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667Y1 -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667Y1
KR200459667Y1 KR2020100005796U KR20100005796U KR200459667Y1 KR 200459667 Y1 KR200459667 Y1 KR 200459667Y1 KR 2020100005796 U KR2020100005796 U KR 2020100005796U KR 20100005796 U KR20100005796 U KR 20100005796U KR 200459667 Y1 KR200459667 Y1 KR 200459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radle
pin
portable termin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394U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2020100005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667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3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6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밑부분에는 밑으로 연장되는 좌우 양다리(121, 122)를 가지며 양다리(121, 122)의 끝에 양다리(121, 122)를 연결하는 연결핀(111)이 설치되고, 윗부분에는 앞뒤로 관통하는 축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120); 수평하게 놓인 상태에서 한쪽 끝단부가 좌우 양다리(121, 12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쪽 끝단부에 연결핀(111)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좌우로 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핀 관통공에 연결핀(111)이 좌우로 삽입 관통됨으로써 연결핀(111)을 축으로 좌우 양다리(121, 122) 사이에서 앞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대(110); 및 상기 축 관통공에 삽입되는 회동축(140)을 가지고, 회동축(14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축(140)에 수직하게 양옆으로 연장되어 회동축(140)이 회전할 때 이에 따라 옆으로 회전하도록 몸체(120)의 앞쪽에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체결대(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의하면, 아이패드와 같이 주변 테두리를 제외한 전체가 화면 역할을 하고, 화면이 옆으로 돌아가며,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시킬 수 있어 테스크탑이나 노트북처럼 키보드를 사용할 상황이 많은 휴대용 단말기를 단순히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 유용하다. 나아가 접어서 납작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에 매우 편하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Cradle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체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가지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가능한 아이패드(i-pad)와 같은 태블릿형 휴대용 컴퓨터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또한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에 편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PDA,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기기의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휴대용 기기를 고정시켜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사용도 증가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등록실용신안 제345385호(2004.03.08.)에 개시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1)의 하부는 거치대의 몸체(15) 내에 삽입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이 있는 상부는 노출된다. U자형 지지대(17)의 양단은 거치대 몸체(15)의 좌우 측면에 회전나사(19)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나사(19)를 중심으로 지지대(17)와 몸체(15)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회전나사(19)를 중심으로 지지대(17)를 회전시켜 삼각 형태로 거치시키면 몸체(15))에 삽입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11)도 기울어져 사용자가 편하게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수 있다.
지지대(17)의 폭은 몸체(15)의 폭과 동일하며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대(17)를 몸체(15)와 평행하게 접으면 지지대(17)가 휴대 단말기(11)의 정면을 제외한 노출부분을 모두 감싼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로 휴대하거나 보관하면 휴대 단말기(11)의 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조작버튼(13) 등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방지되고, 휴대 단말기(11)의 외장이 보호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거치대는 최근 미국 애플사가 만들어서 혁신적인 평가와 인기를 얻고 있는 아이패드(i-pad)와 같은 태블릿형 컴퓨터에는 아래와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적합하지 않다.
(ⅰ) 아이패드는 도 4a에서와 같이 주변 테두리를 제외한 전체가 화면 역할을 하여 화면크기가 9.7인치 정도나 된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은 거치대는 전체 화면을 보여주는데 적합하지 않다.
(ⅱ) 아이패드는 도 4b에서와 같이 가로든 세로든 옆으로 돌리는 데로 화면도 함께 돌아간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은 거치대는 옆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여 이러한 기능을 수행시키는데 부적합하다.
(ⅲ) 아이패드는 도 4c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 도 1에서와 같은 거치대는 거치 상태에서 터치스크린 키보드를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ⅳ) 도 1에서와 같은 거치대는 보관이나 휴대를 위해서는 적합할지 몰라도 거치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펼쳤을 때에는 아이패드(i-pad)와 같은 태블릿형 휴대용 컴퓨터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또한 접었을 때에는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에 적합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밑부분에는 밑으로 연장되는 좌우 양다리를 가지며 상기 양다리의 끝에 상기 양다리를 연결하는 연결핀이 설치되고, 윗부분에는 앞뒤로 관통하는 축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 수평하게 놓인 상태에서 한쪽 끝단부가 상기 좌우 양다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쪽 끝단부에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좌우로 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핀 관통공에 상기 연결핀이 좌우로 삽입 관통됨으로써 상기 연결핀을 축으로 상기 좌우 양다리 사이에서 앞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축 관통공에 삽입되는 회동축을 가지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동축에 수직하게 양옆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축이 회전할 때 이에 따라 옆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체결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대는 제1체결대와 제2체결대로 구분되고, 이 때 상기 제1체결대는 상기 제2체결대의 안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상기 체결대의 전체 폭이 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체결대의 바깥쪽 끝단과 상기 제2체결대의 바깥쪽 끝단은 휴대용 단말기의 양쪽 모서리에 대향하여 각각 끼워지도록 절곡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 내측에는 고무재질의 완충층이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핀의 외면과 상기 받침대의 핀 관통공 내면에 서로 핑거형태로 합치되도록 요철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상기 연결핀의 외면과 상기 받침대의 핀 관통공 내면에 형성되는 요철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회동축의 외면과 상기 몸체의 축 관통공 내면에 서로 핑거형태로 합치되도록 요철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상기 회동축의 외면과 상기 몸체의 축 관통공 내면에 형성되는 요철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기 받침대의 한쪽 끝단부에 키보드 연결단자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체결대의 양단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양쪽 모서리에 대향하여 각각 끼워지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의 안쪽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의하면, 아이패드와 같이 주변 테두리를 제외한 전체가 화면 역할을 하고, 화면이 옆으로 돌아가며,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시킬 수 있어 테스크탑이나 노트북처럼 키보드를 사용할 상황이 많은 휴대용 단말기를 단순히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 유용하다. 나아가 접어서 납작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에 매우 편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등록실용신안 제345385호에 개시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아이패드(i-pad)의 유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가 펼쳐져 있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도 5a의 체결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는 받침대(110) 및 체결대(130)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가 펼쳐져 있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우측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의 배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는 받침대(110), 몸체(120), 및 체결대(130)로 구분된다.
