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755B1 - 책상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책상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755B1
KR102350755B1 KR1020210117168A KR20210117168A KR102350755B1 KR 102350755 B1 KR102350755 B1 KR 102350755B1 KR 1020210117168 A KR1020210117168 A KR 1020210117168A KR 20210117168 A KR20210117168 A KR 20210117168A KR 102350755 B1 KR102350755 B1 KR 10235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rame
connection
coupling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베스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툴 filed Critical (주)베스툴
Priority to KR1020210117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12Lateral beam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14Dismountable central or lateral longitudinal members linking two pairs of legs to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책상용 프레임은, 한 쌍의 다리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각 다리프레임은, 지지부재, 바닥면에서 경사지게 상부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를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에 삽입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되는 제3연결부 및 제4연결부 및 상기 제1 내지 4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조립이 간편하고 비교적 튼튼하며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책상용 프레임{DESK FRAME}
본 발명은 책상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비교적 튼튼하며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는 책상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평평한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책상용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판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책상용 프레임은 바닥면에서 상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책상용 프레임은 복수의 부재들로 구성되며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책상용 프레임이 상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각 부재들은 견고하게 연결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부재들의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파손되거나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잘 수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관상으로 볼트 등의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는 조립용 가구가 많아지며 조립과정이 간단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조립 등의 작업을 처음하는 초보 사용자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책상용 프레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비교적 튼튼하고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며, 비교적 많은 사용자군이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과정이 명확한 책상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책상용 프레임은, 상판과 결합되어 책상을 형성한다. 상기 책상용 프레임은 한 쌍의 다리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각 다리프레임은, 상기 상판 및 상기 연결프레임과 결합되는 지지부재, 바닥면에서 경사지게 상부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를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에 삽입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되는 제3연결부 및 제4연결부 및 상기 제1 내지 4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각 다리부재는 바닥면에 접하는 하단과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상단을 갖는 내부가 빈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각 다리부재의 상단은 개방되어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다리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다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다리부재의 하단과 상기 제2다리부재의 하단은 일 측으로 최대거리로 배치되고, 상기 제1다리부재의 상단과 상기 제2다리부재의 상단은 일 측으로 최소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연결부와 상기 제1,2다리부재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제1,2다리부재를 고정하는 복수의 다리고정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제1,2연결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각 다리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다리고정볼트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다리고정볼트 삽입홀은 상기 제1,2연결부 또는 상기 제1,2다리부재와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다리고정볼트는 상기 다리고정볼트 삽입홀을 통해, 상기 제1,2연결부와 상기 제1,2다리부재의 결합부에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프레임은 양 단이 최하부에 위치하고, 중심이 최상단에 위치하는 호(arc)형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재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커버의 양 단이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의 상단에 각각 접하여 연결되는 표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결합부재커버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된 양측부로 구성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함몰된 결합부재삽입홈, 일 방향에서 상기 결합부재 삽입홈으로 관통하는 제1결합볼트 삽입홀 및 상단에서 상기 결합부재 삽입홈으로 관통하는 제2결합볼트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부재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결합볼트 삽입홀에 제1결합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제2결합볼트 삽입홀에 제2결합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재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측에서 양 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부로 연장되어 'ㅈ'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본체에서 상기 제3, 4 연결부가 양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연결본체의 중심측에서 상기 제1, 2 연결부가 양 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부로 연장되어 'ㅈ'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연결프레임 및 제2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프레임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프레임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직선빔, 상기 제1직선빔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빔 및 상기 경사빔에서 다시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직선빔과 상기 제2직선빔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경사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단에서 하부로 함몰된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직선빔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브라켓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제1직선빔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책상용 프레임은 비교적 간단한 조립과정을 통해 각 구성들을 조립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초보 작업자도 손쉽게 조립 및 분해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책상용 프레임은 깔끔한 외관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공간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책상용 프레임의 사용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책상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책상용 프레임 중 다리프레임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책상용 프레임 중 다리프레임의 조립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책상용 프레임(20)의 사용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책상용 프레임(20)은 상부에 상판(10)이 결합되어 하나의 책상(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판(10)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0)에는, 멀티 탭(multi-tap) 등의 보관을 위한 마련되는 덕트 어셈블리(3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책상용 프레임(20)의 사시도이다.
