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162A -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162A
KR20050092162A KR1020040017248A KR20040017248A KR20050092162A KR 20050092162 A KR20050092162 A KR 20050092162A KR 1020040017248 A KR1020040017248 A KR 1020040017248A KR 20040017248 A KR20040017248 A KR 20040017248A KR 20050092162 A KR20050092162 A KR 20050092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ed
display device
mounting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283B1 (ko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아메카닉스 filed Critical (주)세아메카닉스
Priority to KR102004001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28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2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면 디스플레이기기를 벽면이나 고정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는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와, 상기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와,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WALL MOUNT FOR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면 디스플레이기기를 벽면이나 고정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디스플레이기기의 발달에 따라 대형 평면 디스플레이기기가 등장하고 있다. 예를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이나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와같은 평면 디스플레이기기는 종래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에 비하여 대화면의 구현이 가능하고, 크기에 비해 부피가 작아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평면 디스플레이기기를 벽면이나 고정체에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거치장치가 선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2002-92698호에 기재된 평면 디스플레이 거치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거치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기기를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평면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는 여러가지 단점들이 있다.
첫째로,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 결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가 정해져 있어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기기와 결합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크기의 디스플레이기기를 구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도 새로운 디스플레이기기의 크기에 맞춰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디스플레이기기의 상하 각도 조절이 쉽지 않아 큰 힘으로 각도조절을 해야 한다거나, 각도조절 봉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기기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세째로,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의 그 구조가 복잡하여 가격이 고가이며, 무게가 무거운 문제점이 있다.
네째로,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를 벽면이나 고정체에 정확히 고정하여야 하고, 거치장치가 기울어져 설치된 경우 디스플레이기기도 기울어져 설치되기 때문에 거치장치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로,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생산,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기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상하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생산, 운반 및 설치 비용이 저렴한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는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와, 상기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와,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의 좌측 부재 및 우측 부재는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상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 브라켓의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이탈방지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이탈방지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지지 브라켓과,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과 하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회전되는 제품용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브라켓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품용 브라켓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품용 브라켓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링크 브라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는 상부에 상부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레일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벽면 또는 고정체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1 이탈방지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제 1 결합부와,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레일은 상단과 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이탈방지부가 삽입되는 이탈방지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결합부는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과,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품용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는 벽면 또는 고정체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부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상부레일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레일은 상단과 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는 하부레일이 더 구비되고, 상기 거치 브라켓이 상기 하부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는 제 2 이탈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 브라켓에는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을 받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거치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견고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 브라켓은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품용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는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와, 상기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과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이 힌지 결합되고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품용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브라켓과 상기 제품용 브라켓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품용 브라켓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링크 브라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부재 및 우측 부재의 상부에는 상부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레일은 상단과 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기 좌측 부재 및 우측 부재의 상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제 1 이탈방지부가 삽입되는 이탈방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부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제 1 마찰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이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는 하부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제 2 마찰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이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부재 및 우측 부재의 하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제 2 이탈방지부가 체결되는 잠금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장치는 잠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의 결합시 상기 잠금장치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이탈방지부가 삽입되고 상기 잠금장치에 형성된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제 2 이탈방지부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지지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측에는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에 일부가 삽입된 제 3 마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품용 브라켓의 하측 및 상기 제 3 마찰부재를 관통하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과 상기 제품용 브라켓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 마찰부재는 상기 제품용 브라켓이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장홀을 따라 상승하고, 상기 제품용 브라켓이 수직으로 서는 경우 상기 장홀을 따라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부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롤러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이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는 벽면이나 고정체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10)과, 상기 고정 브라켓(10)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에 결합되는 거치 브라켓(30)이 포함된다.
