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407B1 -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 - Google Patents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407B1
KR102057407B1 KR1020190014247A KR20190014247A KR102057407B1 KR 102057407 B1 KR102057407 B1 KR 102057407B1 KR 1020190014247 A KR1020190014247 A KR 1020190014247A KR 20190014247 A KR20190014247 A KR 20190014247A KR 102057407 B1 KR102057407 B1 KR 102057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wire
finishing
binding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교민
신진희
Original Assignee
신교민
신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교민, 신진희 filed Critical 신교민
Priority to KR102019001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등을 설치하기 위해 지주로부터 분기된 부착대를 설치할 때 고정안정성을 높이면서 특히, 상하좌우 유동 억제력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 설치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접속부위의 접속강도를 강화시켜 강풍에 대한 고풍압저항성을 갖춰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Traffic light with attachment base reinforced with connections}
본 발명은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등을 설치하기 위해 지주로부터 분기된 부착대를 설치할 때 고정안정성을 높이면서 특히, 상하좌우 유동 억제력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 설치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접속부위의 접속강도를 강화시켜 강풍에 대한 고풍압저항성을 갖춰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에 관한 것이다.
신호등(信號燈)은 차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교통 신호등과 보행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보행자 신호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구분된 신호등은 교통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적인 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기구이다.
이와 같은 신호등은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신호등으로 표시하는 색은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의 3색으로 구성되며, 빨간색(적색등)은 정지신호, 초록색(초록색등)은 진행신호 및 노란색(황색등)은 주의로 표시되나 도로교통에서는 노란색이 우회하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이 중에서도 교통 신호등은 주로 교차로 등에 지주장치를 통해 지지되게 설치되어 차량의 흐름을 통제하게 되는데, 보통 수직하게 세워진 지주와, 이 지주의 일정높이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부착대와, 이 부착대에 설치되는 신호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가장 보편적인 교통 신호등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지면에 수직하게 지주(10)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10)의 상단부에는 부착대(20)가 용접 혹은 볼트고정되는데, 상기 부착대(20)는 제1,2,3부착대(22,24,26)로 이루어진다.
물론, 부착대(20)의 길이가 길 필요가 없는 설치위치에서는 하나의 부착대, 즉 제1부착대(22)만 구비될 수도 있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1,2부착대(22,24) 2개가 하나의 부착대(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보통은 편도 3차선 이상의 경우에는 제1,2,3부착대(22,24,26) 3개가 하나의 부착대(20)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부착대(20)가 3개 이상의 부착대들로 이루어질 경우 부착대들 사이는 단부를 서로 용접으로 이어붙여 수평하게 배열하게 된다.
이때, 이어붙이는 방식은 제1,2,3부착대(22,24,26)들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하여 이를 테면, 제1부착대(22)의 일단에 제2부착대(24)의 일단을 일부 끼우거나 혹은 맞댄 상태에서 둘레를 용접하는 방식이며, 이 방식이 가장 보편적인 방식이다.
뿐만 아니라, 부착대(20)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부착대(20)가 휘어질 뿐만 아니라 바람에 의해 상하좌우로 휘청거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다수의 와이어(30)를 지주(10)에 결속하여 고정력을 보강하게 된다.
이 경우, 와이어(30)의 일단은 지주(10)의 지주결속고리(12)에 고정되고, 타단은 부착대(20)의 부착대결속고리(28)에 고정된다.
