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588B1 -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588B1
KR100956588B1 KR1020080084888A KR20080084888A KR100956588B1 KR 100956588 B1 KR100956588 B1 KR 100956588B1 KR 1020080084888 A KR1020080084888 A KR 1020080084888A KR 20080084888 A KR20080084888 A KR 20080084888A KR 100956588 B1 KR100956588 B1 KR 100956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angle
guide
display device
vari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059A (ko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5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LED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의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가 개시된다.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는 영상표시모듈이 장착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측면연결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몸체부의 좌우측 양단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며 호(arc)형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측면연결부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며 몸체부에 대하여 측면연결부의 회전 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회전가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이웃하는 영상표시장치 간의 각도를 조절한 후 조절된 각도를 유지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레버가 구비된다.
영상표시장치, LED, 롤러, 레버, 각도, 가이드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ANGLE ADJUSTMENT DEVICE OF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의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실내외 전시장 또는 공연무대 등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시청자에게 영상으로 표현하여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LED 영상표시장치는 대형화면 형태로 영상을 표현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LED 영상모듈이 장착된 영상표시장치를 다수 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시청각도, 설치구조물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로 이웃하게 연결된 영상표시장치들 간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 영상표시장치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각도를 주고자 하는 부위에 원하는 각도를 갖는 블록을 별도로 교체 사용하여 각도를 변경하였다.
그러나, 원하는 각도를 가지는 별도의 블록 부품들을 다수 개 구비해야 하므로 구매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다양한 각도 조절에 한계가 있다.
또한, 블록 교체를 위해 스크류를 체결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고, 스크류 제거 및 체결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의 블록을 사용하므로 영상표시장치의 각도를 주고자 하는 부위가 견고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LED 램프의 위치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각도 변경 조작을 통해 LED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의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변경 시 LED 램프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표시장치의 각도를 조절한 후 조절된 각도를 유지 고정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는, 영상표시모듈이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측면연결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좌우측 양단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며, 호(arc)형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측면연결부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상기 측면연결부의 회전 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 되는 회전가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가변부재에는 호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가변부재의 내측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변부재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 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부위가 곡면 또는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는 축부에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가변부재에 결합되는 볼트가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는 상기 회전가변부재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며, 상기 볼트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회전가변부재의 각도를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관통홀과 대향되는 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영상표시장치를 다수 개 연결하여 대형화면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 영상표시장치에 일체로 구비된 각도조절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 간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둘째, 이웃하는 영상표시장치 간의 각도 조절 변경 시 각각의 LED 램프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각각의 영상표시장치에 장착되는 LED 램프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영상표시장치 측면연결부의 넓은 면적을 접촉하므로 이웃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서로 견고하게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넷째, 이웃하는 영상표시장치 간의 각도를 조절한 후 고정레버를 사용하여 조절된 각도를 유지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는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측면연결부(200)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10)에 있어서, 측면연결부(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이드부재(300) 및 회전가변부재(400) 등을 구비한다.
몸체부(100)는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좌측 프레임(130), 우측 프레임(140) 및 중앙 프레임(150) 등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몸체부(100)는 전면에 LED 영상표시모듈(101)이 다수 개 장착된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0)(120)에는 이웃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111)(121), 예컨대 연결고리 또는 걸림쇠가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부재(111)(121)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앙 프레임(150)에는 LED 영상표시모듈(101)을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151)가 구비된다.
측면연결부(200)는 몸체부(100)의 좌우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서, 상부와 하부가 후술할 회전가변부재(400)에 각각 고정된다. 예를 들어, 몸체부(100)가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일 경우, 측면연결부(200)는 몸체부(100)의 좌측에 배치되며 상하부가 후술할 제 1 및 제 2 회전가변부재(410)(420)에 각각 고정되는 좌측면연결부재(210)와, 몸체부(100)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하부가 후술할 제 3 및 제 4 회전가변부재(430)(440)에 각각 고정되는 우측면연결부재(220)를 구비할 수 있다.
측면연결부(200)에는 이웃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측면연결부와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211)(221), 예컨대 연결고리 또는 걸림쇠가 구비된다.
가이드부재(300)는 몸체부(100)의 좌우측 양단의 상부 및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몸체부(100)가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일 경우, 가이드부재(300)는 상부 프레임(110)의 좌측단 및 좌측 프레임(130)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 1 가이드부재(310)와, 하부 프레임(120)의 좌측단 및 좌측 프레임(130)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 2 가이드부재(320)와, 상부 프레임(110)의 우측단 및 우측 프레임(140)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 3 가이드부재(330)와, 하부 프레임(120)의 우측단 및 우측 프레임(140)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 4 가이드부재(34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300)에는 전면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는 호(arc)형의 가이드 홀(301)이 형성된다.