상기 책상용 프레임(20)은 한 쌍의 다리프레임(200)과 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2, 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리프레임(200)은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상판(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상기 연결프레임(22, 24)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다리 프레임(20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수평프레임으로 명칭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22, 24)은 상기 다리프레임(200)과 함께 상기 상판(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22, 24)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연결프레임(22) 및 제2연결프레임(24)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프레임(22)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빔(220)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직선빔(220)의 양 단(226)은 상기 다리프레임(2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일 방향은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200)이 서로 이격된 방향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연결프레임(22)은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200)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프레임(24)은 상기 다리프레임(200)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직선빔(240), 상기 제1직선빔(240)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빔(242) 및 상기 경사빔(242)에서 다시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빔(244)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직선빔(240)과 상기 제2직선빔(244)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경사빔(242)에 의해 연결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2연결프레임(24)은 상기 제1직선빔(240), 상기 경사빔(242), 상기 제2직선빔(244), 상기 경사빔(242) 및 상기 제1직섬빔(240)이 차례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경사빔(242)과 연결되지 않는 상기 제1직선빔(240)의 일 단(246)은 상기 다리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상 구분된 것으로 물리적인 구분과는 무관하다.
정리하면, 상기 한 쌍의 다리 프레임(200)은 서로 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다른 형상의 제1연결프레임(22) 및 제2연결프레임(2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연결프레임(22, 24)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쌍의 다리프레임(200)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서로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다리프레임(2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며, 다른 하나의 다리프레임(200)의 설명은 생략하고 이를 모두 인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책상용 프레임(20) 중 다리프레임(200)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프레임(200)은 크게 지지부재(240), 결합부재(210) 및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40)는 가장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22, 24)과 결합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40)의 상부에 상기 상판(10)이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40)의 상단은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는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의 일 단은 바닥면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는 바닥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으며, 서로 가까워지도록 대향되는 각도로 연장된다.
상기 결합부재(210)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 및 상기 지지부재(240)를 연결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결합부재(210)는 상기 지지부재(2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24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210)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의 인접하는 일 단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210)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는 바닥면과 함께 대략 삼각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의 삼각형의 두 모서리에 해당되며, 상기 결합부재(210)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가 접하는 일 꼭지점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다리프레임(200)은 전체적으로 'ㅈ'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240)는 일 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는 상기 지지부재(240)의 중심측에서 양 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부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40)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의 중심에 상기 결합부재(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200)은 상기 지지부재(240)가 서로 평행하게 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에 따라, 각 다리프레임(200)의 지지부재(240)의 양 단이 상기 상판(10)의 각 꼭짓점 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책상용 프레임(20) 중 다리프레임(200)의 조립도이다. 도 4에서 도 9는 상기 다리프레임(200)의 조립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기재의 편의상 일부 과정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또한, 각 조립과정의 순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10)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210)는 전체적으로 'ㅈ'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는 상기 결합부재(210)가 'ㅈ'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다리프레임(200)의 중심측에 위치하여 각 부재를 연결하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다만, 평평한 상단을 형상하는 다리프레임(200)과 달리 상기 결합부재(210)의 상단은 중심측이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10)는 연결본체(211), 상기 연결본체(2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2연결부(212, 213) 및 상기 연결본체(211)에서 양 측으로 연장된 제3,4연결부(213, 215)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된 것으로 각 구성의 물리적인 구분과는 무관하다.
상기 제1,2연결부(212, 213)에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한 쌍의 다리부재를 제1다리부재(220) 및 제2다리부재(230)로 구분한다. 상기 제1다리부재(220)는 상기 제1연결부(212)와 결합되고, 상기 제2다리부재(230)는 상기 제2연결부(213)에 결합된다.
