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301B1 - 종이 기표대 - Google Patents

종이 기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301B1
KR101156301B1 KR1020100024656A KR20100024656A KR101156301B1 KR 101156301 B1 KR101156301 B1 KR 101156301B1 KR 1020100024656 A KR1020100024656 A KR 1020100024656A KR 20100024656 A KR20100024656 A KR 20100024656A KR 101156301 B1 KR101156301 B1 KR 101156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aper
signpos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492A (ko
Inventor
전은한
Original Assignee
전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한 filed Critical 전은한
Priority to KR102010002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3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55Voting bo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기표대에 관한 것으로서, 기표대의 제작, 설치 및 철거 뿐만 아니라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후면판과, 후면판의 양측으로 상호 마주하게 연장 절곡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으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상판과, 상판의 하부측으로 연장 절곡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후면판 또는 측면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몸체의 후면판 또는 측면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에 결합고정되고 상부면이 수평되게 형성되어 받침부재의 상판 바닥면에 밀착되는 보강부재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몸체는 상부면이 전체 수평되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몸체의 후면판 내면에 결합되는 한쌍의 양측 날개편과, 양측 날개편이 이어지도록 중심부측으로 연장 절곡형성되어 내측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면과 수평 동일선상에 상부면이 위치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지지판은 몸체의 후면판 내측면 방향으로 대각지게 연장 절곡형성되어 몸체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종이 기표대{Voting booth made of paper board}
본 발명은 종이 기표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이(주로 판지)를 이용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설치 및 철거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한 종이 기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표대는 투표자가 칸막이 내에 들어가 투표를 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설치되어지는 것으로서, 크게 책상 형태의 기표판과 천으로 된 기표막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 기표대를 구성하는 기표판은 주로 철재로 제작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로 인해 제작비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선거 전날 기표대를 투표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데 기표대가 무겁고 부피가 크므로 운반차에 많이 싣기 어려우며 내리고 운반 설치하는 데에도 시간과 인력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립 설치시에도 철재의 특성상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많이 필요로 하여 설치하는데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선거가 종료된 후 철거시에도 해체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된다. 그리고 보관시에도 그 부피가 크므로 넓은 보관 장소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기표대를 종이(주로 판지)로 제작함으로써 가볍고 제작이 간편하여 제작비가 저렴하고 운반, 설치, 철거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종이 기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이로 제작되는 기표대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후면판과, 후면판의 양측으로 상호 마주하게 연장 절곡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으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상판과, 상판의 하부측으로 연장 절곡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후면판 또는 측면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몸체의 후면판 또는 측면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에 결합고정되고 상부면이 수평되게 형성되어 받침부재의 상판 바닥면에 밀착되는 보강부재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몸체는 상부면이 전체 수평되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몸체의 후면판 내면에 결합되는 한쌍의 양측 날개편과, 양측 날개편이 이어지도록 중심부측으로 연장 절곡형성되어 내측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면과 수평 동일선상에 상부면이 위치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지지판은 몸체의 후면판 내측면 방향으로 대각지게 연장 절곡형성되어 몸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종이 기표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 기표대는 기표대를 종이로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며 제작비가 저렴하고, 종이의 특성상 가벼우며 접어서 운반하여 설치장소에서 펼쳐 조립 설치하면 되므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소요되는 시간과 작업인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설치시에 종이를 상호 끼움형식이나 접합형식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분해시간도 줄일 수 있으며, 분해 후 종이를 접어서 판형태로 보관하면 되므로 보관장소를 따로 마련하지 않고서도 좁은 공간에 보관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심하게 파손되거나 보관이 따로 필요 없을시에는 제작비가 저가이므로 일회용 개념으로 사용한 후 부담없이 재활용 폐지로 버리면 되므로 필요에 따라 별도의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어 관리 부담이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 기표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 기표대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전개도,
도 4는 도 1의 가-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 기표대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 기표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 기표대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종이 기표대는 크게 지면에 접촉되어 기표대를 지지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상부측에 결합 고정되는 받침부재(30)로 이루어지고,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몸체(10)와 받침부재(30) 사이에 구비되어 받침부재(30)를 보강하는 보강부재(2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종이 기표대는 전체가 주로 판지나 마닐라지 등의 종이재로 제작되며, 두께가 얇으면 전체가 지탱하기 힘들기 때문에 3~10㎜ 정도 두께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는 도 2에서와 같이 전체가 지면에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기표대를 지탱하는 기능을 하도록, 상부면(11a)이 수평되게 형성되는 후면판(11)과, 후면판(11)의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측면판(15)으로 이루어진다.
