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97959A1 -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97959A1
WO2022097959A1 PCT/KR2021/014430 KR2021014430W WO2022097959A1 WO 2022097959 A1 WO2022097959 A1 WO 2022097959A1 KR 2021014430 W KR2021014430 W KR 2021014430W WO 2022097959 A1 WO2022097959 A1 WO 20220979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frame
upper frame
bracke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44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은아
임지혜
조철용
박혜은
유소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
Priority to EP21889424.4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21190A4/en
Publication of WO20220979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97959A1/ko
Priority to US18/143,175 priority patent/US2023027287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related to installation and use of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used when the display apparatus is installed on a vertical installation surface such as a wall.
  • a display device is a generic term for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a screen for displaying an image by having a display panel.
  • display devices various types of devices are used in various fields.
  •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 the main body of the TV supported on a stand was often used by placing it on a tabletop in a living room.
  • the case of supporting the TV by being mounted on the wall rather than the case of supporting the TV as a stand is increasing.
  • a mounting frame made of metal or the like is used.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TV is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after the mounting frame is first coupled to the wall, the TV can be supported on the wall as a result.
  • the conventional mounting frame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TV of a specific size, it cannot be used to mount a TV of a different size.
  • a dedicated frame for the TV of the corresponding size is required.
  • the size of the TV is identified based on the diagonal length of the screen. For example, a frame frame for a 43-inch TV cannot be used to mount a 65-inch TV.
  • display devices of various sizes can be mounted on the wall through one type of structure, and accessories or peripherals, etc., can be mounted on the wall together with the TV.
  • a device may be required.
  • An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includes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frame, and each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a first holder provided to mount the display device. and a second cradle provided to mount the accessory device.
  •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evice bracke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end mounted on the first holder.
  • the device bracket includes a bracket body that forms a device coupling part fastened with a screw together with a hole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bracket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bracket body and mounted on the first holder.
  • a bracket body that forms a device coupling part fastened with a screw together with a hole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bracket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bracket body and mounted on the first holder.
  • the first holder may have a hook shape
  • the bracket holder may have a ring shape caught by the first holder
  • the upper frame or the lower frame may include a frame body and a spacer protruding from the frame body to form a space between the frame body and the display device.
  • the upper frame or the lower frame may further include a frame bent portion bent from the spacer to cover a horizontal edge of the display device.
  • the accessory device includes a first accessory member supported by the second holder and having a first coupling part, and a second accessory member having a second coupling part detachable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first accessory member.
  •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accessory member may include a magnet coupled to a plate surface
  •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accessory member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capable of being adhered to the magnet.
  • the second accessory member may include a mark indic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 the upper frame is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dge of the display device
  • the lower frame is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dge of the display device
  •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t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up and down.
  • an interval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may correspond to a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device.
  • it may include one or more bars supported by each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length of which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device.
  • a device bracket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is included, wherein the device bracket has a bracket bod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device, and both ends are the upper frame and the It may include a bracket holder provided to be mounted on each of the lower frames.
  • the upper frame or the lower frame may include a hol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wall surface by a screw.
  • the upper frame or the lower frame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cradle parts or a plurality of the second cradle par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symmetrical left and right on the upper frame or the lower frame.
  •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and a processor for process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 the accessory device may be at least one of a decorative plate, a speaker device, and an auxiliary display device.
  • 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ame viewed from the fron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vice bracket is hung on the frame.
  •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frame is tilted.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ructure through which a cable passes in a lower frame.
  •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left region of the frame.
  •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right region of the frame.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ccessory device is additionally mounted on a frame o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 FIG 9 is an exemplary view of an accessory device.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back plate of the accessory device.
  •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plate holder of the back plate viewed from above.
  •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 holder of the back plate is mounted on the frame.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for adjusting the length.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aken along line A-B of FIG. 13 .
  •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length adjustment bars are coupled to the frame.
  • 16 and 17 are perspective views of a device bracket provided to fix a gap between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 18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 1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display device to acquir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n accessory device.
  • 2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device execute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n accessory device.
  • the present expression refers not only to all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but also each one or these excluding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refers to any combination of
  • 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 the apparatus 1 for a display device includes frames 1100 and 1200 and an accessory device 1300 .
  • the frames 1100 and 1200 are provided to be coupled to an installation surface such as a vertical wall, and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are mounted thereon in a state coupl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ccordingly, the frames 1100 and 1200 allow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to be suppor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ogether.
  • the X direction shown in this drawing is a horizontal direction
  • the Y direction is a vertical direction
  • the Z direction is a direction from the wall to the front. The following examples use the definitions of these directions.
  • the display device 1 is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TV.
  • the display device 1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devices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on the screen 201 in addition to the TV, for example, a monitor, a digital signage, an electronic board, an electronic picture frame, and the like.
  • the display device 1 may have the upper and lower corners horizontally arranged, or the upper and lower corners may be arranged verticall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method. In this drawing, the display device 1 having the upper and lower corners horizontally is expressed as being mounted on the frames 1100 and 1200, but the mounted shape of the display device 1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isplay device 1 having the upper and lower corners vertically arranged may also be mounted on the frames 1100 and 1200, and further, the frames 1100 and 1200 display screens of various sizes. It can correspond to the display device (1) with.
  • the display apparatus 1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device 100 that processes an image signal based on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stored therein,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n image based on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00 . (200).
  • the display unit 200 is mounted on the frames 1100 and 1200 .
  • the entire display device 1 is a frame. It is supported at (1100, 1200).
  •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00 perform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various external devices such as a PC, a set-top box, a game console, a multimedia player, etc., performs wide area network communication with a server, or receives a broadcast signal in the form of an RF
  • the video signal is received according to various transmission methods such as Alternatively,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00 may acquire image content data stored in an internal storage.
  •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00 performs image-related processing such as decoding and scaling on the obtained imag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unit 200 .
  •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between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00 and the display unit 200 may be both wired and wireless.
  • the display unit 200 forms a screen 201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00 as an image.
  • the display unit 200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various design methods may b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 the display unit 200 may include a single display panel and a backlight for providing light thereto.
  • the display unit 2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 LED modules are combined in a tile form to form the large screen 201 .
  • the accessory device 130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devices according to the use.
  • the accessory device 1300 may be an accessory plate in which various images are printed on a plate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or may be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peaker device or a display device.
  • the accessory device 1300 has an external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to be aligned with the display device 1 in a state mounted on the frames 1100 and 12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rames 1100 and 1200 in this embodiment include an upper frame 1100 and a lower frame 1200 .
  • the upper frame 1100 (or the first frame) is disposed to extend along the upper edges of each of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are is mounted
  • the lower frame 1200 (or the second frame) is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lower edge of each of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and the lower edge of each of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support from the bottom. Accordingly, the frames 1100 and 1200 stably mount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on the wall.
  •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can be stably supported only by being mounted on the upper frame 1100 , or a separate structure (for example, a shelf or small size) other than the lower frame 1200 .
  • the lower edge of each of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may be supported by a wardrobe, etc.).
  •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are design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have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X-direction axis. That is, the lower frame 1200 may be used by rotating the upper frame 1100 by 180 degrees. Since one structure can be applied to both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efficient production is possible.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ame viewed from the fron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vice bracket is hung on the frame.
  •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extend in parallel along the X direction.
  •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corresponds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device 1 , and this distance may be adjusted.
  • a means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lower frame 1200 has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upper frame 1100 is rotated by 180 degrees.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upper frame 1100 will be described, and the lower frame 1200 corresponds to the case of the upper frame 1100,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upper frame 1100 or the lower frame 1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 the reason why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have a symmetric structure is to allow the user to freely install the display device 1 on the left or right side desired by the user.
  • the upper frame 1100 may include a frame body 1110 .
  • the frame body 1110 extends in parallel along the X direction.
  • the material of the frame body 1110 is not limited, but since it is required to be robust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1,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hardness, such as iron, is used.
  • the mounting surface coupling hole 1120, the first frame holder 1130, the bar coupling part 1140, the horizontal adjustment hole 115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a plurality of mounting surface coupling holes 1120 are provided on the frame body 1110, and are provided so that the frame body 1110 is fastened with a wall surface by a screw.
  • the screw is fastened to the wall surface through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surface coupling holes 1120 , so that the frame body 1110 is supported on the wall surface.
  • the first frame holder 1130 is provided so that a device bracket 1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first frame holder 1130 corresponds to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device bracket 1400 .
  • the first frame holder 1130 protrudes from the frame body 1110 in the Z direction and is bent upward, ie, has a shape similar to an inverted hook structure. Since the end of the device bracket 1400 to be described later has a ring shape, the device bracket 1400 may be stably mounted on the first frame holder 1130 as described above.