아울러, 각 부착대, 즉 제1,2,3부착대(22,24,26)에는 신호등(40)이 설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부착대(20)의 구조는 제1,2,3부착대(22,24,26)들이 용접되는 부분의 용접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강풍이 불거나 할 경우 와이어(30)가 당기는 힘과 함께 당김력이 세져 용접부위가 탈락되면서 부착대(20)가 파손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부착대결속고리(28)도 제1,2,3부착대(22,24,26)의 용접 고정을 위해 각 부착대들의 단부에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할 수 밖에 없어 제1,2,3부착대(22,24,26)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강풍 발생시 상하, 좌우, 특히 좌우로 유동되는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능적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31632호(2011.04.20.)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결합된 신호등 지주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90034호(2011.11.30.) '지주 본체에 비관통형 가로부착대가 결합되는 신호등주'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38922호(2013.12.03.) '탄소섬유 가로보 연결구조를 갖는 신호등 지주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신호등을 설치하기 위해 지주로부터 분기된 부착대를 설치할 때 고정안정성을 높이면서 특히, 상하좌우 유동 억제력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 설치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접속부위의 접속강도를 강화시켜 강풍에 대한 고풍압저항성을 갖춰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차로를 포함한 차량의 통행로 주변의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수직포스트와, 상기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부착대와, 상기 부착대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신호등을 포함하는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에 있어서;
상기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에는 포스트고리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부착대는 직경이 서로 다른 제1부착대, 제2부착대, 제3부착대가 스토퍼고정대를 통해 상호 용접 고정되어 일체를 이룬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고정대는 마감원판과, 상기 마감원판의 일측면에서 마감원판의 원중심과 동심을 이룬 채 일정길이 돌출된 제1삽입부와, 상기 마감원판의 타측면에서 마감원판의 원중심과 동심을 이룬 채 일정길이 돌출되되 상기 제1삽입부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삽입부와, 상기 마감원판의 둘레 일부에 돌출 형성되고 다수의 와이어걸이구멍이 형성된 호형상의 걸이구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포스트고리에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걸이구의 와이어걸이구멍에 결속되는 결속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마감원판은 상기 제1부착대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 제2부착대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 제3부착대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으로 3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삽입부는 파이프 형태 혹은 봉 형태로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걸이구멍은 3개 이상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결속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걸이구의 길이 중간에 형성된 와이어걸이구멍에 걸어 고정되거나, 혹은 일측 와이어걸이구멍에 끼운 다음 다수의 와이어걸이구멍을 건너 뛴 후 반대쪽 와이어걸이구멍에 다시 끼운 다음 결속와이어의 길이 일부에서 묶이도록 하는 삼각결속 구조를 갖추되 결속되는 지점은 걸이구의 길이 중심으로부터 좌우가 대칭되는 지점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신호등을 설치하기 위해 지주로부터 분기된 부착대를 설치할 때 고정안정성을 높인다.
둘째, 부착대의 고정안정성이 높아져 상하좌우 유동 억제력, 특히 좌우 수평방향으로의유동 억제력을 강화시킨다.
세째, 신호등주의 조립 설치작업시 편리성이 향상되고, 설치작업에 따른 시공시간이 단축된다.
네째, 부착대들간 접속부위에서의 접속강도를 강화시켜 강풍에 대한 고풍압저항성을 갖춰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다.
다섯째, 부착대들이 서로 일체화되어 강도가 극대화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신호등주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주 및 그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토퍼고정대를 정면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토퍼고정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는 지주인 수직포스트(Vertical Post)(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직포스트(100)는 주로 교차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신호등주를 구성한다.
이러한 수직포스트(100)는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기 위해 하단에 고정판(110)을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고정판(110)에는 다수의 삼각보강편(120)이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10)은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블럭에 면접 지지된 채 볼트체결되어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직포스트(100)의 상단부에는 포스트고리(130)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판(110), 삼각보강편(120) 및 포스트고리(130) 등은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어 수직포스트(100) 상에 일체화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직포스트(100)의 상단부, 더 정확하게는 상기 포스트고리(130)와 간격을 둔 하측에는 신호등이 부착되는 부착대(200)가 수직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의 부착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 부착대로 구성되는데, 이하에서의 설명은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부착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부착대(200)는 제1부착대(210), 제2부착대(220), 제3부착대(230)로 분기된 상태에서 상호 용접되어 일체를 이룬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부착대(200) 상에는 다수의 신호등(400)이 설치되는데, 상기 신호등(400)는 상기 제1부착대(210), 제2부착대(220), 제3부착대(230) 상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부착대(210,220)와 제2,3부착대(220,230) 사이에는 스토퍼고정대(500)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3부착대(230)의 말단에도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착대(2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2,3부착대(210,220,230)는 직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형상의 부재로서 제1부착대(210)의 직경이 가장 크고, 제3부착대(230)의 직경이 가장 작으며, 이들 사이의 중간 크기로 제2부착대(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고정대(500)는 마감원판(510)과, 상기 마감원판(510)의 일측면에서 마감원판(510)의 원중심과 동심을 이룬 채 일정길이 돌출된 제1삽입부(520)와, 상기 마감원판(510)의 타측면에서 마감원판(510)의 원중심과 동심을 이룬 채 일정길이 돌출되되 상기 제1삽입부(520)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삽입부(5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고정대(500)는, 상기 마감원판(510)의 둘레 일부에 돌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걸이구멍(542, 도 3 참조)이 형성된 걸이구(540,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스토퍼고정대(500)는 각각 양단으로 인접한 부착대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양쪽 부착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며, 또한 걸이구(540)가 제1,2,3부착대(210,220,230)의 말단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와이어가 제1,2,3부착대(210,220,230)의 말단을 고정시키게 되어서 부착대의 흔들림을 보다 완벽하게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는 각각의 부착대의 말단이 아닌 지점에 고정되어 부착대를 잡게 되므로 흔들림을 완전하게 잡을 수 없었는데, 본 발명에 부착대는 각각의 부착대의 말단에 와이어가 고정되므로 좌우 흔들림을 보다 완벽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감원판(510)은 결합되어 지는 부착대의 개수에 맞도록 구비되는데, 일예로서 도 2의 경우에는 상기 제1부착대(21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 제2부착대(22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 제3부착대(23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 이렇게 3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부착대(23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마감원판(510)은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2와 같이 제3부착대(23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마감원판(510)을 설치할 수 도 있으나, 제3부착대(23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마감원판(510)을 설치하지 않고 제3부착대(230)의 말단을 마감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3부착대(23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마감원판(510)을 사용하면 말단에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어서 고정의 안정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마감원판(510)은 부착대들의 삽입시에 부착대들의 삽입시의 스탑퍼 역할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부착대를 마감원판(510)에 삽입시에 더 이상 삽입이 되지 않을 때까지 단순히 삽입만 하면 되므로 설치가 매우 간단하게 된다.
