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512U -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512U
KR20190001512U KR2020170006413U KR20170006413U KR20190001512U KR 20190001512 U KR20190001512 U KR 20190001512U KR 2020170006413 U KR2020170006413 U KR 2020170006413U KR 20170006413 U KR20170006413 U KR 20170006413U KR 20190001512 U KR20190001512 U KR 201900015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support pipe
holder
hold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원
Original Assignee
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원 filed Critical 허원
Priority to KR2020170006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512U/ko
Publication of KR20190001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가구의 뼈대인 복수 개의 가구 지지파이프를 상호 크로스시켜 조립할 때 사용자가 쉽게 그 뼈대를 만들 수 있도록 그 가구 지지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크로스 고장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크로스 고정장치가 수평 지지파이프와 수직 지지파이프가 상호 크로스 될 때 그 크로스 되는 수평 지지파이프와 수직 지지파이프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립식 가구의 뼈대를 만들기 때문에 한 사람의 사용자가 조립하는 경우에도 그 사용자는 복수 개의 수직 지지파이프 각각에 끼워지는 수평 지지파이프를 수직 지지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쉽게 위치 이동하면서 해당 조립식 가구의 뼈대를 완성시키는 기술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립식 가구의 뼈대인 각 지지파이프에 대해 해당 지지파이프를 잇는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구현함에 따라 그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cross binding device for furniture support pipes}
본 고안은 조립식 가구의 뼈대인 복수 개의 가구 지지파이프를 상호 크로스시켜 조립할 때 사용자가 쉽게 그 뼈대를 만들 수 있도록 그 가구 지지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크로스 고장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크로스 고정장치가 수평 지지파이프와 수직 지지파이프가 상호 크로스 될 때 그 크로스 되는 수평 지지파이프와 수직 지지파이프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립식 가구의 뼈대를 만들기 때문에 한 사람의 사용자가 조립하는 경우에도 그 사용자는 복수 개의 수직 지지파이프 각각에 끼워지는 수평 지지파이프를 수직 지지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쉽게 위치 이동하면서 해당 조립식 가구의 뼈대를 완성시키는 기술이다.
최근, 옷장이나 수납장 또는 책상 등의 조립식 가구는 DIY(do it yourself) 방식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DIY 방식의 조립식 가구는 무어보다도 사용자가 조립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조립식 가구는 뼈대를 먼저 만들고 그 뼈대에 나머지 구성을 붙여 마무리하는 방식이 보통이다.
그런데, 조립식 가구는 그 용도나 형태에 따라 연결 부위가 제각각 다른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실용출원 제 20-2011-0000087호 "조립식 가구용 연결프레임"에 따르면, 조립식 가구의 연결장치는 그 연결 부분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각 연결구가 서로 다른 형태로 제작되며 또한 그 연결구는 하나의 판재 일단부와 다른 하나의 판재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방식으로 채용되기 때문에 한 사람의 사용자가 다양한 패턴의 연결구를 활용하여 그 조립식 가구를 완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최근 들어, 혼자 사는 사람들이 늘어가는 추세에서 한 사람이 조립하기 어려운 구조로 제작되는 조립식 가구의 DIY 제품은 그 사업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식 가구를 한 사람의 사용자가 조립하는 경우에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식 가구의 뼈대인 각 지지파이프에 대해 해당 지지파이프를 잇는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구현한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구의 뼈대인 복수 개의 수평 지지파이프와 복수 개의 수직 지지파이프가 상호 인접하여 크로스될 때 그 크로스 되는 영역의 각 지지파이프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크로스 고정장치로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수직 지지파이프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수직 지지파이프에 끼움 결합되는 수직홀더부; 수직홀더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수직홀더부의 속이 빈 부분과 직각이 되도록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수평 지지파이프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수평 지지파이프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수직 지지파이프와 수평 지지파이프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수평홀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수평홀더부의 상면은 수직홀더부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수평홀더부의 하면은 수직홀더부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수평홀더부에 대향하는 수직홀더부의 좌측벽은 그 단면이 라운딩 처리되고, 수직홀더부에 대향하는 수평홀더부의 우측벽은 그 단면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홀더부의 상단부로부터 수평홀더부의 상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고, 수직홀더부의 하단부로부터 