  • the structure of the first frame holder 1130 and the device bracket 1400 corresponding thereto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 the first frame holder 1130 has a ring shape
  • the end of the device bracket 1400 has a hook structure, so that it may be provided to be caught on the first frame holder 1130 .
  • the bar coupling part 1140 is a configuration used in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and in this embodiment has a shape of a hole for screw fastening.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 the horizontal adjustment hole 1150 includes a hole extending obliquely to a predetermined length.
  • the two horizontal adjustment holes 1150 are disposed at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nd the size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holes 115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crew to be fastened. Accordingly,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upper frame 1100 can be adjusted by fastening screws to each horizontal adjustment hole 1150 .
  • the upper frame 1100 may include a spacer 1160 .
  • the spacer 1160 is a region protruding from the frame body 1110 in the Z direction. That is, when the display device 1 is mounted on the frame body 1110 , the spacer 1160 is closer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 than the frame body 1110 .
  • the spacer 1160 is disposed in a shape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rame body 1110, bu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rame body 1110 and the spacer 1160 are not limited, and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design method.
  • the spacer 1160 faces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 mounted on the frame body 111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rame body 1110 and the display device 1 . form a space
  • This space is a space in which the device bracket 1400 can be located, and is also a space for a cable port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
  • a second frame holder 1170 is formed on the spacer 1160 .
  • a plurality of second frame holder 1170 is formed on the spacer 1160 ,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is mounted thereon.
  • the second frame holder 1170 includes a hole extending along the X direction, but the structure of the second frame holder 1170 is designed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 Since it is a changeable matter, it is not limited by a specific embodiment.
  • the case in which the second frame holder 1170 is formed on the spacer 1160 is described, but this is only one design example, and the second frame holder 1170 is the frame body ( 1110) is also possible.
  • the upper frame 1100 may include a frame bending part 1180 .
  • the frame bending unit 1180 is bent from the upper edge of the upper frame 1100 in the Z direction (ie, forward or toward the display device 1 ).
  • the frame bent part 1180 is bent from the spacer 1160 .
  • the frame bent part 1180 is bent from the frame body 1110 .
  • the upper frame 1100 covers the upper edge of the mounted display device 1 or the upper edge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
  • the frame body 1210 the installation surface coupling hole 1220, the first frame holder 1230, the bar coupling part 1240, the horizontal adjustment hole 1250, the spacer 1260, A second frame holding part 1270 and a frame bending part 1280 are provided. Since the structure of the lower frame 12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upper frame 1100 , the structure of the upper frame 1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case of the lower frame 1200 as it is.
  • the display device 1 When the display device 1 is mounted, the lower edge of the display device 1 is placed on the -Y direction plate surface of the frame bent portion 1280 of the lower frame 1200 .
  • the device bracket 1400 is mounted on the first frame holder 1130 in a state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 thereby mounting the display device 1 on the upper frame 1100 .
  • the material of the device bracket 1400 is not limited, but includes a metal material such as iron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hardness so that the display device 1 can be mounted thereon.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display device 1 by one device bracket 1400 , and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display device 1 by two or more device brackets 1400 as in this embodiment.
  • the device bracket 1400 includes a bracket body 1410 .
  • the bracket body 1410 includes a device coupling portion 1420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 the device coupling unit 142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depending on how it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
  • a VESA standard hole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 .
  • the device coupling unit 1420 includes a VESA standard hole, and is provided to be fastened to the display device 1 by a screw.
  • the device bracket 1400 includes a bracket holder 1430 .
  • the bracket holder 143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racket body 1410 to be mounted on the first frame holder 1130 .
  • the bracket holder 143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first frame holder 1130 .
  • the bracket holder 1430 is shown to have a ring shape, but the shape of the bracket holder 1430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 the bracket holder 1430 is rota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ody 1410, so that the display device 1 is easily mounted.
  •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frame is tilted.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ructure through which a cable passes in a lower frame.
  • the device bracket 140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 , and the bracket holder 1430 is mounted on the upper frame 1100 .
  • the structure in which the bracket holder 1430 is mounted on the upper frame 1100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 the bracket holder 1430 has a structure that is rotatable in the device bracket 1400 . Therefore, when the user grabs the lower edge of the display device 1 and pulls it in the Z direction, the space under the display device 1 is secured to connect the cable 5 to the port 3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device 1 . be able to
  • the cable 5 includes a power cable and a signal cable.
  • the cable 5 can pass through the space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
  • the cable 5 extends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along the spacer 1160 , and is connected to the port 3 of the display device 1 .
  •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left region of the frame.
  •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right region of the frame.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ccessory device is additionally mounted on a frame o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 the device bracket 1400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is mounted on the upper frame 1100 .
  • the cable 5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 through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they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s 1100 and 1200 ( FIG. 6 ) or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 FIG. 7 ). .
  • the display device 1 is not mounted on the frames 1100 and 1200 and in an empty area (eg, in FIG. 6 ).
  •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each include second frame holders 1170 and 1270 provided for the accessory device 1300 to be mounted thereon.
  • the second frame holders 1170 and 1270 may be provided only in either the upper frame 1100 or the lower frame 1200 . As long as the second frame holder 1170 and 1270 can support the rear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any structure may be applied.
  • the accessory device 1300 is mounted side by side adjacent to the display device 1 in the frames 1100 and 1200 .
  • the accessory device 13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according to use.
  • the accessory device 1300 may be an accessory plate on which an image is printed on the front, a shelf provided to put small tools on the plate, or an electronic device to assist the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1 . can
  • a power supply unit for oper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needs to be provided.
  • the accessory device 1300 may have such a power supply built-in like a typical electronic device.
  •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accessory device 130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frame 1100 or the lower frame 1200 depending on the design method.
  • a power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pow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 a power supply having a power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power is provided in the upper frame 1100 or lower frame 1200 . .
  •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contacts the power output terminal, so that the accessory device 1300 is an upper frame 1100 or a lower frame ( 1200)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provided.
  • FIG 9 is an exemplary view of an accessory device.
  • the accessory device 1300 when the accessory device 1300 is implemented as an accessory plate, the accessory device 1300 includes a double structure of a back plate 1310 and a front plate 1320 .
  • the back plate 1310 is mounted on the frames 1100 and 1200
  • the front plate 1320 is detachable from the back plate 1310 .
  • the user can replace only the front plate 1320 while leaving the back plate 1310 mounted on the frames 1100 and 1200 as it is.
  • a plurality of front plates 1320 on which various images are printed are provided, and the front plate 1320 mounted on the back plate 1310 is replac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ccording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ntire configuration is one-piece, the accessory device 1300 is easy to replace and the cost can be reduced.
  • the back plate 1310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plastic, and wood.
  • a first plate coupling part or a first plate mounting part 1311 for mounting the front plate 13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plate 1310 , that is, on the plate surface facing the front plate 1320 .
  • the front plate 1320 since the first plate mounting part 1311 includes a magnet, the front plate 1320 having a metal material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mounted. Any structur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plate mounting unit 1311 as long as it is within a range capable of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front plate 1320 being detachable from the back plate 1310 .
  • the first plate mounting part 1311 may include a hooking part to which the hook is caught.
  • the front plate 1320 is provided with a second plate coupling part or a second plate mounting part 1321 mounted on the first plate mounting part 1311 of the back plate 1310 on the rear side thereof, and images of various designs are provided on the front side. It may be printed or a shelf may be provided.
  • the front plate 1320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plastic, wood, etc.
  • the second plate mounting part 1321 is the first plate mounting part 1311. It contains a metal material for bonding to.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back plate of the accessory device.
  •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plate holder of the back plate viewed from above.
  •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 holder of the back plate is mounted on the frame.
  • At least one plate holder 1312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late 1310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
  • the plate holder 1312 is provided to be supported by the second frame holder 1170 of the upper frame 1100 (or lower frame).
  • the support structure between the plate holder 1312 and the second frame holder 1170 is not limited.
  • the second frame holder 1170 includes a hole
  • the plate holder 1312 includes a protrusion that can be slidably mount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frame holder 1170 .
  • the plate holder 1312 protrudes in the -Z direction, and the end thereof is bent in the X direction.
  • the plate holder 1312 slides in the X direction after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frame holder 1170 , the second frame holder in the space between the end of the plate holder 1312 and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late 1310 .
  • the edge of (1170) is hung. Accordingly, the accessory device 1300 is caught on the upper frame 1100 . If the back plate 1310 is to be separated,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reversed.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for adjusting the length.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aken along line A-B of FIG. 13 .