측면판(15)은 후면판(11)의 양측으로 상호 마주하게 절곡 형성되며, 후면판(11)의 상부면(11a)과 동일선상에 상부면(15a)이 형성되도록 하여 구성된다. 이때 후면판(11)과 측면판(15)은 일체로 형성되어 절곡 고정되는 것이나, 분리 형성되어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판(15)은 후면판(11)과 수직하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긴 하나, 양 측면판(15)에 의한 개방측으로 투표자가 드나들므로 확개형으로 형성되도록 양 측면판(15)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구성될 수도 있고, 입구측 일부만 확개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특히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들이 드나들기 편리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몸체(10)는 도 2에서와 같이 “ㄷ”자 형태의 일측 개방형태로 이루어진다.
몸체(10)의 내측면에는 받침부재(30)의 하부에 위치되어 받침부재(30)를 지지하는 보강부재(20)가 결합 고정된다.
상기 보강부재(20)는 도 2에서와 같이 양측에 한쌍의 날개편(21)이 형성되고, 양측 날개편(21)이 이어지도록 중심부측으로 지지편(25)이 연장 절곡형성된다. 양측 날개편(21)은 상기 후면판(11)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지지편(25)은 양측 날개편(21)의 중심부측으로 다단 절곡되어 내측 공간부(22)가 생기도록 형성되어 절곡부들로 인한 테두리부로 인해 형성된 상부면(25a)에 의해 받침부재(30)가 안착되어 지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양측 날개편(21)은 후면판(11)의 내측면에 결합되는데, 이때 날개편(21)의 전면에 접착제를 발라 후면판(11)에 접착될 수 있고, 테이프 등으로 접합 될 수도 있다.
결합의 다른 방식으로는 몸체(10) 후면판(11)에 마주하는 날개편(21)을 전방측으로 한번 이상 더 절곡형성하고, 후면판(11)에 이에 대응하는 끼움공(미도시됨)을 형성하여 날개편(21)의 절곡부를 끼움공에 끼워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강부재(20)는 몸체(10)의 후면판(11) 또는 측면판(15)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에 결합고정되고, 상부면(25a)이 수평되게 형성되어 받침부재(30)의 상판(31) 바닥면에 밀착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부면(11a,15a)과 보강부재(20)의 상부면(25a)이 수평 동일선상에 일치되도록 몸체(10)의 내측면에 보강부재(20)가 결합되면, 상기 상부면(11a,15a,25a)들에 받침부재(30)를 얹어 안착시킨 다음 몸체(10)와 보강부재(20)에 결합 고정시킨다.
상기 받침부재(30)는 상기 상부면(11a,15a,25a)에 얹혀지는 상판(31)과, 상판(31)에 연장 절곡형성되어 상기 몸체(10)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판(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31)은 본 발명에 의한 기표대의 받침판 기능을 갖는 것으로, 수평상태로 상기 상부면(11a,15a,25a)에 얹혀지며, 상판(31)의 상부면에 별도의 코팅부재(미도시됨)를 접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30)의 상판(31) 전방 단부측에는 전방연장편(31a) 및 전방삽입편(31a')이 연장되어 연속 절곡형성되고, 상판(31) 양측 단부 각각에는 측면연장편(31b) 및 측면삽입편(31b')이 연장되어 연속 절곡형성된다. 또한 하부측 지지판(35)의 하측 단부에 상기 후면판(11) 측으로 향하도록 대각지게 전방삽입편(35a)이 연장 절곡형성되고, 지지판(35)의 양측 단부에 각각 측면삽입편(35b)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재(30)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후면판(11) 상에 형성된 후면끼움공(12,13)에 받침부재(30)의 전방삽입편(31a',35a)이 각각 대응되게 삽입되고, 몸체(10)의 측면판(15) 측면끼움공(16,17)에 받침부재(30)의 측면삽입편(31b',35b)이 각각 대응되게 삽입되어 상기 몸체(10)와 받침부재(30)가 상호 결합고정된다.
상기 각 전방삽입편(31a') 및 측면삽입편(31b')이 전방연장편(31a) 및 측면연장편(31b)에 각각 연장 절곡형성되게 구성됨으로써 전방연장편(31a) 및 측면연장편(31b)은 후면판(11)과 측면판(15)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그 각각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삽입편(31a') 및 측면삽입편(31b')이 후면끼움공(12) 및 측면끼움공(16)에 삽입 고정된다. 이로써 몸체(10)와 받침부재(30)의 상호간에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부재(30)의 지지판(35)은 도 4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몸체(10)의 후면판(11) 내측면 방향으로 대각지게 연장 절곡형성되고, 그 단부측 전방삽입편(35a)이 몸체(10)의 후면판(11) 후면끼움공(13)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투표자가 종이 기표대 내측으로 진입시 투표자의 하체, 즉 발과 다리부분에 장해요소가 없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휠체어가 진입하더라도 하부측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부재(30) 또한 보강부재(20)가 몸체(10)의 내면에 접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접합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 기표대는 몸체(10), 보강부재(20) 및 받침부재(30)로 이루어지나, 보강부재(20) 없이 받침부재(30)만을 몸체(10)에 끼움방식이나 접합방식 등으로 결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보강부재(20)가 없어 받침부재(30)의 중심부측을 지지해주는 수단이 없으므로 받침부재(30)의 두께를 좀 더 두껍게 제작하거나, 받침부재(30)와 몸체(10)의 결합수단을 좀 더 보강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기표대의 사용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전개 상태의 몸체(10), 보강부재(20) 및 받침부재(30)를 구비한 다음, 절곡선들을 기준으로 절곡하여 몸체(10), 보강부재(20) 및 받침부재(30)를 각각 준비 완성한다.
