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913A - 휀스 - Google Patents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913A
KR20210026913A KR1020190108354A KR20190108354A KR20210026913A KR 20210026913 A KR20210026913 A KR 20210026913A KR 1020190108354 A KR1020190108354 A KR 1020190108354A KR 20190108354 A KR20190108354 A KR 20190108354A KR 20210026913 A KR20210026913 A KR 20210026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post
crossbar
suppor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839B1 (ko
Inventor
신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로운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로운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로운길
Priority to KR1020190108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8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도 또는 인도의 곡선구간뿐 아니라 높이차가 있는 장소에도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휀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휀스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마주보는 양측 외주면에 단면이 원호형상인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세로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원주면과 장착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단면이 원호형상인 밀착부가 형성되는 연결대; 일측이 상기 연결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횡대 고정구; 및 일단이 상기 횡대 고정구의 타측에 결합되는 횡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휀스{FENCE}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도 또는 인도의 곡선구간뿐 아니라 높이차가 있는 장소에도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차량의 통행방향에 따라 차도를 분리하거나, 공간을 분리하거나,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통상의 휀스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횡대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에는 마주보는 양측면에 상기 횡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에 횡대의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나사체결하는 것이다.
한편, 도로는 직선구간도 있지만, 곡선구간도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휀스는 곡선구간에서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매우 번거롭다.
뿐만 아니라 휀스는 평지뿐 아니라 경사면에도 연속적으로 설치될 필요가 있는데, 평지와 경사면에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도 또는 인도의 곡선구간에 설치할 수 있는 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이차가 있는 장소에도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휀스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마주보는 양측 외주면에 단면이 원호형상인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세로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원주면과 장착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단면이 원호형상인 밀착부가 형성되는 연결대; 일측이 상기 연결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횡대 고정구; 및 일단이 상기 횡대 고정구의 타측에 결합되는 횡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상기 밀착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지주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대 고정구는,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횡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에 접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지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지주의 하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와 플랜지에는 각각 나사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지주는,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와 플랜지에는 각각 나사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횡대가 지주의 원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도 또는 인도의 곡선구간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더욱이, 횡대가 상하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높이차가 있는 장소, 특히, 평지와 경사면에도 단절없이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인 지주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인 연결대의 평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인 횡대 고정구의 평면도와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인 지지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인 고정지주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2개의 횡대(20)와, 상기 횡대들 사이에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종대(6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횡대(20)를 상기 지주(1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결대(30)와, 횡대 고정구(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지주(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주(10)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내부가 중공형성된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소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특히, 마주보는 양측 외주면에 단면이 원호형상인 장착부(11)가 형성되고, 장착부(11)에는 세로방향으로 개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지주(10)가 원통형태이고, 장착부(11)도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지주(10)와 장착부(11)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홈(공간,11a)도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1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마주보는 양측면만 단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주(10)의 내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14)가 돌출형성되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고정지주(도 7의 '70')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지주(10)의 상부에는 지주커버(61)가 결합된다. 