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724A -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724A
KR20230055724A KR1020210139461A KR20210139461A KR20230055724A KR 20230055724 A KR20230055724 A KR 20230055724A KR 1020210139461 A KR1020210139461 A KR 1020210139461A KR 20210139461 A KR20210139461 A KR 20210139461A KR 20230055724 A KR20230055724 A KR 20230055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support plate
pillar
assembled
pi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482B1 (ko
Inventor
진흥용
Original Assignee
진흥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흥용 filed Critical 진흥용
Priority to KR1020210139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48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판과 기둥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선반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선반{SHWLF}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판과 기둥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물건을 층층이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가구이다.
이러한 선반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데, 예를 들면 가정에서 장식장 또는 진열장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수족관 또는 화분을 올려놓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매장에서 다수의 상품을 진열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5878호, 제10-1004003호에는 종래의 조립식 선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종래의 조립식 선반은 받침판과 기둥을 조립하는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 및 분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5878호(등록일: 2019년08월23일), 발명의 명칭: "조립 선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4003호(등록일: 2010년12월20일), 발명의 명칭: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22597호(공개일: 2019년10월30일), 발명의 명칭: "조립식 선반"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7818호(공개일: 2015년07월08일), 발명의 명칭: "모니터 받침대 겸용 선반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받침판과 기둥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용이하게 조립하면서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중공의 몸통부와, 몸통부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몸통부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면 중앙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체결구멍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상부결속부와, 몸통부의 하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결속부의 체결구멍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외면에는 상부결속부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하부결속부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기둥; 상기 기둥과 조립될 수 있도록 네 모퉁이에 각각 기둥의 상부결속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기본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판 형상의 다수개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서 기본삽입공을 통해 기둥의 상부결속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외면에는 상부결속부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캡결속부와, 캡결속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기본삽입공보다 직경이 커서 캡결속부가 상부결속부에 체결될 때 받침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받침판의 상면을 마감하는 안착부로 이루어진 상부마감캡; 및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보다 직경이 작아 기본삽입공에 삽입되게조립되며 상면 중앙에는 하부결속부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체결홈이 형성된 발통결속부로 이루어진 발통;으로 구성되되, 상기 받침판을 상부에 하나 두고 이 받침판의 하부에서 각각의 기본삽입공에 대응되는 기둥을 조립한 후 상부마감캡을 통해 고정되게 마감 처리하고, 이 기둥의 하부결속부에 다른 받침판이 끼워지도록 조립한 후 이 받침판의 하부에서 발통을 조립하여 기둥의 하부결속부에 고정되게 마감하거나, 상부에 위치한 받침판과 하부에 위치한 받침판의 사이에 또 다른 받침판과 기둥을 상하로 적층되게 조립한 후 발통으로 마감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그리고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는 기본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방향으로 연장원통부가 돌출 형성되고, 연장원통부의 내부에는 기둥의 몸통부 상단 일부분이 삽입되는 보조삽입홈이 기본삽입공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받침판의 하부에서 기둥의 상부결속부가 받침판의 기본삽입공에 끼워질 때 기둥의 몸통부 상단 일부분이 보조삽입홈에 함께 끼워져 받침판이 기둥의 상부결속부와 몸통부 상단 일부분을 잡아주는 이중 결속 구조를 갖도록 하여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의 후방 일부분에 밴드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이 밴드삽입홀을 통해 벽고정밴드가 연결되며, 벽고정밴드는 벽체에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넘어지지 않도록 잡아주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받침판의 기본삽입공 하부에 보조삽입홈을 갖는 연장원통부를 추가로 마련하였기 때문에 기둥의 상단이 받침판의 기본삽입공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때 기본삽입공과 함께 연장원통부가 기둥을 이중으로 잡아주게 되며, 이로 인해 받침판과 기둥을 조립할 때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받침판의 후방 일부분에 밴드삽입홀이 관통 형성되어 밴드삽입홀에 설치되는 벽고정밴드를 통해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조립식 선반이 흔들리거나 넘어짐 없이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적용되는 받침판을 나타낸 