절곡 완성된 몸체(10)는 “ㄷ”자 형태로 완성되는데, 몸체(10)의 내측면에 보강부재(20)를 끼움이나 접합 형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몸체(10) 및 보강부재(20)의 상부측 일부를 덮도록 받침부재(30)를 결합하면 종이 기표대가 완성된다.
이때 몸체(10)의 바닥부는 폭이 좁고 길이방향으로 긴 “ㄷ”자 형태의 바닥면이 지면과 접해있으므로 몸체(10) 및 전체의 지탱이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도 5에서와 같이 몸체(10)의 하부측에 지지브라켓(41)을 부착 형성하여 몸체(10)의 하부측과 종이 기표대가 설치되는 지면의 접촉면적을 넓게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지지브라켓(41)은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 측면판(15)의 하부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측면판(15)의 외측 또는 내측 중 하나 이상에 부착되면 되나, 특히 외측에 부착 설치하여 종이 기표대의 전체 균형이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브라켓(41) 역시 종이로 제작되며, 바닥과는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접촉상태만 유지되도록 구성하더라도 몸체(10)의 지탱이 안정적으로 된다. 보다 안정적인 몸체(10)의 지탱을 위해서는 지지브라켓(41)을 지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41)을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하여 안정감을 더할 수 있다.
한편 몸체(10)의 상부측 모서리부에는 몸체(10)의 “ㄷ”자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ㄱ”자 형태의 고정구(46)를 설치하고, 몸체(10)의 개방측 단부에는 일자 형태의 고정구(45)를 설치한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고정구(45,46)의 하부측에는 몸체(1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몸체(10)의 상부측에서 끼워져 고정되며, 특히 상부측 모서리부의 “ㄱ”자 형태의 고정구(46)는 몸체(10)가 “ㄷ”자 형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고정구(45,46)의 상부측에는 기표막(47)을 설치할 수 있는 지주대(43)가 설치되는데, 이때 지주대(43)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미도시됨)을 형성하여 지주대(43)가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주대(43)의 상단부에는 기표막(47)이 끼워질 수 있는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기표막(47)이 걸림되어진다. 이때 지주대(43)는 도 5에서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지는 것보다 외측 대각방향으로 2~5°정도 기울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지주대(43)를 수직으로 설치하게 되면 설치 후 지주대(43)가 내측으로 휘어질 우려가 발생하므로 외측 대각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는 것이다.
10 : 몸체 11 : 후면판
15 : 측면판 20 : 보강부재
21 : 날개편 22 : 공간부
25 : 지지편 30 : 받침부재
31 : 상판 31a : 전방연장편
31a',35a : 전방삽입편 31b : 측면연장편
31b',35b : 측면삽입편 35 : 지지판
41 : 지지브라켓 45,46 : 고정구

Claims (7)

  1. 종이로 제작되는 기표대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후면판(11)과, 후면판(11)의 양측으로 상호 마주하게 연장 절곡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15)으로 구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상판(31)과, 상판(31)의 하부측으로 연장 절곡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후면판(11) 또는 측면판(15)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 고정되는 지지판(35)으로 구성되는 받침부재(30)와;
    상기 몸체(10)의 후면판(11) 또는 측면판(15)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에 결합고정되고, 상부면(25a)이 수평되게 형성되어 받침부재(30)의 상판(31) 바닥면에 밀착되는 보강부재(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몸체(10)는 상부면(11a,15a)이 전체 수평되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20)는 몸체(10)의 후면판(11) 내면에 결합되는 한쌍의 양측 날개편(21)과, 양측 날개편(21)이 이어지도록 중심부측으로 연장 절곡형성되어 내측 공간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면(11a,15a)과 수평 동일선상에 상부면(25a)이 위치되는 지지편(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재(30)의 지지판(35)은 몸체(10)의 후면판(11) 내측면 방향으로 대각지게 연장 절곡형성되어 몸체(1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후면판(11) 상에 각각 후면끼움공(12,13)이 형성되고, 양 측면판(15) 상에 각각 측면끼움공(16,17)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재(30)의 상판(31) 전방 단부에 전방연장편(31a) 및 전방삽입편(31a')이 연속 절곡형성되고 상판(31) 양측 단부에 각각 측면연장편(31b) 및 측면삽입편(31b')이 연속 절곡형성되며, 지지판(35)의 하측 단부에 전방삽입편(35a)이 절곡형성되고 지지판(35)의 양측 단부에 각각 측면삽입편(35b)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30)의 전방연장편(31a) 및 측면연장편(31b)은 후면판(11) 및 측면판(15)의 외측면에 각각 밀착되고, 각 전방삽입편(31a',35a)은 후면판(11)의 각 후면끼움공(12,13)에 각각 대응되게 삽입되며, 각 측면삽입편(31b',35b)은 측면판(15)의 각 측면끼움공(16,17)에 각각 대응되게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표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30)는 몸체(10)의 상부 일부에 안착되어 접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표대.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측면판(15) 하부측에 “ㄱ”자 형태의 지지브라켓(41)이 부착되어 몸체(10)의 하부측과 기표대가 설치되는 지면의 접촉면적이 넓게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표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절곡 모서리부에 “ㄱ”자 형태의 고정구(46)를 구비 결합하고 몸체(10)의 측면판(15) 단부에 일자 형태의 고정구(45)를 구비 결합하되,
    각 고정구(45,46)의 하부측에는 몸체(1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고정구(45,46)의 상부측에는 지주대(43)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기표대.
