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308B1 - 전시용 가벽 - Google Patents

전시용 가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308B1
KR102496308B1 KR1020220146060A KR20220146060A KR102496308B1 KR 102496308 B1 KR102496308 B1 KR 102496308B1 KR 1020220146060 A KR1020220146060 A KR 1020220146060A KR 20220146060 A KR20220146060 A KR 20220146060A KR 102496308 B1 KR102496308 B1 KR 102496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exhibition
plate
supports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도영
Original Assignee
공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도영 filed Critical 공도영
Priority to KR102022014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308B1/ko
Priority to KR1020230013496A priority patent/KR2024006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시용 가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시회 등의 전시 공간 내에 전시를 위한 복수의 독립적 공간 확보를 통해 작품의 설치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전시 공간을 이루는 천장과 바닥면으로의 고정없이 바닥면으로의 안착을 통해 안정된 직립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시 공간이나 작품의 적절한 설치 높이 등에 대응하여 상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시용 가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시용 가벽{TEMPORARY WALL FOR EXHIBITION}
본 발명은 전시용 가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시회 등의 전시 공간 내에 전시를 위한 복수의 독립적 공간 확보를 통해 작품의 설치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전시 공간을 이루는 천장과 바닥면으로의 고정없이 바닥면으로의 안착을 통해 안정된 직립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시 공간이나 작품의 적절한 설치 높이 등에 대응하여 상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시용 가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실내공간 구획은 고정식 벽체 또는 조립식 벽체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여러 공정을 대신하여 복수의 판재를 제작하여 조립하는 조립식 벽체가 많이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조립식 벽체는 자재의 조립에만 주안점을 두고 해체는 등한시하여 일단 시공된 벽체의 이전 설치 및 자재의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92971호(2021.01.11.)에는 '높이조절 가능한 인테리어 가벽'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벽은 실내공간을 복수개의 독립적 공간으로 구획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92971호(2021.01.11.) '높이조절 가능한 인테리어 가벽'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시회 등의 전시 공간 내에 전시를 위한 복수의 독립적 공간 확보를 통해 작품의 설치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전시 공간을 이루는 천장과 바닥면으로의 고정없이 바닥면으로의 안착을 통해 안정된 직립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시 공간이나 작품의 적절한 설치 높이 등에 대응하여 상하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시용 가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중심판(111)과, 하부중심판(111)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지지대(112)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110); 상부중심판(121)과, 상부중심판(121)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지지대(122)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120); 및 상,하부지지대(112,122)로 결합되는 복수의 파티션(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130)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한 쌍의 수직바(133)와, 한 쌍의 수직바(133)의 상,하부를 연결하며 상,하부지지대(122,112)로 고정되는 상,하수평바(134,135)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31); 및 지지프레임(131)의 내측에 설치되는 플레이트(132)를 포함하고, 상부지지대(122)는 하부 양측에 수직바(132)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상부돌기(122a)가 형성되며, 하부지지대(112)는 상부 양측에 수직바(13)의 하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하부돌기(11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하부프레임(120,110)은 상,하부지지대(122,112)를 상,하부중심판(121,111)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23,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티션(130)의 상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50)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수직바(133)는 플레이트(132)에 고정되는 상부바(133a)와, 하부에 하수평바(135)가 연결되고 상부가 상부바(133a)의 내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133b)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132)는 하부가 하수평바(135)와 이격되고, 상부바(133a)는 하부가 플레이트(132)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길이조절부(150)는 상부바(133a)의 하부 내측으로 수용되며 하부바(133b)가 통과하는 가압관(151); 상부바(133a)의 하부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조절레버(152); 일단부가 가압관(15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부바(133a)의 일측을 통과하여 조절레버(152)의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바(153); 및 조절레버(15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바(133a)에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부바(133a)의 일측을 통과하여 하부바(133b)의 일측에 접하는 가압구(155)를 포함하고, 조절레버(152)는 조임 회전에 따라 가압관(151)이 하부바(133b)의 타측으로 밀착되는 한편, 하부바(133b)를 가압구(155) 방향으로 가압하여 하부바(133b)에 대한 승,하강이 정지되도록 하고 풀림 회전에 따라 가압관(151)에 대한 하부바(133b)로의 밀착이 해제되면서 하부바(133b)에 대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부(150)는 조절레버(15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바(133a)의 일측으로 고정되며 가압구(155)가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154)를 더 포함하고, 가압구(155)는 일단부에 손잡이(155a)가 구비되며 타단부가 고정부재(154)를 통과하여 하부바(133b)를 향하면서 회전에 따라 하부바(133b)로의 가압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측으로 