수평홀더부의 하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며, 수평홀더부의 전단부로부터 수직홀더부의 전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고, 수평홀더부의 후단부로부터 수직홀더부의 후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홀더부의 전면에 대응하는 수직홀더부의 측벽에는 고정볼트의 삽입을 위한 수평관통공이 구비되고, 수평홀더부의 상면에 대응하는 수평홀더부의 측벽에는 고정볼트의 삽입을 위한 수직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직홀더부가 수직 지지파이프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수평홀더부는 수평 지지파이프에 끼움 결합되도록 수직홀더부와 수평홀더부는 동일한 규격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직각 비틀림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수직 지지파이프와 수평 지지파이프에 각각 끼워지는 수직홀더부와 수평홀더부가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한 사람의 사용자가 그 지지파이프를 조립하는 경우에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식 가구의 뼈대인 각 지지파이프에 대해 해당 지지파이프를 잇는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구현함에 따라 그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의 일부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에서 가구 지지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해 크로스 고정장치를 움직임에 따라 수직 지지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지지파이프가 움직이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의 상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홀더부의 하부에서 비스듬히 바라 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평홀더부의 후방에서 비스듬히 바라 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의 일부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가구 지지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해 크로스 고정장치를 움직임에 따라 수직 지지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지지파이프가 움직이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조립식 가구의 뼈대인 가구 지지파이프의 일부분으로서 2개의 수직 지지파이프(B1)에 복수 개의 수평 지지파이프(B2)가 크로스 고정장치(100)에 의해 연결되어 복수의 단을 이루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수직 지지파이프(B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지지파이프(B2)가 복수의 단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목적하는 규격의 조립식 가구에 대응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수직 지지파이프(B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 수평 지지파이프(B2)를 들어올려 해당 위치에서 고정볼트(T)에 의한 볼트 결합을 통해 상호 고정시킨다.
[도 2]에서는 가장 윗 부분에 위치한 수평 지지파이프(B2)만 수직 지지파이프(B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들어 올려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크로스 고정장치(100)를 통해 수직 지지파이프(B1)에 연결된 모든 수평 지지파이프(B2)를 수직 지지파이프(B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수직 지지파이프(B1)와 수평 지지파이프(B2)는 크로스 고정장치(100)의 수직 홀더부(110) 및 수평 홀더부(120)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조립식 가구를 조립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손이 수직 지지파이프(B1)를 감싸는 상황에서 그 감싸는 부분을 지지대로 하여 엄지손가락으로 그 수직 지지파이프(B1)에 끼워진 크로스 고정장치(10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수직 지지파이프(B1)에 대한 수평 지지파이프(B2)의 높이를 사용자 혼자서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수직 지지파이프(B1)에 끼워진 크로스 고정장치(100)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수직 지지파이프(B1)에 대한 수평 지지파이프(B2)의 높이를 정한 후, [도 3]에서와 같이 수평관통공(111)과 수직관통공(121)에 각각 고정볼트(T)를 체결함으로써 크로스 고정장치(100)를 통해 수직 지지파이프(B1)와 수평 지지파이프(B2)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이처럼, 수직 지지파이프(B1)와 수평 지지파이프(B2)가 고정볼트(T)에 의해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직 지지파이프(B1)로부터 수평 지지파이프(B2)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한 사람의 사용자를 통해서도 조립식 가구의 뼈대를 조립하는 작업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크로스 고정장치(100)의 상세한 구성을 아래에서 살펴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의 상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홀더부의 하부에서 비스듬히 바라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평홀더부의 후방에서 비스듬히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가구의 뼈대인 복수 개의 수평 지지파이프(B2)와 복수 개의 수직 지지파이프(B1)가 상호 인접하여 크로스될 때 그 크로스 되는 영역의 각 지지파이프(B1,B2)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크로스 고정장치로서, 상호 일체로 구성되는 수직홀더부(110)와 수평홀더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직홀더부(110)는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수직 지지파이프(B1)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수직 지지파이프(B1)에 끼움 결합된다.