상기 제1다리부재(220)는 바닥면에 접하는 하단(222)과 상기 결합부재(210)와 결합되는 상단(224)을 가지며 곧게 연장된다. 상기 제1다리부재(2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재(220)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빈 원통 또는 다각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다리부재(220)는 바닥면과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1다리부재(220)의 하단(222)에는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지지력을 높이거나, 바닥면을 보호하기 위한 패드 등이 부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다리부재(220)의 하단(222)은 폐쇄된 단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다리부재(220)의 상단(224)은 개방된 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다리부재(220)의 상단(224)에 상기 제1연결부(21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다리부재(230)는 바닥면에 접하는 하단(232)과 상기 결합부재(210)와 결합되는 상단(234)을 가지며 곧게 연장된다. 상기 제2다리부재(230)는 상기 제1다리부재(22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다리부재(230)의 하단(232)은 폐쇄된 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2다리부재(230)의 상단(234)은 개방된 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다리부재(230)의 상단(234)에 상기 제2연결부(21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다리부재(230)는 바닥면과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다리부재(220)와 대향되도록 경사진다. 그에 따라, 상기 제1다리부재(220)의 하단(222)과 상기 제2다리부재(230)의 하단(232)은 일 측으로 최대거리로 배치되고, 상기 제1다리부재(220)의 상단(224)과 상기 제2다리부재(230)의 상단(234)은 일 측으로 최소거리로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다리부재(220)의 상단(224)에 상기 제1연결부(212)가 삽입되고, 상기 제2다리부재(230)의 상단(234)에 상기 제2연결부(213)가 삽입된다. 그리고, 다리고정볼트(500)가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210)와 상기 제1다리부재(220) 및 상기 제2다리부(23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10)에는 상기 다리고정볼트(500)가 삽입되는 다리고정볼트 삽입홀(2130)이 구비된다. 상기 다리고정볼트 삽입홀(2130)은 상기 연결본체(211)와 상기 제1,2연결부(212,213)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다리고정볼트 삽입홀(2130)은 상기 연결본체(211)와 상기 제1연결부(212)의 사이에 한 쌍, 상기 연결본체(211)와 상기 제2연결부(213)의 사이에 한 쌍이 각각 배치된다. 그에 따라, 총 4개의 다리고정볼트 삽입홀(2130)이 구비되며, 4개의 다리고정볼트(50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다리고정볼트 삽입홀(2130)은 상기 제1,2연결부(212,213) 또는 상기 제1,2다리부재(220,230)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고정볼트(500)는 상기 다리고정볼트 삽입홀(2130)을 통해, 상기 제1,2연결부(212,213)와 상기 제1,2다리부재(220,230)의 결합부에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연결부(212)에는 상기 다리고정볼트(500)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였고, 상기 제2연결부(213)에는 상기 다리고정볼트(500)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다리고정볼트(500)ㄱ 상기 다리고정볼트 삽입홀(213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다리고정볼트(500)의 머리부(502)만 외부로 노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10)에는 결합부재커버(2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커버(250)는 대략적으로 상기 결합본체(211) 및 상기 제1,2연결부(212,213)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결합부재커버(250)는 전체적으로 양 단(251, 252) 이 최하부에 위치하고, 중심(251)이 최상부에 위치하는 호(arc)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커버(250)의 양 단(251, 252)이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의 상단(224, 234)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결합부재커버(250)는 상기 결합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다리고정볼트(500)의 머리부(502)가 상기 결합부재커버(25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220, 230)와 상기 결합부재커버(250)는 서로 연결되는 표면을 형성하여 깔끔하게 보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재(220, 230)와 결합된 결합부재(210)는 상기 지지부재(240)에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40)는 일 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지지부재(240)를 중심부(241) 및 양측부(244, 245)로 구분한다. 이때, 상기 중심부(241)는 상기 결합부재(210)와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양측부(244, 245)는 상기 상판(10)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22, 24)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241)에는 상기 결합부재(210)의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부재 삽입홈(245)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 삽입홈(245)은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210)의 형상과 대응되어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결합부재 삽입홈(245)은 상기 결합본체(211) 및 상기 제3,4결합부(214, 2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 삽입홈(245)에 상기 결합부재(210)가 삽입되면 서로 연결되는 표면을 형성하여 깔끔하게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241)에는 일 방향에서 상기 결합부재 삽입홈(245)으로 관통하는 제1결합볼트 삽입홀(24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볼트 삽입홀(2410)에는 제1결합볼트(510)가 일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210)와 상기 지지부재(240)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볼트 삽입홀(2410)은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제1결합볼트(510)가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심부(241)에는 상단에서 상기 결합부재 삽입홈(245)으로 관통하는 제2결합볼트 삽입홀(2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볼트 삽입홀(2412)에는 제2결합볼트(520)가 일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210)와 상기 지지부재(240)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볼트 삽입홀(2412)은 측방향으로 이격된 두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4개의 제2결합볼트(52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양측부(244, 245)에는, 상기 연결프레임(22, 24)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242, 243)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브라켓(242, 243)은 상기 지지부재(240)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242, 243)은 상단에서 하부로 함몰된 연결공간(2420, 24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공간(2420, 2430)은 앞서 설명한 상기 연결프레임(22, 24)의 단부(226, 246)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242, 243)과 상기 연결프레임(22, 24)의 단부(226, 246)는 볼트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20 : 책상용 프레임