결합홈(161a)이 형성되면서 파티션(130)의 일측으로 다른 파티션이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수단(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회 등의 전시 공간 내에 전시를 위한 복수의 독립적 공간 확보를 통해 작품의 설치나 거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간을 이루는 천장과 바닥면으로의 고정없이 바닥면으로의 안착을 통해 안정된 직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시 공간이나 작품의 적절한 설치 높이 등에 대응하여 상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에서 파티션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에서 상부프레임과 파티션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에서 하부프레임과 파티션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에서 절첩부재에 의해 상,하부지지대가 상,하부중심판으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상,하부지지대가 접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상,하부지지대로 상,하부돌기가 마련된 상태에서 상,하부지지대가 접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에서 파티션에 길이조절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길이조절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에서 파티션으로 연결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에서 연결수단에 의해 복수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의 파티션으로 다른 파티션이 복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에서 연결수단에 의해 복수의 전시용 가벽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100)은 하부중심판(111)과 하부중심판(111)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지지대(112)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110), 상부중심판(121)과 상부중심판(121)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지지대(122)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120) 및 상,하부지지대(112,122)로 결합되는 복수의 파티션(130)을 포함한다.
하부프레임(110)은 복수의 파티션(130)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전시공간을 이루는 실내 바닥면 등으로 안착되며, 상부프레임(120)은 복수의 파티션(130)의 상부로 결합된다.
상,하부프레임(120,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대칭을 이루면서 사이로 파티션(130)이 복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하부지지대(122,112)는 일단부가 상,하부중심판(121,11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복수개가 상,하부중심판(121,11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마련된다.
상,하부지지대(122,112)는 상,하부중심판(121,111)과 별도 제작된 후,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거나 제작시 상,하부중심판(121,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하부지지대(121,112)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시용 가벽(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티션(130)이 고정된 상태에서 균형을 잡으면서 전시회 등의 전시 공간 내에 천장으로의 고정없이 직립될 수 있다.
상,하부중심판(121,111)은 상,하부지지대(122,112)의 개수에 맞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하부중심판(121,111)은 상,하부지지대(122,112)의 개수가 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V'자 형태를 이루고 3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삼각 형태를 이루며 4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파티션(130)은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부지지대(111,121)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져 상,하부가 상,하부지지대(111,121)에 고정되면서 수직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복수의 파티션(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프레임(110,120) 사이에 고정되어 수직을 이루면서 복수의 가벽을 이루며 전시 공간 내에 전시를 위한 복수의 독립적 공간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하부프레임(110,120)은 복수의 파티션(130)이 수직을 이루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복수의 파티션(130)에 대한 직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파티션(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링 형태를 이루며 상,하부가 상,하부지지대(122,112)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31) 및 지지프레임(131)의 내측에 설치되는 플레이트(13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32)는 표면에 다수의 구멍(13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132a)은 전시대상물 등에 대한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바람 등이 통과되면서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전시용 가벽(100)이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다만, 플레이트(132)는 반드시 타공판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재의 평면 패널 또는 철재의 평면 패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1)은 플레이트(132)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바(133), 한 쌍의 수직바(133)의 상,하부를 연결하며 상,하부지지대(122,112)로 고정되는 상,하수평바(134,135)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32)는 상부가 상수평바(134)로 결합되며 하부가 하수평바(135)와 이격될 수 있다.
플레이트(132)는 하부가 하수평바(135)와 이격되면서 사이로 바람 등이 통과되면서 전시용 가벽(100)에 대한 안전한 직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1)은 플레이트(132)의 하부를 지지하는 보조수평바(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바(133)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된다.
상부지지대(122)는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양측에 수직바(132)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상부돌기(122a)가 형성된다.
하부지지대(112)는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양측에 수직바(13)의 하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하부돌기(112a)가 형성된다.
상,하부돌기(112a,122a)는 상,하부지지대(112,122)로의 파티션(130)의 결합 위치가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하부지지대(112,122)는 나사나 볼트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140)에 의해 파티션(130)에 고정된다.