먼저, 상기 고정 브라켓(1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8)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벽면이나 고정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다수의 키홀(14)과 슬릿(15)이 구비되는데, 상기 다수의 키홀(14)과 슬릿(15)을 통해 나사, 못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벽면이나 고정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10)을 벽면이나 고정체에 고정하는 방식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상측에는 상부레일(19)이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레일(19)위로 상기 거치 브라켓(30)이 지지되고,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레일(19)의 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이탈방지부(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 1 이탈방지부(20)는 상기 거치 브라켓(30)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상부레일(19)은 상기 거치 브라켓(30)의 하중을 받아 상기 거치 브라켓(30)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 1 이탈방지부(20)는 상기 거치 브라켓(30)을 측면에서 지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레일(19)은 중심부(18)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상부레일(19)은 상단(UPPER END)(11)과 하단(LOWER END)(12)이 포함되며, 상기 상단(11)과 하단(12)은 일정한 높이의 차이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상단(11)과 하단(12)의 높이 차이는 설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가 좌측부, 우측부, 중심부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점과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은 좌측부와 우측부의 높이가 동일하고, 중심부의 높이가 좌측부 및 우측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하측에는 하부레일(21)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레일(21)위로 상기 거치 브라켓(30)이 지지되고,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레일(21)의 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2 이탈방지부(24)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 2 이탈방지부(24)는 상기 거치 브라켓(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하부레일(21)은 상기 거치 브라켓(30)의 하중을 받아 상기 거치 브라켓(30)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 2 이탈방지부(24)는 상기 거치 브라켓(30)을 측면에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레일(21)이 상기 거치 브라켓(30)을 지지하는 힘은 상기 상부레일(19)이 지지하는 힘보다 작을 수 있으며, 거치 브라켓(30)의 대부분의 하중은 상기 상부레일(1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레일(21)은 설계에 따라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일(21)은 중심부(18)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하부레일(21)은 상단(UPPER END)(23)과 하단(LOWER END)(22)이 포함되며, 상기 상단(23)과 하단(22)은 일정한 높이의 차이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상단(23)과 하단(22)의 높이 차이는 설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레일(19)의 상단(11)과 하단(12)의 높이 차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3에는 고정 브라켓을 포장 및 운반하는 과정에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중심부(18)를 기준으로 접히는 작동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에는 고정 브라켓(10)이 벽면이나 고정체에 결합된 상태(거치장치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중심부(18)를 기준으로 접히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라켓(10)은 바람직하게 중심부(18)를 기준으로 대칭형상을 하고 있으며,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가 중심부(18)에서 결합나사(17)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결합나사(17)는 좌측 부재(25)와 우측 부재(26)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부재(25) 또는 우측 부재(26)가 중심부(18)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접힐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포장 및 운반과정에서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설계의 변형에 따라 상기 좌측 부재(25)와 우측 부재(26)가 접히지 않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좌측 부재(25)와 우측 부재(26)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양 측면에는 스토퍼(16)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6)는 상기 고정 브라켓(10)에 거치 브라켓(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할 때 상기 상부레일(19)이나 하부레일(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스토퍼(16)는 상기 상부레일(19)이나 하부레일(21)에 형성될 수 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10)의 양측에 거치 브라켓(30)이 설치되는데, 상기 거치 브라켓(30)이 상부레일(19) 및 제 1 이탈방지부(20)에 의해 결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 브라켓(30)의 잠금장치(32)가 제 2 이탈방지부(24)에 체결되어 보다 견고히 상기 거치 브라켓(30)이 고정 브라켓(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거치 브라켓(30)에는 제 1 마찰부재(31)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레일(19)에 지지되는데, 상기 제 1 마찰부재(31)는 상기 거치 브라켓(30)이 상기 상부레일(19)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마찰부재(31)는 플라스틱 재질의 부재, 바람직하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을 그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서 거치 브라켓(30)의 분해 사시도이다.
거치 브라켓(30)은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품용 브라켓(33)과, 상기 제품용 브라켓(33) 및 상기 고정 브라켓(10)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34)이 포함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은 다수의 홀(36)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에 결합된다. 일예로 상기 제품용 브라켓(33)과 디스플레이기기는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에 형성된 홀(36)은 다양한 형태, 예를들면, 원형의 홀, 장홀, 슬릿,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브라켓(34)은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제 1 이탈방지부(20)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이탈방지 홈(38)과,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제 2 이탈방지부(24)와 결합되도록 하는 잠금장치(32)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상기 제품용 브라켓(33)과 힌지 결합되는 장홀(37)이 형성된다.
상기 장홀(37)을 직선형태 또는 약간 곡률이 있는 형태이며, 상기 장홀(37)의 양측으로 제 3 마찰부재(40a,40b)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 3 마찰부재(40a,40b)의 외측으로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의 하측이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핀(41)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 3 마찰부재(40a,40b)는 플라스틱 재질의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사용되며,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장홀(37)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3 마찰부재(40a,40b) 외에도 와셔나 리벳 등이 사용되어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34)에는 제 1 마찰부재(31)와, 제 2 마찰부재(35)가 결합되는데, 상기 제 1 마찰부재(31)는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상부레일(19)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마찰부재(35)는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하부레일(2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 1 마찰부재(31)와 상기 제 2 마찰부재(35)에 의해 대형 디스플레이기기가 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거치 브라켓(30)이 고정 브라켓(10)에 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32)는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제 2 이탈방지부(24)에 결합되는데, 상기 지지 브라켓(34)에 결합나사(43)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나사(43)에는 스프링 부재(44)가 삽설되는데, 스프링 부재(44)의 일단은 상기 지지 브라켓(34)의 내면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잠금장치(32)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잠금장치(32)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도 5와 같은 경우 상기 고정 브라켓(10)과 결합시 상기 감금장치(32)는 결합나사(4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44)의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잠금돌기(4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이탈방지부(24)에 걸리게 된다. 이로써 상기 고정 브라켓(10)과 상기 지지 브라켓(34)은 보다 견고히 결합된다.