  • the length adjustment bar 150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bar 1510 and the first bar 1510 and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r 1510. and a second bar 1520 provided to do so.
  • the first bar 1510 and the second bar 1520 extend along the Y direction.
  • the first bar 1510 has a receiving space extending along the Y direction therein, and the end of the second bar 15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slides along the Y direction.
  • the first bar 1510 accommodates the second bar 1520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second bar 1520 ,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 bar 1520 from being separated. Accordingly, the overall length of the bar 1500 for adjusting the length is variable.
  • the first bar 1510 includes a first bar end coupling part 1511 that is formed in one region of an end in the -Y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bar coupling part 1140 of the upper frame 1100 .
  • the first bar end coupling part 1511 and the bar coupling part 1140 each include a hole, and may be fastened together by a screw.
  • the first bar 1510 includes a length fixing part 1512 formed in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ar end coupling part 1511 in the Y direction.
  • the length fixing unit 1512 fixes the entire length of the length adjustment bar 1500 by fixing the second bar 1520 not to slide any more with respect to the first bar 151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length fixing unit 1512 includes a hole provided to be fastened with any one of a plurality of vertical length adjusting units 1522 to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bar 1520 includes a second bar end coupling part 1521 formed in one region of the Y-direction end and coupled to the bar coupling part 1240 of the lower frame 1200 .
  • the second bar end coupling part 1521 and the bar coupling part 1240 each include a hole, and may be fastened together by a screw.
  • the second bar 152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length adjusting parts 1522 sequentiall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ar end coupling part 1521 in the -Y direction.
  • the plurality of vertical length adjustment units 1522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redefined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device.
  • the vertical length adjusting unit 1522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device of 32 inches, 43 inches, 50 inches, 55 inches, and 65 inches.
  • the total length of the length adjustment bar 1500 corresponds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device of 590 inches will do
  • the screw is loosened, the entire length of the bar 1500 for length adjustmen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changed again.
  •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length adjustment bars are coupled to the frame.
  •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extend long in the X direction, and have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 Two length adjustment bars 1500 adjusted to the same length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re provided, and any one length adjustment bar 1500 fixes the gap between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left edge and , the other bar for length adjustment 1500 fixes the gap between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right edge.
  • the length adjustment bar 1500 can be stably fixed afte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to a required value.
  • a method of stably fixing the gap between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is not limited to the length adjustment bar 1500 .
  • different methods of fixing the gap between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will be described.
  • 16 and 17 are perspective views of a device bracket provided to fix a gap between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 the device bracket 1600 includes a bracket body 1610 in which the device coupling part 1620 is formed.
  • the device bracket 16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device bracket 1400 (see FIG. 3)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is applied by replacing the device bracket 1400 (see FIG. 3) and the length adjustment bar 1500 It is a possible configuration.
  • the device bracket 1600 is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1 through the device coupling unit 1620 .
  • the bracket holder 16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bracket body 1610 and from the first frame holder 1130 of the upper frame 1100 to the first frame holder 1230 of the lower frame 1200. It includes a rectangular ring elongated along the Y direction.
  • the first frame holder 1130 of the upper frame 1100 has an upward hook shape
  • the first frame holder 1230 of the lower frame 1200 has a downward hook shape.
  • the -Y direction end of the bracket holder 1630 is caught by the upward hook of the first frame holder 1130 of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Y direction end of the bracket holder 1630 is the second of the lower frame 1200. 1 is caught on the downward hook of the frame holder (1230).
  • the Y-direction length of the bracket holder 1630 corresponds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device 1 .
  • a plurality of device brackets 1600 having the bracket holder 1630 extended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1 may be provided.
  • the device bracket 1600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device 1 to be mounted on the frames 1100 and 1200 the gap between the upper frame 1100 and the lower frame 1200 can be stably supported. .
  •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are mounted on the frames 1100 and 1200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display device 1 operates corresponding to the accessory device 1300 mounted together. may be arranged to perform.
  • the display device 1 operates corresponding to the accessory device 1300 mounted together. may be arranged to perform.
  • 18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 the display device 1 includes a fixed display device including a TV, a monitor, a digital signage, an electronic board, an electronic picture frame, and the like.
  • the display device 1 is described as an integrated device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accommodated in one housing. reference) and the display unit 200 (refer to FIG. 1 ).
  • the display unit 20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00 (refer to FIG. 1 ),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 the image processing device 100 (refer to FIG. 1 ).
  • the display unit 2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0 .
  •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10 .
  • the interface unit 10 includes an interface circuit for the display device 1 to communicat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an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 the interface unit 10 includes at least one of one or more wired interface units 11 for a wired communication connection or one or more wireless interface units 12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according to a connection method.
  • the wired interface unit 11 includes a connector or port to which a cable of a predefined transmission standard is connected.
  • the wired interface unit 11 includes a port to which a terrestrial or satellite broadcasting antenna is connected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or a cable for cable broadcasting is connected.
  • the wired interface unit 11 is a port to which cables of various wired transmission standards such as HDMI, DP (DisplayPort), DVI, component, composite, S-Video, and Thunderbolt are connected to connect with various image processing devices.
  • the wired interface unit 11 includes a USB standard port for connecting to a USB device.
  • the wired interface unit 11 includes an optical port to which an optical cable is connected.
  • the wired interface unit 11 includes an audio input port to which an external microphone is connected, and an audio output port to which a headset, earphone, external speaker, and the like are connected.
  • the wired interface unit 11 includes an Ethernet port connected to a gateway, a router, a hub, or the like to access a wide area network.
  • the wireless interface unit 12 includes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ircuit including at least one of components such as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mmunication chip corresponding to various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the wireless interface unit 12 includes a Wi-Fi communication chip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AP (Access Point) according to a Wi-Fi method, Bluetooth, Zigbee, Z-Wave, WirelessHD, WiGig, NFC, etc. It includes a communication chip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 IR module for IR communic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chip for performing mobile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20 may include a display unit 20 .
  • the display unit 20 forms a screen for displaying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processor 270 as an image.
  • the display unit 20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various design methods may b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 the display unit 2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having a light-receiving structure such as liquid crystal and a backlight providing light thereto.
  • the display unit 2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having a self-luminous structure such as an OLED.
  • the display unit 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 LED modules are combined in a tile form to form a large screen.
  •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30 .
  • the user input unit 30 includes various types of user input interface related circuits that are provided to allow a user to manipulate the user in order to perform a user input.
  • the user input unit 3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isplay device 1 , for example, a mechanical button unit or an electronic button unit of the display device 1 ; various types of sensors; touchpad; a touch screen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20; There is an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mouse, and remote controller that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1 and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0 .
  •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storage unit 140 .
  • the storage unit 140 stores digitized data.
  • the storage unit 140 is loaded with data to be processed by the processor 170 and if power is not provided, one or more memories 41 having a volatile property that data cannot be stored, and whether or not power is provided and one or more storage (storage) 42 having non-volatile properties capable of preserving data regardless of .
  • the memory 41 includes a buffer,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the like, and the storage 42 includes a flash-memory, a hard-disc drive (HDD), and a solid-state drive (SSD). ROM (Read Only Memory), etc.
  •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processor 50 .
  • the processor 50 includes one or more hardware processors implemented with a CPU, a chipset, a buffer, a circuit, etc.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ystem on chip (SOC) depending on a design method.
  • the processor 50 includes modules corresponding to various processes such as a demultiplexer, a decoder, a scaler, an audio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d an amplifier to display image content as an image. do.
  • some or all of these modules may be implemented as SOC.
  • a module related to image processing such as a demultiplexer, decoder, and scaler may be implemented as an image processing SOC
  • an audio DSP may be implemented as a chipset separate from the SOC.
  • the processor 50 may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and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50 may automatically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that is an accessory plate on the display unit 20 . Alternatively, the processor 50 may automatically execute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that is an electronic device.
  •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1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display device to acquir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n accessory device.
  •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are mounted on frames 1100 and 1200 .
  • the structure on which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are mounted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 the accessory device 1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accessory plate, in which a predetermined image is printed on the front surface.
  • the display device 1 When the display device 1 is in a standby state that does not display a broadcast image, the display device 1 may maintain a state of a black screen that does not display any image. Alternatively, the display device 1 may operate in an ambient mode. For example, if the user is not detected during the standby state, the state of the black screen is maintained, but when the user is detected, a preset standby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displayed
  • the display device 1 may provide a more improved aesthetic environment to the user by displaying a standby image corresponding to (or matching, harmonious) the image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
  • the accessory device 1300 has a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
  •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near-field communication (NFC) tag or QR code on one surface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and this mark 1321 indic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 the mobile device 181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ark 1321 using a self-equipped sensor (eg, NFC reader, camera, etc.).
