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905B1 -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905B1
KR100876905B1 KR1020070017631A KR20070017631A KR100876905B1 KR 100876905 B1 KR100876905 B1 KR 100876905B1 KR 1020070017631 A KR1020070017631 A KR 1020070017631A KR 20070017631 A KR20070017631 A KR 20070017631A KR 100876905 B1 KR100876905 B1 KR 10087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led
coupled
angle
l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879A (ko
Inventor
공우석
남상설
Original Assignee
(주)럭스맥스
남상설
공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럭스맥스, 남상설, 공우석 filed Critical (주)럭스맥스
Priority to KR102007001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90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이디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에 제어부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보드를 설치한 틀 형상의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좌우로 또 다른 외곽프레임을 연결하도록 하는 측면확장수단으로 이루어진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로서, 엘이디 전광판의 좌우 확장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며, 각도를 변경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엘이디, 전광판, 외곽프레임, 측면확장수단

Description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Connecting apparatus of LED lighting module}
도 1은 종래의 엘이디 전광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엘이디 전광판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가 장착된 배면도.
도 8a, 8b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엘이디 전광판 110 : 외곽프레임
120 : 수평프레임 130 : 수직프레임
140 : 보강편 150 : 메인프레임
152 : 안착편 160 : 엘이디보드
165 : 제어부 170 : 보조커버
180 : 하우징 190 : 연결부재
200 : 상하연결수단 210 : 안착부재
220 : 잠금부재 230 : 걸림부재
300 : 측면확장수단 310 : 제1고정구
320 : 제2고정구 330 : 각도변경부재
332 : 볼플랜자 334 : 샤프트축
336 : 각도조절편 338 : 각도조절홀
본 발명은 엘이디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이디 전광판에 측면확장수단을 구비하여 보다 간편하게 확장과 해체가 가능하며, 확장시 각도를 변경하여 확장할 수 있는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에게 광고선전을 통하여 자신의 상호나 제품에 대한 우수성과 우수한 업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기업은 다양한 광고수단을 이용하는데 특히 고정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엘이디(LED)가 고정 배치된 발광수단 을 이용하여 도형된 광고문안을 밝혀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엘이디 전광판은 대개 가로, 세로방향으로 각각 16개의 픽셀이 꽂힌 픽셀판넬을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결합하여 1 단을 이루며, 광고내용을 투과시키면서 전광판을 보호해주는 투광판이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전광판의 후면을 보호하는 후면판이 후면에 부착되며 상기 투광판 및 후면판이 부착된 전광판의 외곽을 프레임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내, 실외의 구별없이 동시에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데 적합하여 이용 추세가 상당히 증가하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엘이디 전광판의 외곽을 고정하는 프레임은 전광판의 픽셀판넬, 투광판 및 후면판을 보호하고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 및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기술한 전광판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전광판용 프레임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되며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엘이디 전광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엘이디 전광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엘이디 전광판(1)은 사각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엘이디보드(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제어부(30)가 구비되고, 케이블에 의해 엘이디보드(20)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즉, 제어부(30)에서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연계된 영상 출력장치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엘이디보드(20)에 송신하여 상기 엘이디보드(20)가 정보를 표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는 투광판(12)이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보드(20)에서 표출되는 정보를 표출되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10)의 후면에는 후면 판(14)이 설치되어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종래의 엘이디 전광판에 의하면,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프레임을 대형 제작하여야 하였고, 대형으로 제작된 전광판은 그 무게 때문에 전광판의 신속한 설치와 해체를 요하는 방송국 등 각종 이벤트 행사시 신속하게 주변 환경과 분위기, 장식에 어울리는 개성있고 특색있는 형태의 전광판으로는 변형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대형 전광판을 이루기 위해 다수의 전광판을 적재하여 사용함에 있어, 어느 한 전광판이 불량 시 교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각형상의 두꺼운 폭을 갖는 프레임을 사용함에 따라 측면 확장 시 각도변경을 하게 되면, 사이 갭이 많이 벌어지게 되어, 광고효과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엘이디 전광판에 측면확장수단을 구비하여 보다 간편하게 확장과 해체가 가능하며, 확장시 각도를 변경하여 확장할 수 있어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제어부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보드를 설치한 틀 형상의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양측면에 각 각 구비되어 좌우로 또 다른 외곽프레임을 연결하도록 하는 측면확장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곽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테두리로만 이루어지며, 평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확장수단은 상기 외곽프레임의 양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제1, 제2고정구와, 상기 제1,제2고정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제2고정구를 연결함과 동시에 각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각도변경부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변경부재는 상기 제1고정구에 구비되는 볼플랜자와, 상기 제2고정구에 결합되는 샤프트 축과, 상기 샤프트 축에 일단이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각도조절홀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볼플랜자가 상기 각도조절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각도가 변경되는 각도조절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고정구는 상기 외곽프레임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변경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단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커버 결합 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엘이디 전광판에 측면확장수단을 구비하여 보다 간편하게 확장과 해체가 가능하며, 확장시 각도를 