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732U - 휴대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732U
KR20150003732U KR2020140006268U KR20140006268U KR20150003732U KR 20150003732 U KR20150003732 U KR 20150003732U KR 2020140006268 U KR2020140006268 U KR 2020140006268U KR 20140006268 U KR20140006268 U KR 20140006268U KR 20150003732 U KR20150003732 U KR 201500037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upport plate
back cover
cover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258Y1 (ko
Inventor
박철기
Original Assignee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03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25Personal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배면커버와, 상기 배면커버의 일측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로 구성되어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배면커버에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부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배면커버의 내면에 일단이 접합되어 회전되면서 절첩되어지고, 표면에는 휴대단말기가 부착되도록 점착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휴대단말기를 고정시켜 수납하되 기종에 상관없이 카메라를 가리지 않으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든 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구매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케이스{PORTABLE TERMINAL CASE}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수납하되 기종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고, 내장형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음성 통신이 가능함은 물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설치된 앱을 시현하여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정도로 기술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고속 성능을 갖는 휴대단말기는 가격이 고가이므로 이를 다루는데 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휴대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성능과 형태를 갖는 보호용 케이스가 많이 제공되고 있다.
일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등록번호 10-1001752호의 「스마트폰용 보호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스마트폰용 보호장치를 살펴보면, 스마트폰의 액정 표면과 동일한 넓이로 형성되며, 스마트폰의 터치버튼 및 수신스피커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전면에 위치되는 커버체; 신축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을 수용하고 수용된 선단은 스마트폰의 전면에 위치된 커버체의 외측을 걸림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후면으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노출공이 형성되는 본체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외에도 지갑의 구조를 본떠서 만든 지갑형 휴대단말기 케이스도 출시되어 있다.
이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457590호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457590호는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는 후면커버와, 이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을 보호하는 전면커버로 이루어진 것이며, 전면커버에는 카드, 명함, 신분증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이 형성된 것이다.
한편 스마트폰은 기종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 및 스피커나 LED의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바, 이에 적합하도록 기종별로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변경할 경우 그에 맞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므로 비용 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사진 촬영시 내장카메라를 가리지 않으면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실용성을 제공하고, 카메라 렌즈홀의 배치가 용이하여 휴대단말기의 레이아웃(LAY-OUT)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상파 DMB를 시청하기 위한 별도의 스탠드 구조가 불필요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기종에 상관없이 다양한 종류의 휴대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호환성을 갖도록 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배면커버와, 상기 배면커버의 일측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로 구성되어 스마트폰이 수납되는 본체; 상기 배면커버에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부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배면커버의 내면에 일단이 절첩가능하게 접합되고, 표면에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착탈가능하게 접착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배면커버와, 상기 배면커버의 일측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로 이루어지고,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배면커버의 일측에 일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배면커버와, 상기 배면커버의 일측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로 이루어지고,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배면커버의 일측에 일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상기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판은 배면커버의 세로변의 끝단에 접합되며, 상기 배면커버의 세로 길이 대비 60~70%의 길이를 갖도록 세로 길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은
배면커버의 하단으로부터 세로방향 2/3되는 위치까지의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시 카메라 렌즈홀이 간섭받지않도록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에는 신용카드 수납을 위한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에는 명함을 꽂을 수 있는 명함꽂이포켓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커버의 안쪽 세로변에는 지폐를 보관할 수 있는 사이드포켓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면커버 또는 지지판의 세로변에는 전면커버를 배면커버에 대해 접을 경우 접힌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은 전면커버의 일측과 자착되도록 자성체가 매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절개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에 수납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렌즈홀과 대응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배면커버에 제봉 또는 고주파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면커버 또는 지지판의 임의위치에 연장형성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은 상기 배면커버에 대해 전면커버를 접을 경우 접힌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면커버의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됨, 또는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상파 