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458A - 주택이나 창고 건축 요소 - Google Patents

주택이나 창고 건축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458A
KR20010110458A KR1020017011141A KR20017011141A KR20010110458A KR 20010110458 A KR20010110458 A KR 20010110458A KR 1020017011141 A KR1020017011141 A KR 1020017011141A KR 20017011141 A KR20017011141 A KR 20017011141A KR 20010110458 A KR20010110458 A KR 20010110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opposing
connecting means
relativ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알렌 베비스
Original Assignee
클라스골드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PP8962A external-priority patent/AUPP896299A0/en
Priority claimed from AUPP9178A external-priority patent/AUPP917899A0/en
Priority claimed from AUPP9229A external-priority patent/AUPP922999A0/en
Priority claimed from AUPQ5165A external-priority patent/AUPQ516500A0/en
Application filed by 클라스골드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클라스골드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1011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45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68Hing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골조를 구성하기 위해 제2 부재(14)에 대해 공간적으로 제1 부재(12)를 고정하는 어댑터(18)에 관한 것이다. 이 어댑터(18)는 제1 및 제2 부재들(12,14)에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연결수단들(44,46)을 구비한다. 어댑터는 제1 연결수단(44)에서 제1 부재(12)에 연결되고 제3 연결수단(46)에서 제2 부재(46)에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는바, 이들 제1 및 제2 연결수단들(44,46)은 상대회전 가능하다. 설치볼트 등에 의해 보나 기둥을 다른 보나 기둥에 연결하는 어댑터(18)에 보나 빔(12,14)을 신축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이들 보나 기둥(12,14)의 대향 측벽(20,33)에는 대향 구멍들(26)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멍들(26)에 기다란 부재를 삽입하여 어댑터(18)와 보나 기둥(12,14)의 상대적 신축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보나 기둥(12,14)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20,22)에는 그 종축선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대향 플랩(28)이 형성되어 있다. 플랩(28)의 자유단부들은 측벽(20,22)의 바깥쪽 및 서로를 향해 뻗어서 그 사이에 판의 양쪽 측연부를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택이나 창고 건축 요소{House and/or shed construction components}
철골 주택이나 창고는 통상 다음과 같이 건축된다. 콘크리트를 부은 다음 다이너볼트나 설치볼트를 적절히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하여 철골을 슬래브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기둥을 수직으로 세우고 다이너볼트(dynabolt)나 설치볼트를 기둥 하단부에 장착한다. 여러개의 기둥들을 일렬로 고정한 다음 이들 기둥열을 평행하게 여러줄 세우되, 대응하는 기둥들이 직접 대향하도록 고정한다. 다음, 대응 기둥들의 상단부 사이에 보를 걸쳐 지붕 지지대를 형성한다. 대응 기둥들 사이에 하나의 보만 걸쳐놓을 수도 있고, 두개 이상의 보를 걸쳐놓을 수도 있다. 대개 기둥 상단부 사이에 두개의 동일한 보를 걸쳐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각의 보의 일단부를 기둥 상단부에 연결하고, 보의 자유단부는 기둥들 사이의 중앙 지점에서 서로 연결한다. 이런 공정을 계속하면서 기둥 상단부에 보를 연결하면, 주택이나 창고의 골조가 완성된다. 다음, 기둥과 보의 외면에 판을 고정하여 주택이나 창고의 측벽과 지붕을 형성한다.
기둥의 하단부는 통상 다이너볼트나 설치볼트에 직접 연결되고, 보는 서로에 대해서 및 기둥에 용접이나 볼트결합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고정된다. 어떤 경우에는 보들을 서로 고정하거나 기둥에 연결하는데 어댑터부재들을 이용할 수 있지만, 어댑터부재들은 보와 기둥에 동일한 형태로 고정된다.
기둥과 보의 외측면에는 상단덮개를 통해 판이 고정된다. 상단덮개는 기둥과 보에 횡방향으로 나사결합된다. 이런식으로 인접한 평행 보와 기둥들이 상단 덮개에 의해 연결된다. 다음, 상단 덮개에 판을 나사결합하여 주택이나 창고를 덮는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보와 기둥을 이용해 건축되는 주택이나 창고 골조를 조립하는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주택이나 창고 골조를 세우는 슬래브에 주택이나 창고를 세우는데 사용될 특별한 치수의 기둥과 보를 생산한 뒤 이들 슬래브가 균일하게 매립되거나 세워지지 않으면, 기둥과 보의 조립도 상당히 곤란해진다. 어떤 경우에는 조립이 불가능하여 기둥이나 보를 재조정하거나 교체해야만 할 경우도 있다.
슬래브가 균일하게 이동하지 않는 문제는 보나 기둥 측벽의 슬롯을 통해 보와 기둥을 서로 볼트조립하는 방향으로 처리되어 왔는바, 슬롯을 통해 볼트를 약간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주택이나 창고의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불균일한 이동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다른 기둥, 보 및 어댑터부재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주택이나 창고를 건축하는데 적합한 요소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주택이나 창고의 조립된 상태의 골조의 정면도;
도 2a는 조립되지 않은 상태의 보나 기둥과 상단덮개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보나 기둥과 상단덮개의 조립상태의 사시도 및 보나 기둥의 플랩의 상세도;
도 3은 기둥 단부를 다이너볼트, 수지앵커 또는 설치볼트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의 사시도;
도 4a는 기둥 단부를 다이너볼트, 수지앵커 또는 설치볼트에 연결하기 위한 다른 어댑터의 사시도;
도 4b는 또다른 어댑터의 사시도;
도 5a는 보의 단부를 다른 보의 단부나 기둥 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의사시도;
도 6a는 도 5a의 어댑터의 한쪽 아암의 사시도;
도 7a는 도 5a의 어댑터의 다른쪽 아암의 사시도;
도 5b는 보의 단부를 다른 보나 기둥의 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다른 어댑터의 사시도;
도 6b는 도 5b의 어댑터의 한쪽 아암의 사시도;
도 7b는 도 5b의 어댑터의 다른쪽 아암의 사시도;
도 5c는 도 5b의 어댑터와 유사한 어댑터의 사시도;
도 5d는 도 5c의 어댑터와 유사한 다른 어댑터의 사시도;
도 5e는 도 4b, 5d의 어댑터를 조합한 어댑터의 사시도;
도 6c는 도 5c, 5d, 5e의 어댑터의 한쪽 아암의 사시도;
도 7c는 도 5c의 어댑터의 다른쪽 아암의 사시도;
도 8은 어댑터를 신축 가능하게 부착한 보나 기둥과 어댑터의 상대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랩의 사시도;
도 10은 도 1과는 다른 조립된 지지골조의 정면도;
도 11은 기둥 단부를 두개의 별도의 보의 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다른 어댑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어댑터를 기둥과 보에 결합했을 때의 사시도;
도 13은 도 7c의 아암과는 다른 아암의 사시도;
도 14는 도 1, 10의 지지골조와는 다른 조립된 지지골조의 정면도;
도 15는 기둥 단부를 두개의 별도의 보의 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도 11, 12와는 다른 어댑터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어댑터를 기둥과 보에 결합했을 때의 사시도;
도 17은 보를 다른 보나 기둥에 결합하기 위한 다른 어댑터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어댑터를 통해 보에 결합된 기둥의 사시도;
도 19는 도 1, 10, 14의 지지골조와는 다른 조립된 지지골조의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지지골조의 평면도;
도 21은 서로 피봇 되도록 보의 단부들을 연결하기에 적합한 다른 어댑터의 사시도.