  • the mobile device 1810 transmits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820 that manages the user account and the electronic device. 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1810 may send the user account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820 .
  • the server 1820 may use the user accou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1810 to identify the target display device 1 (eg, a display belonging to the same user account as the mobile device 1810 ). Identifies the device (1)). Also, the server 1820 identifi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1810 . The server 1820 may have or obtain a DB of variou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y acquire the image data through a DB search. The server 1820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data to the display device 1 .
  • the target display device 1 eg, a display belonging to the same user account as the mobile device 1810 . Identifies the device (1)). Also, the server 1820 identifi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1810 . The server 1820 may have or obtain a DB of variou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y acquire the image data through a DB search. The server 1820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data to the display device 1 .
  • the display device 1 processe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1820 to display a standby image.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 can display a standby image matching the image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in the ambient mode.
  • the mobile device 1810 acqui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ark 1321
  • the acquisition method is variously provided according to the design method.
  • a remote controller belonging to the display device 1 may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mobile device 1810 may transmit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 instead of the server 1820 .
  • the display device 1 may send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820 .
  • the display device 1 may acquire image data from a DB provided by itself, without going through the server 1820 .
  •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may be perform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device.
  • the display device 1 may receive captured data of an image printed on the front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from an external device having a camera.
  • the display device 1 may use artificial intelligence to generate a matching standby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captured data.
  • the display device 1 performs at least a part of data analysis, processing, and result information generation fo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as a rule-based or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such as machine learning, a neural network, or a deep This may be performed using at least one of the learning algorithms.
  • a rule-based or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processor of the display device 1 ma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learning unit and the recognition unit together.
  • the learning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a learned neural network
  • the recognition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f recognizing (or inferring, predicting, estimating, determining) data using the learned neural network.
  • the learning unit may create or update the neural network.
  • the learning unit may acquire learning data to generate a neural network.
  • the learning unit may acquire the learning data from a storage unit of the display device 1 or from the outside.
  • the learning data may be data used for learning of the neural network, and the neural network may be trained by using the data obtained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s learning data.
  • the learning unit may perform a preprocessing operation on the acquired training data before training the neural network using the training data, or may select data to be used for learning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ining data. For example, the learning unit may process the learning data into a preset format, filter it, or add/remove noise to process the learning data into a form suitable for learning.
  • the learner may generate a neural network set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by using the preprocessed learning data.
  • the learned neural network network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neural network networks (or layers). Nodes of the plurality of neural networks have weights, and the plurality of neural network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n output value of one neural network is used as an input value of another neural network.
  • Examples of neural networks includ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Deep Neural Network (D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Deep Belief Network (DB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and It can include models such as Deep Q-Networks.
  • the recognizer may acquire target data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 the target data may be obtained from a storage unit of the display device 1 or from the outside.
  • the target data may be data to be recognized by the neural network.
  • the recognizer may perform a preprocessing operation on the acquired target data before applying the target data to the learned neural network, or select data to be used for recogni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arget data.
  • the recognition unit may process the target data into a preset format, filter it, or add/remove noise to process the target data into a form suitable for recognition.
  • the recognizer may obtain an output value output from the neural network by applying the preprocessed target data to the neural network.
  • the recognition unit may obtain a probability value or a reliability value together with the output value.
  •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is not limited to the display of the standby image in the above-described ambient mode. Hereinafter, such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2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device execute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n accessory device.
  •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are mounted on frames 1100 and 1200 .
  • the structure on which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are mounted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 the accessory device 1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as a display device, a speaker device, and other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 the accessory device 13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 .
  • the accessory device 1300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 through a separate external device or communication hub.
  •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accessory device 1300 may communicate based o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Zigbee, and Wi-Fi, for example.
  • a contact por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accessory device 1300 and the display device 1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frame 1100 or the lower frame 1200 .
  • the interface terminal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and the interface terminal of the display device 1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respectively.
  • Communication between the accessory device 1300 and the display device 1 is possible through the interface terminal and contact part of the The display device 1 may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ccessory device 1300 through the contact unit as described above.
  • the display device 1 may execute a preset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
  • the display device 1 executes a multimedia playback application to display an application screen 1900 for controlling audio playback.
  • the display device 1 transmits image data to the accessory device 1300 .
  • the display device 1 moves the control menu to the scree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
  • the display device 1 moves some of the content images to the scree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
  • the display device 1 may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1300 .
  • Method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 These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 a computer-readable medium whether removable or rewritable, may be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USB memory device, or memory, such as, for example, RAM, ROM, flash memory, memory chips, integrated circuits, or
  • it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that is both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such as a CD, DVD, magnetic disk, or magnetic tape, and which can be read by a machine (eg, a computer).
  • a memory that may be included in a mobile terminal is an example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a program or programs includ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is storag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program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는, 상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 이격되게 배치된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각각은, 디스플레이기기가 거치되도록 마련된 제1거치부와, 악세사리기기가 거치되도록 마련된 제2거치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한 가지 형태의 구조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기기를 벽면에 거치시킬 수 있으면서도, 악세사리 또는 주변기기 등을 TV와 함께 벽면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기의 설치 및 사용에 관련된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벽면과 같이 수직한 설치면에 디스플레이기기를 설치할 경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기기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전자기기를 통칭한다. 디스플레이기기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는 바, 소형기기의 분야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기기 등이 있고, 중대형기기의 분야에서는 TV, 모니터, 전자칠판,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있다.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TV의 경우를 예로 들면, 과거에는 스탠드 상에 지지되는 TV의 본체를 거실의 탁상 위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점차로 TV의 화면이 대형화되는 추세에 따라서, TV를 스탠드로 지지하는 경우보다는 벽면에 거치시켜 지지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TV를 벽면에 지지시키기 위해서는, 금속 등으로 마련된 거치프레임이 사용된다. 이러한 거치프레임이 먼저 벽면에 결합된 이후에 TV가 거치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결과적으로 TV가 벽면에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거치프레임은 특정한 크기의 TV에 대응하게 마련되므로 상이한 크기의 TV를 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다. 소정 크기의 TV를 벽면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해당 크기의 TV를 위한 전용 거치프레임을 필요로 한다. 통상적으로 TV의 크기는 화면의 대각선 길이를 기준으로 식별하는데, 예를 들어 43인치의 TV를 위한 거치프레임은 65인치의 TV를 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다.
또한, 벽면에 거치된 TV 주변에, 다양한 이유(미관적 관점, 기능의 확장 등)에 따라서 별도의 인테리어용 악세사리 또는 주변기기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악세사리 또는 주변기기를 TV 주변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해당 악세사리 또는 주변기기를 거치하기 위해 마련된 전용 거치프레임이 있어야 한다.
