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170B1 -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 Google Patents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170B1
KR102167170B1 KR1020200019967A KR20200019967A KR102167170B1 KR 102167170 B1 KR102167170 B1 KR 102167170B1 KR 1020200019967 A KR1020200019967 A KR 1020200019967A KR 20200019967 A KR20200019967 A KR 20200019967A KR 102167170 B1 KR102167170 B1 KR 102167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outer tube
coupl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경
이영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1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管)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 기둥의 상측에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단부에 도로시설물이 설치되는 암대 유닛,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암대 유닛에 결합되어 암대 유닛을 기둥에 결합시키는 결합 유닛, 및 기둥의 상측에 형성되며 결합 유닛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WIRELESS MULTIFUNCTIONAL POLE FOR ROAD FACILITY }
본 발명은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로는 가로등이나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이 있다. 이러한 도로시설물 중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의 교통시설물들은 도로 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어,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또는 도로 중앙에 설치되는 지주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로시설물 지주는 도로변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로부터 도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암대(또는 "가로보"라고도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암대는 외팔보 형태이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그 단부로 갈수록 아래로 처질 수 있으며, 신호등, 카메라 등의 도로시설물이 설치되는 경우 그 무게가 더해져 보다 많이 처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한 암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시설물 지주에는 별도의 와이어 또는 보강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7412호(2018.05.11.)
본 발명은 기둥에 형성되는 지지 유닛과 암대 유닛에 결합되는 결합 유닛의 결합을 통해 암대 유닛을 기둥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하는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管)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 기둥의 상측에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단부에 도로시설물이 설치되는 암대 유닛,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암대 유닛에 결합되어 암대 유닛을 기둥에 결합시키는 결합 유닛, 및 기둥의 상측에 형성되며 결합 유닛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가 제공된다.
암대 유닛은 결합 유닛에 결합되며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외부관, 외부관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관, 및 외부관 내부에서 내부관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관은 일단이 결합 유닛에 결합되는 제1 외부관, 일단이 제1 외부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외부관, 및 일단이 제2 외부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3 외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관 내지 제3 외부관의 타단은 각각 제1 외부관 내지 제3 외부관의 일단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부관의 타단의 내경은 제2 외부관의 일단의 외경과 대응되고, 제2 외부관의 타단의 내경은 제3 외부관의 일단의 외경과 대응될 수 있다.
결합 유닛은 암대 유닛이 삽입 가능하도록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홀, 및 지지 유닛이 삽입 가능하도록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홀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유닛은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결합 유닛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링은 복수 개로 형성되고, 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된 지지링은 결합 유닛과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는 암대 유닛에 결합되어 암대 유닛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는 도로시설물의 관리를 위해 암대 유닛의 단부에 형성되는 점검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둥에 형성되는 지지 유닛과 암대 유닛에 결합되는 결합 유닛의 결합을 통해 암대 유닛을 기둥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의 결합 유닛과 암대 유닛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의 암대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의 결합 유닛 및 지지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의 지지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의 결합 유닛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管)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110), 기둥(110)의 상측에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도로시설물(10)가 설치되는 암대 유닛(12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암대 유닛(120)에 결합되어 암대 유닛(120)을 기둥(110)에 결합시키는 결합 유닛(140), 및 기둥(110)의 상측에 형성되며 결합 유닛(14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 유닛(140)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150)을 포함하는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100)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100)는 지주에 형성되는 지지 유닛(150)과 암대 유닛(120)에 결합되는 결합 유닛(140)이 결합되어 별도의 와이어와 같은 지지 부재 없이 중력에 의한 처짐에 저항할 수 있으며, 지지 유닛(150)과 결합 유닛(140)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기둥(110)의 길이보다 암대 유닛(120)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중력에 의한 암대 유닛(1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은 관(管)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기둥(11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암대 유닛(120)에 설치된 도로시설물(10)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다.
