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621A -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 Google Patents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621A
KR20140109621A KR1020130023795A KR20130023795A KR20140109621A KR 20140109621 A KR20140109621 A KR 20140109621A KR 1020130023795 A KR1020130023795 A KR 1020130023795A KR 20130023795 A KR20130023795 A KR 20130023795A KR 20140109621 A KR20140109621 A KR 20140109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s
guide groove
outer rail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223B1 (ko
Inventor
옥동훈
Original Assignee
옥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동훈 filed Critical 옥동훈
Priority to KR102013002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223B1/ko
Publication of KR20140109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각의 양단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창틀레일이 돌출형성된 창틀과; 상기 창틀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외창레일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외창레일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창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1내창과, 상기 외창레일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내창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기 제1내창과 평행하게 상기 외창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2내창으로 구성된 제1외창; 및 상기 창틀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외창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외창레일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창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제1내창과, 상기 외창레일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내창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기 제1내창과 평행하게 상기 외창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제2내창으로 구성된 제2외창;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WINDOW COMBINED SLIDING WITH SINGLE/DOUBLE HUNG}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 형식과 오르내리는 형식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는 대표적으로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미닫이창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오르내리창으로 구분되고, 우리나라에서는 미닫이 형식의 창호가, 서양에서는 오르내리는 형식의 창호가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오르내리창 중에서도 한쪽만 오르내리는(보통 아래쪽에 위치한 창이 오르내림) 창을 외오르내리창(single hung window), 양쪽 모두 오르내리는 이중오르내리창(double hung window)이라고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미닫이창과 오르내리창은 창문이 창호의 절반만 개방되므로 신속하게 환기되지 못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KR 20-2009-0012327 U KR 20-0307832 Y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좌우로 슬라이딩 되어 환기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리나라 창호의 대부분인 미닫이 형식에서 벗어나 상기 미닫이 형식의 창호에 오르내리는 형식을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는, 상하좌우의 내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정해진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각의 양단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창틀레일이 돌출형성된 창틀과;
상기 창틀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창틀레일이 삽입되어 상기 창틀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외창레일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외창레일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창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1내창과, 상기 외창레일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내창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기 제1내창과 평행하게 상기 외창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2내창으로 구성된 제1외창; 및
상기 창틀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창틀레일이 삽입되어 상기 창틀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외창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외창레일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창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제1내창과, 상기 외창레일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내창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기 제1내창과 평행하게 상기 외창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제2내창으로 구성된 제2외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에 있어서, 제1외창과 제2외창, 제1내창 및 제2내창에는 손잡이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에 있어서, 상기 제1내창과 제2내창은 좌측과 우측면의 일부에 하나 이상의 멈춤부재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외창과 제2외창에는 상기 멈춤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멈춤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에 있어서, 제1외창 또는 제2외창에는 제1내창과 제2내창이 다수개의 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을 선택하여 창문을 여닫을 수 있고, 창문을 어느 한쪽으로 모아 놓으면 공기의 유동로가 넓으므로 신속한 환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외창 또는 제2외창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외창 또는 제2외창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내창 또는 제2내창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내창 또는 제2내창의 스토퍼의 작동을 나타낸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창호틀에 제1내창과 제2내창이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는 창틀(100)과 제1외창(200) 및 제2외창(30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외창(200)에는 제1내창(210)과 제2내창(220)이 설치되고, 상기 제2외창(300)에는 제1내창(310)과 제2내창(320)이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창틀(100)은 상하좌우의 내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10)의 각각의 양단에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창틀레일(130, 140)이 돌출형성되고, 도면에서 상기 창틀레일(130, 140)을 2개로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상기 창틀레일(130, 14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창틀(100)에는 제1외창(200)과 제2외창(300)이 설치되어 각각 창틀레일(130, 14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된다.