이에, 상기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한 가지 형태의 구조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기기를 벽면에 거치시킬 수 있으면서도, 악세사리 또는 주변기기 등을 TV와 함께 벽면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이격되게 배치된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각각은, 디스플레이기기가 거치되도록 마련된 제1거치부와, 악세사리기기가 거치되도록 마련된 제2거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거치부에 거치되도록 마련된 기기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기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 후면의 홀과 함께 스크루에 의해 체결되는 기기결합부를 형성하는 브래킷본체와, 상기 브래킷본체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거치부에 거치되는 브래킷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거치부는 후크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브래킷거치부는 상기 제1거치부에 걸리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은,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기기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본체로부터 돌출된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수평방향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상기 스페이서로부터 절곡된 프레임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세사리기기는, 상기 제2거치부에 지지되며 제1결합부를 가지는 제1악세사리부재와, 상기 제1악세사리부재의 상기 제1결합부에 착탈 가능한 제2결합부를 가지는 제2악세사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악세사리부재의 상기 제1결합부는, 판면 상에 결합된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악세사리부재의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자석에 접착될 수 있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악세사리부재는, 상기 악세사리기기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상측모서리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하측모서리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하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수직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각각에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수직길이에 대응하여 길이를 조정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에 결합된 기기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기기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 후면에 결합되는 브래킷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수직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양단이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각각에 거치되도록 마련된 브래킷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은 스크루에 의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제1거치부 또는 복수의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서 좌우 대칭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기기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악세사리기기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세사리기기는 장식용 플레이트, 스피커장치, 또는 보조 디스플레이기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프레임을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프레임에 기기브래킷이 걸려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프레임에 거치된 디스플레이기기를 틸팅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하측프레임에서 케이블이 지나가는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레임의 좌측영역에 거치된 디스플레이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프레임의 우측영역에 거치된 디스플레이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기기가 거치된 프레임에 악세사리기기를 추가 거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악세사리기기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악세사리기기의 백플레이트의 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백플레이트의 플레이트거치부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백플레이트의 플레이트거치부를 프레임에 장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길이조정용 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B 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두 개의 길이조정용 바가 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 및 17은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고정시키게 마련된 기기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디스플레이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9는 디스플레이기기가 악세사리기기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0은 디스플레이기기가 악세사리기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1)는 프레임(1100, 1200)과 악세사리기기(130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0, 1200)은 수직한 벽면 등의 설치면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설치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가 거치되도록 마련된다. 이로써, 프레임(1100, 1200)은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가 함께 설치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본 도면 상에 나타난 X 방향은 수평방향이며, Y 방향은 수직방향이다. 본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Z 방향은 벽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방향의 정의를 사용한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다. 또는, 디스플레이기기(1)는 TV 이외에도 화면(201) 상에 영상을 표시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장치, 예를 들면 모니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전자칠판, 전자액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설치 방식에 따라서 상하모서리가 수평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상하모서리가 수직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하모서리가 수평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기기(1)가 프레임(1100, 1200)에 거치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기기(1)의 거치된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1100, 1200)의 설치 형태에 따라서, 상하모서리가 수직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기기(1) 또한 프레임(1100, 1200)에 거치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 프레임(1100, 1200)은 다양한 크기의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기기(1)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자체 저장된 영상컨텐트에 기반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와,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구조의 디스플레이기기(1)의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00)가 프레임(1100, 1200)에 거치된다. 한편, 영상처리 디바이스(100) 및 디스플레이부(200)가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형태의 단일 개체의 구조로 마련된 디스플레이기기(1)인 경우에, 디스플레이기기(1) 전체가 프레임(1100, 1200)에 지지된다.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는 PC, 셋탑박스, 게임콘솔(game console),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거나, 서버와 광역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거나, RF 형태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등의 다양한 전송방식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또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는 내부의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컨텐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영상신호에 디코딩, 스케일링 등과 같은 영상 관련 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출력한다. 영상처리 디바이스(100) 및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의 신호 전송 방식은 유선 및 무선이 모두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화면(201)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데,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는 여러 가지 설계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00)는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20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이 타일 형태로 조합되어 대화면(201)을 형성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한편, 악세사리기기(1300)는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기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악세사리기기(1300)는 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이미지가 판면 상에 프린팅된 악세사리 플레이트일 수도 있고, 또는 스피커장치나 디스플레이장치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악세사리기기(1300)는 프레임(1100, 1200)에 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기기(1)와 나란히 정렬될 수 있도록 사각형 플레이트의 외형을 가진다. 악세사리기기(130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1100, 1200)은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을 포함한다. 상측프레임(1100)(또는 제1프레임)은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 각각의 상측모서리를 따라서 연장되게 배치되며, 디스플레이기기(1)의 상부 및 악세사리기기(1300)의 상부가 거치된다. 하측프레임(1200)(또는 제2프레임)은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 각각의 하측모서리를 따라서 연장되게 배치되며,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 각각의 하측모서리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이로써, 프레임(1100, 1200)은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를 벽면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킨다.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상측프레임(1100)만이 마련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측프레임(1100)에 거치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거나, 하측프레임(1200)이 아닌 별도의 구조물(예를 들면 선반이나 소형 옷장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 각각의 하측모서리가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측프레임(1100)과 하측프레임(120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되는 바, X 방향 축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하측프레임(1200)은 상측프레임(1100)을 180도 회전시켜 사용하면 된다. 하나의 구조가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이하, 프레임(1100, 1200)의 세부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프레임을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프레임에 기기브래킷이 걸려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은 X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기기(1)의 수직길이에 대응하며, 이 거리는 조정될 수 있다.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고정시키는 수단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하측프레임(1200)은 상측프레임(1100)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측프레임(1100)을 180도 회전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프레임(1100)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하측프레임(1200)은 상측프레임(1100)의 경우에 준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측프레임(1100) 또는 하측프레임(120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Y 방향 축선을 중앙선이라고 할 때, 상측프레임(1100) 또는 하측프레임(1200)은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대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이 좌우대칭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디스플레이기기(1)를 사용자가 원하는 좌측 또는 우측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측프레임(1100)은 프레임본체(1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본체(1110)는 X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프레임본체(111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나, 디스플레이기기(1)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견고함이 요구되므로, 철 등과 같이 강도 및 경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이 사용된다. 프레임본체(1110) 상에는 프레임본체(1110)의 길이방향, 즉 X 방향을 따라서, 설치면결합홀(1120), 제1프레임거치부(1130), 바 결합부(1140), 수평조정홀(1150)의 구성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설치면결합홀(1120)은 프레임본체(1110) 상에 복수 개가 마련되며, 벽면과 함께 프레임본체(1110)가 스크루에 의해 체결되도록 마련된다. 프레임본체(1110)의 후면이 벽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복수의 설치면결합홀(1120)을 통해 스크루가 벽면에 체결됨으로써, 프레임본체(1110)는 벽면에 지지된다.
제1프레임거치부(1130)는 후술할 기기브래킷(1400)이 거치되도록 마련된다. 제1프레임거치부(1130)의 구조 및 형상은 기기브래킷(1400)의 구조 및 형상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제1프레임거치부(1130)는 프레임본체(1110)로부터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향 절곡된 형상, 즉 뒤집어진 후크 구조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후술할 기기브래킷(1400)의 단부가 고리 형상을 가지는 바, 기기브래킷(1400)은 이와 같은 제1프레임거치부(113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프레임거치부(1130) 및 이에 대응하는 기기브래킷(14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프레임거치부(1130)가 고리 형상을 가지고, 기기브래킷(1400)의 단부가 후크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프레임거치부(1130)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바 결합부(1140)는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구조에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루 체결을 위한 홀의 형상을 가진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수평조정홀(1150)은 소정 길이로 경사지게 연장된 홀을 포함한다. 두 개의 수평조정홀(1150)은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수평조정홀(1150)의 크기는 체결되는 스크루의 직경보다 크다. 이로써, 각 수평조정홀(1150)에 스크루를 체결하여 상측프레임(1100)의 수평위치를 맞출 수 있게 마련된다.
상측프레임(1100)은 스페이서(11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1160)는 프레임본체(1110)로부터 Z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이다. 즉, 디스플레이기기(1)가 프레임본체(1110)에 거치될 때, 스페이서(1160)는 프레임본체(1110)보다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면에 접근한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1160)가 프레임본체(1110)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지만, 프레임본체(1110) 및 스페이서(1160)의 상대적 위치는 한정되는 사항이 아니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프레임본체(1110)가 벽면에 접촉할 때, 스페이서(1160)는 프레임본체(1110)에 거치된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면을 마주하며 프레임본체(1110) 및 디스플레이기기(1)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은 기기브래킷(1400)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며, 또한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방에 설치되는 케이블 포트를 위한 공간이기도 하다. 스페이서(1160) 상에는 제2프레임거치부(1170)가 형성된다.
제2프레임거치부(1170)는 스페이서(1160)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악세사리기기(1300)가 거치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프레임거치부(1170)가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홀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2프레임거치부(1170)의 구조는 악세사리기기(1300)의 거치 구조에 대응하여 설계 변경이 가능한 사항이므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프레임거치부(1170)가 스페이서(1160) 상에 형성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이는 하나의 설계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제2프레임거치부(1170)가 프레임본체(1110) 상에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측프레임(1100)은 프레임절곡부(118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절곡부(1180)는 상측프레임(1100)의 상측모서리로부터 Z 방향을 향해(즉, 전방 또는 디스플레이기기(1)를 향해) 절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프레임(1100)의 상측모서리가 스페이서(1160)에 의해 형성되므로, 프레임절곡부(1180)는 스페이서(1160)로부터 절곡된다. 다만, 상측프레임(1100)의 상측모서리가 프레임본체(1110)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프레임절곡부(1180)는 프레임본체(1110)로부터 절곡된다. 상측프레임(1100)은 거치된 디스플레이기기(1)의 상측모서리 또는 악세사리기기(1300)의 상측모서리를 커버한다.
또한, 하측프레임(1200)에도 프레임본체(1210), 설치면결합홀(1220), 제1프레임거치부(1230), 바 결합부(1240), 수평조정홀(1250), 스페이서(1260), 제2프레임거치부(1270), 프레임절곡부(1280)가 마련된다. 하측프레임(1200)의 구조는 상측프레임(1100)과 동일하므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측프레임(1100)의 구조는 하측프레임(1200)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가 거치될 때, 디스플레이기기(1)의 하측모서리는 하측프레임(1200)의 프레임절곡부(1280)의 -Y방향 판면 상에 놓이게 된다.
