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206B1 - 휀스 - Google Patents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206B1
KR102078206B1 KR1020190102164A KR20190102164A KR102078206B1 KR 102078206 B1 KR102078206 B1 KR 102078206B1 KR 1020190102164 A KR1020190102164 A KR 1020190102164A KR 20190102164 A KR20190102164 A KR 20190102164A KR 102078206 B1 KR102078206 B1 KR 102078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ransverse direction
contact portion
fenc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로운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로운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로운길
Priority to KR1020190102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73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using fixing devices encircling, partially or fully, the post
    • E04H2017/1473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곡선구간 설치가 용이한 휀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휀스는 2개의 플랜지가 양측면에 대향되도록 돌출된 원통형태의 지주; 상기 지주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횡바; 상기 지주의 일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고정구; 및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상기 지주에 밀착하는 밀착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상기 횡바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체형성되는 횡바 연결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휀스{FENCE}
본 발명은 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곡선구간 설치가 용이한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차량의 통행방향에 따라 차도를 분리하거나, 공간을 분리하거나,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로, 이 중 무단횡단방지용 휀스는 차량의 추돌시 휘어졌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휀스, 특히 종래의 무단횡단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결형 휀스(100)는 하나의 지주(110)가 지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주(110)의 양측에 중공형성된 연결부(111)가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로가 곡선구간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휀스도 곡선으로 설치를 해야 하는데, 연결형 휀스(100)는 곡선구간에서 설치가 불가능하다(도 2 참조).
따라서 곡선구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3과 같이 독립형으로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독립형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주가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도 4는 다른 형태의 무단횡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분리형 휀스(200)는 연결형 휀스(100)의 단점을 보완하여 곡선구간 설치를 용이하게 한 휀스로 양측 지주(210)가 지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주(210)의 일측에는 중공형성된 연결부(220)가 결합된다. 각 지주(210)마다 일체로 구비되는 지주의 하부에 앵커홀이 통상 4개 형성되어 있어 앵커를 이용한 지주(210)를 고정하여 설치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상기 종래의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들은 모두 지주의 하부에 앵커홀이 형성된 베이스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이 휀스에 충돌하여 지주가 파손되면 교체가 필요한데, 종래의 휀스는 지주와 베이스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비용이 많이 든다.
등록특허 10-151234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곡선 구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휀스는 2개의 플랜지가 양측면에 대향되도록 돌출된 원통형태의 지주; 상기 지주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횡바; 상기 지주의 일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고정구; 및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상기 지주에 밀착하는 밀착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상기 횡바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체형성되는 횡바 연결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는 원통형태의 상기 지주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단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부의 세로길이는 상기 개구부의 세로폭보다는 크고, 가로폭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세로길이는 상기 개구부의 세로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와 밀착부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의 상측과 하측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고정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와 하부에 횡방향으로 내벽홈이 형성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는 횡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돌기가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횡바를 연결하는 횡바 연결대가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곡선구간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연결형 휀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분리형 휀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전체적인 구조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휀스의 실시예(1)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10)와, 상기 지주(10)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횡바(20)를 포함한다. 상기 횡바(20)는 중공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주(1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 앵커홀(11a)이 4개 형성된 지지부(11)가 형성되어 앵커(미도시)를 이용하여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1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지주(10)의 양측에는 2개의 플랜지(12)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플랜지(12)들 사이의 사잇각은 180°이다. 이와 같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2개의 플랜지(12)가 상하방향으로 3세트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회전 고정구(40)가 마주보며 플랜지(12)에 결합되어 지주(10)를 둘러싸고, 이에 더하여 한 쌍의 횡바 연결대(30)가 구비된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횡바 연결대(30)는 지주(10)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31)와, 횡바(20)의 단부에 삽입되는 결합부(32)가 일체형성된다.
상기 밀착부(31)는 원통형태의 상기 지주(1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수평단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있다(도 9의 '31'참조).
