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56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562A
KR20190083562A KR1020180001366A KR20180001366A KR20190083562A KR 20190083562 A KR20190083562 A KR 20190083562A KR 1020180001366 A KR1020180001366 A KR 1020180001366A KR 20180001366 A KR20180001366 A KR 20180001366A KR 20190083562 A KR20190083562 A KR 20190083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lock
display
hinge assembly
bracket
display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264B1 (ko
Inventor
윤상기
황광성
부옹
이상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264B1/ko
Priority to PCT/KR2018/016866 priority patent/WO2019135562A1/ko
Priority to US16/960,164 priority patent/US11935440B2/en
Priority to CN201880085013.XA priority patent/CN111542778A/zh
Priority to DE112018006773.4T priority patent/DE112018006773T5/de
Publication of KR2019008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시키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힌지 조립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하고, 한 쌍의 브라켓 각각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는 이동 블록이 장착되고, 이동 블록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설치 환경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DISPLAY APPARTUS AND DISPLAY MODULE HINGE ASSEMBLY}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을 연결하는 힌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엘이디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과 같이 스스로 발광하는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거나, 액정 패널(Liquid Crystal Panel)과 같이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고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빛을 공급받아야 하는 수광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생산할 시에 작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타일링(tiling)하여 대형 사이즈의 화면을 만드는 모듈 디스플레이(modular display)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작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타일링하여 형성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복수개 마련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더 큰 사이즈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각도를 변화하여 커드브(curved)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평면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복수개 연결하여 커브드(curved) 화면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커브드 화면의 곡률을 가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연결된 화면이 오목 형태와 볼록 형태 모두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각도를 변경할 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시키는 힌지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는 이동 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이동 블록의 위치를 조정하는 간격 조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상기 이동 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스크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동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이동 블록이 진입하도록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장착부의 개방된 일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이동 블록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결합 부재가 통과하도록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작도록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작도록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이 회전될 시에,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크도록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크도록 상 한 쌍의 브라켓이 회전될 시에,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회전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시키는 힌지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조립체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제1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제1브라켓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이동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제2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 블록; 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평행한 기준 위치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180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오목 위치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180도 보다 큰 각도를 갖는 볼록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오목 위치에서 상기 제1이동 블록과 상기 제2이동 블록은 상기 기준 위치 보다 서로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볼록 위치에서 상기 제1이동 블록과 상기 제2이동 블록은 상기 기준 위치 보다 서로 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시키는 힌지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는 이동 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환경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각도를 조절할 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각도에 따라 발생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갭을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힌지 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힌지 조립체를 한 쌍의 브라켓과 힌지핀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브라켓, 이동 블록, 간격 조정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힌지 조립체의 평단면도.
도 9는 도 1의 힌지 조립체가 기본 위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힌지 조립체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단면도.
도 11은 도 1의 힌지 조립체가 오목 위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힌지 조립체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단면도.
도 13은 도 1의 힌지 조립체가 볼록 위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힌지 조립체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 중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은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하나의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정보, 자료, 데이터 등을 문자, 도형, 그래프, 영상 등으로 표시하여 주는 장치로서, 광고판, 전광판, 스크린, 텔레비전,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미도시)에 의해 실내 또는 실외 그라운드에 설치되거나 벽걸이(미도시)를 통해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서로 연결시키는 힌지 조립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는 3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a ~ 10c)로 구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개수에 제한은 없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서로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서로 평행하게 연결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위에서 볼 때 전방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커브드(curved)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반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위에서 볼 때 전방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커브드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오목 형태와 볼록 형태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화면 자체는 평면 형태이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간의 연결 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간의 각도를 조정하여 커브드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간을 서로 연결시키는 힌지 조립체(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코너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모듈(30)과,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모듈(30)이 설치되는 캐비닛(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8 개의 엘이디 모듈(30-1 ~ 30-8)이 4 * 2 매트릭스 배열로 구성되고 있으나, 엘이디 모듈(30)의 개수나 배열 방식에 제한은 없다. 각각의 엘이디 모듈(30)은 독립적으로 캐비닛(20)에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엘이디 모듈(30)을 캐비닛(20)에 전후좌우로 매트릭스 형태로 타일링하듯이 설치함으로써, 작은 화면 사이즈의 엘이디 모듈(30)을 이용하여 대형 화면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복수의 엘이디 모듈(30)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복수개 마련하여 힌지 조립체(50)로 연결함으로써, 더 큰 사이즈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엘이디 모듈(30)은 광원인 다수의 엘이디(32)와, 다수의 엘이디(32)가 실장된 기판(3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엘이디(32)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엘이디 모듈(30)의 배면에는 엘이디 모듈(30)을 캐비닛(2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재(34)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20)은 엘이디 모듈(30)을 지지하도록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23)과, 지지 프레임(23)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방 플레이트(2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3)에는 캐비닛(20)을 손으로 잡고 운반할 수 있는 손잡이(22)가 마련될 수 있다.