본 발명은 주택이나 창고 골조를 포함한 건물 골조를 구성하기 위해 제2 부재에 대해 공간적으로 제1 부재를 고정하는 어댑터에 있어서: 제1 및 제2 부재들에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연결수단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수단은 상기 제1 부재에 신축 결합되도록 배열되고, 두군데의 말단위치 사이의 어느 곳에서도 제1 부재에 대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두군데의 말단위치중 한쪽 말단 위치는 결합된 어댑터와 제1 부재의 서로에 대한 일방향의 최대량의 상대적 신축 이동에 의해 정해지고, 다른쪽 말단 위치는 결합된 어댑터와 제1 부재의 다른쪽 방향으로의 상대적 최대량의 신축 이동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주택이나 창고 골조를 포함한 건물 골조를 구성하기 위해 제2 부재에 대해 공간적으로 제1 부재를 고정하는 어댑터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결합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1 연결수단은 대응 숫부재를 삽입하는 슬롯, 구멍, 공동 등의 암부재를 구비한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신축 결합하도록 배열되고, 어댑터와 제1 부재의 상대적 신축 운동은 공동, 슬롯 또는 구멍에 상기 숫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방지되며; 상기 숫부재는 어댑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주택이나 창고 골조를 포함한 건물 골조를 구성하기 위해 제2 부재에 대해 공간적으로 제1 부재를 고정하는 어댑터에 있어서: 제1 연결수단을 통해 제1 부재에, 그리고 제2 연결수단을 통해 제2 부재에 연결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수단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제공한다.
제1 및 제2 부재는 보나 빔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한쪽 보 또는 기둥을 다른 보나 기둥, 또는 설치볼트, 수지앵커, 다이너볼트 등에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어댑터에 신축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골조에 있어서: 대향 측벽들에 대향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향 구멍들에 기다란 부재를 삽입하여 이들 구멍들이 어댑터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어댑터와 골조의 상대적 신축 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를 제공한다.
대향 구멍들은 대향 슬롯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수단 둘다 또는 어느 하나는 제1 및 제2 부재 각각에 신축 연결하기 위한 신축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수단들은 상기 두군데 말단위치 및 그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도 제1 및 제2 부재들에 대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신축 연결수단은 대응 숫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슬롯, 구멍, 공동 등의 암부위를 포함하고, 신축연결수단과 제1 또는 제2 부재의 상대적 신축운동이 제1 또는 제2 부재의 공동, 슬롯 또는 구멍에 상기 숫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방지된다. 한편, 상기 신축 연결수단과 제1 또는 제2 부재의 상대적 신축운동이 신축연결수단과 제1 또는 제2 부재를 나사결합이나 볼트결합하여 방지될 수도 있다. 상기 신축 연결수단은 제1 또는 제2 부재에 나사결합이나 볼트결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또는 제2 부재 역시 신축 연결수단에 나사결합이나 볼트결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어댑터는 자신과 제1 또는 제2 부재 사이의 상대적 신축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어댑터와 제1 또는 제2 부재는 두군데의 말단위치 또는 그 사이의 어느 곳에서도 서로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고정되기에 적합하다. 잠금수단은 상기 두군데의 말단위치나 그 사이의 한 지점을 포함한 여러 단속적 위치에서 신축결합 어댑터와 제1 또는 제2 부재를 서로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어댑터는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단부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대향 측벽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대향 측벽들 사이로 미끄럽 삽입되기에 적합한 대향 측벽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댑터는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대향 측벽들에 연결되는 다른 측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댑터의 대향 측벽과 다른 측벽으로 이루어진 중공 단부에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단부를 미끄럼 삽입하기에 적합할 수도 있다. 다른 측벽 반대쪽의 대향 측벽의 측연부들이 연장하여 연장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바, 이 연장부는 다른 측벽과 정렬되고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단부를 삽입하기에 적합하며 반대쪽 대향 측벽쪽으로 일부 연장된다.
어댑터는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일단부 안으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두쌍의 대향 측벽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두쌍의 대향 측벽들은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두쌍의 대응하는 대향 측벽들 미끄럼 삽입하기에 적합하다.
어댑터의 횡단면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이다. 어댑터의 대향 측벽들에는,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대향 측벽들의 한쌍의 슬롯들과 일치되기에 적합한 한쌍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슬롯은 어댑터의 대향 측벽을 따라 여러쌍이 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댑터는 측벽의 일단부나 양단부에서 측벽에 횡으로 위치하는 가로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댑터의 대향 측벽들의 각 단부에는 아아치형 부재가 연장될 수 있는바, 이들 아아치형 부재는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대향측벽들의 슬롯과 일치되기에 적합하다.
아아치형 부재들은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의 측벽들과 평행한 평면상에 놓이는 기다란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다란 아아치형 부재들과 슬롯들의 종축선은 어댑터 측벽 및 제1 및/또는 제2 부재 각각의 종축선에 횡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상기 대응 슬롯들 역시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대향 측벽을 따라 선형으로 여러쌍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아아치형 부재는 횡판에 부착되고 횡판과 어댑터 측벽에서 먼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잠금수단은 정렬된 슬롯이나 정렬된 아아치형 부재, 어댑터 및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슬롯들을 관통하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의 일단부는 슬롯을 통과하지 못한다. 스트랩의 타단부는 어댑터 및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슬롯들과 정렬된 아아치형 부재의 슬롯들을 관통한 뒤 종축선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부재는 건물골조가 세워지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어댑터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설치볼트, 수지앵커, 다이너볼트일 수 있다. 설치볼트, 수지앵커, 다이너볼트 등이 여러개 있을 수도 있다.
어댑터는 설치볼트, 수지앵커, 다이너볼트 등에 부착되는 판을 가질 수도 있다. 이 판은 어댑터 측벽에 횡방향으로 고정되고 설치볼트, 수지앵커, 다이너볼트 등을 삽입하기에 적합한 구멍을 갖는다. 이 구멍은 설치볼트, 수지앵커, 다이너볼트 등의 나사단부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식일 수도 있다.
상기 판은 설치볼트, 수지앵커, 다이너볼트 등의 나사단부에 나사결합되면서 너트로 조여지는 표면을 제공한다.
상기 구멍은 판의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판은 설치볼트, 수지앵커, 다이너볼트 등을 여러개 삽입하도록 여러개의 구멍을 가질 수도 있다. 판은 어댑터의 대향 측벽들에서 돌출하여 연장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각각의 연장부에 설치볼트, 수지앵커, 다이너볼트 등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어댑터의 제2 연결수단은 여러개의 부재들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연결수단은 여러 연결부분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연결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연결부분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들 연결부분들은 공통 평면상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고, 연결아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수단들은 제1 및 제2 연결아암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연결아암들은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연장될 수 있고,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이들 연결아암들은 거의 선형일 수 있고, 하나의 연결아암의 일단부를 다른 연결아암의 일단부에 연결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연결아암의 양단부 사이의 연결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연결부는 아암 양단부 사이의 거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어댑터의 연결아암들은 서로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다.