이하, 기기브래킷(140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기기브래킷(1400)은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방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거치부(1130)에 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기기(1)를 상측프레임(1100)에 거치시킨다. 기기브래킷(140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나, 디스플레이기기(1)를 거치 가능하도록 강도 및 경도가 우수한 철 등의 금속 재질을 포함한다. 하나의 기기브래킷(1400)에 의해 디스플레이기기(1)를 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본 실시예와 같이 둘 이상의 기기브래킷(1400)에 의해 디스플레이기기(1)를 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기기브래킷(1400)은 브래킷본체(1410)를 포함한다. 브래킷본체(1410) 상에는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방에 결합되게 마련된 기기결합부(1420)를 포함한다. 기기결합부(1420)는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방에 어떠한 방식으로 결합되는가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면에는 VESA 규격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기기결합부(1420)는 VESA 규격의 홀을 포함함으로써, 스크루에 의해 디스플레이기기(1)에 체결되도록 마련된다.
기기브래킷(1400)은 브래킷거치부(1430)를 포함한다. 브래킷거치부(1430)는 브래킷본체(1410)의 단부에, 제1프레임거치부(1130)에 거치되도록 마련된다. 브래킷거치부(1430)는 제1프레임거치부(1130)의 형상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브래킷거치부(1430)가 고리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내지만, 브래킷거치부(1430)의 형상이 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브래킷거치부(1430)는 브래킷본체(14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디스플레이기기(1)의 거치가 용이하도록 마련된다.
이하, 프레임(1100, 1200)에 디스플레이기기(1)가 거치될 때, 디스플레이기기(1) 후방에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프레임에 거치된 디스플레이기기를 틸팅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하측프레임에서 케이블이 지나가는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면에 기기브래킷(1400)이 결합되고, 브래킷거치부(1430)가 상측프레임(1100)에 거치시킨다. 브래킷거치부(1430)가 상측프레임(1100)에 거치되는 구조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브래킷거치부(1430)는 기기브래킷(1400)에서 회동 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기기(1)의 하측모서리를 잡고 Z 방향으로 당기면, 디스플레이기기(1)의 하측의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디스플레이기기(1) 하측에 마련된 포트(3)에 케이블(5)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케이블(5)은 전원케이블 및 신호케이블을 포함한다. 하측프레임(1200)에서는 스페이서(1260)에 의해 본체프레임(1210) 및 디스플레이기기(1)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 공간을 통해 케이블(5)이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방으로 지나갈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5)은 스페이서(1160)를 따라서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디스플레이기기(1)의 포트(3)에 연결된다. 케이블(5)의 연장 및 연결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기기(1)의 하측모서리를 -Z 방향으로 밀면, 디스플레이기기(1)는 정상적으로 거치된다.
도 6은 프레임의 좌측영역에 거치된 디스플레이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프레임의 우측영역에 거치된 디스플레이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기기가 거치된 프레임에 악세사리기기를 추가 거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방에 결합된 기기브래킷(1400)이 상측프레임(1100)에 거치된다. 또한, 하측프레임(1200)의 스페이서(126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케이블(5)이 디스플레이기기(1)의 후방을 지나서 디스플레이기기(1)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은 좌우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프레임(1100, 1200)의 좌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도 6)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도 7).
여기서, 프레임(1100, 1200)의 전체 길이보다 디스플레이기기(1)의 가로길이가 짧기 때문에, 프레임(1100, 1200)에서 디스플레이기기(1)가 거치되지 않고 빈 영역(예를 들면, 도 6에서 디스플레이기기(1)의 우측의 영역 및 도 7에서 디스플레이기기(1)의 좌측의 영역)이 발생한다. 이 영역에는, 악세사리기기(1300)가 거치된다.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은 악세사리기기(1300)가 거치되도록 마련된 제2프레임거치부(1170, 1270)을 각각 포함한다.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2프레임거치부(1170, 1270)는 상측프레임(1100) 또는 하측프레임(1200)의 어느 하나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제2프레임거치부(1170, 1270)는 악세사리기기(1300)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될 수 있다.
악세사리기기(1300)는 프레임(1100, 1200)에서 디스플레이기기(1)에 나란히 인접하게 거치된다. 악세사리기기(1300)는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악세사리기기(1300)는 전면에 이미지가 프린팅된 악세사리 플레이트이거나, 플레이트 상에 소도구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선반이거나, 디스플레이기기(1)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전자장치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악세사리기기(1300)가 전자장치로 마련되는 경우에, 악세사리기기(1300)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부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악세사리기기(1300)는 통상적인 전자장치와 같이 이러한 전원공급부를 내장할 수 있다. 또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악세사리기기(1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상측프레임(1100) 또는 하측프레임(120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악세사리기기(1300)의 후방에는 전원이 입력되기 위한 전원입력단자가 마련되며, 상측프레임(1100) 또는 하측프레임(1200)에는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출력단자를 가진 전원공급부가 마련된다. 악세사리기기(1300)가 프레임(1100, 1200)에 거치될 때 악세사리기기(1300)의 전원입력단자가 상기한 전원출력단자에 접촉함으로써, 악세사리기기(1300)는 상측프레임(1100) 또는 하측프레임(1200)에 마련된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 악세사리기기(1300)의 구조의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악세사리기기의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세사리기기(1300)가 악세사리 플레이트로 구현되는 경우에, 악세사리기기(1300)는 백플레이트(1310)와 프론트플레이트(1320)의 이중 구조를 포함한다. 백플레이트(1310)는 프레임(1100, 1200)에 거치되는 구성이며, 프론트플레이트(1320)는 백플레이트(1310)에 착탈 가능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이중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프레임(1100, 1200)에 거치된 백플레이트(1310)는 그대로 두고, 프론트플레이트(1320)만을 교체할 수 있다. 다양한 이미지가 프린팅된 복수의 프론트플레이트(1320)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백플레이트(1310)에 장착되는 프론트플레이트(1320)가 교체되어 사용된다. 이로써, 구성 전체가 일체형인 경우에 비해, 악세사리기기(1300)는 교체가 용이하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백플레이트(1310)는 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백플레이트(1310)의 전면, 즉 프론트플레이트(1320)와 마주하는 판면 상에는 프론트플레이트(1320)가 장착되기 위한 제1플레이트결합부 또는 제1플레이트장착부(131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플레이트장착부(1311)가 자석을 포함함으로써, 금속 재질을 가진 프론트플레이트(1320)가 장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제1플레이트장착부(1311)는 프론트플레이트(1320)가 백플레이트(1310)에 착탈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플레이트(1320)의 후방에 후크가 형성되는 경우, 제1플레이트장착부(1311)는 이 후크가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20)는 그 후면에 백플레이트(1310)의 제1플레이트장착부(1311)에 장착되는 제2플레이트결합부 또는 제2플레이트장착부(1321)가 마련되고, 그 전면에 다양한 디자인의 이미지가 프린팅되거나 또는 선반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20)는 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플레이트장착부(1311)가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2플레이트장착부(1321)는 제1플레이트장착부(1311)에 접착되기 위한 금속 재질을 포함한다.
도 10은 악세사리기기의 백플레이트의 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백플레이트의 플레이트거치부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백플레이트의 플레이트거치부를 프레임에 장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세사리기기(1300)의 백플레이트(131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거치부(1312)가 마련된다. 플레이트거치부(1312)는 상측프레임(1100)(또는 하측프레임)의 제2프레임거치부(1170)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플레이트거치부(1312) 및 제2프레임거치부(1170) 사이의 지지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프레임거치부(1170)가 홀을 포함하고, 플레이트거치부(1312)가 제2프레임거치부(1170)에 수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하여 장착 가능한 돌기를 포함한다.
플레이트거치부(1312)는 -Z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가 X 방향으로 절곡된다. 플레이트거치부(1312)가 제2프레임거치부(1170)에 수용된 이후에 X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플레이트거치부(1312)의 단부 및 백플레이트(1310)의 후면 사이의 공간에 제2프레임거치부(1170)의 가장자리가 걸린다. 이로써, 악세사리기기(1300)는 상측프레임(1100)에 걸린다. 백플레이트(13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을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
이하,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디스플레이기기의 수직길이에 맞게 조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길이조정용 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B 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정용 바(1500)는 제1바(1510)와, 제1바(1510)에 수용되며 제1바(15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하게 마련된 제2바(1520)를 포함한다. 제1바(1510) 및 제2바(1520)는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1바(1510)는 그 내부에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제2바(1520)의 단부가 이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Y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제1바(1510)는 제2바(1520)를 수용함에 있어서 제2바(1520)의 둘레를 감싸도록 수용함으로써, 제2바(15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길이조정용 바(1500)의 전체 길이는 가변이 가능하다.