엘이디 모듈(30)은 지지 프레임(23)의 전면에 설치되며, 지지 프레임(23)에는 엘이디 모듈(30)의 설치 부재(34)가 삽입되는 설치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 부재(34)는 설치홈(24)에 삽입된 후에 자석 부재(미도시)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3)의 배면에는 엘이디 모듈(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1)와, 엘이디 모듈(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40)가 설치될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26)는 전원부(41)와 제어 보드(40)를 보호하도록 지지 프레임(23)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26)에는 캐비닛(20) 내부의 열을 발산하기 위한 슬릿(2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힌지 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힌지 조립체를 한 쌍의 브라켓과 힌지핀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힌지 조립체(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배면 코너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20)의 배면 코너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25)이 형성되고, 힌지 조립체(50)는 결합홀(2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장공(62) 및 결합홀(81)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조립체(50)는 별도의 결합 부재(100)를 통해 캐비닛(2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00)는 장공(62)을 통과하여 결합홀(81) 및 결합홀(25)에 체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조립체(50)는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60, 110)과, 한 쌍의 브라켓(60, 110) 각각에 장착되는 한 쌍의 이동 블록(80)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조립체(50)는 한 쌍의 브라켓(60, 110)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60)은 힌지 수용부(67)를 포함하고, 제2브라켓(110)은 힌지 수용부(67)에 수용되는 힌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60)과 제2브라켓(110)에는 각각 힌지핀(120)이 삽입되는 힌지홀(68)과 힌지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라켓(110)의 힌지부(111)가 제1브라켓(60)의 힌지 수용부(67)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60)의 힌지홀(68)과 제2브라켓(110)의 힌지홀(112)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힌지핀(120)이 힌지홀(68) 및 힌지홀(112)에 삽입될 수 있다.
힌지핀(120)은 힌지핀(120)의 회전 시에 제1브라켓(60)도 함께 회전시키도록 연동부(121)를 포함하고, 제1브라켓(60)의 힌지홀(68)에는 연동부(121)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69)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핀(120)이 브라켓(60, 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브라켓(60)과 제2브라켓(11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힌지핀(120)에는 힌지 나사(130)가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힌지핀(120)에는 체결홀(122)이 형성되고, 힌지부(111)에는 힌지 나사(130)가 관통하는 각도 제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제한부(113)는 힌지핀(120)이 수직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브라켓(60)과 제2브라켓(110)의 회전 범위를 일정 범위로 제한하도록 힌지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브라켓(60, 110)이 힌지핀(1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힌지 조립체(5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간의 각도를 가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동 블록(8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되고, 이 이동 블록(80)이 장착된 브라켓(60, 10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블록(80)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동 블록(80)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결합된 디스플레이 모듈(10)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 블록(8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서로 간섭 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각도에 따라 발생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간의 갭이 없애질 수 있다.
힌지 조립체(50)는 이동 블록(80)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마련되는 간격 조정 부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정 부재(90)는 이동 블록(80)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91)와, 스크류(9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크류(91)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 너트(9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크류(91)를 회전 조작하면 이동 블록(80)이 슬라이딩할 수 있다. 간격 조정 부재(9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부연 설명한다.