변경하여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발명과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가 장착된 배면도이고, 도 8a, 8b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는 전면에 제어부(165)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보드(160)를 설치한 틀 형상의 외곽프레임(110)과,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좌우로 또 다른 외곽프레임을 연결하도록 하는 측면확장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곽프레임(11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테두리로만 이루어지며, 평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곽프레임(110)은 무게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외각 가장자리의 테두리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곽프레임(110)은 마주하는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20)과,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프레임(120)과 수직프레임(130)은 접하는 부위를 리벳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전·후로 마주보는 제1,제2수평바(121,122)와, 상기 제1,제2수평바(121,122)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바(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수평바(121,122)는 제1수평바(121)가 길고 제2수평바(122)가 짧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바(123)는 상기 제1,2수평바(121,122)의 각 끝단에 연결되어 후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평면으로 볼 때 사다리꼴을 형성되며, 일정한 폭을 갖게 된다.
상기 제1,2수평바(121,122) 사이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지지편(1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제1수평바(121)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결편(125)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30)과 접촉면적을 넓힘으로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즉, 상부에 구비된 수평프레임(120)의 연결편(125)은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구비된 수평프레임(120)의 연결편(125)은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30)은 평면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끝단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절곡편(131)을 형성한다.
상기 절곡편(131)에는 피고정체에 임의로 형성된 돌기부(미도시)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하는 고정홀(1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는 일측은 상기 피고정체에 고정되며, 타측은 직경이 큰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홀(132)은 상기 돌기부의 삽입이 용이하 도록 직경이 큰 안내홀(133)과, 상기 안내홀(133)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돌기부의 끝단의 헤드부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직경이 작은 장착홀(13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3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내면에 접하여 리벳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130)의 상하부 전면은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제1수평바(121)의 내측면에 접하여 리벳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절곡편(131)의 상하부는 상기 제2수평바(122)의 내측면에 접하여 리벳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30)과 수평프레임(120)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30)의 마주하는 면 상하부에는 상하연결수단(200)이 설치되도록 설치편(135)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편(135)의 후면에는 팬너트(N)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보강편(136)이 결합된다.
상기 상하연결수단(200)은 상기 외곽프레임(110)에 상하부에 형성된 설치편(135)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안착부재(210)와, 상기 안착부재(21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재(210)가 맞물린 상태에서 로킹시키는 잠금부재(2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210)는 상기 외곽프레임(110) 상부의 설치편(135)에 고정되며 요철돌기(214)를 갖는 제1안착구(212)와, 상기 제1안착구(212)와 대칭되게 상기 외곽프레임(110) 하부의 설치편(135)에 고정되며 상기 요철돌기(214)에 맞 물리도록 요철홈(218)을 형성한 제2안착구(2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부재(220)는 상기 안착부재(210)의 상부 일부에 결합되는 걸림돌기(222)와, 상기 걸림돌기(222)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기 안착부재(210)의 하부 일부에 결합되는 걸림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재(230)는 양측으로 절곡 연장되고 중앙에 힌지공(231)을 갖는 브라켓(232)과, 상기 브라켓(232)의 힌지공(231)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되는 레버(234)와, 상기 레버(234)의 중앙을 가로질러 힌지 연결되는 연결바(236)와, 상기 연결바(236)의 중앙에 형성되고 끝단에는 상기 걸림돌기(222)에 걸리도록 걸이부(238)를 형성하여 상기 레버(234)의 작동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222)에 걸리거나 이탈되는 걸림고리(237)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고리(237)는 상기 걸이부(238)의 타측 외주연에 나사산(239)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바(236)의 중앙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걸이부(238)는 상기 걸림고리(237)의 끝단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전면에는 메인프레임(150)이 볼트 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결합홀(102)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50)은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30)의 후면 즉, 상기 결합홀(102)의 후면에는 팬너트(N)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140)이 구비되어 결합홀(102)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 여 볼트 결합 시 체결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보강편(140)은 상기 수직프레임(130)의 일측 가장자리 상하부에 결합되는 상하보강편(142)과, 상기 수직프레임(130)의 일측 가장자리 중앙에 결합되고, 중앙부가 일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수직프레임(130)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중앙보강편(14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보강편(142)은 바 형상이고, 상기 중앙보강편(144)은 'T'자 형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리벳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내부에는 상기 엘이디보드(160)가 안착되도록 안착편(152)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편(152)은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편(152)에는 상기 엘이디보드(160)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엘이디보드(16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홀(15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54)에는 팬너트(N)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엘이디보드(160)를 관통한 볼트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50)에 엘이디보드(160)를 고정한다.