제1바(1510)는 -Y 방향 단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측프레임(1100)의 바 결합부(1140)에 결합되는 제1바 단부결합부(1511)를 포함한다. 제1바 단부결합부(1511) 및 바 결합부(1140)는 각각 홀을 포함하며, 스크루에 의해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제1바(1510)는 제1바 단부결합부(1511)로부터 Y 방향으로 이격된 일 영역에 형성된 길이고정부(1512)를 포함한다. 길이고정부(1512)는 제2바(1520)가 소정 위치에서 제1바(1510)에 대해 더 이상 슬라이드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길이조정용 바(1500)의 전체 길이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고정부(1512)는 후술할 복수의 수직길이조정부(1522)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도록 마련된 홀을 포함한다.
제2바(1520)는 Y 방향 단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며 하측프레임(1200)의 바 결합부(1240)에 결합되는 제2바 단부결합부(1521)를 포함한다. 제2바 단부결합부(1521) 및 바 결합부(1240)는 각각 홀을 포함하며, 스크루에 의해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제2바(1520)는 제2바 단부결합부(1521)로부터 -Y 방향으로 순차 이격된 복수의 수직길이조정부(1522)를 포함한다. 복수의 수직길이조정부(1522)는 사전에 정의된 디스플레이기기의 수직길이에 각기 대응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수직길이조정부(1522)는 32인치, 43인치, 50인치, 55인치, 65인치의 디스플레이기기의 수직길이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길이고정부(1512)의 위치가 50인치에 대응하는 수직길이조정부(1522)에 맞추어지고, 스크루에 의해 함께 체결되면, 길이조정용 바(1500)의 전체 길이는 590인치의 디스플레이기기의 수직길이에 대응하게 된다. 상기한 스크루가 풀리면, 길이조정용 바(1500)의 전체 길이가 다시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5는 두 개의 길이조정용 바가 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은 X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며, 중앙선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구조를 가진다. 앞선 실시예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조정된 두 개의 길이조정용 바(1500)가 마련되며, 어느 하나의 길이조정용 바(1500)는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 좌측 가장자리의 간격을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길이조정용 바(1500)는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 우측 가장자리의 간격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서, 길이조정용 바(1500)는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 사이의 간격을 요구되는 수치로 조정한 이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은 길이조정용 바(1500)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 사이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상이한 방식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상측프레임 및 하측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고정시키게 마련된 기기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브래킷(1600)은 기기결합부(1620)가 형성된 브래킷본체(16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브래킷(1600)은, 앞선 실시예에서의 기기브래킷(1400, 도 3 참조)와는 상이하며, 기기브래킷(1400, 도 3 참조) 및 길이조정용 바(1500)를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 기기브래킷(1600)은 기기결합부(1620)를 통해 디스플레이기기(1)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거치부(1630)은 브래킷본체(1610)에 결합되며 상측프레임(1100)의 제1프레임거치부(1130)로부터 하측프레임(1200)의 제1프레임거치부(1230)까지 Y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사각형의 링을 포함한다. 상측프레임(1100)의 제1프레임거치부(1130)는 상향 후크 형상을 포함하며, 하측프레임(1200)의 제1프레임거치부(1230)는 하향 후크 형상을 포함한다.
브래킷거치부(1630)의 -Y 방향 단부는 상측프레임(1100)의 제1프레임거치부(1130)의 상향 후크에 걸리며, 브래킷거치부(1630)의 Y 방향 단부는 하측프레임(1200)의 제1프레임거치부(1230)의 하향 후크에 걸린다. 여기서, 브래킷거치부(1630)의 Y 방향 길이는, 디스플레이기기(1)의 수직길이에 대응한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기기(1)의 수직길이에 대응하도록 연장된 브래킷거치부(1630)를 가진 복수의 기기브래킷(1600)이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100, 1200)에 장착될 디스플레이기기(1)의 수직길이에 대응하는 기기브래킷(1600)이 적용됨으로써, 상측프레임(1100) 및 하측프레임(1200) 사이의 간격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프레임(1100, 1200)에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가 거치될 때, 디스플레이기기(1)는 함께 거치된 악세사리기기(1300)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8은 디스플레이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1)는 TV, 모니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전자칠판, 전자액자 등을 포함하는 고정형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기기(1)가 하나의 하우징 내에 제반 구성요소들이 수용되는 일체형 장치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기기(1)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 도 1 참조) 및 디스플레이부(200, 도 1 참조)로 분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아래 설명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중에서 디스플레이부(20)가 디스플레이부(200, 도 1 참조)에 포함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영상처리 디바이스(100, 도 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0)는 인터페이스부(10)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인터페이스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는 디스플레이기기(1)가 다양한 종류의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또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0)는 연결 방식에 따라서, 유선 통신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유선인터페이스부(11), 또는 무선 통신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무선인터페이스부(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유선인터페이스부(11)는 기 정의된 전송규격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선인터페이스부(11)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지상파 또는 위성방송 안테나에 접속되거나 케이블방송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포트를 포함한다. 또는, 유선인터페이스부(11)는 다양한 영상처리장치와 접속하도록 HDMI, DP(DisplayPort), DVI, 컴포넌트, 컴포지트, S-Video, 썬더볼트(Thunderbolt) 등 다양한 유선전송규격의 케이블이 접속되는 포트를 포함한다. 또는, 유선인터페이스부(11)는 USB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USB 규격의 포트를 포함한다. 또는, 유선인터페이스부(11)는 광케이블이 접속되는 광포트를 포함한다. 또는, 유선인터페이스부(11)는 외부 마이크로폰이 접속되는 오디오 입력 포트와, 헤드셋, 이어폰, 외부 스피커 등이 접속되는 오디오 출력 포트를 포함한다. 또는, 유선인터페이스부(11)는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라우터, 허브 등에 접속하는 이더넷 포트를 포함한다.
무선인터페이스부(12)는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무선인터페이스부(12)는 와이파이(Wi-Fi) 방식에 따라서 AP(Access Point)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통신칩과, 블루투스, Zigbee, Z-Wave, WirelessHD, WiGig, NFC 등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칩, IR 통신을 위한 IR 모듈, 모바일기기와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칩 등을 포함한다.
전자장치(20)는 디스플레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데,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는 여러 가지 설계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0)는 액정과 같은 수광형 구조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20)는 OLED와 같은 자발광 구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20)는 복수의 마이크로 LED 모듈이 타일 형태로 조합되어 대화면을 형성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사용자입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3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관련 회로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30)는 디스플레이기기(1)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기기(1)의 기계 버튼부 또는 전자 버튼부; 다양한 종류의 센서; 터치패드; 디스플레이부(20)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기기(1)와 분리되며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연결된 키보드, 마우스,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외부입력기기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프로세서(170)에 의해 처리되기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며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존할 수 없는 휘발성 속성을 가진 하나 이상의 메모리(memory)(41)와,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비휘발성 속성을 가진 하나 이상의 스토리지(storage)(42)를 포함한다. 메모리(41)에는 버퍼(buffer),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으며, 스토리지(42)에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HDD(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ROM(Read Only Memory)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프로세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가 디스플레이장치인 경우에, 프로세서(50)는 영상컨텐트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모듈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0)는, 악세사리기기(130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50)는 악세사리 플레이트인 악세사리기기(130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에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50)는 전자장치인 악세사리기기(130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는 디스플레이기기가 악세사리기기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0, 1200)에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가 거치된다.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가 거치되는 구조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기기(1300)는 악세사리 플레이트로서, 전면에 소정의 이미지가 프린팅된 상태이다. 디스플레이기기(1)가 방송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대기상태에 있는 경우에, 디스플레이기기(1)는 어떠한 영상도 표시하지 않은 검은 화면의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기기(1)는 앰비언트 모드(ambient mode)로 동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기상태 동안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검은 화면의 상태를 유지하되, 사용자가 감지되면 사전 설정된 대기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기기(1)는 악세사리기기(1300)의 이미지에 대응하는(또는 어울리는, 조화로운) 대기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미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가 악세사리기기(1300)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대기영상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하, 한 가지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악세사리기기(1300)는 해당 악세사리기기(1300)의 식별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진다. 예를 들면, 악세사리기기(1300)의 일면 상에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 태그 또는 QR code 등의 마크(1321)가 있는데, 이 마크(1321)가 해당 악세사리기기(1300)의 식별정보를 나타낸다. 모바일기기(1810)는 자체 구비된 센서(예를 들면, NFC reader, 카메라 등)를 사용하여, 마크(1321)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1810)는 사용자 계정 및 전자장치를 관리하는 서버(1820)에, 획득한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모바일기기(1810)는 식별정보와 함께 사용자 계정정보를 서버(1820)에 보낼 수 있다.