상기 지주커버(61)는 상기 연결대(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대(30)는 상기 지주(10)의 원주면에 밀착되도록 단면이 원호형태인 밀착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31)는 상기 지주(10)의 원주면과 장착부(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장착홈(11a)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밀착부(31)의 중심에는 제1결합부(32)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32)는 상기 지주의 개구부(12)를 통해 지주(10)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핀홀(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31)는 상기 지주(10)와 장착부(11) 사이의 장착홈(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32)는 상기 지주(10)의 원주방향(수평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32)는 상기 밀착부(3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32)들 사이에 단면이 선형인 플레이트 형태의 연장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장부(34)가 제1결합부(32)들 사이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횡대 고정구(40) 및 횡대(20) 결합되어 하중을 받더라도 강도가 보강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횡대 고정구(40)는 일측에 연결대(30)가 힌지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횡대(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횡대 고정구(40)는 상기 연결대(30)의 제1결합부(32)가 힌지결합되는 제2결합부(41)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41)는 삽입홈(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홀(4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부의 삽입홈(41a)에 상기 제1결합부(32)를 삽입한 상태에서 핀홀(33,41b)에 힌지핀(미도시)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연결대(30)와 횡대 고정구(40)를 힌지결합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삽입홈(41a)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결합부가 세로방향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횡대 고정구(40)는 상기 연결대(3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횡대 고정구(40)는 타측에 상기 횡대(20)가 삽입되는 삽입부(4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횡대(20)의 종단면이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삽입부(42)도 직사각형태로 중공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횡대(20)의 단부가 중공형성되고, 상기 횡대 고정구(40)의 단부가 삽입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는 횡대(2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대를 지지하는 지지대(50)가 더 구비된다. 즉, 하측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횡대(20)의 하부에 지지대(50)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50)는 상면과 하면이 평행하게 형성되는데, 상면(52)은 상기 횡대(20)에 밀착되고, 하면(51)은 지면에 밀착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상면(52)에는 결합돌기(53)가 돌출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횡대(20)에도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53)가 결합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상태 및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지면에 고정지주(70)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설치한다. 고정지주(70)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이와 같이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고정지주(70)의 상부에 지주(10)를 입설한다. 구체적으로 고정지주의 상부지주(72)가 중공된 지주(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주(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대(3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주(10)의 원주면과 장착부(11) 사이 공간으로 단면이 원호형태의 밀착부(31)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대의 제1결합부(32)는 지주의 개구부(12)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대(30)에 상기 횡대 고정구(40)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횡대 고정구의 제2결합부(41)에 형성된 삽입홈에 돌출된 제1결합부(32)를 삽입하고, 핀홀(33,41b)에 힌지핀을 장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횡대 고정구(40)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부(42)에 횡대(20)의 단부를 삽입하여 횡대(20)를 고정하여 휀스의 설치를 완성한다. 상하 한 쌍의 횡대 사이에는 종대가 연결된 상태이고, 상기 횡대 중 하측에 있는 횡대(20)에는 지지대(50)가 고정된 상태이다.
도 8은 지주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횡대(20A,20B)가 일직선이 아니라 굴절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아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횡대(20A,20B)는 지주(10)의 원주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왜냐하면, 연결대(30B)가 지주(10)의 원주면을 따라 회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차도 또는 인도의 곡선구간에서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이웃하는 횡대(20A,20B)들 사잇각(굴절각도,α)은 상기 개구부(1)의 폭 및 형태를 조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평지와 경사면에 연속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도 9참조). 특히, 평지와 경사면은 지면의 높이차만 있는 것이 아니라 곡선구간일 수 있다(도 10참조).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지주(10A,10B,10C)가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고정되고, 평지구간 횡대(20A,20C)와 경사구간 횡대(20B)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경사구간 횡대(20B)가 삽입되는 횡대 고정구(40B)가 연결대(30B)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도 9의 부분확대도 참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횡대 고정구(40)에는 종방향으로 삽입홈(42)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대(30)의 제1결합부(32)와 횡대 고정구의 제2결합부(41)는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평지와 경사면의 지면의 높이차에도 불구하고 지주(10A~10C)들 사이에 횡대(20A,20B)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곡선구간 횡대(20B)는 직선구간 횡대(20A,20C)와 평행하지 않고 일정한 각도(β)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지와 경사면은 직선구간이 아니라 곡선구간이다. 따라서 곡선구간 횡대(20B)는 평지구간 횡대(20A,20C)와 일직선이 아니라 일정한 각도로 굴절되어 있는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예에서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지주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지주(70)는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지주(71)와, 상기 하부지주의 상부에서 원주면 외측에 구비되는 플랜지(73)와,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지주(72)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주(72)는 상기 지주의 내부를 관통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지주(72)의 반경은 지주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주(72)는 상기 지주를 억지끼움방식으로 관통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10)의 내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14)가 돌출형성어 상부지주(72)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73)에는 체결홀(7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주(10)에도 이에 대응되는 체결홀(도 3의 '13'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홀(73a,13)에 나사를 관통하여 고정지주(70)와 지주(10)를 체결하는 것이다.
도 12는 고정지주(80)의 다른 형태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주(81)와, 상기 상부지주의 하부에 플랜지(82)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82)에는 지면, 특히,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홀(82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10)와 플랜지(82)에는 각각 나사체결되기 위한 체결홀(82a,12)이 형성된다.