체결구(140)는 상부지지대(122)의 상부에서 상수평바(134)로 결속되거나 하부지지대(112)의 하부에서 하수평바(135)로 결속되면서 상,하부프레임(110,120)으로 복수의 파티션(130)이 고정되도록 한다.
파티션(130)은 상,하부프레임(120,1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 가능하며 체결구(140)에 의해 상,하부프레임(120,110)으로 고정되면서 가벽을 이룰 수 있다.
상,하부프레임(120,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지지대(122,112)를 상,하부중심판(121,111)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23,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첩부재(123,113)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하부지지대(122,112)의 일단부를 상,하부중심판(121,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즉, 하부지지대(112)는 상부면이 하부중심판(111)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루면서 일단부가 절첩부재(113)에 의해 하부중심판(111)의 일측 가장자리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지지대(122)는 하부면이 상부중심판(121)의 하부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루면서 일단부가 절첩부재(123)에 의해 상부중심판(121)의 일측 가장자리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프레임(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112)가 수평으로 펴진 상태에서 타단부가 절첩부재(113)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되는 한편, 하부지지대(112)가 수직으로 접이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절첩부재(113)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펴질 수 있다.
상부프레임(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122)가 수평으로 펴진 상태에서 타단부가 절첩부재(123)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되는 한편, 상부지지대(122)가 수직으로 접이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절첩부재(123)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펴질 수 있다.
여기서 상,하부프레임(120,110)은 수평으로 펴진 상태에서 수직으로 접이될 때, 상,하부돌기(122a,112a)에 의한 회전 방해가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예들 들면, 상,하부프레임(120,110)은 수평으로 펴진 상태에서 수직으로 접이시, 상,하부돌기(122a,112a)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접이되면서 상,하부돌기(122a,112a)에 의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의 복수의 상,하부돌기(122a,112a)는 상,하부프레임(120,110)이 접이된 상태에서 외측에 위치되면서 이웃하는 돌기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상,하부돌기(122a,112a)는 상,하부프레임(120,110)이 수평으로 펴진 상태에서 상,하부돌기 방향으로 접이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면서 이웃하는 상,하부돌기(122a,112a) 간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하부프레임(110,120)은 접이 또는 펴짐을 통해 운반이나 보관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시용 가벽(100)에 대한 운반이나 보관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시용 가벽(100)은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130)의 상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수직바(133)는 플레이트(132)에 고정되는 상부바(133a)와, 하부에 하수평바(135)가 연결되고 상부가 상부바(133a)의 내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133b)로 이루어진다.
하부바(133b)는 외측 둘레가 상부바(133a)의 내측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상부바(133a)의 내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바(133a)는 하부가 플레이트(132)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길이조절부(150)는 플레이트(13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바(133a)에 설치되면서 지지프레임(131)의 내측에 위치된다.
길이조절부(150)는 상부바(133a)의 하부 내측으로 수용되며 하부바(133b)의 상부가 통과하는 가압관(151), 상부바(133a)의 하부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조절레버(152), 일단부가 가압관(15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부바(133a)의 일측 및 조절레버(152)를 통과하는 한편, 조절레버(152)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바(153), 조절레버(15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바(133a)의 일측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154), 일단부에 손잡이(155a)가 구비되며 타단부가 고정부재(154)를 통과하여 하부바(133b)에 접하는 한편, 고정부재(154)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가압구(155)를 포함한다.
가압관(151)은 내측 둘레가 하부바(133b)의 외측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며 수직바(133)의 하부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내측으로 하부바(133b)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조절레버(152)는 양단부가 개방되는 통 형태를 이루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조절바(15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조절레버(152)의 내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조절레버(152)는 타단부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바(133b)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회전에 따라 조절바(153)와 함께 가압관(151)이 조절바(15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바(133a)는 일측에 고정링이 형성되고, 조절레버(152)는 타단부가 베어링 등에 의해 고정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조절레버(152)는 조임 회전에 따라 가압관(151)이 하부바(133b)의 타측으로 밀착되는 한편, 하부바(133b)를 조절레버(152) 방향으로 가압하여 하부바(133b)에 대한 승,하강이 정지되도록 하고 풀림 회전에 따라 가압관(151)에 대한 하부바(133b)로의 밀착이 해제되면서 하부바(133b)에 대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가압관(151)과 하부바(133b) 중 적어도 하나는 조절레버(152)의 조임 회전에 따라 접하는 면에 밀착부재(156)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관(15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타측면 밀착부재(156)가 구비될 수 있다.