기둥(110)의 일단에는 지면과 보다 넓은 면적이 접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면에 형성되는 베이스와 기둥(110)의 일단에 형성된 플레이트가 볼트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대 유닛(120)은 기둥(110)의 상측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단부에 도로시설물(10)이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암대 유닛(120)은 기둥(110)의 상측에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로시설물(10)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로시설물(10)은 주택이나 공공장소에서 보안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대 유닛(120)은 결합 유닛(140)에 결합되며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외부관(122), 외부관(122)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관(124), 및 외부관(122) 내부에서 내부관(124)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관(122)은 작업성에 의해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부관(124)은 외부관(122) 내부에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126)가 외부관(122)과 내부관(124)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관(122)과 내부관(124) 서로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26)는 외부관(122)과 내부관(124)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외부관(122)과 내부관(124)이 원형 관으로 형성되므로, 지지 플레이트(126)는 원형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상술한 외부관(122)은 일단이 결합 유닛(140)에 결합되는 제1 외부관(130), 일단이 제1 외부관(1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외부관(132), 및 일단이 제2 외부관(13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3 외부관(1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외부관(130)의 타단은 일단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제2 외부관(132)의 타단은 일단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제3 외부관(134)의 타단은 일단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즉, 도로시설물(10)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외부관(130) 내지 제3 외부관(134)은 일 지점까지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일 지점부터 타단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단부터 일 지점까지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126)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외부관(130)의 타단의 내경은 제2 외부관(132)의 일단의 외경과 대응되고, 제2 외부관(132)의 타단의 내경은 제3 외부관(134)의 일단의 외경과 대응될 수 있어, 제1 외부관(130)과 제2 외부관(132), 제2 외부관(132)과 제3 외부관(134)은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관(122)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므로, 지지 플레이트(126)는 외부관(122)의 타측에 배치될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관(122)에는 외주면에는 지지 플레이트(126)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90˚간격으로 용접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용접홀을 통해 지지 플레이트(126)와 외부관(122)을 용접할 수 있다.
한편, 암대 유닛(120)의 단부는 도로시설물(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도로시설물(10)이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리브(160)는 암대 유닛(120)에 결합되어 암대 유닛(1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암대 유닛(120)의 상하면에 배치되어 암대 유닛(120)의 중력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평면상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구(170)는 도로시설물(10)의 관리를 위해 암대 유닛(12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검구(170)는 상술한 암대 유닛(120)의 외부관(122) 및 내부관(12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평소에는 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유닛(14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암대 유닛(120)에 결합되어 암대 유닛(120)을 기둥(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 유닛(140)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암대 유닛(120)이 삽입 가능하도록 횡 방향으로 결합홀(142)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 유닛(150)이 삽입 가능하도록 종 방향으로 지지홀(144)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42)은 상술한 암대 유닛(120)의 외부관(122)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암대 유닛(120)이 결합홀(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 유닛(140)은 결합홀(142) 주변에 결합 유닛(140) 내부에서 결합 유닛(140)과 암대 유닛(120)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유닛(150)은 기둥(110)의 상측에 형성되며 결합 유닛(14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 유닛(140)을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유닛(150)은 기둥(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부(152), 및 지지부(15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결합 유닛(14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링(15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링(154)은 결합 유닛(140)이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유닛(140)의 내주면과 맞닿아 횡방향 흔들림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링(154)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링(154) 중 지지부(152)의 단부에 결합된 지지링(154)은 결합 유닛(140)과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링(154)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그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도 4 및 도 5에서 A는 기둥(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링(154)으로 직경이 기둥(110)의 직경과 동일하며 지지부(152)의 내경과 대응되는 내부 홀이 형성될 수 있고, B는 지지부(152)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C는 B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52)의 단부에 설치되어 평면에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결합 유닛(140)과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D는 결합 유닛(140)의 단부에 형성되는 판으로 C에 형성된 홀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C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4 및 도 5에서 지지링(154) A의 하측에 기둥(110)에는 용접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용접홀을 통해 기둥(110)과 지지링(154) A가 용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유닛(14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홀에는 가압 볼트(146)가 삽입되어 지지 유닛(150)의 지지부(152)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횡방향 흔들림에 대해서 지지 유닛(150)과 결합 유닛(140)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기둥(110) 내부 공간, 지지부(152)의 내부 공간, 결합 유닛(140)의 내부 공간 및 내부관(124)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케이블이 도로시설물(10)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조절부(180)는 결합 유닛에 결합되어 암대 유닛(12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조절부(180)는 결합 유닛의 단부(도 4의 D)에 형성되는 미세조절홀(182)에 삽입될 수 있으며, 미세조절부(180)가 미세조절홀(182)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미세조절부(180)가 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된 지지링(도 4의 C)을 밀어내 기둥(110)과 암대 유닛(120)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서 미세조절부(180)는 암대 유닛(120) 쪽에 위치한 미세조절홀(182)에 삽입되어 암대 유닛(12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으나, 미세조절홀(182)의 위치는 기둥(110)의 설치 상태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도로시설물
