 A제2접이부를 통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
  15.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스가 디스플레이장치와 분리되는 단계;
    상기 케이스 내부 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서 압착되어 있던 거치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 될 수 있는 3차원 형상으로 변형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스 내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의 변형된 형상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방법.
PCT/KR2013/002785 2012-04-10 2013-04-04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WO20131542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223 2012-04-10
KR20120037223 2012-04-10
KR10-2012-0048972 2012-05-09
KR20120048972 2012-05-09
KR1020120072433A KR101190666B1 (ko) 2012-04-10 2012-07-03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KR10-2012-0072433 2012-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4298A1 true WO2013154298A1 (ko) 2013-10-17

Family

ID=4932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2785 WO2013154298A1 (ko) 2012-04-10 2013-04-04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CN (2) CN203313230U (ko)
WO (1) WO20131542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05536A1 (en) * 2018-12-27 2020-07-02 R.D.S. Industries, Inc. Carrying case with adjustable viewing sta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4298A1 (ko) * 2012-04-10 2013-10-17 Lim A Reum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CN105708087A (zh) * 2016-04-01 2016-06-29 北京元隆雅图文化传播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子设备保护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38Y1 (ko) * 2005-12-16 2006-03-15 주식회사 현원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100082758A (ko) * 2010-06-28 2010-07-19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용 외장케이스
KR20110005141A (ko) * 2009-07-09 2011-01-17 삼광티엘티(주) 휴대 기기
KR20110001238U (ko) * 2011-01-17 2011-02-08 이진영 받침대가 구성된 휴대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09178U (zh) * 2011-05-23 2012-01-11 方宏韡 可拉伸折弯组件
WO2013154298A1 (ko) * 2012-04-10 2013-10-17 Lim A Reum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38Y1 (ko) * 2005-12-16 2006-03-15 주식회사 현원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110005141A (ko) * 2009-07-09 2011-01-17 삼광티엘티(주) 휴대 기기
KR20100082758A (ko) * 2010-06-28 2010-07-19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용 외장케이스
KR20110001238U (ko) * 2011-01-17 2011-02-08 이진영 받침대가 구성된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05536A1 (en) * 2018-12-27 2020-07-02 R.D.S. Industries, Inc. Carrying case with adjustable viewing stand
US10702033B1 (en) * 2018-12-27 2020-07-07 R.D.S. Industries, Inc. Carrying case with adjustable viewing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69076A (zh) 2013-10-23
CN203313230U (zh) 2013-11-27
CN103369076B (zh)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7854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WO2016125985A1 (en) Mobile terminal
WO2017222243A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7057803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96724A1 (ko) 벽걸이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WO2012118300A2 (en) Display device
EP4128728A1 (en) Arm structure, hinge structure including the arm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107511A1 (ko) 전자 장치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어 및 운영하는 방법
WO2018169102A1 (ko) 이동 단말기
WO2021182692A1 (en) A mobile terminal,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WO2019035676A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WO2017018602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1225194A1 (ko)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479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190498A1 (ko) 이동 단말기
WO2013154298A1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WO2017034111A1 (en) Display apparatus and input method of display apparatus
WO2021230499A1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표시 제어 방법
WO2017155187A1 (ko) 이동 단말기
WO2021137629A1 (en)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video calling method performed by the display device, and video calling method performed by the mobile device
WO2021241933A1 (en) Arm structure, hinge structure including the arm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5083896A1 (ko) 이동 단말기
WO2020055203A1 (ko) 접이식 멀티미디어 단말기
WO2021045265A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그리고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1251531A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763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763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