또한, 제1삽입부(520)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 혹은 봉 형태 모두 가능하며, 제1삽입부(520)의 외경은 제1부착대(210)의 내경과 동일하게 유지되어 제1부착대(210)의 단부에서 일정길이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2삽입부(530)도 원형의 파이프 형태 혹은 봉 형태 모두 가능하며, 제2삽입부(530)의 외경은 제2부착대(220)의 내경과 동일하게 유지되어 제2부착대(220)의 단부에서 일정길이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도 2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삽입부(520,530)는 마감원판(510)이 부착대(200)에 접촉되도록 부착대(20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3부착대(220,230) 사이에 설치되는 스토퍼고정대도 그에 맞는 크기로 설계 제작되어야 하며, 제3부착대(230)의 말단에 설치되는 스토퍼고정대도 그에 맞는 크기로 설계되면 된다.
한편, 결속와이어(300)가 결속되는 걸이구(540)의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하나의 와이어걸이구멍(542)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4와 같이 3개 이상의 다수의 와이어걸이구멍(54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다수의 와이어걸이구멍(542) 각각은 도 2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원판(510)의 중심축(C)과 평행한 방향으로 걸이구(540)에 관통될 수 있다. 다수의 와이어걸이구멍(542)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걸이구(5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고정대(50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부채꼴 형태가 되도록 원형의 마감원판(510) 상부에 상기 마감원판(510) 둘레의 원주방향을 따라 호 형태로 돌출되되 상기 다수의 와이어걸이구멍(542)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상기 호 형태로 돌출된 걸이구(540)의 원주방항을 따라 연이어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도 4의 (가)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걸이구(540)의 길이 중간에 형성된 와이어걸이구멍(542)에 걸어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나)와 같이, 결속와이어(300)의 단부를 일측 와이어걸이구멍(542)에 끼운 다음 다수의 와이어걸이구멍을 건너 뛴 다음 반대쪽 와이어걸이구멍(542)에 다시 끼운 후 결속와이어(300)의 길이 일부에서 결속되는 삼각결속 구조를 갖추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속되는 지점은 걸이구(540)의 길이 중심으로부터 좌우가 대칭되는 지점으로 하여, 도 4의 (나)와 같이 정면에서 본 삼각결속 구조가 좌우가 대칭인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와이어(300)는 일단이 상기 수직포스트(100)의 상단에 형성된 포스트고리(130)에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걸이구(540)의 와이어걸이구멍(542)에 결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걸이구(540)가 마감원판(520)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감원판(520)이 각 부착대의 단부를 마감하면서 그 단부에서 결속와이어(300)의 장력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더욱 더 강화된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의 (b)와 같은 삼각결속 구조를 갖추게 되면 분기된 각 와이어의 삼각방향의 벡터분력이 강풍의 방향에 따라 각각 저항력으로 작용하여 상하좌우 유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람은 일반적으로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불게 되는데, 도 4의 (a)와 같이 고정을 시키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상대적으로 좌우 수평방향으로의 고정력 향상 효과는 미비하였다. 그러나 도 4의 (b)와 같이 고정시키게 되면 지면의 수직방향 뿐 아니라 바람의 일반적인 방향인 수평방향으로의 고정력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때문에, 더욱 더 안정적이고 견고한 부착대(200) 고정력을 갖추게 된다.
특히, 각 부착대에 끼워지는 스토퍼고정대(500)의 제1,2삽입부(520,530)에 의해 이들이 끼워지는 부분의 각 부착대 단부의 두께가 그 만큼 두꺼워지므로 더욱 더 강도가 증가되어 튼튼하게 되는 장점도 있다.