이들 연결아암들은 대향하는 한쌍의 내측벽에 중첩되는 한쌍의 대향 외측벽을 통해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중첩하는 내외 측벽들은 기다란 부재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기다란 부재의 제1 단부는 중첩된 측벽들의 정렬된 구멍들을 통과하지 못한다.
기다란 부재의 제2 단부는 이 부재를 삽입한 후 정렬 구멍에서 빠지지 않도록 된다.
기다란 부재의 제1 단부는 중첩된 측벽들의 정렬 구멍들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벌어질 수도 있고, 제2 단부는 이들 정렬구멍들에 부재를 삽입한 뒤 벌어질 수 있다.
중첩된 외측벽들은 기다란 부재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중첩된 내측벽들을 기다란 부재가 관통하여 이들 내측벽이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기다란 부재는 튜브일 수도 있다.
어댑터의 연결아암들의 기다란 부재를 중심으로 한 회전은 정지수단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이 정지수단은 인접한 외측벽과 내측벽중의 적어도 한쌍의 대응 구멍들이 정렬되었을 때 이 구멍들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일 수 있다.
대향 외측벽과 내측벽들의 중첩 단부들은 연결아암들의 상대회전을 허용하도록 아아치형 연장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대향 내측벽을 갖는 연결아암에 있어서 이 내측벽에 횡방향인 외측벽 쌍은 아아치형 연장부가 이어진 연결아암의 단부를 폐쇄하도록 대향 내측벽의 아아치형 연장부 둘레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연결아암의 연결부에도 한쌍의 대향 외측벽이 있고, 이들 외측벽은 대향 외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피봇 연결아암들의 상대적 피봇 운동을 허용한다. 대향 외측벽 쌍에 횡방향인 측벽들중 적어도 하나를 일부 제거하여 연결아암의 상대적 피봇운동을 허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한쪽 연결아암의 아아치형 연장부는 다른쪽 연결아암의 대향 외측벽 안으로 부드럽게 삽입되어 기다란 부재를 중심으로 한 연결아암의 아아치형 연장부들의 축선 이동을 방해할 수도 있다.
상기 한쪽 연결아암의 아아치형 연장부들의 외측면들은 상기 다른쪽 연결아암의 대향 외측벽의 내면에 접촉하고, 이들 아아치형 연장부들이 연결된 대향 측벽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게 벌어져 제1 및/또는 제2 부재가 상기 한쪽 연결아암과 간섭되지 않고 다른쪽 연결아암에 신축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분들의 대향 측벽들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환형 연결부재에서 연결부분들이 회전할 수 있으며, 이들 연결부분들은 환형 연결부재의 종축선에 직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환형 연결부재의 일단부는 연결부분들의 대향 측벽들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타단부는 부재를 삽입한 뒤 상기 구멍들을 통해 빠지지 않도록 된다.
환형 연결부재의 일단부를 벌려 상기 구멍들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그 타단부는 연결부재를 삽입한 뒤 벌릴 수도 있다. 연결부재는 원형 링일 수도 있고, 연결부분들의 대향 측벽들의 구멍에 삽입된 뒤 양단부를 연결할 수도 있다.
연결부재의 양단부를 용접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연결부들은 환형 연결부재를 따라 축선상으로 움직일 수도 있고 연결부재의 길이를 따라 여러 위치에서 회전될 수도 있다.
대향 슬롯들의 종축선은 보나 기둥의 종축선에 횡으로 배향될 수 있고, 대향 측벽들을 따라 여러개의 슬롯들이 선형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보나 기둥은 종축선 방향으로 정렬된 대향 측벽들은 물론, 종축선 방향으로 정렬되면서 대향 측벽들에 연결되는 다른 측벽을 가질 수 있다.
보나 기둥의 대향 측벽들에 대해 반대쪽인 상기 다른 측벽의 측연부들이 연장하여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들 연장부는 다른 측벽과 정렬되되 반대쪽 대향 측벽을 향해 일부 연장되어 있다.
보나 기둥의 대향 측벽들의 폭과 연장부의 폭은 상기 다른 연결아암을 보나 기둥의 말단에서 삽입하여 연장부들과 간섭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보나 기둥은 그 종축선 방향으로 정렬되는 두쌍의 대향 측벽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나 기둥의 단면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이고 속이 차있을 수도 있다. 보나 기둥의 측벽에는 판을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판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형성한 보나 기둥을 제공하는바, 이들 부착수단은 하나 이상의 플랩으로 구성되고, 플랩의 종축선은 보나 기둥의 종축선은 물론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있으며, 플랩의 자유단부들은 보나 기둥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서로를 향해 뻗어 있으며, 대향하는 플랩들 사이에 판의 양측연부를 고정할 수 있다.
대향 플랩들은 그 사이로 상단덮개의 양쪽 측연부를 고정할 수 있다. 대향 플랩들은 보나 기둥의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측벽의 폭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 플랩들은 보나 기둥의 인접 측벽들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따르면, 철골주택이나 창고의 골조(10)는 기둥(12)과 보(14) 등의 제1 부재로 구성된다. 기둥(12)은 기초 어댑터부재(16) 등의 어댑터부재를 통해 다이너볼트, 수지앵커 또는 설치볼트(도시 안됨) 등의 제2 부재에 고정된다. 보(14)와 기둥(12)의 단부는 피봇형 어댑터 부재(18) 등의 어댑터 부재들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도 2a에 따르면, 각각의 기둥(12)과 보(14)는 서로 대향하는 측벽들(20)과, 이 측벽들(20)에 직각으로 벽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보(12)나 기둥의 종축선을 따라 이어진 측벽(22)을 구비한다. 측벽(22) 반대쪽의 대향 측벽(20) 측연부에는 측벽(20)에 직각으로 측벽(22)과 나란한 연장부(24)가 맞은편 측벽(20)을 향해뻗어 있다. 각각의 보(12)나 기둥(14)의 측벽(20)에는 슬롯(26)이 3개씩 형성된다. 이들 슬롯은 측벽(20)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폭을 가로지른다.
도 2a, 2b에 따르면, 각각의 보(12)나 기둥(14)에는 서로 마주보는 플랩 형태의 돌기(28)가 쌍쌍이 펀칭 형성되어 있는바, 이들 돌기(28)는 벽(20,22)을 펀칭한 금속 스트립으로서 일단부는 벽에 붙어 있고 타단부는 벽 외측으로 프레스되어 있다. 각 돌기(28) 프레스된 금속 스트립들은 거의 정렬되어 있으며, 각 쌍의 돌기(28)의 자유단부는 서로 인접해 있다. 각 돌기(28)가 측벽(20,22)에 부착된 지점들 사이의 간격이 상부 덮개(30)의 양쪽 측연부 사이의 간격과 일치하도록 각 쌍의 돌기(28)가 이격되어 있다.