한편, 상기 지지 브라켓(34)과 제품용 브라켓(33)은 링크 브라켓(39a,39b)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링크 브라켓(39a,39b)은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며, 다수의 와셔 또는 마찰부재에 의해 적절한 마찰력이 작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디스플레이기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브라켓(34)의 폭은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의 폭보다 좁기 때문에, 상기 링크 브라켓(39a,39b)의 일단은 상기 지지 브라켓(34)의 외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의 내면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은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에 거치 브라켓(30)이 결합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브라켓(30)은 디스플레이기기(50)의 후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기기(50)의 크기나 제조회사에 따라 후면에 나사홀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서 거치 브라켓(30)은 두 개가 각각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기기(50)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크기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용 브라켓(33)에는 다양한 형태의 결합수단(홀, 장홀, 키홀 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회사에 상관없이 체결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서 거치 브라켓(30)과 고정 브라켓(10)이 결합된 상태와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품용 브라켓(33)은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고, 지지 브라켓(34)에 결합된다.
즉, 지지 브라켓(34)의 하측에 형성된 장홀(37)에 결합됨으로써 힌지 작용을 하게 되고, 제품용 브라켓(33)의 대략 중간 부분과 지지 브라켓(34)의 상측 부분을 연결하는 링크 브라켓(39)에 의해 소정의 각도 조절 범위가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 브라켓(39)이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에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의 중심 부분으로써, 이는 디스플레이기기의 무게 중심에 해당한다. 따라서, 큰 힘을 부여하지 않아도 디스플레이기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지지 브라켓(34)의 하측에 형성된 장홀(37)을 따라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이 상승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이 수직으로 서는 경우 상기 지지 브라켓(34)의 하측에 형성된 장홀(37)을 따라 상기 제품용 브라켓(33)은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10)은 벽면이나 고정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34)은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제 1 이탈방지부(20) 및 제 2 이탈방지부(24)에 견고히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브라켓(34)의 제 1 마찰부재(31)와 제 2 마찰부재(35)는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상부레일(19)과 하부레일(21)에 지지되면서 레일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제 1 마찰부재(31)가 롤러부재(44)로 대체된다.
상기 롤러부재(44)는 지지 브라켓(34)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34)의 좌우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서 디스플레이기기의 평형을 조정하는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거치 브라켓(30)은 디스플레이기기(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었다.)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10)에 결합된다.
도 12에는 디스플레이기기가 옳바르게 거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경우 디스플레이기기를 우측으로 밀어낸 경우 상기 거치 브라켓(30)이 고정 브라켓(10)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디스플레이기기가 기울어진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의 경우 도 13과 반대 방향으로 거치 브라켓(30)이 이동하고 디스플레이기기가 반대로 기울어진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기기(50)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거치 브라켓(30)이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기기(50)의 우측과 좌측의 높이가 다르게 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최초 벽면이나 고정체에 상기 고정 브라켓(10)이 좌우 평형이 정확히 맞지 않게 설치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도 12 내지 도 14에는 고정 브라켓(10)이 좌우측 높낮이가 동일하게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 브라켓(10)의 좌우측이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얼마든지 쉽게 디스플레이기기(50)의 평형을 조절할 수 있음을 말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기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상하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생산, 운반 및 설치 비용이 저렴한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의 정면도.