더구나, 상기 스토퍼고정대(500)는 서로 고정되는 양측 부착대를 동시에 일체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부착대 접속부위에서는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속부위에서의 파단을 막고, 강풍에 저항하는 내풍압성을 증대시켜 장수명화를 달성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100: 수직포스트
200: 부착대
300: 결속와이어
400: 신호등
500: 스토퍼고정대

Claims (5)

  1. 교차로를 포함한 차량의 통행로 주변의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수직포스트와, 상기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부착대와, 상기 부착대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신호등을 포함하는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에 있어서;
    상기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에는 포스트고리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부착대는 직경이 서로 다른 부분 부착대가 스토퍼고정대를 통해 상호 용접 고정되어 일체를 이룬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고정대는 마감원판과, 상기 마감원판의 일측면에서 마감원판의 원중심과 동심을 이룬 채 일정길이 돌출된 제1삽입부와, 상기 마감원판의 타측면에서 마감원판의 원중심과 동심을 이룬 채 일정길이 돌출되되 상기 제1삽입부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삽입부와, 상기 마감원판의 둘레 일부에 돌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걸이구멍이 형성된 호형상의 걸이구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포스트고리에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걸이구의 와이어걸이구멍에 결속되는 결속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대는 제1부착대, 제2부착대, 제3부착대로 분기된 상태에서 상호 용접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와이어걸이구멍은 3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마감원판은 상기 제1부착대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 제2부착대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 제3부착대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것으로 3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삽입부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마감원판이 부착대에 접촉되도록 부착대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며,
    상기 걸이구는 스토퍼고정대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부채꼴 형태가 되도록 원형의 마감원판 상부에 상기 마감원판 둘레의 원주방향을 따라 호 형태로 돌출되되 상기 다수의 와이어걸이구멍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상기 호 형태로 돌출된 걸이구의 원주방항을 따라 연이어 형성되며,
    다수의 와이어걸이구멍 각각은 마감원판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걸이구에 관통되며,
    상기 결속와이어는 일측 와이어걸이구멍에 끼운 다음 다수의 와이어걸이구멍을 건너 뛴 후 반대쪽 와이어걸이구멍에 다시 끼운 다음 결속와이어의 길이 일부에서 묶이도록 하는 삼각결속 구조를 갖추되 결속되는 지점은 걸이구의 길이 중심으로부터 좌우가 대칭되는 지점으로 하여, 정면에서 본 삼각결속 구조가 좌우가 대칭인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마감원판은 각 부착대의 단부를 마감하면서 그 단부에서 결속와이어의 장력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포스트는 하단에 고정판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삽입부의 외경은 제1부착대의 내경과 동일하게 유지되며, 상기 제2삽입부의 외경은 제2부착대의 내경과 동일하게 유지되며, 상기 고정판에는 다수의 삼각보강편이 용접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 삼각보강편 및 포스트고리는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어 수직포스트 상에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14247A 2019-02-07 2019-02-07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 KR102057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47A KR102057407B1 (ko) 2019-02-07 2019-02-07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47A KR102057407B1 (ko) 2019-02-07 2019-02-07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407B1 true KR102057407B1 (ko) 2019-12-18

Family

ID=6905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247A KR102057407B1 (ko) 2019-02-07 2019-02-07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955A (ko) * 2021-02-22 2022-08-30 이원태 처짐방지형 신호등철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76B1 (ko) * 2016-12-23 2017-09-06 황민선 신호등 설치용 지주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76B1 (ko) * 2016-12-23 2017-09-06 황민선 신호등 설치용 지주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955A (ko) * 2021-02-22 2022-08-30 이원태 처짐방지형 신호등철주
KR102516273B1 (ko) 2021-02-22 2023-03-30 김은형 처짐방지형 신호등철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6251Y1 (ko) 신호기용 지주대
KR101244261B1 (ko) 빔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도로교통시설물 지지유닛
KR101542950B1 (ko) 가로보 보강구조체
KR102057407B1 (ko)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
KR101595736B1 (ko) 지지구조물 설치 구조
KR101106074B1 (ko)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
JP5690010B1 (ja) 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用視線誘導標
KR101453863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2328091B1 (ko)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KR200430574Y1 (ko) 신호등용 지주
KR101254484B1 (ko) 미관이 개선되는 신호등주용 아암
KR101343504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2181473B1 (ko) 지주대의 아암 결합 장치
KR101703493B1 (ko)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KR102190352B1 (ko) 신호등 구조체
KR100930971B1 (ko)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2423261B1 (ko)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1253722B1 (ko) 보강지지부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180068906A (ko) 일체형도로카메라, 신호등안전지지대 제작방법 및 설치방법
CN209429500U (zh) 一种用于安装附墙的一体式标准节平台
KR101566540B1 (ko) 가로대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신호등 철주 조립체
KR200341378Y1 (ko) 수평대가 구비된 신호등 철주
KR102071170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0479073Y1 (ko) 차량 신호등용 철주
KR101975948B1 (ko) 신호등 설치용 지주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