밀착부재(156)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절레버(152)의 조임 회전에 따라 가압관(151)과 하부바(133b)의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하부바(133b)에 대한 정지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고정부재(154)는 양단부가 개방되는 통 형태를 이루며 조절레버(15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수직바(133)의 일측에 고정된다.
고정부재(15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가압구(15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고정부재(154)의 내측으로 나사결합된다.
가압구(155)는 타단부가 고정부재(154)를 통과하여 하부바(133b)의 일측에 접한다.
가압구(155)는 회전 정도에 따라 하부바(133b)로의 가압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가압구(155)는 손잡이(155a)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따라 하부바(133b)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부바(133b)를 가압하고 풀림 회전에 따라 하부바(133b)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부바(133b)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하부바(133b)는 가압구(155)가 하부바(133b)의 일측에 접하고 가압관(151)이 조절레버(152)의 조임 회전에 따라 하부바(133b)의 타측으로 밀착 및 타측을 가압함으로써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하부바(133b)는 조절레버(152)의 풀림 회전시, 가압관(151)이 하부바(133b)에 대한 당김을 해제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전시용 가벽(100)은 조절레버(152)의 조작을 통해 상부바(133a)로부터 돌출되는 하부바(133b)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전시 공간이나 작품의 설치 높이 등에 대응하여 상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보면, 전시용 가벽(100)은 양측으로 결합홈(161a)이 형성되면서 파티션(130)의 일측으로 다른 파티션이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수단(160)을 더 포함한다.
다른 파티션은 파티션(130)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연결수단(160)은 복수의 가벽(100)이 복수 연결될 수 있도록 하거나 전시용 가벽(100)을 이루는 복수의 파티션(130) 중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130)이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를 이루는 전시용 가벽(100)이 연결수단(160)에 의해 복수 연결되면서 내측으로 전시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용 가벽(100)을 이루는 복수의 파티션(130) 중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130)으로 다른 파티션이 복수 연결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연결수단(160)은 전,후판(162,163)과 전,후판(162,163)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중앙판(164)을 포함하면서 양측으로 파티션(130) 또는 다른 파티션이 결합되는 결합홈(161a)이 형성된다.
연결수단(160)은 결합홈(161a)으로 파티션(130) 또는 다른 파티션이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나 볼트 등을 포함하는 결합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시용 가벽(100)은 전시 공간이나 작품 등에 따라 독립적 공간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면서 전시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가벽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전시용 가벽 110 : 하부프레임
120 : 상부프레임 130 : 파티션
133 : 수직바 133a : 상부바
133b : 하부바 150 : 길이조절부
151 : 가압관 152 : 조절레버
153 : 조절바 154 : 고정부재
155 : 가압구 160 : 연결수단

Claims (5)

  1. 하부중심판(111)과, 하부중심판(111)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지지대(112)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110);
    상부중심판(121)과, 상부중심판(121)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지지대(122)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120); 및
    상,하부지지대(112,122)로 결합되는 복수의 파티션(130)
    을 포함하고,
    파티션(130)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한 쌍의 수직바(133)와, 한 쌍의 수직바(133)의 상,하부를 연결하며 상,하부지지대(122,112)로 고정되는 상,하수평바(134,135)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31); 및
    지지프레임(131)의 내측에 설치되는 플레이트(132)를 포함하고,
    상부지지대(122)는 하부 양측에 수직바(132)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상부돌기(122a)가 형성되며,
    하부지지대(112)는 상부 양측에 수직바(13)의 하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하부돌기(11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부프레임(120,110)은 상,하부지지대(122,112)를 상,하부중심판(121,111)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23,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벽.