즉, 사용자가 크로스 고정장치(100)를 들고 그 크로스 고정장치(100)의 수직홀더부(110)가 수직 지지파이프(B1)의 일단부로부터 그 수직 지지파이프(B1)에 끼워지도록 조작한다.
수평홀더부(120)는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수직홀더부(110)와 일체로 연결되며 수직홀더부(110)의 속이 빈 부분과 직각이 되도록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수평 지지파이프(B2)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수평 지지파이프(B2)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수직 지지파이프(B1)와 수평 지지파이프(B2)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여기서도, 사용자가 크로스 고정장치(100)를 들고 그 크로스 고정장치(100)의 수평홀더부(120)가 수평 지지파이프(B1)의 일단부로부터 그 수평 지지파이프(B1)에 끼워지도록 조작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수직홀더부(110)의 전면에 대응하는 수직홀더부(110)의 측벽에는 고정볼트(T)의 삽입을 위한 수평관통공(111)이 구비되고, 수평홀더부(120)의 상면에 대응하는 수평홀더부(120)의 측벽에는 고정볼트(T)의 삽입을 위한 수직관통공(121)이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스 고정장치(100)의 현재 위치에서 그 크로스 고정장치(100)를 수직 지지파이프(B1) 및 수평 지지파이프(B2)에 일체로 연결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위치를 변경하기 않고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복수 개의 고정볼트(T)를 수평관통공(111)과 수직관통공(121)에 각각 끼움 결합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 고정장치(100)에 수직 지지파이프(B1)와 수평 지지파이프(B2)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수직홀더부(110)에 형성된 수평관통공(111)과 수평홀더부(120)에 형성된 수직관통공(121)으로 삽입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볼트(T)는 자신의 선단부가 수직 지지파이프(B1)와 수평 지지파이프(B2)의 외표면을 각각 압박함에 따라 각각의 지지파이프(B1,B2)가 크로스 고정장치(10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수평홀더부(120)의 상면은 수직홀더부(110)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홀더부(120)의 하면은 수직홀더부(110)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수직홀더부(110)의 상단부로부터 수평홀더부(120)의 상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고, 수직홀더부(110)의 하단부로부터 수평홀더부(120)의 하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며, 수평홀더부(120)의 전단부로부터 수직홀더부(110)의 전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고, 수평홀더부(120)의 후단부로부터 수직홀더부(110)의 후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스 고정장치(100)의 수직홀더부(110)에 수직 지지파이프(B1)를 끼우는 과정에서 수직 지지파이프(B1)의 단부가 수직홀더부(110)에 인접하는 크로스 고정장치(100)의 외표면에서 걸리지 않고 자연적으로 미끄러지면서 수직홀더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고정장치(100)의 수평홀더부(120)에 수평 지지파이프(B2)를 끼우는 과정에서 수평 지지파이프(B2)의 단부가 수평홀더부(120)에 인접하는 크로스 고정장치(100)의 외표면에서 걸리지 않고 자연적으로 미끄러지면서 수평홀더부(12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수평홀더부(120)에 대향하는 수직홀더부(110)의 좌측벽은 그 단면이 라운딩 처리됨이 바람직하고, 수직홀더부(110)에 대향하는 수평홀더부(120)의 우측벽도 그 단면이 좌측벽과 동일하게 라운딩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수직홀더부(110)가 수직 지지파이프(B1)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수평홀더부(120)는 수평 지지파이프(B2)에 끼움 결합되도록 수직홀더부(110)와 수평홀더부(120)는 동일한 규격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직각 비틀림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수직홀더부(110)에 수평 지지파이프(B2)를 끼우고 수평홀더부(120)에 수직 지지파이프(B1)를 끼워도 본래 크로스 고정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0 :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110 : 수직홀더부
111 : 수평관통공
120 : 수평홀더부
121 : 수직관통공
B1 : 수직 지지파이프
B2 : 수평 지지파이프
T : 고정볼트

Claims (6)

  1. 가구의 뼈대인 복수 개의 수평 지지파이프와 복수 개의 수직 지지파이프가 상호 인접하여 크로스될 때 그 크로스 되는 영역의 각 지지파이프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크로스 고정장치로서,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 지지파이프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수직 지지파이프에 끼움 결합되는 수직홀더부(110);