몸체(120)의 밑부분에는 밑으로 연장되는 좌우 양다리(121, 122)를 가지며 양다리의 끝에는 양다리(121, 122)를 연결하도록 연결핀(111)이 관통하여 꼽힌다. 받침대(110)는 수평하게 놓인 상태에서 한쪽 끝단부가 좌우 양다리(121, 12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쪽 끝단부에는 연결핀(111)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핀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핀 관통공에 연결핀(111)이 좌우로 삽입 관통됨으로써 연결핀(111)을 축으로 좌우 양다리(121, 122) 사이에서 앞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몸체(120)의 윗부분에는 앞뒤로 관통하는 축 관통공이 형성된다. 체결대(130)는 상기 축 관통공에 삽입되는 회동축(140)을 가지고, 회동축(14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축(140)에 수직하게 양옆으로 연장되어 회동축(140)이 회전할 때 이에 따라 옆으로 회전하도록 몸체(120)의 앞쪽에 설치된다.
연결핀(111)이 겉돌면 받침대(110)가 펴졌을 때 몸체(120)와 받침대(110)의 각도 유지가 어려우므로 도 9a에서와 같이 연결핀(111)이 걸림턱에 걸리면서 돌도록 연결핀(111)의 외면과 상기 받침대(110)의 핀 관통공의 내면에는 서로 핑거형태로 합치되도록 완만한 요철링(111a, 110a)이 각각 설치된다. 이 때 두 개의 요철링(111a, 110a)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연결핀(111)이 무리없이 회전하는데 바람직하다. 회동축(140)의 외면과 몸체(120)의 축 관통공 내면에도 마찬가지로 이유로 도 9b에서와 같이 서로 핑거형태로 합치되도록 요철링(140a, 120a)이 각각 설치된다.
받침대(110)가 연결핀(111)을 축으로 뒤로 회전하여 젖혀져 몸체(12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펴졌을 때 키보드(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받침대(110)에는 상기 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쪽 끝단부에 키보드 연결단자(112)가 설치된다.
도 6은 도 5a의 체결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대(130)는 제1체결대(130a)와 제2체결대(130b)로 구분되고, 제1체결대(130)는 제2체결대(130b)의 안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체결대(130)의 전체 폭이 변하도록 설치된다.
제1체결대(130a)의 바깥쪽 끝단과 제2체결대(130b)의 바깥쪽 끝단은 아이패드(300)의 대향하는 양쪽 모서리 부분이 앞뒤방향으로 압착력을 받으면서 강제 끼움되도록 이단 절곡부(A, B)가 형성된다. 절곡부(A, B)의 내측에는 아이패드(300)가 물리적 손상을 입지 않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탄성재질이면서 마찰계수가 큰 고무재질, 예컨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완충층(131)이 설치된다.
거치대(100)와 아이패드(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키보드(200)와 아이패드(300)가 거치대(100)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연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체결대(130a)와 제2체결대(130b)의 절곡부(A, B) 중 적어도 어느 한 군데에는 아이패드(3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접속단자(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완충층(131)에는 상기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부위에 구멍이 형성된다. 무선방식의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구성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을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대(130)의 양단이 위 아래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아이패드(300)를 도 6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체결대(130)에 끼운 다음에(도 7a), 받침대(110)를 연결핀(111)을 축으로 하여 뒤로 회전시켜 젖힌다(도 7a, 도 7b). 그러면 키보드 연결단자(112)가 앞쪽을 향하게 되고 여기에 키보드(200)를 연결시킨다. 아이패드(300)를 사용하다가 화면을 돌려보고 싶으면 도 8에서와 같이 체결대(300)를 회동축(140)을 축으로 하여 옆으로 회전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는, 아이패드와 같이 주변 테두리를 제외한 전체가 화면 역할을 하고, 화면이 옆으로 돌아가며,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시킬 수 있어 테스크탑이나 노트북처럼 키보드를 사용할 상황이 많은 휴대용 단말기를 단순히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나아가 접어서 납작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에 매우 편하다.