DMB를 시청할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쪽으로 상기 스트랩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면커버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지지판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은 입구측이 개방되는 포켓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지지판의 임의위치에 형성되는 제1벨크로테이프와,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 지지하는 별도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외측면에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벨크로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제1,2벨크로테이프의 압착고정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상기 휴대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와, 상기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바닥면을 상기 지지판 상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사진 촬영시 내장카메라를 가리지 않으면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실용성을 제공하고, 카메라 렌즈홀의 배치가 용이하여 휴대단말기의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상파 DMB를 시청할 경우 별도의 스탠드 구조가 불필요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고, 휴대폰케이스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기종에 상관없이 다양한 종류의 휴대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어 대량 생산으로 인해 원가비용을 줄이고, 호환성을 갖게 되므로 물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기술함에 있어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피씨, PDA, 노트북 등도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케이스(A)는,
배면커버(120)와, 상기 배면커버(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접히면서 덮히는 전면커버(140)로 구성되어 스마트폰(300)이 수납되는 본체(100); 상기 배면커버(120)에 형성되어 스마트폰(300)의 후면이 부착되는 지지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면커버(120)와 전면커버(140)는 동일한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간에는 이들의 절첩이 가능하게 세로 방향으로 접이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배면커버(120)의 내면에 일단이 절첩가능하게 접합되고, 표면에는 스마트폰(300)이 착탈가능하게 접착층(2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200)은 배면커버(120)의 세로변(122)의 끝단에 접합되며, 상기 배면커버(120)의 세로 길이 대비 60~70%의 길이를 갖도록 세로 길이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00)은 그 상단이 배면커버(120)의 하단으로부터 세로방향 2/3되는 위치까지의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지지판(200)의 상단에는 상기 스마트폰(300)의 내장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시 카메라 렌즈홀이 간섭받지않도록 공간(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20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스마트폰(300)은 카메라(320)가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지지판(200)에 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고, 이렇게 부착된 스마트폰(300)은 카메라(320)가 항상 공간(C)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므로 사진 촬영에 방해될 소지가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140)의 내측에는 카드수납을 위한 슬릿(141)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커버(140)의 내측에는 명함을 꽂을 수 있는 명함꽂이포켓(142)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커버(140)의 안쪽 세로변에는 지폐를 보관할 수 있는 사이드포켓(143)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커버(120)의 세로변에는 전면커버(140)를 배면커버(120)에 대해 접을 경우, 접힌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180)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180)은 전면커버(140)의 일측과 자착되도록 자성체(미도시)가 매립되어 이루어진다.
전면커버(140)의 일측에도 자성체 또는 철판이 매립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폰(300)의 후면을 지지판(200)의 접착층(220)에 접착시켜 고정시키고, 휴대할 경우 전면커버(140)를 배면커버(120)에 덮은 후 스트랩(180)으로 묶어 전면커버(140)가 개방되지않게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30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스트랩(180)을 풀은 다음 전면커버(140)을 배면커버(120)로부터 열어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사진을 찍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판(200)을 배면커버(120)로부터 펼친 후 공간(C)을 통해 카메라(320)가 노출되도록 하여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판(200)을 경사지게 세워서 그 하단이 전면커버(140)의 세로변 끝단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140), 배면커버(120) 및 지지판(200)이 대략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스마트폰(300)을 이용한 지상파 DMB를 편한 각도로 시청할 수 있는 받침대 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판(200)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100)에 수납되는 상기 스마트폰(300)(휴대단말기를 말함)의 카메라 렌즈홀과 대응되는 관통부(200a)가 상기 지지판(200)의 상단에 절개형성될 수 있다(관통부(200a)가 凹 형상으로 형성됨).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배면커버(120)에 제봉 또는 고주파열융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120) 또는 지지판(200)의 임의위치에 스트랩(180)을 연장형성하되, 상기 스트랩(180)은 상기 배면커버(120)에 대해 전면커버(140)를 접을 경우 접힌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면커버(140)의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트랩(180)은 상기 지지판(200)에 부착되는 스마트폰(300)을 이용하여 지상파 DMB를 시청할 경우, 상기 스마트폰(300)의 액정화면쪽으로 상기 스트랩(180)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면커버(120)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스트랩(180)은 전면커버(140) 및 배면커버(120)에 구비되는 자성체 또는 철판에 의해 상기 전면커버(140)의 외측면 또는 상기 배면커버(120)의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지지판(200)의 임의위치에 형성되는 제1벨크로테이프(400)(소위 "찍찍이"를 말함)와, 상기 스마트폰(300)을 감싸 지지하는 별도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외측면에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400)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벨크로테이프(500)(소위 "찍찍이"를 말함)를 구비하여, 상기 제1,2벨크로테이프(400,500)의 압착고정에 의해 상기 지지판(200)에 상기 스마트폰(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스마트폰(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200)은 입구측이 개방되는 포켓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스마트폰(300)을 수납하여 외부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700)(일 예로서 고무재, 플라스틱재, 우레탄재 등이 사용될 수 있음)와, 상기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700)의 바닥면을 상기 지지판(200) 상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00)(일 예로서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음)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700)를 상기 지지판(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bond)가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 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본체 120 : 배면커버