또한 상기 결합부(32)는 중공된 상기 횡바(20)의 단부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삽입된 후 나사를 체결하는 체결홀(33)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밀착부(31)와 결합부(32) 사이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c)는 밀착부(31)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밀착부(31)에 가이드돌기(34)가 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주(10)의 외주면에도 원주방향(횡방향)으로 가이드홈(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밀착부(3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4)가 지주(10)에 형성된 가이드홈(13)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횡바 연결대(30)가 지주(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주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안내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고정구(40)는 원통형태인 지주(10)의 일측면을 둘러싸도록 수평단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상기 플랜지(12)에 밀착되는 체결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에는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된다. 2개의 회전 고정구(40)가 마주보며 플랜지(12)에 체결되어 원통형태의 지주(10)를 감싸는 구조이다.
특히, 상기 회전 고정구(40)에는 횡방향(지주의 원주방향)으로 개구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에는 상기 개구부(41)의 상부와 하부에 횡방향으로 내벽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벽홈(43)은 두께가 얇아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단턱(43a)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내벽홈(43)은 상기 밀착부(21)가 안착될 뿐 아니라 횡방향(지주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밀착부(31)는 상기 내벽홈(43)에 안착된 상태로 횡방향으로 이동(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벽홈(43)을 따라 상기 밀착부(31)가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밀착부(31)와 일체형성된 결합부(32)도 지주(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횡바 연결대(30)와 회전 고정구(40)를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결합부(32)의 세로길이(도 7의 'L5')와 밀착부(31)의 세로길이(도 7의 'L1')는 상기 개구부(41)의 세로폭(도 8의 'L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L5>L1>L4).
다시 말하면, 결합부(32)와 밀착부(31)는 상기 개구부(41)를 세로방향(설치상태)으로는 관통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신, 상기 밀착부(31)의 세로길이(도 7의 'L5')는 상기 개구부(41)의 가로폭(도 8의 'L3')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31)를 눕혀서 상기 개구부(41)를 통과하고(도 11의 (a)참조), 결합부(32)를 90°회전하여 회전 고정구(40)와 횡바 연결대(30)를 결합하는 것이다(도 11의 (b)참조). 이와 같이 회전 고정구(40)와 횡바 연결대(30)를 조립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부(32)의 세로길이(L5)와 밀착부(31)의 세로길이(L1)가 상기 개구부(L4)의 세로폭(L4)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호 분리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횡바 연결대(30)에는 밀착부(31)와 결합부(32) 사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홈(31a)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홈(31a)에는 개구부(41)의 상측과 하측이 삽입되어 매우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1a)의 폭은 상기 개구부(41)의 상측과 하측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횡바 연결대(30)와 회전 고정구(40)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12)에 상기 한 쌍의 회전 고정구(40)의 체결부(42)를 밀착시킨 후, 나사(B)를 체결함으로써 지주에 회전고정구와 횡바 연결대를 고정한다. 나사는 체결부와 플랜지, 그리고 체결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된다(도 12 참조).