100: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110: 받침대
110a, 111a, 120a, 140a: 요철링
111: 연결핀
112: 키보드 연결단자
120: 몸체
121, 122: 다리
130: 체결대
131: 완충층
140: 회동축
200: 키보드
300: 아이패드
A, B: 절곡부

Claims (6)

  1. 밑부분에는 밑으로 연장되는 좌우 양다리를 가지며 상기 양다리의 끝에 상기 양다리를 좌우로 연결하는 연결핀이 설치되고, 윗부분에는 앞뒤로 관통하는 축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
    수평하게 놓인 상태에서 한쪽 끝단부가 상기 좌우 양다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쪽 끝단부에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좌우로 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핀 관통공에 상기 연결핀이 좌우로 삽입 관통됨으로써 상기 연결핀을 축으로 상기 좌우 양다리 사이에서 앞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축 관통공에 삽입되는 회동축을 가지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동축에 수직하게 양옆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축이 회전할 때 이에 따라 옆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체결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대는 제1체결대와 제2체결대로 구분되고, 상기 제1체결대는 상기 제2체결대의 안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상기 체결대의 전체 폭이 변하고, 상기 제1체결대의 바깥쪽 끝단과 상기 제2체결대의 바깥쪽 끝단은 휴대용 단말기의 양쪽 모서리에 대향하여 각각 끼워지도록 절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대의 양단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양쪽 모서리에 대향하여 각각 끼워지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 내측에는 고무재질의 완충층이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의 외면과 상기 받침대의 핀 관통공 내면에 서로 핑거형태로 합치되도록 요철링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핀의 외면과 상기 받침대의 핀 관통공 내면에 형성되는 요철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의 외면과 상기 몸체의 축 관통공 내면에 서로 핑거형태로 합치되도록 요철링이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의 외면과 상기 몸체의 축 관통공 내면에 형성되는 요철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기 받침대의 한쪽 끝단부에 키보드 연결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체결대의 양단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양쪽 모서리에 대향하여 각각 끼워지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의 안쪽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20100005796U 2010-06-03 2010-06-03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0459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796U KR200459667Y1 (ko) 2010-06-03 2010-06-03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796U KR200459667Y1 (ko) 2010-06-03 2010-06-03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94U KR20110011394U (ko) 2011-12-09
KR200459667Y1 true KR200459667Y1 (ko) 2012-04-06

Family

ID=4660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796U KR200459667Y1 (ko) 2010-06-03 2010-06-03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6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63Y1 (ko) 2012-02-02 2013-10-14 (주) 엑토 휴대기기용 접이식 거치대
KR200485999Y1 (ko) 2017-07-14 2018-05-04 전영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보조 배터리
KR101902827B1 (ko) * 2017-03-29 2018-10-01 (주)에이스 힌지텍 모니터용 지지 브래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763B1 (ko) * 2012-07-16 2013-04-11 노선수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567Y1 (ko) 2003-03-19 2003-06-09 이창훈 휴대폰 어깨 거치대
KR20070031698A (ko) * 2005-09-15 2007-03-20 이순행 Dmb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567Y1 (ko) 2003-03-19 2003-06-09 이창훈 휴대폰 어깨 거치대
KR20070031698A (ko) * 2005-09-15 2007-03-20 이순행 Dmb폰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63Y1 (ko) 2012-02-02 2013-10-14 (주) 엑토 휴대기기용 접이식 거치대
KR101902827B1 (ko) * 2017-03-29 2018-10-01 (주)에이스 힌지텍 모니터용 지지 브래킷
KR200485999Y1 (ko) 2017-07-14 2018-05-04 전영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보조 배터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94U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74400B (zh) 用于便携式计算装置的支架
JP3182771U (ja) 保護シース
KR101154541B1 (ko) 스탠드가 내장된 태블릿 컴퓨터용 무선 키보드
US7542276B2 (en) Portable computer with support legs
TWI498866B (zh)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9307656B2 (en) Electronic device case
US8783641B2 (en) Foldable supporting bracket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TWI481996B (zh) 支撐座及具有支撐座之電子裝置
US2011005060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80340648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component
TWI531887B (zh) 底座及使用該底座的電子設備組件
US20120074286A1 (en) Foldable support base
TWI432128B (zh) 電子裝置之支撐裝置
US20130322003A1 (en) Soft cover for tablet pc
KR20130094402A (ko) 데스크 탑 유형 유니버셜 도크
TWM415545U (en) Hand-held buckling Plate computer screen Cover Pivot cap of
TWM464715U (zh) 用來固定可攜式電子裝置之固定裝置與可攜式電子設備
TW201318510A (zh) 可攜式電子裝置
US9179567B2 (en) Electronic device
US904209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structure
KR200459667Y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9227980A1 (zh) 一种电脑
CN103672322A (zh) 电子设备
JP4980317B2 (ja) 情報処理装置
US11234510B2 (en) Device and stan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