도 3에 따르면, 기초 어댑터부재(16)는 종축선 방향으로 정렬된 대향 측벽(32)을 구비한다. 측벽들(32) 각각의 측연부는 역시 어댑터부재(16)의 종축선으로 정렬되어 있는 다른 측벽(34)에 결합된다. 측벽(34) 반대쪽의 측벽(32) 측연부에는 연장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장부(36)는 맞은편 벽(32)을 향해 일부분까지만 뻗어 있다. 각 측벽(32,34)의 하단부 및 연장부(36)의 하단부에는 기초 어댑터부재(16)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판(38)이 고정된다. 이 판(38)에는 기초 어댑터부재(16)의 종축선과 일치하는 구멍(40)이 뚫려 있고, 이 구멍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판(38)에 대칭으로 4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측벽(32)에는 그 폭을 가로질러 슬롯(42)이 형성된다. 각각의 측벽(32)에는 5개의 슬롯(42)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4a, 4b에, 소형 주택이나 창고용으로 사용되는 다른 기초어댑터부재(17,27)가 도시되어 있다. 이 기초 어댑터부재(17,27)는 다음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어댑터부재(16)와 동일하다. 도 3의 판(38)과 비슷한 판(39)이 어댑터부재(16)의 대향 측벽(32)에 대응하는 대향 측벽(32) 너머로 뻗어 판 연장부(41)를 형성한다. 판 연장부(41) 각각의 중앙에는 구멍(43)이 형성된다. 대향 측벽들(32)의 종연부들은 이들 측벽에 직각인 대향 측벽들(45)에 결합된다. 기초 어댑터부재(17)의 대향 측벽들(32,45)의 상단부에는 어댑터부재(17)의 상단부를 폐쇄하는 판(47)이 결합된다.
기초 어댑터부재(27)에는 판(47)이 없어 그 상단부가 개방된다. 이 어댑터부재(27)에는 어댑터부재(16,17)의 측벽에 형성된 것과 같은 슬롯(42)도 없다.
도 5a, 6a, 7a에 따르면, 피봇형 어댑터부재(18)는 대칭형 제1 및 제2 연결 아암(44,46)을 포함한다. 아암들(44,46)은 각각 두쌍의 측벽(48,50)을 갖는다. 각각의 아암(44,46)의 단부(51)는 단부판(52)에 의해 막혀 있다. 대향 측벽(48)에는 아암(44,46)의 단부(51)쪽에 5개의 슬롯들(54)이 형성된다. 이들 슬롯(54) 각각은 아암(44,46)의 종축선에 횡으로 형성되어 벽(48)의 폭 전체에 걸쳐 뻗어 있다. 5개 슬롯(54) 각각은 등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피봇형 어댑터부재(18)의 아암(44,46)은 단부(55)를 중심으로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대향 측벽(50)은 단부판(52)에서부터 이어져 있고, 단부판 반대쪽의 단부에는 인접 대향 측벽(48)보다 튀어나온 반원형 연장부(56)가 있다.
도 5b, 6b,7b에는 도 5a, 6a,7a의 피봇형 어댑터부재(18)와는 다른 피봇형 어댑터부재(19)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어댑터부재는 기본적으로 어댑터부재(18)와동일하되, 단부판(52)과 슬롯(54)이 없다는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5a, 6a,7a의 피봇형 어댑터부재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했다.
피봇형 어댑터부재(18)의 아암(44,46)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아암(44)의 반원형 연장부(56)는 구멍(58)에서 정렬되도록 아암(46)의 대응 반원형 연장부(56) 안으로 삽입된다. 정렬된 구멍(58)을 튜브(60)가 관통하고, 아암(46)의 연장부에 대해 튜브(60)가 정위치하도록 튜브 양단부가 밖으로 돌출한다. 튜브(60)를 중심으로 아암들(44,46)이 회전한다.
아암(44)의 양 측벽(48)은 반원형 연장부(56) 둘레까지 뻗어, 아암(46)의 반원형 연장부(56) 사이로 삽입되는 아암(44)의 단부를 폐쇄한다. 한편, 아암(46)의 양 측벽(48)은 아암(46)의 반원형 연장부(56) 둘레까지 뻗지 않아, 아암(44)에 피봇 부착된 아암(46)의 단부는 아암(46)의 반원형 연장부(56) 사이로 아암(44)을 삽입하기 위해 개방된다.
도 5c-e, 6c, 7c에는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는 피봇형 어댑터부재(19)와 유사한 다른 피봇형 어댑터부재들(21,23,25)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피봇형 어댑터부재들(21,23,25)과 피봇형 어댑터부재(19)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한다. 도 6c, 7c에 따르면, 아암(46)의 반원형 연장부(56)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아암(45)의 반원형 연장부(57)는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일부만 폐쇄된다. 도 6c, 7c의 아암들(45,46)은 각각 어댑터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어댑터(23,25)를 형성하는데 비슷한 아암들을 사용할 수 있는바, 아암(46)은 다음과 같이 약간 변경된다. 어댑터(23,25)용 아암(46)의 연장부(59)는 측벽(50)에서 약간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어댑터(23,25)의 연장부(59)는 측벽(50)보다 약간 더 돌출되어 있다. 어댑터(25)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아암(46)은 어댑터(21)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아암(46)과는 다르다. 도 4a, 4b의 판(39)과 비슷한 판(59)으로 아암(46)의 개방단부가 폐쇄된다. 아암(46)의 반원형 연장부(56)는 아암(46)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판(59)은 아암(46)의 타단부에 위치한다.
도 1, 2a, 2b, 3에 따르면, 기둥(12)과 기초 어댑터부재(16)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콘크리트 슬래브 위로 돌출하는 볼트(도시 안됨)가 기초 어댑터부재(16)의 구멍(40)을 관통해 위로 돌출된다(도 3 참조).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된 기초 어댑터부재(16)에 기둥(12)을 똑바로 위치시키되, 기둥의 각 단부가 어댑터부재 (16)의 상단부에 신축 자유롭게 삽입되도록 한다(도 1, 2 참조). 기초 어댑터부재 (16)의 대향 측벽(32)에 측벽(20)이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기둥(12)을 배향한다. 다음, 기둥(12)의 상단부가 콘크리트 슬래브 윗면에 대해 적절히 위치할 때까지 기둥 (12)을 승강 또는 하강시킨다. 기둥(12)이 적절히 위치되고, 슬롯(42) 쌍과 슬롯(26) 쌍이 일치되면 스트랩(62)을 이들 슬롯(52,26)에 삽입한다(도 8 참조). 그렇지 않으면, 스트랩(62)이 슬롯(42,26)에 삽입되어 기초 어댑터부재(16)에 기둥 (12)을 고정할 때까지 기둥(12)을 약간 상하로 움직인다. 스트랩(62)의 가로단부 (64)가 기초 어댑터부재(16)의 대향 측벽(32) 외측면에 맞닿을 때까지 스트랩(62)을 어댑터부재(16)와 기둥(12)에 삽입한다. 그뒤, 가로단부(64) 반대쪽의 스트랩 (62) 단부(66)를 스트랩(62)의 종축선에 대해 가로단부(64)와 평행하게 구부려 측벽(32)의 외측면에 맞닿게 한다.
도 4a에 따르면, 전술한 방식과 비슷하게 다른 기초 어댑터부재(17)를 이용해 기둥(12)을 콘크리트 슬래브에 연결할 수 있다. 단, 기둥(12)의 대향 측벽(20)은 기초 어댑터부재(17)의 대향측벽(32) 내부가 아닌 외부로 삽입된다.