제1브라켓(60)의 구성과 제2브라켓(110)의 구성은 힌지 수용부(67)와 힌지부(111) 등을 제외하고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는 제1브라켓(6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2브라켓(110)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1브라켓(60)을 단순히 브라켓(60)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브라켓, 이동 블록, 간격 조정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힌지 조립체의 평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브라켓(60)은 이동 블록(80)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61)와, 이동 블록(8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100)가 관통하는 장공(62)과, 이동 블록(8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63)와, 간격 조정 부재(9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벽(64a, 64b)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61)는 이동 블록(80)을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개방된 일면에는 커버(7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60)과, 커버(70)에는 각각 체결홀(66)과, 체결홀(75)이 형성되고, 체결 나사(76)가 체결홀(66) 및 체결홀(75)에 체결됨으로써 커버(70)가 브라켓(60)에 결합될 수 있다.
장공(62)은 이동 블록(8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100)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 부재(1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70)에도 브라켓(60)의 장공(62)에 대응되는 장공(7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63)는 이동 블록(80)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63)는 이동 블록(80)의 가이드 홈(83)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홈(83)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벽(64a)과 이탈 방지 벽(64b)은 간격 조정 부재(90)가 브라켓(6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벽(64a)과 이탈 방지 벽(64b)에는 스크류(91)가 삽입되는 스크류 삽입홀(65)이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조정 부재(90)는 이동 블록(80)과 나사 결합하는 스크류(91)와, 스크류(9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스크류(91)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 너트(9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91)는 스크류 삽입홀(65)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92)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93)와, 이탈 방지 너트(95)가 결합되도록 수나사부(93)의 단부에 형성되는 너트 결합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블록(80)은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결합되도록 결합 부재(100)가 체결되는 결합홀(81)과, 스크류(91)의 수나사부(83)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동 블록(80)과 간격 조정 부재(90)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간격 조정 부재(90)를 회전시키면, 간격 조정 부재(90)의 회전 운동이 이동 블록(80)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되어, 이동 블록(80)이 수평 방향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1의 힌지 조립체가 기본 위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힌지 조립체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힌지 조립체가 오목 위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힌지 조립체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힌지 조립체가 볼록 위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힌지 조립체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힌지 조립체(50)는 기준 위치(P1)에 있을 때, 즉, 한 쌍의 브라켓(60, 110)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일 때, 힌지 조립체(50)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a, 10b)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a)의 엘이디 모듈(30a)과, 디스플레이 모듈(10b)의 엘이디 모듈(30b)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a)의 화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b)의 화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a)의 캐비닛(20a)과, 디스플레이 모듈(10b)의 캐비닛(20b)의 서로 마주 보는 면은 각각 힌지 조립체(50) 측으로 가까이 갈수록 서로 점점 더 벌어지는 경사면(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21)에 의해서 후술하는 도 13 및 도 14의 볼록 위치(P2)에서도 엘이디 모듈(30a)과, 엘이디 모듈(30b) 사이에 갭이 발생하지 않으며, 엘이디 모듈(30a)과 엘이디 모듈(30b)이 일 접점(35)에서 접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힌지 조립체(50)가 오목 위치(P2)에 있을 때, 즉, 한 쌍의 브라켓(60, 110)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작은 각도일 때, 힌지 조립체(50)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a, 10b)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작은 각도(θa)가 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a)과 디스플레이 모듈(10b)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도록, 이동 블록(80a, 80b)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 블록(80a)과 이동 블록(80b)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A)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a)과 디스플레이 모듈(10b)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힌지 조립체(50)가 볼록 위치(P2)에 있을 때, 즉, 한 쌍의 브라켓(60, 110)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큰 각도일 때, 힌지 조립체(50)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a, 10b)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큰 각도(θb)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a)과 디스플레이 모듈(10b)이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a)과 디스플레이 모듈(10b) 간의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동 블록(80a, 80b)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 블록(80a)과 이동 블록(80b)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A)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a)과 디스플레이 모듈(10b) 사이에 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a)과 디스플레이 모듈(10b) 사이에 경계(seam)가 시인되는 것이 방지되며, 엘이디 간의 피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10a, 10b, 10c) : 디스플레이 모듈