서버(1820)는 모바일기기(181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계정정보를 사용하여, 타겟이 되는 디스플레이기기(1)를 식별할 수 있다(예를 들어, 모바일기기(181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속하는 디스플레이기기(1)를 식별함). 또한, 서버(1820)는 모바일기기(181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를 식별한다. 서버(1820)는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양한 영상데이터의 DB를 구비하거나 또는 획득할 수 있으며, DB의 검색을 통해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820)는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기기(1)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서버(18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대기영상을 표시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기기(1)는 앰비언트 모드 시 악세사리기기(1300)의 이미지와 어울리는 대기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기기(1810)가 마크(1321)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획득 방법은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기기(1)에 속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모바일기기(1810)는 획득한 식별정보를 서버(1820)가 아닌 디스플레이기기(1)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기기(1)는 수신된 식별정보를 서버(1820)에 보낼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기기(1)는 서버(1820)를 통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구비된 DB로부터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기기(1)의 동작은, 해당 장치에 탑재된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기기(1)는 카메라를 구비한 외부장치로부터 악세사리기기(1300) 전면에 프린팅된 이미지의 캡쳐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캡쳐된 데이터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어울리는 대기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네트워크(neural network),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기기(1)의 프로세서는 학습부 및 인식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학습부는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인식부는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식(또는, 추론, 예측, 추정,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디스플레이기기(1)의 저장부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는, 신경망 네트워크의 학습을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한 동작을 수행한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다.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키기 전에, 획득된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하거나, 필터링하거나, 또는 노이즈를 추가/제거하여 학습에 적절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학습부는 전처리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는,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또는,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가중치를 가지며,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들은 일 신경망 네트워크의 출력 값이 다른 신경망 네트워크의 입력 값으로 이용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신경망 네트워크의 예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과 같은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식부는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타겟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타겟 데이터는 디스플레이기기(1)의 저장부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타겟 데이터는 신경망 네트워크의 인식 대상이 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인식부는 타겟 데이터를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전에, 획득된 타겟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타겟 데이터들 중에서 인식에 이용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식부는 타겟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하거나, 필터링 하거나, 또는 노이즈를 추가/제거하여 인식에 적절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인식부는 전처리된 타겟 데이터를 신경망 네트워크에 적용함으로써, 신경망 네트워크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인식부는 출력값과 함께, 확률값 또는 신뢰도값을 획득할 수 있다.
악세사리기기(130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기기(1)의 동작은, 상기한 앰비언트 모드 시의 대기영상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20은 디스플레이기기가 악세사리기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0, 1200)에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가 거치된다.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가 거치되는 구조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기기(1300)는 디스플레이장치, 스피커장치, 기타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가 통신 가능한 경우, 악세사리기기(1300)는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기기(1)에 전송한다. 또는, 별도의 외부장치 또는 통신허브를 통해 악세사리기기(1300)가 디스플레이기기(1)에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 및 악세사리기기(1300)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와이파이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 규격에 기반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는, 악세사리기기(1300) 및 디스플레이기기(1) 사이의 통신을 위한 접점부(또는 단자, 배선 등)가 상부프레임(1100) 또는 하부프레임(120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악세사리기기(1300) 및 디스플레이기기(1)가 프레임(1100, 1200)에 거치될 때, 악세사리기기(1300)의 인터페이스 단자 및 디스플레이기기(1)의 인터페이스 단자가 상기한 접점부에 접촉함으로써, 각각의 인터페이스 단자 및 접점부를 통해 악세사리기기(1300) 및 디스플레이기기(1)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이와 같이 접점부를 통해 악세사리기기(13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는 악세사리기기(130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사전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기기(1)는 악세사리기기(1300)가 스피커장치로 식별되면, 멀티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오디오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화면(1900)을 표시한다. 또는, 디스플레이기기(1)는 악세사리기기(1300)가 디스플레이장치로 식별되면, 악세사리기기(1300)에 영상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기기(1)는 컨텐트영상 및 제어메뉴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제어메뉴를 악세사리기기(1300)의 화면으로 이동시킨다. 또는, 디스플레이기기(1)는 복수의 컨텐트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일부의 컨텐트영상을 악세사리기기(1300)의 화면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기기(1)는 악세사리기기(1300)의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대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USB 메모리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ROM, 플래시메모리, 메모리 칩,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에 있어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이격되게 배치된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각각은,
    디스플레이기기가 거치되도록 마련된 제1거치부와,
    악세사리기기가 거치되도록 마련된 제2거치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거치부에 거치되도록 마련된 기기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 후면의 홀과 함께 스크루에 의해 체결되는 기기결합부를 형성하는 브래킷본체와,
    상기 브래킷본체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거치부에 거치되는 브래킷거치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는 후크 형상을 가지며,
    상기 브래킷거치부는 상기 제1거치부에 걸리는 링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은,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 및 상기 디스플레이기기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본체로부터 돌출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수평방향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상기 스페이서로부터 절곡된 프레임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사리기기는,
    상기 제2거치부에 지지되며 제1결합부를 가지는 제1악세사리부재와,
    상기 제1악세사리부재의 상기 제1결합부에 착탈 가능한 제2결합부를 가지는 제2악세사리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악세사리부재의 상기 제1결합부는, 판면 상에 결합된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악세사리부재의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자석에 접착될 수 있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악세사리부재는, 상기 악세사리기기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상측모서리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하측모서리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하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수직길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각각에 지지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수직길이에 대응하여 길이를 조정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에 결합된 기기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기기브래킷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 후면에 결합되는 브래킷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수직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양단이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각각에 거치되도록 마련된 브래킷거치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은 스크루에 의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제1거치부 또는 복수의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서 좌우 대칭되도록 이격 배치된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PCT/KR2021/014430 2020-11-04 2021-10-18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WO2022097959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89424.4A EP4221190A4 (en) 2020-11-04 2021-10-18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US18/143,175 US20230272877A1 (en) 2020-11-04 2023-05-04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339A KR20220060390A (ko) 2020-11-04 2020-11-04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KR10-2020-0146339 2020-11-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143,175 Continuation US20230272877A1 (en) 2020-11-04 2023-05-04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7959A1 true WO2022097959A1 (ko) 2022-05-12

Family

ID=8145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4430 WO2022097959A1 (ko) 2020-11-04 2021-10-18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72877A1 (ko)
EP (1) EP4221190A4 (ko)
KR (1) KR20220060390A (ko)
WO (1) WO202209795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043A (ko) * 2005-01-12 2005-09-01 최병기 평판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KR20050092162A (ko) * 2004-03-15 2005-09-21 (주)세아메카닉스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KR20170051977A (ko) * 2015-11-03 2017-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KR102050293B1 (ko) * 2012-09-14 2019-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5535B1 (ko) * 2019-12-31 2020-07-17 박우석 티비에 장착이 가능한 다기능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6575B2 (en) * 2013-03-04 2016-10-25 Revolution Display, Llc Video display module support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162A (ko) * 2004-03-15 2005-09-21 (주)세아메카닉스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
KR20050088043A (ko) * 2005-01-12 2005-09-01 최병기 평판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KR102050293B1 (ko) * 2012-09-14 2019-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51977A (ko) * 2015-11-03 2017-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KR102135535B1 (ko) * 2019-12-31 2020-07-17 박우석 티비에 장착이 가능한 다기능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221190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2877A1 (en) 2023-08-31
EP4221190A4 (en) 2024-03-27
KR20220060390A (ko) 2022-05-11
EP4221190A1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88793A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WO201707836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speech
WO2016021779A1 (ko) 이동 단말기
WO2018093160A2 (ko)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EP3058449A1 (en) Display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WO20211374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30307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923113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WO2015056932A1 (en) Display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WO202108029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082448A1 (ko)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
WO2022097959A1 (ko) 디스플레이기기용 장치
WO2015194716A1 (ko) 이동 단말기
WO2021256760A1 (ko) 이동 가능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903561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FOR
WO2020159115A1 (ko)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77369A1 (ko) 동영상 콘텐트에 포함된 블랙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0075925A1 (ko)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3101158A1 (ko) 오디오의 전면 방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25420A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4117548A1 (ko)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706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apture image
WO2024071641A1 (ko)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WO2022025633A1 (ko) 영상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169124A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영상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894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894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425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