140 : 전면커버 160 : 접이부
180 : 스트랩 200 : 지지판
220 : 접착층 300 : 스마트폰
320 : 카메라 C : 공간

Claims (13)

  1. 배면커버와, 상기 배면커버의 일측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로 이루어지고,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배면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부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배면커버의 내면에 일단이 절첩가능하게 접합되고, 표면에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배면커버의 세로변의 끝단에 접합되며,
    상기 배면커버의 세로 길이 대비 60~70%의 길이를 갖도록 세로 길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배면커버의 하단으로부터 세로방향 2/3되는 위치까지의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시 카메라 렌즈홀이 간섭받지않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를 배면커버에 대해 접을 경우, 접힌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이 상기 배면커버 또는 지지판의 세로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5. 배면커버와, 상기 배면커버의 일측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로 이루어지고,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배면커버의 일측에 일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절개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에 수납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렌즈홀과 대응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배면커버에 제봉 또는 고주파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커버 또는 지지판의 임의위치에 연장형성되는 스트랩, 상기 스트랩은 상기 배면커버에 대해 전면커버를 접을 경우 접힌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면커버의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됨, 또는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상파 DMB를 시청할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의 액정화면쪽으로 상기 스트랩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면커버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9. 배면커버와, 상기 배면커버의 일측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커버로 이루어지고,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배면커버의 일측에 일단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상기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지지판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은 입구측이 개방되는 포켓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지지판의 임의위치에 형성되는 제1벨크로테이프와,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 지지하는 별도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외측면에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벨크로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제1,2벨크로테이프의 압착고정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상기 휴대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으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와,
    상기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바닥면을 상기 지지판 상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20140006268U 2014-04-02 2014-08-22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7925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695 2014-04-02
KR20140002695 2014-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32U true KR20150003732U (ko) 2015-10-13
KR200479258Y1 KR200479258Y1 (ko) 2016-01-11

Family

ID=5434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268U KR200479258Y1 (ko) 2014-04-02 2014-08-22 휴대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5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67Y1 (ko) * 2010-11-24 2013-01-16 구승경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251936B1 (ko) * 2011-07-29 2013-04-08 주식회사 뉴빛 휴대기기용 지퍼케이스
KR200468374Y1 (ko) * 2013-05-24 2013-08-09 강성진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50000060A (ko) * 2013-06-21 2015-01-02 정은섭 휴대 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67Y1 (ko) * 2010-11-24 2013-01-16 구승경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251936B1 (ko) * 2011-07-29 2013-04-08 주식회사 뉴빛 휴대기기용 지퍼케이스
KR200468374Y1 (ko) * 2013-05-24 2013-08-09 강성진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50000060A (ko) * 2013-06-21 2015-01-02 정은섭 휴대 단말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258Y1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0934120B1 (ko) 휴대폰 케이스
US9033147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919544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184989B2 (en) Cover capable of storing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74403Y1 (ko) 거치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용 카드지갑
KR101243217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KR200473278Y1 (ko) 태블릿 피씨의 보호 케이스
US20130284866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US20170251790A1 (en) Trifold carry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00149739A1 (en) PROTECTIVE COVER FOR AN eREADER
KR200473708Y1 (ko) 지갑형 휴대기기 보호케이스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419199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0479258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US20130284613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63606B1 (ko) 휴대폰 케이스
EP2657807A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56061B1 (ko) 내부 케이스가 구비된 지갑 겸용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