상기 엘이디보드(160)는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전면에 다수개 배치되어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엘이디보드(150)가 배치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전면에는 상기 엘이디보드(160)의 엘이 디(162)가 전면으로 개방되도록 엘이디 개방홀(172)을 형성한 보조커버(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커버(170)는 상기 엘이디보드(160)를 각각 덮을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보조커버(170)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있어 상기 엘이디 개방홀(172)을 통해 상기 엘이디(162)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170), 엘이디보드(160), 메인프레임(150) 및 외곽프레임(110)의 겹치는 부위는 하나의 볼트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프레임(150) 후면 중앙부에는 내부에 제어부(165)를 구비한 하우징(180)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80)은 내부에 공간을 갖으며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 공간에는 제어부(165)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부(165)는 영상출력장치와 컴퓨터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엘이디보드(160)에 표출할 수 있는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80)은 가장자리 외측으로 볼트공을 형성한 결합편(181)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후면에 볼트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80)의 평면 형상은 상기 수평프레임(120)과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곽프레임의(110)의 양 가장자리에는 또 다른 외곽프레임(110')을 각도 변화시키면서 측면으로 확장하도록 별도의 측면확장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측면확장수단(300)은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양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제1, 제2고정구(310,320)와, 상기 제1,제2고정구(310,320)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제 2고정구(310,320)를 연결함과 동시에 각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각도변경부재(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고정구(310,320)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져 빗면에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데 엘이디 전광판(100)의 후면 중앙부에 설치된 하우징(180)의 상면에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각도변경부재(330)는 상기 제1고정구(310)에 구비되는 볼플랜자(332)와, 상기 제2고정구(320)에 결합되는 샤프트 축(334)과, 상기 샤프트 축(334)에 일단이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각도조절홀(338)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볼플랜자(332)의 볼이 상기 각도조절홀(338)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각도가 변경되는 각도조절편(3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플랜자(332)는 스프링과 볼이 연계되어 구성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볼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볼플랜자(332)는 상기 제1고정구(310)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8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축(334)은 상기 제2고정구(320)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80)에 나사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2고정구(310,320)는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후면에 구비된 하우징(180)양 측면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312)과, 상기 고정판(312)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변경부재(3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커버(314)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312)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단턱부(313)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커버(314) 결합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편(336)은 부메랑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턱부(313)의 단턱면(313a)은 상기 각도조절편(336)의 일부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각도조절 시 서로 접하게 되어 상기 각도조절편(336)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수평프레임(120)을 상하부에 구비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30)을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양측에 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접하는 부위를 리벳에 의해 결합하여 일체화시킴으로서 외곽프레임(110)을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면 중앙부에 내부에 제어부(165)를 구비한 하우징(180)을 결합한다.
상기 하우징(180)의 가장자리에는 볼트홀을 형성한 결합편(181)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후면에 볼트 결합된다.
이후, 상기 메인프레임(150) 전면에 엘이디보드(160)와 보조커버(17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5)와 연결된 데이터케이블이 상기 엘이디보드(160)와 연결된 후에 상기 엘이디보드(160)와 보조커버(170)는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안착편(152)에 결합된다.
상기 안착편(152)의 체결홀(154)에는 팬너트(N)가 고정되어 결속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메인프레임(150)에 하우징(180), 엘이디보드(160), 보조커버(170)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메인프레임(150)과 상기 외곽프레임(110)을 볼트 결합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50)은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홀(102)을 통해 결합되는데,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결합홀(102) 후면에는 팬너트(N)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140)이 형성되어 볼트 결합 시 체결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보강편(140)은 상하보강편(142)과 중앙보강편(144)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중앙보강편(144)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30)에 결합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엘이디 전광판(100)은 상기 외곽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50)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만으로 이루어진 중공 상태에 의해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정한 폭을 이루고 있어 별도의 지지장치 없이 세워져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고장에 의해 교체가 요구될 때에는 상기 결합홀(102)의 볼트만을 해체하면, 상기 외곽프레임(110)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50)이 분리되어 교체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전면에 결합된 4개의 엘이디보드(160) 중 어느 하나만 불량일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150)과 외곽프레임(1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 결합홀(102)의 볼트와, 상기 체결홀(154)의 볼트를 해체하여 상기 보조커버(170)와 엘이디보드(160)를 분리하여 교체하면 된다.