저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다른 조립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이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부분 설치 단면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다수개의 기둥(100), 받침판(200), 상부마감캡(300), 발통(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기둥(100)은 받침판(200)의 네 모퉁이에 각각 설치되어 받침판(200)을 받쳐 지지하는 것으로, 중공의 몸통부(110)를 구비하며, 몸통부(110)의 상단에는 상부결속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몸통부(110)의 하단에는 하부결속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결속부(120)는 몸통부(110)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몸통부(110)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면 중앙에는 체결구멍(122)이 형성되고, 체결구멍(122)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결속부(130)는 몸통부(110)의 하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상부결속부(120)의 체결구멍(122)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외면에는 상부결속부(120)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기둥(100)은 상부결속부(120)와 하부결속부(130)를 통해 다수개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받침판(2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둥(100)과 조립될 수 있도록 네 모퉁이에 각각 기둥(100)의 상부결속부(120)가 끼워져 조립되는 기본삽입공(210)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받침판(200)은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걸림턱(202)이 돌출 형성되어 받침판(200) 상에 놓인 물건이 미끄러질 때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부마감캡(300)은 캡결속부(310)와 안착부(3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먼저 캡결속부(310)는 받침판(200)의 상면에서 기본삽입공(210)을 통해 기둥(100)의 상부결속부(12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외면에는 상부결속부(120)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기둥(100)의 상부결속부(120)에 체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안착부(320)는 캡결속부(3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본삽입공(210)보다 직경이 커서 캡결속부(310)가 상부결속부(120)에 체결될 때 받침판(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받침판(200)의 상면을 마감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안착부(320)의 상면에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로 체결할 수 있도록 드라이버홈(322)가 일자 또는 십자로 형성된다. 물론, 드라이버홈(322)은 다른 공구 대응용 홈으로 대체될 수 있고, 없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발통(400)은 지지부(410)와 발통결속부(4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먼저 지지부(410)는 받침판(200)의 하부에서 지면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발통결속부(420)는 지지부(410)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410)보다 직경이 작아 기본삽입공(210)에 삽입되게 조립되며 상면 중앙에는 하부결속부(130)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체결홈(422)이 형성된다. 따라서 발통(400)은 받침판(200)의 하부에서 기둥(100)에 연결되며, 지면에 지지되어 선반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더해, 본 발명은 받침판(200)의 하면에 기본삽입공(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방향으로 연장원통부(220)가 돌출 형성되고, 연장원통부(220)의 내부에는 기둥(100)의 몸통부(110) 상단 일부분이 삽입되는 보조삽입홈(222)이 기본삽입공(210)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받침판(200)의 하부에서 기둥(100)의 상부결속부(120)가 받침판(200)의 기본삽입공(210)에 끼워질 때 기둥(100)의 몸통부(110) 상단 일부분이 보조삽입홈(222)에 함께 끼워지게 되며, 이로 인해 받침판(200)은 기둥(100)의 상부결속부(120)와 몸통부(110) 상단 일부분을 잡아주는 이중 결속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연장원통부(220)는 받침판(200)의 저면에서 직접적으로 연장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받침판(200)의 저면에는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빈공간(204)이 형성되고, 빈공간(204)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다수의 보강리브(206)가 바둑판 형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연장원통부(220)는 받침판(200)의 저면에서 빈공간(204)을 통과하여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연장원통부(220)의 외면에도 빈공간(204)과 연결되는 보강리브(206)가 형성되어 연장원통부(220)의 강도를 보강하게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원가를 절감하면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연장원통부(22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받침판(200)의 후방 일부분에 밴드삽입홀(230)이 관통 형성되고, 이 밴드삽입홀(230)을 통해 벽고정밴드(500)가 연결되며, 벽고정밴드(500)는 클립, 피스, 못 등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조립식 선반이 흔들리거나 넘어지지 않게 잡아주게 된다. 물론, 벽고정밴드(500)에는 피스나 못을 박을 수 있게 구멍(H)이 관통 형성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 및 작용 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도 1 및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2단에 더해 받침판(200)과 기둥(100)만 추가하면 4단, 5단 등 사용자에 맞게 다단으로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조립식 선반을 도 1과 같이 2단으로 조립할 때는 받침판(200)을 상부에 하나 두고 이 받침판(200)의 하부에서 각각의 기본삽입공(210)에 대응되는 기둥(100)의 상부결속부(120)를 끼워 넣어 조립한 후 받침판(200)의 상부에서 캡결속부(310)를 통해 상부마감캡(300)을 상부결속부(120)에 체결하여 기둥(100)이 고정적으로 조립되게 마감 처리한다. 그런 다음, 기둥(100)의 하부결속부(130)에 다른 받침판(200)이 기본삽입공(210)을 통해 끼워지도록 조립한 후 이 받침판(200)의 하부에서 발통(400)의 발통결속부(420)를 하부결속부(130)에 체결하여 기둥(100)이 고정적으로 조립되게 마감하면 된다.