100: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110: 기둥
120: 암대 유닛
122: 외부관
124: 내부관
126: 지지 플레이트
130: 제1 외부관
132: 제2 외부관
134: 제3 외부관
140: 결합 유닛
142: 결합홀
144: 지지홀
146: 가압 볼트
150: 지지 유닛
152: 지지부
154: 지지링
160: 지지 리브
170: 점검구
180: 미세조절부
182: 미세조절홀

Claims (10)

  1. 관(管)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상측에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단부에 도로시설물이 설치되는 암대 유닛;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암대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암대 유닛을 상기 기둥에 결합시키는 결합 유닛; 및
    상기 기둥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유닛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암대 유닛은,
    상기 결합 유닛에 결합되며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외부관(管);
    상기 외부관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관(管); 및
    상기 외부관 내부에서 상기 내부관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외부관 및 상기 내부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외부관 및 상기 내부관은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외부관의 내주면과 접하여 지지하고 내주면이 상기 내부관의 외주면과 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외부관은 외부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관을 용접하기 위해 상기 외부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용접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 유닛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링은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지지링은 상기 결합 유닛과 볼트 결합되고,
    상기 결합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암대 유닛의 수평을 조절하는 미세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조절부는 상기 결합 유닛의 단부에 형성되는 미세조절홀에 삽입되며, 단부가 상기 지지 유닛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지지링을 밀어내 상기 결합 유닛의 단부와 상기 지지 유닛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기둥과 상기 암대 유닛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는,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은,
    일단이 상기 결합 유닛에 결합되는 제1 외부관;
    일단이 상기 제1 외부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외부관; 및
    일단이 상기 제2 외부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3 외부관을 포함하는,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관 내지 상기 제3 외부관의 타단은 각각 상기 제1 외부관 내지 제3 외부관의 일단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관의 타단의 내경은 상기 제2 외부관의 일단의 외경과 대응되고,
    상기 제2 외부관의 타단의 내경은 상기 제3 외부관의 일단의 외경과 대응되는,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암대 유닛이 삽입 가능하도록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홀; 및
    상기 지지 유닛이 삽입 가능하도록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홀을 포함하는,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대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암대 유닛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지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시설물의 관리를 위해 상기 암대 유닛의 단부에 형성되는 점검구를 더 포함하는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KR1020200019967A 2020-02-18 2020-02-18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KR10216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967A KR102167170B1 (ko) 2020-02-18 2020-02-18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967A KR102167170B1 (ko) 2020-02-18 2020-02-18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170B1 true KR102167170B1 (ko) 2020-10-16

Family

ID=7303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967A KR102167170B1 (ko) 2020-02-18 2020-02-18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1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278B1 (ko) 2021-02-15 2021-05-03 (주)거성플랜트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ES2907548A1 (es) * 2020-10-22 2022-04-25 Abn Pipe Systems S L U Dispositivo de compartimentacion de espacios publico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85B1 (ko) * 2011-05-25 2011-12-01 (주)청산가로등주 아암 지주와 폴대지주의 조립성, 직선도 개선과 제조 생산성을 개선한 림 타입 유니언을 갖는 가로등주
KR101382408B1 (ko) * 2013-11-20 2014-04-08 주식회사 성지산업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1567029B1 (ko) * 2015-03-02 2015-11-06 황민선 신호등 설치용 가로보
KR101857412B1 (ko) 2017-07-12 2018-05-11 윤재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1999194B1 (ko) * 2019-04-12 2019-07-11 (주)지용금속 2단 가로보구조의 다목적 신호등 지지용 지주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85B1 (ko) * 2011-05-25 2011-12-01 (주)청산가로등주 아암 지주와 폴대지주의 조립성, 직선도 개선과 제조 생산성을 개선한 림 타입 유니언을 갖는 가로등주
KR101382408B1 (ko) * 2013-11-20 2014-04-08 주식회사 성지산업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1567029B1 (ko) * 2015-03-02 2015-11-06 황민선 신호등 설치용 가로보
KR101857412B1 (ko) 2017-07-12 2018-05-11 윤재규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1999194B1 (ko) * 2019-04-12 2019-07-11 (주)지용금속 2단 가로보구조의 다목적 신호등 지지용 지주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07548A1 (es) * 2020-10-22 2022-04-25 Abn Pipe Systems S L U Dispositivo de compartimentacion de espacios publicos
KR102247278B1 (ko) 2021-02-15 2021-05-03 (주)거성플랜트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170B1 (ko)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KR101173593B1 (ko)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1548087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US20100205875A1 (en) Pole assembly and mounting thereof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2009620B1 (ko)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KR101106074B1 (ko)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
KR102190352B1 (ko) 신호등 구조체
KR101326157B1 (ko)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KR101343504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1703493B1 (ko)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KR102181473B1 (ko) 지주대의 아암 결합 장치
KR101544122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장치
KR20120125071A (ko) 가로등 암대의 연결구조
US20040035988A1 (en) Universal public-space fixture and accessories for use therewith
KR102413819B1 (ko) 폴 베이스 안전시스템
KR100759836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KR101143981B1 (ko) 가로보 각도 조절장치
KR200462052Y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0455034Y1 (ko)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102423261B1 (ko)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2651762B1 (ko) 암대 설치용 슬리브를 구비한 지주
KR200479073Y1 (ko) 차량 신호등용 철주
KR101975948B1 (ko) 신호등 설치용 지주 구조체
KR101320528B1 (ko)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