도면에는 상기 제1외창(200)이 제2외창(30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제2외창(300)이 제1외창(200)의 전방에 위치하여 각각 창틀레일(130, 140)을 따라 움직이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창틀(100)의 일부(예컨대, 창틀레일(130, 140))에 별도의 스토퍼(미도시) 또는 잠금장치(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외창(200)과 제2외창(300)이 상기 창틀레일(130, 140) 상에서 일부만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만큼만 창문을 열어놓은 채 외부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창문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외부인이 창문을 통해 실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방식의 스토퍼 또는 잠금장치를 구상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외창(200)은 상기 창틀(100)과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0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03)에 상기 창틀레일(130)이 삽입되어 상기 창틀레일(13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외창레일(201, 202)이 돌출형성된다. 수직프레임(120)의 창틀레일(130)은 그에 대응하는 가이드홈(203)에 삽입되지만, 상기 제1외창(200)의 높이와 수직프레임(120)의 높이와 같기 때문에 상기 제1외창(200)은 수직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1외창(200)은 제1내창(210)과 제2내창(2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내창(210)은 상기 외창레일(201)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외창레일(201)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창레일(20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내창(220)은 상기 외창레일(202)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외창레일(202)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내창(210)의 전방에서 상기 제1내창(210)과 평행하게 상기 외창레일(202)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된다.
물론 상기 제1내창(210)과 제2내창(220)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상관없다. 예컨대, 상기 제1내창(210)은 상기 외창레일(202)에 위치하고 상기 제2내창(220)은 상기 내창레일(20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외창(300)은 상기 창틀(100)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0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03)에 상기 창틀레일(140)이 삽입되어 상기 창틀레일(14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외창레일(301, 302)이 돌출형성된다. 수직프레임(120)의 창틀레일(140)은 그에 대응하는 가이드홈(303)에 삽입되지만, 상기 제2외창(200)의 높이와 수직프레임(120)의 높이와 같기 때문에 상기 제2외창(300)은 수직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2외창(300)은 제1내창(310)과 제2내창(3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내창(310)은 상기 외창레일(301)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외창레일(301)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창레일(30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제2내창(320)은 상기 외창레일(302)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외창레일(302)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내창(310)의 전방에서 상기 제1내창(310)과 평행하게 상기 외창레일(302)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1내창(310)과 제2내창(320)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상관없다. 예컨대, 상기 제1내창(310)은 상기 외창레일(302)에 위치하고 상기 제2내창(320)은 상기 내창레일(301)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외창(200)과 제2외창(300), 제1내창(210, 310) 및 제2내창(220, 320)에는 손잡이(400)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손잡이(400)의 형태는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면에는 손잡이(400)의 형태를 오목한 홈으로 도시하였으나, 돌부를 형성하거나 별개의 손잡이를 부착하여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상기 손잡이(400)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면 제1내창(210, 310)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제2내창(220, 320)의 돌출된 손잡이는 상기 제1내창(210, 310)의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내창(210, 310)과 제2내창(220, 320)은 좌측과 우측면의 일부에 하나 이상의 멈춤부재(500)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멈춤부재(500)는 제1내창(210, 310)과 제2내창(220, 3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되, 탄성부재(미도시)(예컨대, 스프링 등)가 구비되고 그 탄성에 의해 상기 멈춤부재(500)가 외부로 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외창(200)과 제2외창(300)에는 상기 멈춤부재(5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홈(510)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멈춤부재(500)가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멈춤부재(500)를 탄성부재(미도시)가 볼을 밀어내는 형식으로 설명하였으나 편의에 따라 시중에 공개되어있는 도르래의 형식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외창(200) 또는 제2외창(300)에는 제1내창(210, 310)과 제2내창(220, 320)이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내창(210, 310)과 제2내창(220, 320)이 다수개가 설치될 경우, 제1외창(200) 또는 제2외창(300)의 정해진 일부에 칸막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사용자는 제1외창(200) 또는 제2외창(300)에 형성된 손잡이(400)에 손을 파지하고 슬라이딩시켜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상기 제1외창(200)과 제2외창(300)이 포개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외창(200)과 제2외창(300)에 설치된 제1내창(210, 310) 또는 제2내창(220, 320)을 상하 중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내창(210, 310)과 제2내창(220, 320)이 포개어지도록 한다.