그리고 조립식 선반을 도 6, 도 7과 같이 4단, 5단 등 다단으로 조립할 때는 상부에 위치하는 받침판(200)과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판(200)의 사이에 중간에 위치하는 또 다른 받침판(200)과 기둥(100)을 추가로 조립하면 된다. 즉, 상부에 위치하는 받침판(200)을 하나 두고 이 받침판(200)의 하부에서 각각의 기본삽입공(210)에 대응되는 기둥(100)의 상부결속부(120)를 끼워 넣어 조립한 후 받침판(200)의 상부에서 캡결속부(310)를 통해 상부마감캡(300)을 기둥(100)의 상부결속부(120)에 체결하여 기둥(100)이 고정적으로 조립되게 마감 처리한다. 그런 다음, 기둥(100)의 하부결속부(130)에 중간에 위치하는 받침판(200)이 기본삽입공(210)을 통해 끼워지도록 조립한 후 중간에 위치하는 받침판(200)의 하부에서 다른 기둥(100)의 상부결속부(120)를 위에 위치한 기둥(100)의 하부결속부(130)에 체결하여 고정적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이때, 몇 단으로 선반을 조립할 것인지에 따라 중간에 위치하는 받침판(200) 및 기둥(100)의 갯수를 정하면 된다. 그런 다음, 하부에 위치하는 마지막 기둥(100)의 하부결속부(130)에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판(200)이 기본삽입공(210)을 통해 끼워지도록 조립한 후 이 받침판(200)의 하부에서 발통(400)을 하부결속부(130)에 체결하여 기둥(100)이 고정적으로 조립되게 마감하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식 선반을 조립할 때 본 발명은 기둥(100)의 상부결속부(120)가 받침판(200)의 하부에서 기본삽입공(210)에 끼워져 조립될 때 기둥(100)의 몸통부(110) 상단 일부분이 연장원통부(220)의 보조삽입홈(222)에 함께 끼워지게 조립되며, 따라서 받침판(200)은 기본삽입공(210)과 연장원통부(220)를 통해 기둥(100)의 상부결속부(120)와 몸통부(110) 상단 일부분을 잡아주는 이중 결속 구조를 갖게 되기 때문에 기둥(100)은 흔들림 없이 보다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조립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삽입홀(230)을 통해 벽고정밴드(500)를 끼워서 조립하고 이 벽고정밴드(500)를 벽체에 고정하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조립식 선반이 흔들리거나 넘어짐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기둥 110: 몸통부
120: 상부결속부 130: 하부결속부
200: 받침판 210: 기본삽입공
220: 연장원통부 222: 보조삽입홈
230: 밴드삽입홀 300: 상부마감캡
310: 캡결속부 320: 안착부
400: 발통 410: 지지부
420: 발통결속부 500: 벽고정밴드

Claims (3)

  1. 중공의 몸통부와, 몸통부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몸통부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면 중앙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체결구멍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상부결속부와, 몸통부의 하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결속부의 체결구멍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외면에는 상부결속부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하부결속부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기둥;
    상기 기둥과 조립될 수 있도록 네 모퉁이에 각각 기둥의 상부결속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기본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판 형상의 다수개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서 기본삽입공을 통해 기둥의 상부결속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외면에는 상부결속부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캡결속부와, 캡결속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기본삽입공보다 직경이 커서 캡결속부가 상부결속부에 체결될 때 받침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받침판의 상면을 마감하는 안착부로 이루어진 상부마감캡; 및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보다 직경이 작아 기본삽입공에 삽입되게조립되며 상면 중앙에는 하부결속부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체결홈이 형성된 발통결속부로 이루어진 발통;으로 구성되되,
    상기 받침판을 상부에 하나 두고 이 받침판의 하부에서 각각의 기본삽입공에 대응되는 기둥을 조립한 후 상부마감캡을 통해 고정되게 마감 처리하고, 이 기둥의 하부결속부에 다른 받침판이 끼워지도록 조립한 후 이 받침판의 하부에서 발통을 조립하여 기둥의 하부결속부에 고정되게 마감하거나, 상부에 위치한 받침판과 하부에 위치한 받침판의 사이에 또 다른 받침판과 기둥을 상하로 적층되게 조립한 후 발통으로 마감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는 기본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방향으로 연장원통부가 돌출 형성되고, 연장원통부의 내부에는 기둥의 몸통부 상단 일부분이 삽입되는 보조삽입홈이 기본삽입공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받침판의 하부에서 기둥의 상부결속부가 받침판의 기본삽입공에 끼워질 때 기둥의 몸통부 상단 일부분이 보조삽입홈에 함께 끼워져 받침판이 기둥의 상부결속부와 몸통부 상단 일부분을 잡아주는 이중 결속 구조를 갖도록 