  4. 제 1항에 있어서,
    파티션(130)의 상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50)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수직바(133)는 플레이트(132)에 고정되는 상부바(133a)와, 하부에 하수평바(135)가 연결되고 상부가 상부바(133a)의 내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133b)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132)는 하부가 하수평바(135)와 이격되고,
    상부바(133a)는 하부가 플레이트(132)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길이조절부(150)는
    상부바(133a)의 하부 내측으로 수용되며 하부바(133b)가 통과하는 가압관(151);
    상부바(133a)의 하부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조절레버(152);
    일단부가 가압관(15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부바(133a)의 일측을 통과하여 조절레버(152)의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바(153);
    조절레버(15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부바(133a)의 일측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154); 및
    일단부에 손잡이(155a)가 구비되고 타단부가 고정부재(154)를 통과하여 하부바(133b)의 일측에 접하는 한편, 고정부재(154)로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하부바(133b)로의 가압 정도가 조절되는 가압구(155)를 포함하고,
    조절레버(152)는 조임 회전에 따라 가압관(151)이 하부바(133b)의 타측으로 밀착되는 한편, 하부바(133b)를 가압구(155) 방향으로 가압하여 하부바(133b)에 대한 승,하강이 정지되도록 하고 풀림 회전에 따라 가압관(151)에 대한 하부바(133b)로의 밀착이 해제되면서 하부바(133b)에 대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벽.
  5.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측으로 결합홈(161a)이 형성되면서 파티션(130)의 일측으로 다른 파티션이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수단(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벽.
KR1020220146060A 2022-11-04 2022-11-04 전시용 가벽 KR102496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060A KR102496308B1 (ko) 2022-11-04 2022-11-04 전시용 가벽
KR1020230013496A KR20240064492A (ko) 2022-11-04 2023-02-01 독립적 공간 확보용 가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060A KR102496308B1 (ko) 2022-11-04 2022-11-04 전시용 가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496A Division KR20240064492A (ko) 2022-11-04 2023-02-01 독립적 공간 확보용 가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308B1 true KR102496308B1 (ko) 2023-02-06

Family

ID=852243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060A KR102496308B1 (ko) 2022-11-04 2022-11-04 전시용 가벽
KR1020230013496A KR20240064492A (ko) 2022-11-04 2023-02-01 독립적 공간 확보용 가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496A KR20240064492A (ko) 2022-11-04 2023-02-01 독립적 공간 확보용 가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63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838U (ja) * 2012-04-25 2012-07-05 大野リビック株式会社 簡易間仕切り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簡易間仕切り構造
KR20150002274A (ko) * 2013-06-28 2015-01-07 강길모 스크린 칸막이용 프레임
JP2019085699A (ja) * 2017-11-01 2019-06-06 株式会社内田洋行 室内用間仕切り
KR200492971Y1 (ko) 2020-07-24 2021-01-11 전상태 높이조절 가능한 인테리어 가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838U (ja) * 2012-04-25 2012-07-05 大野リビック株式会社 簡易間仕切り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簡易間仕切り構造
KR20150002274A (ko) * 2013-06-28 2015-01-07 강길모 스크린 칸막이용 프레임
JP2019085699A (ja) * 2017-11-01 2019-06-06 株式会社内田洋行 室内用間仕切り
KR200492971Y1 (ko) 2020-07-24 2021-01-11 전상태 높이조절 가능한 인테리어 가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4492A (ko) 202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1096A (en) Raised floor supporting structure
JP2708710B2 (ja) 弦材及び結節部材から成る平面的又は立体的な天井格子、殊に通行可能な天井格子
US7891152B2 (en) Sliding door arrangement
US5159947A (en) Collapsible tent frame
US20030038829A1 (en) Display structure and system
KR20200000858U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KR20170099732A (ko) 수납식 침대의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식 침대
CA25881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odular building
KR102496308B1 (ko) 전시용 가벽
US11274463B2 (en) Floor structure
KR101577633B1 (ko) 에어 포켓형 멤브레인이 적용되는 막 구조물의 프레임 연결구조
US20030019167A1 (en) Fast mounted building unit
US8387339B2 (en) Adjustable wall support system and method
US5193603A (en) Display framing apparatus
GB2290567A (en) Rapid on-site assembly portable building
WO2017179651A1 (ja) ユニットハウス用空調機一体型パネル
KR200311206Y1 (ko) 분해조립형 컨테이너
CN206256657U (zh) 一种用于展台搭建的地板支撑系统
US20050044810A1 (en) Support structure with foldable end cap
JP4471430B2 (ja) 不陸対応型移動フェンス
KR102635581B1 (ko) 모형 건축물 전시대
JP2005315025A (ja) 組立ハウス
AU2017254911B2 (en) A Roof Connection
KR102151266B1 (ko) 가설이 용이한 조립식 무대
US20230358065A1 (en) Structural Connector for Tensioning Floor Joists and B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