22 : 제1연결프레임
24 : 제2연결프레임
200 : 다리프레임
210 : 결합부재
220, 230 : 다리부재
240 : 지지부재

Claims (10)

  1. 상판과 결합되어 책상을 형성하는 책상용 프레임에 있어서,
    한 쌍의 다리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다리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각 다리프레임은,
    상기 상판 및 상기 연결프레임과 결합되는 지지부재;
    바닥면에서 경사지게 상부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를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에 삽입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되는 제3연결부 및 제4연결부; 및
    상기 제1 내지 4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를 포함하고,
    각 다리부재는 바닥면에 접하는 하단과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상단을 갖는 내부가 빈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각 다리부재의 상단은 개방되어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다리프레임은 양 단이 최하부에 위치하고, 중심이 최상단에 위치하는 호(arc)형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재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커버의 양 단이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의 상단에 각각 접하여 연결되는 표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결합부재커버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다리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다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다리부재의 하단과 상기 제2다리부재의 하단은 일 측으로 최대거리로 배치되고, 상기 제1다리부재의 상단과 상기 제2다리부재의 상단은 일 측으로 최소거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부와 상기 제1,2다리부재의 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제1,2다리부재를 고정하는 복수의 다리고정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제1,2연결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각 다리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다리고정볼트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다리고정볼트 삽입홀은 상기 제1,2연결부 또는 상기 제1,2다리부재와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다리고정볼트는 상기 다리고정볼트 삽입홀을 통해, 상기 제1,2연결부와 상기 제1,2다리부재의 결합부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프레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된 양측부로 구성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함몰된 결합부재삽입홈;
    일 방향에서 상기 결합부재 삽입홈으로 관통하는 제1결합볼트 삽입홀; 및
    상단에서 상기 결합부재 삽입홈으로 관통하는 제2결합볼트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부재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결합볼트 삽입홀에 제1결합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제2결합볼트 삽입홀에 제2결합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재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측에서 양 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부로 연장되어 'ㅈ'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본체에서 상기 제3, 4 연결부가 양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연결본체의 중심측에서 상기 제1, 2 연결부가 양 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부로 연장되어 'ㅈ'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1연결프레임 및 제2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프레임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직선빔;
    상기 제1직선빔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빔; 및
    상기 경사빔에서 다시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직선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직선빔과 상기 제2직선빔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경사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단에서 하부로 함몰된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직선빔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브라켓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제1직선빔의 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프레임.
KR1020210117168A 2021-09-02 2021-09-02 책상용 프레임 KR10235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68A KR102350755B1 (ko) 2021-09-02 2021-09-02 책상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68A KR102350755B1 (ko) 2021-09-02 2021-09-02 책상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755B1 true KR102350755B1 (ko) 2022-01-14

Family

ID=7934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168A KR102350755B1 (ko) 2021-09-02 2021-09-02 책상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7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199A (ko) * 2015-09-25 2017-04-04 최석기 테이블용 조립식 지지프레임
KR102091383B1 (ko) * 2019-12-12 2020-03-20 (주)오넥트 내구성이 강화된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199A (ko) * 2015-09-25 2017-04-04 최석기 테이블용 조립식 지지프레임
KR102091383B1 (ko) * 2019-12-12 2020-03-20 (주)오넥트 내구성이 강화된 테이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0869274호(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01528T3 (es) Kit de mobiliario
US11241089B2 (en) Configurable bottle storage rack
US6971528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US8011156B1 (en) Construction set
US20060243177A1 (en) Bookcase with sloping shelves
KR101694923B1 (ko)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가구용 프레임
KR102350755B1 (ko) 책상용 프레임
US20050045073A1 (en) Variable angle winged table
US20140314470A1 (en) Connector for a modular rack
KR101300631B1 (ko) 테이블
KR20200089531A (ko) 무볼트 프레임가구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JP7048133B1 (ja) ジョイント部材、組み立てフレーム、及び、組み立てキット
CN215776247U (zh) 一种方便组装的桌脚结构
KR102235203B1 (ko) 피씨방 책상용 선반
KR102377687B1 (ko) 연결형 칸막이
JP6124553B2 (ja) デスク
JP4445639B2 (ja) 書架への防振杆の取付構造
JP7243255B2 (ja) 吊下具、及び、吊下具を備えた組立家具
JP5923872B2 (ja) デスク
KR102540748B1 (ko) 가구 조립체
JP2003024154A (ja) 間仕切り及びその取付構造
KR102216375B1 (ko) 다용도 책상
CN210121001U (zh) 全金属框架折叠凳及铰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