    상기 수직홀더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수직홀더부의 속이 빈 부분과 직각이 되도록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 지지파이프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수평 지지파이프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수직 지지파이프와 상기 수평 지지파이프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수평홀더부(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홀더부의 상면은 상기 수직홀더부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홀더부의 하면은 상기 수직홀더부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홀더부에 대향하는 상기 수직홀더부의 좌측벽은 그 단면이 라운딩 처리되고,
    상기 수직홀더부에 대향하는 상기 수평홀더부의 우측벽은 그 단면이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홀더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수평홀더부의 상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홀더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수평홀더부의 하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홀더부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수직홀더부의 전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홀더부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수직홀더부의 후면을 잇는 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직홀더부의 전면에 대응하는 상기 수직홀더부의 측벽에는 고정볼트의 삽입을 위한 수평관통공(111)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홀더부의 상면에 대응하는 상기 수평홀더부의 측벽에는 고정볼트의 삽입을 위한 수직관통공(1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직홀더부가 상기 수직 지지파이프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평홀더부는 상기 수평 지지파이프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수직홀더부와 상기 수평홀더부는 동일한 규격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직각 비틀림 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KR2020170006413U 2017-12-12 2017-12-12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KR201900015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13U KR20190001512U (ko) 2017-12-12 2017-12-12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13U KR20190001512U (ko) 2017-12-12 2017-12-12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12U true KR20190001512U (ko) 2019-06-20

Family

ID=6700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413U KR20190001512U (ko) 2017-12-12 2017-12-12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5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805B1 (ko) 2022-04-12 2022-07-18 주식회사 면진테크 내진 보강용 이중마루 지주대에 적용되는 파이프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805B1 (ko) 2022-04-12 2022-07-18 주식회사 면진테크 내진 보강용 이중마루 지주대에 적용되는 파이프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448Y1 (ko) 테이블의 다리구조
KR20190001512U (ko)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KR200482530Y1 (ko) 앵글선반프레임
KR101307256B1 (ko) 분리와 연결이 가능한 벤치
KR101895598B1 (ko) 책상을 포함하는 파티션
KR20130003722U (ko) 조립과 배치가 용이한 가구
JP2005042411A (ja) 電算機の床面固定構造体
KR200417204Y1 (ko) 선반용 지주 고정장치
JP5740571B2 (ja) 浴室構造
KR20170139923A (ko) 조립식 파티션
CN206600336U (zh) 瓷缝钉
JP3143116U (ja) ベンチ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構造による多目的ベンチ
CN206295589U (zh) 麻将机的边框
JP6542521B2 (ja) 間仕切り装置におけるパネルの接合構造と、それを使用する間仕切り装置
KR102218709B1 (ko)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
KR20230015664A (ko) 캠핑용 행거 및 테이블 구조체의 조립 구조
KR20100089644A (ko) 서포트용 연결재
RU91823U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опора стола
JP2014230718A (ja) 天板付家具
KR20170035086A (ko) 테이블용 연결 브래킷
US20090056598A1 (en) Support assembly for work surface
KR20080002332U (ko) 스파인 가구에 연결되는 스크린의 프레임 구조
JP7444578B2 (ja) 支持構造、什器及び取付方法
CN208339262U (zh) 一种罗马柱侧封板结构
KR20120016387A (ko) 건물용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