이는 상기 결합홀(102) 중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안착편(152)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홀(102)만 상기 외곽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이처럼, 어떠한 부품 불량에도 해당되는 부품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부품불량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30)의 설치편(135)에는 상하연결수단(200)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0)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별도의 측면확장수단(300)가 구비되어 다수의 엘이디 전광판(100)을 확장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 전광판(100)의 상부에 또 다른 엘이디 전광판(100')을 적층하게 되면, 상기 수직프레임(130)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안착부재(210)가 서로 맞물리어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재(210)는 제1안착구(212)와, 제2안착구(216)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안착구(212)의 상면에는 요철돌기(214)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구(216)의 하면에는 요철홈(218)이 형성되어 엘이디 전광판(100)의 적층시 서로 맞물리어 적층이 용이하다.
이후, 상기 레버(234)를 상기 브라켓(232)의 힌지공(23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부로 올려주게 되면, 상기 연결바(236)에 나사 결합된 걸림고리(237)가 상기 걸림돌기(222)에 가까워져 상기 걸림고리(237)의 끝단에 형성된 걸이부(238)를 상기 걸림돌기(222)에 걸어준 뒤 상기 레버(234)를 하방으로 내리면 로킹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확장수단(300)를 이용하여 엘이디 전광판(100)을 측면으로 확장 가능하다.
상기 제1,제2고정구(310,320)가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후면에 설치된 하우징(180)의 가장자리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구(310)와 인접한 또 다른 엘이 디 전광판(100')의 제2고정구(320)를 상기 각도조절편(336)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측면으로 확장되게 된다.
사용자가 엘이디 전광판(100)을 측면으로 확장 시 다른 각도로 확장하고 할 때는 상기 제2고정구(320)의 고정커버(314)를 분리한 뒤 엘이디 전광판들(100,100')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배치하게 되면, 상기 제2고정구(320)에 구비된 볼플랜자(332)의 볼이 상기 각도조절편(336)의 타측의 각도조절홀(338)에 삽입됨에 따라 엘이디 전광판들(100,100')을 서로 여러 각도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제1고정구(310)에는 샤프트 축(334)이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편(336)의 일측이 상기 샤프트 축(334)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됨에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312)에는 상기 각도조절편(336)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단턱부(313)가 형성되어 각도조절편(336)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어 안정적인 각도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하확장수단(200)에 의해 여러개의 엘이디 전광판을 적층하고, 상기 측면확장수단(300)에 의해 측면으로 여러개의 엘이디 전광판(100)을 배열하면, 대형 엘이디 전광판을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측면확장수단(300)에 의해 상기 엘이디 전광판(100)을 측면으로 확장하여 배치할 때, 소정 각도를 주어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임(150)의 판 형상에 의해 굴곡면 또는 꺾여진 영상을 매끄럽게 이어진 영상으로 구연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평면 형상이 사다리꼴로 형성됨으로서 가능하 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외곽프레임에 별도의 측면확장수단을 구비하여 전광판의 신속한 설치와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도변경부재에 의해 전광판을 배치할 때 각도를 변경하여 배치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배치가 가능하며, 광고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전면에 제어부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보드를 설치한 틀 형상의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좌우로 또 다른 외곽프레임을 연결하도록 하는 측면확장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확장수단은 상기 외곽프레임의 양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제1, 제2고정구와;
    상기 제1,제2고정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제2고정구를 연결함과 동시에 각도를 선택적으로 변결할 수 있는 각도변경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테두리로만 이루어지며, 평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변경부재는 상기 제1고정구에 구비되는 볼플랜자와;
    상기 제2고정구에 결합되는 샤프트 축과;
    상기 샤프트 축에 일단이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각도조절홀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볼플랜자가 상기 각도조절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각도가 변경되는 각도조절편으로 이루어지는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고정구는 상기 외곽프레임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변경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단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커버 결합 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전광판 연결장치.