하여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후방 일부분에 밴드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이 밴드삽입홀을 통해 벽고정밴드가 연결되며, 벽고정밴드는 벽체에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넘어지지 않도록 잡아주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KR1020210139461A 2021-10-19 2021-10-19 조립식 선반 KR102557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461A KR102557482B1 (ko) 2021-10-19 2021-10-19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461A KR102557482B1 (ko) 2021-10-19 2021-10-19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724A true KR20230055724A (ko) 2023-04-26
KR102557482B1 KR102557482B1 (ko) 2023-07-19

Family

ID=8609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461A KR102557482B1 (ko) 2021-10-19 2021-10-19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48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9695A1 (en) * 1987-07-13 1989-01-18 Frederick Brooks Hand-assembled self-supporting shelving system
JP2002101968A (ja) * 2000-09-29 2002-04-09 Richell Corp 組立式ラック
KR101004003B1 (ko) 2008-08-14 2010-12-31 김재현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
KR20140134004A (ko) * 2013-05-13 2014-11-21 변고은 다기능 여성용품 수납함
KR20150077818A (ko) 2013-12-30 2015-07-08 최광호 모니터 받침대 겸용 선반장치
JP2017042424A (ja) * 2015-08-27 2017-03-02 株式会社ノーリツ 棚構造
KR102015878B1 (ko) 2017-07-21 2019-08-29 정원재 조립 선반
KR20190122597A (ko) 2019-08-05 2019-10-30 한길산업(주) 조립식 선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9695A1 (en) * 1987-07-13 1989-01-18 Frederick Brooks Hand-assembled self-supporting shelving system
JP2002101968A (ja) * 2000-09-29 2002-04-09 Richell Corp 組立式ラック
KR101004003B1 (ko) 2008-08-14 2010-12-31 김재현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
KR20140134004A (ko) * 2013-05-13 2014-11-21 변고은 다기능 여성용품 수납함
KR20150077818A (ko) 2013-12-30 2015-07-08 최광호 모니터 받침대 겸용 선반장치
JP2017042424A (ja) * 2015-08-27 2017-03-02 株式会社ノーリツ 棚構造
KR102015878B1 (ko) 2017-07-21 2019-08-29 정원재 조립 선반
KR20190122597A (ko) 2019-08-05 2019-10-30 한길산업(주) 조립식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482B1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300063B2 (en) Tool rack set fastener
KR20190000099U (ko) 수납되는 물품에 의해 쳐짐이 발생되지 않는 장난감 정리대
US7386960B2 (en) Modular structure for modular partition walls formed of juxtaposed panels
US10010172B1 (en) Configurable bottle storage rack and kit
US20100090567A1 (en) Storage furniture system and methods for assembling the storage furniture system
EP0538045A1 (en) Free-standing shelving system
KR102557482B1 (ko) 조립식 선반
US2007014586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090012177U (ko) 조립식 선반
US20030094124A1 (en) Modular pallet display system
KR200492958Y1 (ko) 모듈형 정리함
US4032098A (en) Base for an upright for forming a stand or the like
KR200455854Y1 (ko) 다수의 세로대 일체형 측판을 이용한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
KR20170057543A (ko) 모듈 결합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립식 장식 모듈과 그 장식장
KR20170001238U (ko) 수납되는 물품에 의해 쳐짐이 발생되지 않는 장난감 정리대
US4355585A (en) Shelf builders
US6036033A (en) Construction assembly having a quick coupler
KR100431249B1 (ko) 확장성을 갖는 식기건조대 겸용 봉선반
KR200288113Y1 (ko) 조립식 가구
KR200440903Y1 (ko) 책상다리의 기둥 구조
JPH07265135A (ja) 多段棚
KR200223528Y1 (ko) 팔래트
KR200263085Y1 (ko) 수직봉에 구비되는 다단형 수납실
KR200210904Y1 (ko) 진열대
KR200266673Y1 (ko) 조립식 수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