어댑터부재(19)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마찬가지로, 대향 측벽(32,45) 안쪽으로 기둥을 삽입하여 기초 어댑터부재(27)에 기둥을 연결할 수도 있다.
도 5e에는, 어댑터부재(17)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기둥을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어댑터부재(25)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어댑터부재(25)는 보나 기둥을 벽체나 콘트리트 슬래브에 직각이 아닌 각도로 연결하는데 적합하다.
기초 어댑터부재(16)에 고정되어 위로 뻗은 기둥(12)의 상단부에는 다음과 같이 피봇형 어댑터부재(18)를 결합한다. 기초 어댑터부재(16)에 기둥(12)을 삽입하는 형태와 비슷하게, 피봇형 어댑터부재(18)의 아암들(44,46)중 한쪽을 기둥(12) 상단부에 삽입한다. 기둥(12)의 상단부에 삽입된 아암을 상하로 움직여 슬롯(54)의 일부를 기둥 대향측벽(20) 상단부의 슬롯(26)과 일치시킨다(도 2a 참조).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기초 어댑터부재(16)와 기둥(12)의 정렬 슬롯(42,26)에 스트랩(62)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정렬된 슬롯(26,54)에 스트랩을 삽입한다(도 8 참조). 스트랩(62)의 단부(66)를 가로단부(64)와 평행하게 구부려, 기둥(12) 축선상에 피봇형 어댑터부재(18)를 고정한다.
피봇형 어댑터부재(18)와는 약간 다른 방식으로 기둥 상단부에 다른 피봇형 어댑터부재(19)를 결합한다. 어댑터부재(19)의 아암들(44,46)중 한쪽을 적절해 배향하여 기둥 상단부가 위로부터 아암에 삽입되도록 한다. 피봇형 어댑터부재(19)를 기둥(12)과 비슷한 기둥에 결합할 수도 있지만, 기둥(12) 내부에 피봇형 어댑터부재(18)의 아암들중 하나를 삽입하는 것과 반대로 어댑터부재의 중공 아암 안으로 기둥(12)을 삽입하여 기둥을 결합한다. 피봇형 어댑터부재(19)는 그 중공 아암들(44,46)중 하나에 대들보나 기둥(47)의 일단이 신축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어댑터부재(19)의 중공 아암에 대해 대들보나 기둥을 배치해야만 할 경우, 어댑터부재(19)가 대들보나 기둥(47)에 결합되도록 설계한다. 대들보나 기둥(47)이 피봇형 어댑터부재(19)의 중공 아암들(44,46)중 하나 안으로 적절히 삽입되면, 아암의 대향 측벽들(50)중 하나 또는 둘다를 관통하는 나사(49)를 조여 대들보나 기둥(47)을 어댑터부재(19)에 결합할 수 있다. 한쪽 측벽(50)에만 4개의 나사를 조일 수도 있다.
도 9는 보(14)와 기둥(12)이 어댑터부재(27;19,21;23)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피봇형 어댑터부재(19)는 보나 기둥에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금속의 조립된 기둥이나 보에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금속의 조립된 보나 기둥을 피봇형 어댑터부재(19)의 아암(44,46) 안으로 신축 가능하게 삽입하여 어댑터부재(19)에 연결한다. 다음, 기조립된 보나 기둥의 인접 측벽들에 어댑터부재(19)의 아암의 대응 측벽들을 결합한다. 이때, 리벳, 볼트, 점용접,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피봇형 어댑터부재(19)를 금속의 조립된 보나 기둥에 고정한다.
기둥(12)과 보(14)의 단부를 피봇형 어댑터 부재들(18)과 적절히 연결하면, 서로 마주보는 기둥들(12)의 상단부들 사이에 한쌍의 보(14)를 걸쳐 놓을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인접한 기둥(12)이나 보(14)를 가로질러 상단 덮개들(30)이 배치된다. 상단덮개(30)의 외측 플랜지들(70)을 기둥(12)이나 보(14)의 측벽(20,22) 외측면과 접촉시키면서 기둥이나 보에 횡으로 미끄러뜨려 결합할 수 있다. 상단덮개 (30)를 미끄러뜨리면, 플랜지(70)가 펀칭 돌기(28) 밑으로 들어가고, 펀칭 돌기 (28)의 금속 스트립들 각각이 측벽(20,22)에 부착되어 있는 지점들 사이로 플랜지(70)의 외연부가 통과한다. 이렇게 하여, 상단덮개(30)를 기둥(12)이나 보(14)에 횡방향으로 신속히 결합할 수 있다. 상단 덮개(30)를 기둥(12)이나 보 (14)에 적절히 결합하면, 이곳에 판을 덮어서 벽체와 지붕을 완성하고 주택이나 창고를 둘러싼다.
도 10에 따르면, 도 1의 보(14)와 기둥(12)에 다른 보(90)를 설치하되, 이 보(90)를 보(14)와 기둥(12)의 연결점에서 외측 하향으로 뻗도록 설치하여 주택이나 창고의 처마를 위한 지지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의 보(90)는 도 11, 12의 다른 어댑터부재(92)를 통해 기둥(12)과 보(14)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어댑터부재(92)는 상대 회전 가능한 3개의 연결 아암(94)을 갖는다. 이들 아암(94)은 도 5a-5d의 피봇형 어댑터부재(18,19,21,23)의 아암(44,45,46)과 비슷하다.
피봇형 어댑터부재(18,19,21,23)의 아암(44,45,46)과 마찬가지로, 아암 (94,96)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3에 따르면, 아암(98)은 아암(99)과비슷한 아암으로 구성되지만, 도 5a의 측벽에 대응하는 측벽에 슬롯이 없는 점에서 다르다. 아암(99)의 일단부에는 도 7c의 반원형 연장부와 비슷한 반원형 연장부 (101)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연장부(101)는 반원형 연장부(56)보다 더 크게 떨어져 있다. 따라서, 반원형 연장부(101)는 도 5e의 어댑터(2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측벽에서 뻗어나간다. 반원형 연장부들(101) 사이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어댑터부재들(18,19,21,23)을 2개가 아닌 3개의 보나 기둥에 연결시키도록 아암들 (98,99)을 어댑터부재에 적절히 연결할 수 있다. 세번째 아암(98)은 다음과 같이 어댑터 아암(94,96)에 연결된다. 아암(99)의 반원형 연장부(101)에 대응하는 반원형 연장부(103)는 아암(94,96)의 반원형 연장부 밖으로 삽입된다. 아암(94,96)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튜브(60)와 비슷한 튜브(도시 안됨)를 이용해 아암(94,96)에 아암(98)을 피봇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지만, 아암(94,96)에 아암(98)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튜브(도시 안됨)의 직경은 튜브(60) 내경에 삽입될 수 있도록 튜브(60)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아암(98)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튜브는 피봇형 어댑터부재(18)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아암(94)의 축선에 고정된다. 아암(94)은 인접 아암(96,98)에 대해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회전될 수 있고, 나머지 아암(96,98) 역시 아암(94)에 대해 멀거나 가까운 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아암들(94,96,98)은 튜브(60)와 그 안에 삽입된 튜브(도시 안됨)의 종축선에 횡방향인 공통 평면상에서 회전된다.