도 2와 도 3은 고정 브라켓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의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서 거치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서 잠금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에 거치 브라켓이 결합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서 제품용 브라켓의 회전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서 롤러부재가 사용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서 디스플레이기기의 평형을 조정하는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 브라켓 11 ; 상단 12 ; 하단
14 ; 키홀 15 ; 슬릿 16 ; 스토퍼
17 ; 결합나사 18 ; 중심부 19 ; 상부레일
20 ; 제 1 이탈방지부 21 ; 하부레일 22 ; 하단
23 ; 상단 24 ; 제 2 이탈방지부 25 ; 좌측 부재
26 ; 우측 부재 30 ; 거치 브라켓 31 ; 제 1 마찰부재
32 ; 잠금장치 33 ; 제품용 브라켓 34 ; 지지 브라켓
35 ; 제 2 마찰부재 36 ; 홀 37 ; 장홀
38 ; 이탈방지 홈 39 ; 링크 브라켓 40 ; 제 3 마찰부재
41 ; 결합핀 42 ; 잠금돌기 43 ; 결합나사
44 ; 스프링 부재 45 ; 롤러부재 50 ; 디스플레이기기

Claims (26)

  1.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와, 상기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와,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좌측 부재 및 우측 부재는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상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 1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 브라켓의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이탈방지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이탈방지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지지 브라켓과,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과 하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회전되는 제품용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품용 브라켓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품용 브라켓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링크 브라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5. 상부에 상부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레일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이탈방지부가 형성되어 벽면 또는 고정체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1 이탈방지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제 1 결합부와,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은 상단과 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이탈방지부가 삽입되는 이탈방지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나사결합되는 나사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과,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품용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10. 벽면 또는 고정체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거치 브라켓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부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상부레일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은 상단과 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는 하부레일이 더 구비되고, 상기 거치 브라켓이 상기 하부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는 제 2 이탈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 브라켓에는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을 받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거치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견고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브라켓은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제품용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15.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와, 상기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과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이 힌지 결합되고 디스플레이기기의 후면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품용 브라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과 상기 제품용 브라켓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품용 브라켓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링크 브라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부재 및 우측 부재의 상부에는 상부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은 상단과 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좌측 부재 및 우측 부재의 상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제 1 이탈방지부가 삽입되는 이탈방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부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제 1 마찰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이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는 하부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제 2 마찰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이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부재 및 우측 부재의 하단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상기 제 2 이탈방지부가 체결되는 잠금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잠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의 결합시 상기 잠금장치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이탈방지부가 삽입되고 상기 잠금장치에 형성된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제 2 이탈방지부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지지 브라켓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24.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측에는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에 일부가 삽입된 제 3 마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품용 브라켓의 하측 및 상기 제 3 마찰부재를 관통하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과 상기 제품용 브라켓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마찰부재는 상기 제품용 브라켓이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장홀을 따라 상승하고, 상기 제품용 브라켓이 수직으로 서는 경우 상기 장홀을 따라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2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부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는 롤러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이 상기 상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KR1020040017248A 2004-03-15 2004-03-15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KR10054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248A KR100541283B1 (ko) 2004-03-15 2004-03-15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248A KR100541283B1 (ko) 2004-03-15 2004-03-15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162A true KR20050092162A (ko) 2005-09-21
KR100541283B1 KR100541283B1 (ko) 2006-01-10

Family

ID=3727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248A KR100541283B1 (ko) 2004-03-15 2004-03-15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2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283B1 (ko) * 2006-07-05 2007-10-04 주식회사 에이텍 벽걸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장치
KR100956588B1 (ko) * 2008-08-29 2010-05-11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WO2011003115A2 (en) * 2009-07-03 2011-01-06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Collapsible display mount with combined latch and kickstand mechanism
WO2022097959A1 (ko) * 2020-11-04 2022-05-12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283B1 (ko) * 2006-07-05 2007-10-04 주식회사 에이텍 벽걸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장치
KR100956588B1 (ko) * 2008-08-29 2010-05-11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WO2011003115A2 (en) * 2009-07-03 2011-01-06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Collapsible display mount with combined latch and kickstand mechanism
WO2011003115A3 (en) * 2009-07-03 2011-04-21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Collapsible display mount with combined latch and kickstand mechanism
WO2022097959A1 (ko) * 2020-11-04 2022-05-12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1283B1 (ko)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2897B1 (en) A monitor support
US7448581B2 (en) Display apparatus
EP1772662B1 (en) Stand for image display device
US7578490B2 (en) Stand of display device
US7766288B2 (en) Display apparatus
KR100813726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US20090101777A1 (en) Wall mount supporting apparatus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6532628B2 (en) Hinge assembly for LCD monitor
US7593218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980784B1 (en) Stand of a display device
EP2045689B1 (en)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KR100653072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6102348A (en) Appliance mounting device
KR100628119B1 (ko) 평판형 모니터
US7789362B2 (en) Stand for image display device
US7494099B2 (en) Wall mount usable with display apparatus
EP1832801A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s
US8047487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djustable supporting unit
US20100171013A1 (en) Moveable mounting system
JP4314295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7707691B2 (en)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 and st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1403937A (zh) 支撑装置以及具有该支撑装置的双显示单元
KR100541283B1 (ko)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US20040256523A1 (en) Monitor apparatus
KR10135651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월마운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