20(20a, 20b) : 캐비닛 21 : 경사면
30(30-1~30-8): 엘이디 모듈 31 : 기판
32 : 광원 50(P1, P2, P3) : 힌지 조립체
60 : 제1브라켓 61 : 장착부
62 : 장공 63 : 가이드 돌기
64a, 64b : 이탈 방지 벽 70 : 커버
80 : 이동 블록 82 : 암나사부
90 : 간격 조정 부재 91 : 스크류
92 : 헤드부 93 : 수나사부
94 : 너트 결합부 95 : 이탈 방지 너트
100 : 결합 부재 110 : 제2브라켓
120 : 힌지핀

Claims (20)

  1.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시키는 힌지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는 이동 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이동 블록의 위치를 조정하는 간격 조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상기 이동 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스크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 너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동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이동 블록이 진입하도록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장착부의 개방된 일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이동 블록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결합 부재가 통과하도록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작도록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이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작도록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이 회전될 시에,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크도록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이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이루는 각도가 180도 보다 크도록 상 한 쌍의 브라켓이 회전될 시에,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회전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시키는 힌지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조립체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라켓;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제1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제1브라켓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이동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제2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 블록;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평행한 기준 위치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180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오목 위치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180도 보다 큰 각도를 갖는 볼록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위치에서 상기 제1이동 블록과 상기 제2이동 블록은 상기 기준 위치 보다 서로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위치에서 상기 제1이동 블록과 상기 제2이동 블록은 상기 기준 위치 보다 서로 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디스플레이 장치.
  20.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시키는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 각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는 이동 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힌지 조립체.
KR1020180001366A 2018-01-04 2018-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KR102481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66A KR102481264B1 (ko) 2018-01-04 2018-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PCT/KR2018/016866 WO2019135562A1 (ko) 2018-01-04 2018-12-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US16/960,164 US11935440B2 (en) 2018-01-04 2018-12-28 Display apparatus and hinge assembly of display module
CN201880085013.XA CN111542778A (zh) 2018-01-04 2018-12-28 显示装置和显示模块的铰链组件
DE112018006773.4T DE112018006773T5 (de) 2018-01-04 2018-12-28 Anzeigevorrichtung und scharnieranordnung eines anzeigemodu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66A KR102481264B1 (ko) 2018-01-04 2018-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562A true KR20190083562A (ko) 2019-07-12
KR102481264B1 KR102481264B1 (ko) 2022-12-26

Family

ID=6714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366A KR102481264B1 (ko) 2018-01-04 2018-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35440B2 (ko)
KR (1) KR102481264B1 (ko)
CN (1) CN111542778A (ko)
DE (1) DE112018006773T5 (ko)
WO (1) WO20191355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8099A (zh) * 2021-06-30 2021-09-21 创显卓视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自动式显示屏拼接支架及拼接方法
KR102352320B1 (ko) * 2021-03-04 2022-01-17 주식회사 더케이 높이 조절 가능한 티브이 스탠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746B1 (ko) 2018-07-03 2022-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다중 패널 표시 장치
WO2020153519A1 (ko) * 2019-01-25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3205752B (zh) * 2021-05-08 2022-04-19 深圳市联而达精铸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的球场屏压铸铝箱体及其加工方法
JP2023003680A (ja) * 2021-06-24 2023-01-1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3819373A (zh) * 2021-09-02 2021-12-21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石家庄供电分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电力人力资源信息可视化展现平台