KR1020100024656A 2010-03-19 2010-03-19 종이 기표대 KR101156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56A KR101156301B1 (ko) 2010-03-19 2010-03-19 종이 기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56A KR101156301B1 (ko) 2010-03-19 2010-03-19 종이 기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492A KR20110105492A (ko) 2011-09-27
KR101156301B1 true KR101156301B1 (ko) 2012-06-13

Family

ID=4495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656A KR101156301B1 (ko) 2010-03-19 2010-03-19 종이 기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3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872B1 (ko) 2014-02-07 2015-04-07 전은한 장애인용 종이 기표대
KR20170002468U (ko) 2015-12-30 2017-07-10 김복희 조립식 기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361B1 (ko) * 2011-12-08 2013-07-19 동양종합물산 주식회사 종이기표대
KR200469601Y1 (ko) * 2012-05-25 2013-10-23 (주) 중앙이엠넷 기표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3507A (en) * 1985-10-14 1988-03-29 S.A. Doublet Festitub Isolation hut
KR200441949Y1 (ko) 2007-09-18 2008-09-23 (주) 중앙이엠넷 종이 기표대
KR20080006082U (ko) * 2007-06-05 2008-12-10 정진환 일회용 투표대
KR100923731B1 (ko) 2009-07-31 2009-10-27 이종훈 종이 기표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3507A (en) * 1985-10-14 1988-03-29 S.A. Doublet Festitub Isolation hut
KR20080006082U (ko) * 2007-06-05 2008-12-10 정진환 일회용 투표대
KR200441949Y1 (ko) 2007-09-18 2008-09-23 (주) 중앙이엠넷 종이 기표대
KR100923731B1 (ko) 2009-07-31 2009-10-27 이종훈 종이 기표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872B1 (ko) 2014-02-07 2015-04-07 전은한 장애인용 종이 기표대
KR20170002468U (ko) 2015-12-30 2017-07-10 김복희 조립식 기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492A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314B2 (en) Hinged ramp assembly
KR101156301B1 (ko) 종이 기표대
CA2578704A1 (en) Splicer for siding panel assembly
BRPI0716000A2 (pt) màdulo de exibiÇço dobrÁvel
JP6548427B2 (ja) 外壁部材の留付補助具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6418681B1 (en) Modular temporary barrier system comprising foam core panels with peg-receiving apertures on the sides and u-shaped connector receiving portions on the top and bottom
CN209760656U (zh) 墙体阴阳角一体板连接扣件及墙板
JP3151022U (ja) ブース構造
JP2006238994A (ja) 家具の脚装置
KR20110005434U (ko) 종이 기표대
KR200441949Y1 (ko) 종이 기표대
JP2017115429A (ja) ジョイント構造体、骨組構造及びテント構造体
CN210951430U (zh) 陶板框架结构
US20210020080A1 (en) Graphic display modular wall system
KR102657854B1 (ko) 전시 부스용 목재 조립식 패널
US5246304A (en) Framing system
JP4570491B2 (ja) 門柱
CN206256657U (zh) 一种用于展台搭建的地板支撑系统
KR100923731B1 (ko) 종이 기표대
JPH0810110A (ja) 折り畳み可能な展示台と展示ケース
KR200484085Y1 (ko) 조립식 기표대
KR200226855Y1 (ko) 다용도 액자
JP5862124B2 (ja) 間仕切パネル
KR200469601Y1 (ko) 기표대
JPH0751564Y2 (ja) 掲示板付室内用電話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