도 12에 따르면, 피봇형 어댑터부재(18)에 대한 기둥(12)과 보(14)의 연결관계와 마찬가지로 기둥(12), 보(14) 및 보(90)를 연결할 수 있다. 주택이나 창고의지붕의 최상단 지점과 벽면 사이의 간격보다 처마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보(90)는 대개 보(14)보다 짧다.
도 14에 따르면, 철골주택이나 창고의 골조(102)는 도 1, 10의 기둥(12)과 보(14)에 대응하는 서로 연결된 기둥(12)과 보(14)에 대해 위로 뻗는 보(104)를 구비할 수 있다. 윗쪽으로 연장된 보(104)와 기둥(12)과 보(14)의 교차점 사이에는 거터(106)가 형성된다. 도 15에 따르면, 다른 어댑터부재(108)는 어댑터부재(92)의 아암(94,98)에 대응하는 아암(94,98)과 두개의 선형 단부(112,114)로 이루어지는 제3 아암(110)를 구비한다. 두개의 선형 단부(112,114)는 아암(110)의 중간에서 서로 교차한다. 아암(110)의 단부(112)는 아암(94,98)의 교차점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단부(114)는 단부(112)에서 윗쪽으로 연장된다. 단부(112)는 거터(106)의 지지대 역할을 하고, 단부(114)는 보(10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6에 따르면, 어댑터부재(108)는, 도 10-12의 어댑터부재(92)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기둥(12)과 보(14,104)에 연결된다.
도 17, 18에 따르면, 또다른 피봇형 어댑터부재(72)는 2개의 아암으로서 수평부재(74) 및 수직부재(76)를 구비한다. 수평부재(74)와 수직부재(76) 모두 각각, 도 5의 대향 측벽과 마찬가지로, 두쌍의 대향 측벽(48,50)을 갖는다. 도 5의 단부판(52)에 대응하는 단부판(52)이 수평부재(74)의 양단부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판이 수직부재(76)의 하단부에 부착된다. 수평부재(74)의 대향 측벽들(48) 각각의 단부 및 수직부재(76)의 대향 측벽(48)의 하단부에 각각 5개의 슬롯(78)이 형성된다. 수평부재(74)의 슬롯(78) 각각은 수평부재의 종축선에 횡방향이고, 수직부재의 슬롯 역시 수직부재의 종축선에 횡방향으로 폭의 상당 부분에 걸쳐 형성된다. 3개 그룹의 슬롯쌍 각각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수직부재(76)의 대향 측벽(50)은 인접한 대향측벽(48)의 상단부보다 돌출되어 아아치형 피봇 연장부(80)를 구성한다. 수평부재(74)의 하부측벽은 중간에서 끊어져 수평부재의 양단부에 배치된 두개의 단부로 이루어져, 수평부재의 중간은 하부 측벽(50)으로 폐쇄되지 않는다.
수직부재(76)의 상부 피봇 연장부(80)는 수직부재의 대향 측벽들(50) 보다 더 크게 떨어져 있다. 수직부재(76)의 대향 측벽들(50,48) 사이의 각각의 간격은 수평부재(74)의 대향측벽들(50,48) 사이의 각각의 간격과 동일하다.
피봇형 어댑터부재(72)의 수평부재(74)와 수직부재(76)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수평부재(74)의 양단부에 배치된 하부 측벽들(50) 사이로 해서 대향 측벽 (48) 사이로 수직부재(76)의 상부 피봇 연장부(80)를 윗쪽으로 삽입한다. 상부 피봇 연장부(80)의 아아치면이 수평부재(74)의 상부 측벽(50) 내면에 닿을 때까지 수직부재(76)를 위로 이동시킨다. 다음, 수평부재(74)와 수직부재(76)를 상대이동시켜 상부 피봇 연장부(80)의 구멍과 수평부재(74)의 대향 측벽의 구멍을 일치시킨다. 이렇게 구멍이 일치하면, 튜브(82)의 외단부가 피봇 연장부(80)에 걸리도록 구멍에 튜브를 삽입한다. 따라서, 수평부재(74)와 수직부재(76)는 튜브(8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수평부재(74)에 교차하는 수직부재(76)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피봇 연장부(80)는 수평부재(74)의 대향 측벽(48)의 상반부에 위치한다. 수평부재(74)와 수직부재(76)가 상대회전 가능하므로, 수직부재(76)의 대향 측벽들(48)중 하나에 수평부재의 하부 측벽들(50)중 하나의 가장자리가 접촉할 때까지 수평부재를 수직부재를 향해 어느쪽으로도 자유롭게 하향 회전시킬 수 있다.
이 피봇형 어댑터부재(72)는 기둥(12)의 상단부를 보(14)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피봇형 어댑터부재(18)의 아암(44,46)에 기둥(12)이나 보(14)를 연결하는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피봇형 어댑터부재(72)의 수직부재(76)를 기둥(12) 상단부에 연결한다. 보(14)의 종축선에 수평부재(74)의 종축선을 일치시킨 다음 수평부재를 보의 일단부로 삽입하여 수평부재와 보를 결합한다. 수평부재(74)의 대향 측벽 (48)이 보(14)의 대향 측벽(20) 안으로 삽입되고 수평부재의 상부 측벽(50)이 보의 측벽(22) 밑으로 삽입되도록 수평부재(74)의 크기를 정한다. 수직부재(76)의 대향 측벽(50)은 수평부재(74)의 대향 측벽(48)과 거의 일치되면서 측벽들(48) 사이로 삽입된다. 수평부재(74)와 수직부재(76) 모두의 측벽들(48,50)의 폭 및 보(14)의 측벽(20) 안쪽으로 돌출하는 연장부(24)의 크기는, 수직부재(76)의 대향 측벽들 (50)이 보(14)의 연장부(24)의 내연부에 접촉하지 않고 내연부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직부재(76)의 대향 측벽들(50)이 보(14)의 연장부(24)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수평부재(74)를 보(14)의 단부에 삽입할 수 있다. 수평부재(74)의 한쌍의 슬롯(78)이 보(14)의 한쌍의 슬롯(26)과 일치할 때까지 수평부재를 보(14)에 대해 축선상으로 움직인다. 다음, 기초 어댑터부재(16)나 피봇형 어댑터부재(18)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랩(62)을 삽입하여 수평부재(74)를 보(14)에 고정한다. 피봇형 어댑터부재(72)를 통해 기둥(12)에 부착되어야 하는보(14)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슬롯(26)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슬롯(26)의 배치로 인해 수평부재(74)를 보(14)에 대해 축선상으로 움직여, 기둥(12)을 수직부재(76)에 부착하여 보(14)의 양단부 사이에서 보의 아랫쪽으로 뻗게 할 수 있다. 도 18에 따르면, 이런 구조이기 때문에, 지붕의 최상 지점(86)으로부터 지지기둥(12)을 지나 보(14)를 아랫쪽으로 뻗게 하여 현수보(88)를 형성할 수 있다. 피봇형 어댑터부재(72)와 함께 사용되는 보(14)는 따라서 피봇형 어댑터부재(18)와 함께 사용되는 보(14)에 비해 현수보 (88)의 길이만큼 더 길다.