결국 창틀(100)의 ¼에 해당하는 넓이에만 창문이 위치하고 ¾은 뚫려있으므로 환기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닫이뿐만 아니라 오르내리는 형식을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신선함을 더해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창틀 110 : 수평프레임
120 : 수직프레임 130, 140 : 창틀레일
200 : 제1외창 201, 202 : 외창레일
203 : 가이드홈 210 : 제1내창
220 : 제2내창 211, 221 : 가이드홈
300 : 제2외창 301, 302 : 외창레일
303 : 가이드홈 310 : 제1내창
320 : 제2내창 311, 321 : 가이드홈
400 : 손잡이 500 : 멈춤부재
510 : 오목홈

Claims (4)

  1. 상하좌우의 내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정해진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각의 양단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창틀레일(130, 140)이 돌출형성된 창틀(100)과;
    상기 창틀(100)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0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03)에 상기 창틀레일(130)이 삽입되어 상기 창틀레일(13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외창레일(201, 20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외창레일(201)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201)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창레일(20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1내창(210)과, 상기 외창레일(202)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202)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내창(21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기 제1내창(210)과 평행하게 상기 외창레일(202)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는 제2내창(220)으로 구성된 제1외창(200); 및
    상기 창틀(100)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0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03)에 상기 창틀레일(140)이 삽입되어 상기 창틀레일(14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외창레일(301, 302)이 형성되고,
    상기 외창레일(301)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301)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창레일(30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제1내창(310)과, 상기 외창레일(302)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외창레일(302)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내창(31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기 제1내창(310)과 평행하게 상기 외창레일(302)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제2내창(320)으로 구성된 제2외창(3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외창(200)과 제2외창(300), 제1내창(210, 310) 및 제2내창(220, 320)에는 손잡이(400)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창(210, 310)과 제2내창(220, 320)은 좌측과 우측면의 일부에 하나 이상의 멈춤부재(500)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외창(200)과 제2외창(300)에는 상기 멈춤부재(5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홈(510)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멈춤부재(500)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외창(200) 또는 제2외창(300)에는 제1내창(210, 310)과 제2내창(220, 320)이 다수개의 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KR1020130023795A 2013-03-06 2013-03-06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KR101451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795A KR101451223B1 (ko) 2013-03-06 2013-03-06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795A KR101451223B1 (ko) 2013-03-06 2013-03-06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621A true KR20140109621A (ko) 2014-09-16
KR101451223B1 KR101451223B1 (ko) 2014-10-22

Family

ID=5175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795A KR101451223B1 (ko) 2013-03-06 2013-03-06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2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778A1 (ko) * 2016-01-22 2017-07-27 장동현 가변 회동타입 안전 오르내리창
KR20180106307A (ko) * 2017-03-20 2018-10-01 (주)엘지하우시스 창짝의 부분 개폐가 가능한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7441B2 (ja) * 2003-04-28 2006-02-22 茂 石黒 猫間障子
KR101162922B1 (ko) * 2009-08-04 2012-07-05 주식회사 에코빅 다기능 창호 조립체
KR101426130B1 (ko) * 2012-02-01 2014-08-05 (주)엘지하우시스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778A1 (ko) * 2016-01-22 2017-07-27 장동현 가변 회동타입 안전 오르내리창
KR20180106307A (ko) * 2017-03-20 2018-10-01 (주)엘지하우시스 창짝의 부분 개폐가 가능한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223B1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223B1 (ko)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KR20130087796A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JP2015031150A (ja) 窓扉用防風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窓扉
CN104641066A (zh) 具有改进气密性的滑窗
JP2024026541A (ja) 建具
KR101609579B1 (ko) 방풍 부재를 갖는 창
KR101471244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창호
JP2015224430A (ja) 戸体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JP2020513489A (ja) 窓フレーム結合用結合構造物を有する金属製窓戸組立体
KR101441071B1 (ko) 창문에 구비된 가동틀과 고정틀의 단열구조
KR102344812B1 (ko)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JP7179631B2 (ja) 建具
KR101192824B1 (ko) 미닫이 창문에 구비된 가동틀의 열림량 설정장치
JPH0711846A (ja) 換気装置付きドア
KR101426130B1 (ko) 이중개폐방식의 슬라이딩 창호
JP2022116655A (ja) 間仕切り窓
JP7414448B2 (ja) 多連式引戸
JP7360878B2 (ja) 引戸の下レール構造
JP7420867B2 (ja) 建具
KR20190068783A (ko) 기밀커버
JP7001467B2 (ja) 移動間仕切装置
JP2014156705A (ja) 可動窓及び嵌め殺し窓を備えた建具
JP6851912B2 (ja) 建具
JP6682461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