이 때 상기 밀착부(31)는 상기 회전고정구(40)와 지주(10)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한 쌍의 회전 고정구(40)와 플랜지(12)를 체결하는 나사(B)를 강하게 체결하면 밀착부(31)가 지주(10)에 강하게 밀착되어 결합부(32)가 회전할 수 없고 고정되며, 나사(B)를 느슨하게 체결하면 결합부(3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로는 직선구간뿐 아니라 곡선구간이 있는데, 직선구간에서는 횡바들을 직선으로 연결해서 설치하지만, 곡선구간에서는 횡바를 일정한 각도로 틀어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13의 (a)는 본 실시예를 직선구간에 설치할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는 지지부(11)에 앵커를 박아 지면에 고정하고, 플랜지(12)의 양측으로 한 쌍의 회전 고정구(40)가 서로 마주보며 플랜지(11)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횡바 연결대(30)의 밀착부(31)는 지주(10)와 회전 고정구(40) 사이에 구비되고, 결합부(32)는 횡바 연결대(4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부(32)는 횡바(20A,20B)의 단부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한편, 이웃하는 횡바(20A,20B)를 일직선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회전 고정구(40)를 체결하는 나사(도 10의 'B')를 강하게 체결하면 지주(10)와 회전 고정구(40) 사이에 구비된 밀착부(31A,31B)가 지주(10)에 강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32A,32B)가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의 (b)는 곡선구간에 설치할 때를 나타낸 것이다. 한 쌍의 상기 회전 고정구(40)를 체결하는 나사(도 10의 'B')를 느슨하게 풀어주면, 지주(10)와 회전 고정구(40) 사이에서 밀착부(31A,31B)가 이동할 공간이 생기고, 결합부(32B,32B)를 지주(10)를 중심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횡바(20A,20B)를 일정한 각도로 굴절시킨 후, 다시 한 쌍의 상기 회전 고정구(40)를 체결하는 나사(도 10의 'B')를 강하게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지주(10)에 횡바 연결대(30)와 회전 고정구(40)를 상하 방향으로 3세트 체결한 상태에서, 회전고정구(4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부(32)를 횡바(20)의 단부에 삽입하고, 나사를 체결하여 결합부와 횡바를 체결한다.
1: 실시예
10: 지주
12: 플랜지
20: 횡바
30: 횡바 연결대
31: 밀착부
32: 결합부
40: 회전 고정구
41: 개구부
42: 체결부
43: 내벽홈

Claims (3)

  1. 2개의 플랜지가 양측면에 대향되도록 돌출된 원통형태의 지주;
    상기 지주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횡바;
    상기 지주의 일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중심에 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고정구; 및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상기 지주에 밀착하도록 수평단면이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밀착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상기 횡바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체형성되는 횡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의 세로길이는 상기 개구부의 세로폭보다는 크고, 가로폭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세로길이는 상기 개구부의 세로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와 밀착부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의 상측과 하측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정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와 하부에 횡방향으로 내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는 횡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돌기가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KR1020190102164A 2019-08-21 2019-08-21 휀스 KR102078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164A KR102078206B1 (ko) 2019-08-21 2019-08-21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164A KR102078206B1 (ko) 2019-08-21 2019-08-21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206B1 true KR102078206B1 (ko) 2020-04-07

Family

ID=7029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164A KR102078206B1 (ko) 2019-08-21 2019-08-21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064A (ko)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새로운길 휀스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344B1 (ko) 2014-12-30 2015-04-15 채상원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 분리시설
KR101845008B1 (ko) * 2017-07-06 2018-04-03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밴드와 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344B1 (ko) 2014-12-30 2015-04-15 채상원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 분리시설
KR101845008B1 (ko) * 2017-07-06 2018-04-03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밴드와 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064A (ko)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새로운길 휀스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2238B2 (ja) モジューラフェンス
KR101848014B1 (ko)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고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난간 기둥 구조물
KR102078206B1 (ko) 휀스
KR101991026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30844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31346B1 (ko) 조립식 구조물
KR100625198B1 (ko) 가로등 형태 시설물의 불특정 방향 경첩구조
KR101199507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연결장치
KR101962657B1 (ko) 조립구조가 개선된 차선분리대
KR102236839B1 (ko) 휀스
KR102094970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휀스
KR101769316B1 (ko) 데크로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498540B1 (ko) 지주 고정장치
KR100759836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KR102162962B1 (ko) 휀스
KR102075377B1 (ko) 휀스
KR101993351B1 (ko)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JP3659401B2 (ja) 構造物における支柱と梁との連結構造
US6647563B1 (en) Attachment system for bathing enclosure segments
KR100497055B1 (ko) 분해조립이 가능한 도로용 지주의 고정구조
KR102206890B1 (ko)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JP6433570B2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20110011382A (ko) 기둥 고정 장치
CA2645688A1 (en) Ornamental fencing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026147B1 (ko) 간편한 조립구조를 갖는 보도용 난간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