가이드부재(300)는 후술할 회전가변부재(400)의 가이드 홈(401)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302)가 회전가변부재(400)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가이드부재(300)는 회전가변부재(400)의 내측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후술할 걸림돌기(403)가 삽입되는 걸림홈(303)이 후면 모서리에 형성된다.
회전가변부재(400)는 측면연결부(200)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며, 가이드부재(300)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몸체부(100)가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일 경우, 회전가변부재(400)는 좌측면연결부재(2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제 1 가이드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전가변부재(410)와, 좌측면연결부재(210)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 2 가이드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회전가변부재(420)와, 우측면연결부재(2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제 3 가이드부재(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회전가변부재(430)와, 우측면연결부재(220)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 4 가이드부재(3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회전가변부재(440)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가변부재(400)에는 몸체부(100)에 대하여 측면연결부(200)의 회전 각도 를 가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300)의 가이드 홀(301)에 삽입되어 롤링하는 롤러(40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401)는 가이드 홀(301)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부위가 평면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401)는 축부에 후술할 볼트(406)가 나사 체결되도록 너트(406)가 구비된다.
회전가변부재(400)에는 가이드부재(300)의 가이드 돌기(302)가 삽입되는 호형의 가이드 홈(401)이 가이드부재(300)와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다.
회전가변부재(400)에는 가이드부재(300)의 걸림홈(303)에 삽입되는 걸림돌기(403)가 형성된다.
회전가변부재(400)에는 롤러(401)의 너트(405)와 나사 체결되도록 볼트(406)가 삽입되는 관통홀(404)이 형성된다.
또한, 롤러(401)의 너트(405)에 체결되는 볼트(406)를 회전시켜 가이드부재(300)와 회전가변부재(400)의 각도를 고정하도록 볼트(406)와 결합되는 고정레버(50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레버(500)는 볼트(406)의 헤드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볼트(406)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레버(500)는 회전가변부재(400)의 관통홀(404)과 대향되는 면에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부재(5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영상표시장치를 다수 개 연결하여 대형화면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 영상표시장치에 일체로 구비된 각도조절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 간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표시장치(11)(12)를 옆으로 연결하여 대형화면을 구성하는 경우, 제 1 영상표시장치(11)의 측면연결부와 제 2 영상표시장치(12)의 측면연결부를 연결부재, 예컨대 연결고리 또는 걸림쇠를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한다.
그리고, 2개의 영상표시장치(11)(12) 간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 1 영상표시장치(11)에 대하여 제 2 영상표시장치(12)를 원하는 각도(θ)로 회전 이동시키면, 측면연결부에 고정된 회전가변부재(400)에 구비된 롤러(401)가 가이드부재(300)에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 홀(301)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제 1 영상표시장치(11)와 제 2 영상표시장치(12) 간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롤러(401)는 가이드 홀(301)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부위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롤링시 면접촉에 의한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함으로써 이웃하는 영상표시장치 간의 각도를 조절한 후 마찰력에 의해 롤러의 롤링이 제한되고 이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영상표시장치(11)(12) 간의 각도 조절 변경시 각각의 LED 영상표시모듈(101), 예컨대 LED 램프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각각의 영상표시장치(11)(12)에 장착되는 LED 램프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고, 영상표현 시 이웃하는 영상표시장치(11)(12)의 벌어진 LED 램프 간의 간격으로 음영이 생기지 않고 하나의 화면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연결부(200)의 넓은 면적을 접촉하므로 이웃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서로 견고하게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가변부재(400)가 가이드부재(300)에 대해 회전 이동 시 가이드부재(30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02)가 회전가변부재(400)의 가이드 홈(401)에 삽입되어 이동하게 되어 보조적으로 회전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회전가변부재(400)가 가이드부재(300)에 대해 회전 이동 시 회전가변부재(400)에 형성된 걸림돌기(403)가 가이드부재(300)의 걸림홈(303)에 삽입되어 회전가변부재(400)의 내측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또한, 2개의 영상표시장치(11)(12) 간의 각도를 조절한 후 조절된 각도를 유지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레버(500)를 회전시켜서 가이드부재(300)와 회전가변부재(400)의 각도를 고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레버(5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레버(500)에 결합된 볼트(406)가 회전하게 되면서 롤러(401)의 너트(405)와 나사 체결이 강화된다. 이렇게 볼트(406)와 너트(405)의 체결이 강화되면 볼트(406)가 삽입 결합되는 회전가변부재(400)와 너트(405)가 구비된 롤러(401)가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300)가 서로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2개의 영상표시장치(11)(12) 간의 각도를 조절한 후 조절된 각도를 유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레버(500)는 회전가변부재(400)의 관통홀(404)과 대향되는 면에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부재(510)가 구비되므로, 볼트(406)와 너트(405)의 조임이 강화될 때 회전가변부재(400)의 관통홀(404) 주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LED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광램프 등을 적용한 조명장치에서도 동일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부 200 : 측면연결부
210 : 좌측면연결부재 220 : 우측면연결부재
300 : 가이드부재 310 : 제 1 가이드부재
320 : 제 2 가이드부재 330 : 제 3 가이드부재
340 : 제 4 가이드부재 400 : 회전가변부재
401 : 롤러 405 : 너트
406 : 볼트 410 : 제 1 회전가변부재
420 : 제 2 회전가변부재 430 : 제 3 회전가변부재
440 : 제 4 회전가변부재 500 : 고정레버

Claims (8)