1: 휀스(실시예)
10: 지주
20: 횡대
30: 연결대
40: 횡대 고정구
50: 지지대
61: 지주커버
62: 종대

Claims (5)

  1.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마주보는 양측 외주면에 단면이 원호형상인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세로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원주면과 장착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단면이 원호형상인 밀착부가 형성되는 연결대;
    일측이 상기 연결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횡대 고정구; 및
    일단이 상기 횡대 고정구의 타측에 결합되는 횡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밀착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지주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대 고정구는,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횡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대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에 접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5. 제1항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지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KR1020190108354A 2019-09-02 2019-09-02 휀스 KR102236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354A KR102236839B1 (ko) 2019-09-02 2019-09-02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354A KR102236839B1 (ko) 2019-09-02 2019-09-02 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913A true KR20210026913A (ko) 2021-03-10
KR102236839B1 KR102236839B1 (ko) 2021-04-06

Family

ID=7514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354A KR102236839B1 (ko) 2019-09-02 2019-09-02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349B1 (ko) * 2023-05-26 2023-12-07 위테크 주식회사 무피스 타입으로 시공성이 향상된 멀티 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449B1 (ko) 2021-12-13 2023-10-20 주식회사 새로운길 휀스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388B1 (ko) * 2010-12-22 2012-01-05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블록형 합성목재 난간대
KR200462170Y1 (ko) * 2011-11-30 2012-08-29 백흥주 조립성이 증진되고 자유로운 각도 형성이 가능한 조립형 펜스
KR101300972B1 (ko) * 2013-05-03 2013-08-27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가로대의 각도 조정이 용이한 울타리
KR101477752B1 (ko) * 2014-10-22 2014-12-31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자유각 시공이 용이한 방호 울타리 및 이 시공 방법
KR20160001343U (ko) * 2014-10-16 2016-04-26 안건욱 조립식 휀스지주
KR101991294B1 (ko) * 2018-11-28 2019-06-20 (주)이레이앤엘 수평조절장치를 갖는 조립식 펜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388B1 (ko) * 2010-12-22 2012-01-05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블록형 합성목재 난간대
KR200462170Y1 (ko) * 2011-11-30 2012-08-29 백흥주 조립성이 증진되고 자유로운 각도 형성이 가능한 조립형 펜스
KR101300972B1 (ko) * 2013-05-03 2013-08-27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가로대의 각도 조정이 용이한 울타리
KR20160001343U (ko) * 2014-10-16 2016-04-26 안건욱 조립식 휀스지주
KR101477752B1 (ko) * 2014-10-22 2014-12-31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자유각 시공이 용이한 방호 울타리 및 이 시공 방법
KR101991294B1 (ko) * 2018-11-28 2019-06-20 (주)이레이앤엘 수평조절장치를 갖는 조립식 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349B1 (ko) * 2023-05-26 2023-12-07 위테크 주식회사 무피스 타입으로 시공성이 향상된 멀티 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839B1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839B1 (ko) 휀스
US9926679B1 (en) Barricade system with interlocking barricade members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200421527Y1 (ko)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KR102078207B1 (ko) 휀스
KR102092902B1 (ko) 견고성을 갖도록 형성한 조립형 기능성 휀스
KR101457633B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KR200397791Y1 (ko) 조립식 펜스
KR102075377B1 (ko) 휀스
KR101111581B1 (ko) 난간
KR20010110458A (ko) 주택이나 창고 건축 요소
JP3223499B2 (ja) 柵 体
KR102078206B1 (ko) 휀스
KR102162962B1 (ko) 휀스
KR20110013832A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101141150B1 (ko) 무앵커 가로등 기초
KR19990013079U (ko) 메쉬 휀스용 기둥
KR200422797Y1 (ko) 등 조립용 연결부재
JPH09112073A (ja) 支柱体
KR200390378Y1 (ko) 펜스
GB2452526A (en) A temporary fence and support structure
KR102527150B1 (ko) 평면선형이 자유롭고 보행환경이 개선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591449B1 (ko) 휀스 및 그 시공방법
KR200216256Y1 (ko) 펜스
KR200227077Y1 (ko) 낙석방지책의 지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