KR1020070017631A 2007-02-21 2007-02-21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KR100876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631A KR100876905B1 (ko) 2007-02-21 2007-02-21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631A KR100876905B1 (ko) 2007-02-21 2007-02-21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879A KR20080077879A (ko) 2008-08-26
KR100876905B1 true KR100876905B1 (ko) 2009-01-09

Family

ID=3988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631A KR100876905B1 (ko) 2007-02-21 2007-02-21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9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7031A (zh) * 2013-03-25 2013-06-05 湖南新亚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集成度的显示屏单元
CN103137030A (zh) * 2013-03-25 2013-06-05 湖南新亚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平面和曲面组装的led显示屏单元
KR101278911B1 (ko) * 2012-08-13 2013-06-26 주식회사 오로라 수평 및 수직 체결 수단을 갖는 듀플렉스 모드의 led 전광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588B1 (ko) * 2008-08-29 2010-05-11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KR100947864B1 (ko) * 2009-10-15 2010-03-18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프레임 연결장치
KR100941063B1 (ko) * 2009-10-15 2010-02-05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프레임 연결장치
KR101045096B1 (ko) * 2011-04-15 2011-06-29 채준석 Led 디스플레이 고정프레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026A (ja) * 1989-06-27 1991-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命令コード
JPH0380355A (ja) * 1989-08-23 1991-04-05 Fujitsu Ltd Dma転送機構を有する計算機
JPH0654850A (ja) * 1992-08-11 1994-03-01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H0751226A (ja) * 1993-08-09 1995-02-28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洗浄装置
KR20040061430A (ko) * 2002-12-31 2004-07-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일체화된 두 화면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29781A (ko) * 2003-09-23 2005-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레임 형합구조
KR20050078675A (ko) * 2004-01-31 2005-08-08 김남일 다기능 멀티 광고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026A (ja) * 1989-06-27 1991-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命令コード
JPH0380355A (ja) * 1989-08-23 1991-04-05 Fujitsu Ltd Dma転送機構を有する計算機
JPH0654850A (ja) * 1992-08-11 1994-03-01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H0751226A (ja) * 1993-08-09 1995-02-28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洗浄装置
KR20040061430A (ko) * 2002-12-31 2004-07-07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일체화된 두 화면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29781A (ko) * 2003-09-23 2005-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레임 형합구조
KR20050078675A (ko) * 2004-01-31 2005-08-08 김남일 다기능 멀티 광고장치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4-0061430호
공개특허 제2005-0029781호
공개특허 제2005-0078675호
등록실용신안 제0329026호
등록실용신안 제0380355호
등록특허 제0654850호*
등록특허 제0751226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911B1 (ko) * 2012-08-13 2013-06-26 주식회사 오로라 수평 및 수직 체결 수단을 갖는 듀플렉스 모드의 led 전광판
CN103137031A (zh) * 2013-03-25 2013-06-05 湖南新亚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集成度的显示屏单元
CN103137030A (zh) * 2013-03-25 2013-06-05 湖南新亚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平面和曲面组装的led显示屏单元
CN103137031B (zh) * 2013-03-25 2014-04-09 湖南新亚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集成度的显示屏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879A (ko)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898B1 (ko) 엘이디 전광판의 프레임 구조
KR100751850B1 (ko)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KR100876905B1 (ko)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KR100862938B1 (ko) 접이식 멀티 엘이디 전광판
KR100942914B1 (ko) 접이식 멀티 엘이디 전광판
EP0552967B1 (en) Lightbox for display purposes
KR100740039B1 (ko) 라이트패널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병풍식 광고판
KR100800446B1 (ko) 간판 부착장치
KR200400526Y1 (ko) 입간판
KR100948976B1 (ko) 엘이디 전광판
KR100977589B1 (ko) 바닥에 설치되는 전광판
EP1074964B1 (en) Improved monitor applicable to sports stadiums
KR20130093317A (ko) 간판용 압출프레임
US5523790A (en) Modular video wall system
KR101747872B1 (ko) 구조물 조립체
KR200455402Y1 (ko) 엘이디(led)패널 연결장치
KR101359847B1 (ko) 입식 광고대
KR101724830B1 (ko) Led 전광판
KR101284254B1 (ko) 다용도 거치대
KR101200980B1 (ko) 양면 전광판 프레임
KR102213307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각도조절장치
KR100871176B1 (ko) 패널의 접이구조
KR20180011391A (ko) 모듈형 플렉시블 led 전광판
KR100819897B1 (ko) 엘이디 전광판의 프레임 후크 구조
KR200469911Y1 (ko) 광고표시판 고정장치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