TW202341101A (zh) * 2021-12-13 2023-10-16 日商索尼集團公司 框系統及顯示裝置
CN114220360B (zh) * 2022-02-21 2022-05-13 深圳市优景观复光电有限公司 一种带有多角度调节装置的led显示屏
CN114623351A (zh) * 2022-03-17 2022-06-14 刘玮 一种教师教育管理用教学装置
CN115031113A (zh) * 2022-07-18 2022-09-09 吴奇峰 一种基于多屏互享的led显示屏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588B1 (ko) * 2008-08-29 2010-05-11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KR101276916B1 (ko) * 2008-09-08 2013-06-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구성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멀티-패널 디바이스
KR20150006633A (ko) * 2013-07-09 2015-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11581A (ko) * 2013-07-23 2015-02-02 (주)디콘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KR20170072399A (ko) * 2015-12-16 2017-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디오 월 배치를 위한 가이드 핀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월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88353C (zh) * 2003-06-10 2008-05-14 南京Lg同创彩色显示系统有限责任公司 利用带式摩擦部的铰接装置
CN1567036A (zh) * 2003-06-10 2005-01-19 南京Lg同创彩色显示系统有限责任公司 可以调整旋转力的铰接装置
JP2008203483A (ja) * 2007-02-20 2008-09-04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EP2304710B1 (en) * 2008-06-13 2014-08-13 Barco, Inc. Alignment angle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splay
US20090309819A1 (en) * 2008-06-13 2009-12-17 Element Labs, Inc.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for a Display
GB2467799A (en) * 2009-02-17 2010-08-18 Barco Nv Variable geometry display module
US20120064460A1 (en) * 2010-09-07 2012-03-15 Nikon Corporation Movable body apparatus, object processing device, exposure apparatus, flat-panel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WO2015102438A1 (en) * 2014-01-03 2015-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272059B1 (ko) * 2015-02-09 2021-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0484B1 (ko) * 2015-06-24 202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또는 해체 방법
KR102505306B1 (ko) * 2016-04-18 202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205689013U (zh) * 2016-06-14 2016-11-16 广东尚坤工业科技有限公司 可调节升降铰链
CN206379126U (zh) * 2016-10-19 2017-08-04 深圳市联建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微间距led显示装置
KR102628093B1 (ko) * 2017-01-31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7475B1 (ko) * 2017-12-08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588B1 (ko) * 2008-08-29 2010-05-11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KR101276916B1 (ko) * 2008-09-08 2013-06-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구성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멀티-패널 디바이스
KR20150006633A (ko) * 2013-07-09 2015-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11581A (ko) * 2013-07-23 2015-02-02 (주)디콘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KR20170072399A (ko) * 2015-12-16 2017-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디오 월 배치를 위한 가이드 핀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320B1 (ko) * 2021-03-04 2022-01-17 주식회사 더케이 높이 조절 가능한 티브이 스탠드
CN113418099A (zh) * 2021-06-30 2021-09-21 创显卓视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自动式显示屏拼接支架及拼接方法
CN113418099B (zh) * 2021-06-30 2022-07-12 创显卓视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自动式显示屏拼接支架及拼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8006773T5 (de) 2020-09-17
KR102481264B1 (ko) 2022-12-26
CN111542778A (zh) 2020-08-14
US11935440B2 (en) 2024-03-19
US20200357311A1 (en) 2020-11-12
WO2019135562A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35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EP3550544B1 (en) Multi-display system and video display device
US20120120236A1 (en) Web Camera
WO2020192373A1 (zh) 一种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US11353732B2 (en) Display apparatus
KR1022260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619172B2 (en) Rotatable camera assembly
KR20180022309A (ko) 사운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078402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US9910462B2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559733B1 (en) Display apparatus
TW201636685A (zh) 展示裝置及映像展示方法
KR101239081B1 (ko) 엘이디 표시장치
CN215181383U (zh) 投影屏幕和adas校准设备
JP2006343444A (ja) プロジェクターによる投影システム
US10959545B2 (en) Image display device
US11714305B2 (en) Display apparatus
KR20200059721A (ko)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
EP4358075A1 (en) Display apparatus
KR102329028B1 (ko) 광 지향 각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EP3779936B1 (en) Image display device
US1069825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split-type backlight module
US20230324953A1 (en) Display device
US20230144694A1 (en) Display apparatus
KR20150065066A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