수평부재(74)의 하부 측판(50) 사이의 간격은, 하부측판(50)의 내연부가 수직부재(76)의 대향 측벽(48)에 닿을 때까지 수평부재가 수직부재(76)를 향해 어느쪽으로도 약 60°하향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직부재(76)에 대해 수평부재 (74)가 회전하면, 수직부재(76)의 대향 측벽(50)이 보(14)의 연장부(24)의 내연부 안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부 피봇 연장부(80)가 수평부재(74)의 측벽(48) 상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직부재(76)가 수평부재(74)에 대해 횡으로 위치하면, 상부 피봇 연장부(80)는 수평부재(74)와 수직부재(76)의 상대회전중에 연장부의 내면과 간섭하지 않는다.
도 19, 20에 따르면, 철골주택이나 창고의 골조(120)는 기둥(12,122)과 보(124)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12)은 도 1의 기둥(12)에 대응하고, 기둥(122)은 기둥(12)과 비슷하지만 기둥들(12) 사이의 중간부분에서 윗쪽으로 뻗어 있으며 기둥(12)을 포함한 공통평면상에 놓여 있다. 보(124)는 기둥(12)과 기둥(122)의 상단부로부터 윗쪽으로 뻗어 있으며 도 1의 보(14)와 비슷하지만, 기둥들(12,122)을 포함한 평면상에 놓이지 않고 골조(120)의 지지를 받는 지붕의 중앙 최상 지점(126)을 향해 위로 뻗어 있다(도 20 참조). 중앙 최상 지점(126)은 모서리 기둥(12)의 지지를 받는 외측벽들의 중앙에 위치하고, 기둥들(12,122)의 상단부로부터 상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보(124)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기둥들(12,122)을 포함한 평면상에 보(124)가 놓이지 않기 때문에, 기둥들(12,122)은 하단부에 부착되는 다이너볼트, 수지앵커, 설치볼트에 대해 종축선을 중심으로 적절히 회전하여 보(124)의 하단부를 기둥(12,122)의 상단부에 연결하는 어댑터부재들을 기둥 상단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도 21에 따르면, 보(124)의 상단부들은 어댑터부재(128)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어댑터부재(128)는 일단부가 링(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94)을 포함한다. 이들 아암(94)은 어댑터부재들(92,108)의 아암들과 비슷하고, 도 5-7의 피봇형 어댑터부재(18)의 대향 측벽들(50)의 구멍들에 대응하는 아암(94)의 대향 측벽(50)의 구멍을 통해 링(130)에 연결된다. 도 19-20의 골조(120)에 대비해, 링(130)에는 5개의 아암(94)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아암(94)은 링(130)에 대해 축선상으로 이동하여 보(124)의 상단부와 일치될 수 있다. 다음, 어댑터(92,108)의 아암들(94)을 전술한 대로 보(124)에 연결한다.
링(130)은 아암(94)의 대향 측벽(50)의 관통공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통상 연속적이지 않다. 링(130)의 양단부를 서로에 대해 고정하여 어댑터(128)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어댑터부재들(16,17,92,108,72,128) 각각은 어댑터부재(17,18)를 변경하여 어댑터부재들(27,19,21,23)을 형성한 것과 마찬가지로 변경되어, 기둥(12)의 중공 단부 내부로 어댑터부재의 일부를 삽입하기 보다 어댑터부재 일부의 내부에 보나 기둥을 삽입하여 중실 또는 중공 보나 기둥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어댑터부재들을 생산할 수도 있다.

Claims (33)

  1. 주택이나 창고 골조를 포함한 건물 골조를 구성하기 위해 제2 부재에 대해 공간적으로 제1 부재를 고정하는 어댑터에 있어서:
    제1 및 제2 부재들에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연결수단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수단은 상기 제1 부재에 신축 결합되도록 배열되고, 두군데의 말단위치 사이의 어느 곳에서도 제1 부재에 대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두군데의 말단위치중 한쪽 말단 위치는 결합된 어댑터와 제1 부재의 서로에 대한 일방향의 최대량의 상대적 신축 이동에 의해 정해지고, 다른쪽 말단 위치는 결합된 어댑터와 제1 부재의 다른쪽 방향으로의 상대적 최대량의 신축 이동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 주택이나 창고 골조를 포함한 건물 골조를 구성하기 위해 제2 부재에 대해 공간적으로 제1 부재를 고정하는 어댑터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결합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1 연결수단은 대응 숫부재를 삽입하는 슬롯, 구멍, 공동 등의 암부재를 구비한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신축 결합하도록 배열되고, 어댑터와제1 부재의 상대적 신축 운동은 공동, 슬롯 또는 구멍에 상기 숫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방지되며;
    상기 숫부재는 어댑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 주택이나 창고 골조를 포함한 건물 골조를 구성하기 위해 제2 부재에 대해 공간적으로 제1 부재를 고정하는 어댑터에 있어서:
    제1 연결수단을 통해 제1 부재에, 그리고 제2 연결수단을 통해 제2 부재에 연결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수단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4. 한쪽 보 또는 기둥을 다른 보나 기둥, 또는 설치볼트, 수지앵커, 다이너볼트 등에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어댑터에 신축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골조에 있어서:
    대향 측벽들에 대향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향 구멍들에 기다란 부재를 삽입하여 이들 구멍들이 어댑터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어댑터와 골조의 상대적 신축 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또는 기둥.