  1. 영상표시모듈이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측면연결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좌우측 양단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며, 호(arc)형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측면연결부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상기 측면연결부의 회전 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회전가변부재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변부재에는 호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가변부재의 내측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변부재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 홀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부위가 곡면 또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축부에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가변부재에 결합되는 볼트가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회전가변부재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와 결합되며, 상기 볼트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회전가변부재의 각도를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는 상기 관통홀과 대향되는 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KR1020080084888A 2008-08-29 2008-08-29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KR100956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888A KR100956588B1 (ko) 2008-08-29 2008-08-29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888A KR100956588B1 (ko) 2008-08-29 2008-08-29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059A KR20100026059A (ko) 2010-03-10
KR100956588B1 true KR100956588B1 (ko) 2010-05-11

Family

ID=4217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888A KR100956588B1 (ko) 2008-08-29 2008-08-29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5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525A2 (ko) * 2011-04-15 2012-10-18 Chae Jun Seok Led 디스플레이 고정프레임
WO2019135562A1 (ko) * 2018-01-04 2019-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096B1 (ko) * 2011-04-15 2011-06-29 채준석 Led 디스플레이 고정프레임
KR101289287B1 (ko) * 2012-01-09 2013-07-24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영상표시모듈의 각도조절장치
CN110131542B (zh) * 2019-05-28 2024-04-26 佛山鼎辉光电科技有限公司 连接组件、连接结构及显示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480A (ko) * 1998-12-14 2000-07-05 김순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20050092162A (ko) * 2004-03-15 2005-09-21 (주)세아메카닉스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KR20070048150A (ko) * 2007-04-11 2007-05-08 주식회사 테크자인라이트패널 라이트패널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병풍식 광고판
KR20080077879A (ko) * 2007-02-21 2008-08-26 남상설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480A (ko) * 1998-12-14 2000-07-05 김순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20050092162A (ko) * 2004-03-15 2005-09-21 (주)세아메카닉스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KR20080077879A (ko) * 2007-02-21 2008-08-26 남상설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KR20070048150A (ko) * 2007-04-11 2007-05-08 주식회사 테크자인라이트패널 라이트패널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병풍식 광고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525A2 (ko) * 2011-04-15 2012-10-18 Chae Jun Seok Led 디스플레이 고정프레임
WO2012141525A3 (ko) * 2011-04-15 2013-01-03 Chae Jun Seok Led 디스플레이 고정프레임
WO2019135562A1 (ko) * 2018-01-04 2019-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KR20190083562A (ko) * 2018-01-04 2019-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KR102481264B1 (ko) 2018-01-04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US11935440B2 (en) 2018-01-04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hinge assembly of displa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059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1074B2 (ja) 可変なled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
KR100956588B1 (ko)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KR20160097599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2536974B1 (en) Illumination device with interlocked yoke shell parts
US11935440B2 (en) Display apparatus and hinge assembly of display module
KR102550293B1 (ko)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RU272881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видеоинформации и многодисплейная система
KR102209285B1 (ko) 높이조절식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
US7703929B2 (en) Edge blending device, light shielding device and multi-projection system
US10775031B2 (en) Lighting apparatus
KR20200077305A (ko)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CN102563320B (zh) 一种有阻尼的旋转壁挂支架
KR101502516B1 (ko) 굽힘형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엘이디 표시장치
US20210392764A1 (en) Display apparatus
US9182656B2 (en) Optical mask for blending overlapping tiled images
KR102213307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각도조절장치
US8701318B2 (en) Angle adjustment apparatus of image display module
CN112530294A (zh) 一种柔性透明显示屏及其制作方法
KR101261984B1 (ko) 방송용 조명 장치
CN216210392U (zh) 遮光装置及照明设备
KR200304300Y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CN203422908U (zh) Led显示模组及led显示屏
CN218995873U (zh) 一种基于光学镜头的投影显示设备
KR900008888B1 (ko) 천정설치용 lcd 프로젝터
KR200257436Y1 (ko) 후면투사형 다채널 평면 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