  5. 판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적어도 한 측벽에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하나 이상의 대향 플랩들을 포함하며, 이들 플랩들의 종축선은 보나 기둥의 종축선은 물론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있고, 플랩들의 자유단부들은 보나 기둥의 측벽 외측을 향해 그리고 서로를 향해 뻗어 있으며, 상기 대향 플랩들은 그 사이로 판의 양 측연부를 삽입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또는 기둥.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수단 둘다 또는 어느 하나는 제1 및 제2 부재 각각에 신축 연결하기 위한 신축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수단들은 상기 두군데 말단위치 및 그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도 제1 및 제2 부재들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제2 부재에 신축 연결하기 위한 신축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제2 연결수단은 또한 상기 두군데 말단위치 및 그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도 제2 부재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연결수단은 대응 숫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슬롯, 구멍, 공동 등의 암부위를 포함하고, 신축연결수단과 제1 또는 제2 부재의 상대적 신축운동이 제1 또는 제2 부재의 공동, 슬롯 또는 구멍에 상기 숫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연결수단과 제1 또는 제2 부재의 상대적 신축운동이 신축연결수단과 제1 또는 제2 부재를 나사결합이나 볼트결합하여 방지되고, 상기 신축 연결수단은 제1 또는 제2 부재에 나사결합이나 볼트결합되기에 적합하며, 제1 또는 제2 부재 역시 신축 연결수단에 나사결합이나 볼트결합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어댑터와 제1 또는 제2 부재 사이의 상대적 신축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어댑터와 제1 또는 제2 부재는 두군데의 말단위치 또는 그 사이의 어느 곳에서도 서로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고정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두군데의 말단위치나 그 사이의 한 지점을 포함한 여러 단속적 위치에서 신축결합 어댑터와 제1 또는 제2 부재를 서로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2. 전항들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단부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대향 측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3. 제1항 내지 제11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대향 측벽들 사이로 미끄럽 삽입되기에 적합한 대향 측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측벽들에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대향 측벽들의 한쌍의 대응 슬롯과 정렬되기에 적합한 한쌍의 슬롯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슬롯이 상기 대향 측벽을 따라 선형으로 여러 쌍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슬롯은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대향 측벽을 따라 선형으로 여러 쌍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7.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어댑터와 제1 및/또는 제2 부재의 정렬된 슬롯들을 관통하기에 적합한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8. 전항들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부재는 건물골조를 세울 때 콘크리트 슬래브에 어댑터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설치볼트, 수지앵커, 다이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9.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내지 제18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수단이 복수의 부재들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연결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복수의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1. 상기 연결부들이 공통 평면상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들이 연결 아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아암들중 하나의 일단부가 다른 연결아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연결아암의 일단부가 상기 다른 연결아암의 양단부 사이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다른 연결아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5. 제22항 내지 제2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아암들이 한쌍의 대향 내측벽에 중첩되는 한쌍의 대향 외측벽에서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중첩되는 내외 측벽들은 기다란 부재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외측벽과 내측벽들의 중첩 단부들이 서로 중첩되는 아아치형 연장부 형태로 연장되어 연결아암들의 상대회전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연결아암의 연결부분이 한쌍의 대향 외측벽을 포함하고, 이들 대향 외측벽에 횡방향의 측벽들은 상기 피봇 연결된 연결아암들의 상대적 피봇 운동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8. 제24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연결아암의 대향 외측벽의 내면에 접촉하는 상기 하나의 연결아암의 아아치형 연장부의 외측 접촉면들은 이 아아치형 연장부들이 돌출되는 대향 측벽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벌어져 있어 제1 및/또는 제2 부재가 상기 하나의 연결아암과 간섭하지 않고 상기 다른 연결아암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분들은 그 부분의 대향 측벽들의 구멍을 관통하는 환형의 기다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렇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연결부분들은 상기 환형 부재의 종축선에 직각인 평면상으로도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분들은 상기 환형 연결부재에 대해 축선상으로 이동 가능함은 물론 이 연결부재의 길이를 따라 여러 위치에서 기다란 부재에 대해 회전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1. 전항들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재들이 보나 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구멍들이 대향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또는 기둥.
  3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플랩들이 보나 기둥의 적어도 한 측벽의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또는 기둥.
KR1020017011141A 1999-03-02 2000-03-02 주택이나 창고 건축 요소 KR200101104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P8962 1999-03-02
AUPP8962A AUPP896299A0 (en) 1999-03-02 1999-03-02 House and/or shed construction components
AUPP9178A AUPP917899A0 (en) 1999-03-11 1999-03-11 House and/or shed construction components
AUPP9178 1999-03-11
AUPP9229 1999-03-16
AUPP9229A AUPP922999A0 (en) 1999-03-16 1999-03-16 House and/or shed construction components
AUPQ5165 2000-01-19
AUPQ5165A AUPQ516500A0 (en) 2000-01-19 2000-01-19 House and/or shed construction components
PCT/AU2000/000145 WO2000052275A1 (en) 1999-03-02 2000-03-02 House and/or shed construction compon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458A true KR20010110458A (ko) 2001-12-13

Family

ID=2742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141A KR20010110458A (ko) 1999-03-02 2000-03-02 주택이나 창고 건축 요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65899A1 (ko)
JP (1) JP2002538340A (ko)
KR (1) KR20010110458A (ko)
CN (1) CN1347475A (ko)
BR (1) BR0008710A (ko)
CA (1) CA2363546A1 (ko)
MX (1) MXPA01008755A (ko)
WO (1) WO2000052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Q659700A0 (en) * 2000-03-30 2000-04-20 Klasgold Pty Ltd Frames for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including a house or shed and/or for mounting of objects including air- conditioning condensing units thereto
CN101914948A (zh) * 2010-08-03 2010-12-15 南京工业大学 一种新型复合材料装配式活动房屋
EP2535470A1 (en) * 2011-06-16 2012-12-19 Cheap Housing Espana, S.L. Foldable telescopic structure for houses
CN103074939B (zh) * 2013-01-25 2014-12-31 南京林业大学 可折叠门式框架的竹结构应急房屋
CN104988987B (zh) * 2015-06-27 2017-08-01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薄壁内翻边c型钢地柱连接接头及结构
CN106400964A (zh) * 2015-11-17 2017-02-15 广州新赛尔特篷房技术有限公司 篷房结构
CN107435404A (zh) * 2017-09-25 2017-12-05 浙江昱美创新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屋顶安装结构
CN107460950A (zh) * 2017-09-25 2017-12-12 浙江昱美创新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房屋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61829A (ko) * 1964-04-01
GB1455265A (en) * 1973-08-09 1976-11-10 Skerne Eng Co Ltd Method and means for the connection of load bearing beams
CH586807A5 (en) * 1974-07-15 1977-04-15 Baur Vinzenz Maximilian Nodal point connector for rod structures - has tubular holding socket and ring with seat for keyed linking plug
AU532373B2 (en) * 1978-12-13 1983-09-29 Anthony W. Clarke & Associates Pty. Ltd. Portal building structural framing
FR2497857A1 (fr) * 1981-01-13 1982-07-16 Atlas Maisons Panneau prefabrique et profiles pour la realisation de ce panneau
DE4032884A1 (de) * 1990-10-17 1992-04-30 Karl Hans Koch Profilrasterdecke fuer wohn-, geschaefts-, ausstellungsraeumen o. dgl.
ES2121645B1 (es) * 1994-11-21 1999-06-16 Munoz Carcedo Jose Construccion metalica modular desmontable y versa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1008755A (es) 2003-07-14
JP2002538340A (ja) 2002-11-12
BR0008710A (pt) 2001-12-18
WO2000052275A1 (en) 2000-09-08
EP1165899A1 (en) 2002-01-02
CA2363546A1 (en) 2000-09-08
CN1347475A (zh) 200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988B1 (ko) 관상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모듈식건물조립체
KR20010110458A (ko) 주택이나 창고 건축 요소
KR20080096085A (ko) 조립식 주택의 골조
KR20030003707A (ko) 집이나 창고를 포함한 구조물을 건축 및/또는 공기조화응축기를 포함한 대상물을 집이나 창고에 장착하기 위한프레임
KR20210026913A (ko) 휀스
JP4738202B2 (ja) 組立屋根
EP0484080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crete formwork
KR19990013079U (ko) 메쉬 휀스용 기둥
KR20050086977A (ko) 건축물 지붕의 체결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지붕서까래체결구
US5701716A (en) Timber connecting system and timber connecting element
JP2020084493A (ja) 簡易建物
JP2561388Y2 (ja) 組立屋根
JPH0318562Y2 (ko)
JP2019039180A (ja) 門型架構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1020564A (ja) 防護柵
KR102078207B1 (ko) 휀스
KR970007961B1 (ko) 패널 연결장치
JPH02153151A (ja) 屋根ユニット
CN114411957A (zh) 一种土木工程抗震效果好的房建框架结构
EP1739244A2 (en) Post top connector and modular architectural garden assembly comprising same
JP4107260B2 (ja) 簡易建物
JPH02167946A (ja) 屋根ユニット
KR20220114190A (ko) 조립식건물의 지주 고정장치
KR20020078170A (ko) 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골격의 커넥터
JPH035535A (ja) バルコニーユニット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