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278B1 -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 Google Patents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278B1
KR102247278B1 KR1020210019845A KR20210019845A KR102247278B1 KR 102247278 B1 KR102247278 B1 KR 102247278B1 KR 1020210019845 A KR1020210019845 A KR 1020210019845A KR 20210019845 A KR20210019845 A KR 20210019845A KR 102247278 B1 KR102247278 B1 KR 102247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upport
arm
sagging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주)거성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성플랜트 filed Critical (주)거성플랜트
Priority to KR1020210019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부에 제 1, 2 결합부가 구성되고 암부에 처짐방지결합부와 지지결합부가 구성되며 플레이트부에 결합편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처짐방지결합부가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결합편과 결합되어 암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기울기를 갖으며 상기 제 2 결합부와 지지결합부가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결합편과 결합되어 암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기울기를 갖는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와이어 없이 플레이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작이 쉽고 이로 인하여 작업 시간이 대폭 축소되면서 외관이 수려함에 따라 도시 미관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고 상부폴, 하부폴로 구분되어 사고로 인한 하부폴의 휨 발생시 빠르게 교체하면서 상하부폴에 장방형 체결구멍 형성되어 회전을 통한 미세조정으로 정확히 지주를 배치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Wireless pole for road facility}
본 발명은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부에 제 1, 2 결합부가 구성되고 암부에 처짐방지결합부와 지지결합부가 구성되며 플레이트부에 결합편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처짐방지결합부가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결합편과 결합되어 암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기울기를 갖으며 상기 제 2 결합부와 지지결합부가 플레이트부에 형성된 결합편과 결합되어 암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기울기를 갖는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주는 도로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폴과 카메라, 신호등, 각종 표지판 등이 설치되는 암으로 구성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의 단부로 갈수록 처지게 되고 또한, 신호등과 같은 시설물이 설치되면 그 무게가 더해지기 때문에 암이 더 많이 처지게 되어 이를 방지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과 폴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구비된다.
특히, 지주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암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암의 길이가 길어지면 와이어의 개수도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지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에 암이 2개 구성되면 2개의 암 모두에 와이어가 더 구성됨에 따라 외관상 흉물스럽고 다수의 와이어를 설계시 설계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설계 위험성이 높으며 설계 이후에도 와이어가 로프 형태이기 때문에 다른 물체가 걸릴 우려가 높아 안전사고가 발생될 여지가 매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무와이어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7170호인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는 관(管)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상측에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단부에 도로시설물이 설치되는 암대 유닛,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암대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암대 유닛을 상기 기둥에 결합시키는 결합 유닛, 및 상기 기둥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유닛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암대 유닛은 결합 유닛에 결합되며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외부관, 상기 외부관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관, 및 외부관 내부에서 내부관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있어서, 외부관, 내부관, 지지 플레이트와 같은 구성들이 필요함에 따라 설계가 복잡하고 제작 단가도 비싸며 복잡한 설계로 인한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고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67170호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등록일 2020. 10. 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와이어 없이 암의 처짐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지주 설치 작업시간이 대폭 축소되고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은 사고로 인한 지주의 휨 발생시 쉽고 빠르게 교체하면서 장방형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회전을 통한 미세조정으로 정확히 지주를 배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통해 유추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는 제 1 장공형 체결구멍들이 형성되어 체결 시 장공형에 의해서 소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와 연장되는 제 1 기둥이 포함되며 상기 제 1 기둥 상부에 함체를 받치기 위하여 한 측면으로 돌출된 함체 받침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함체 받침판에 제 2 장공형 체결구멍들이 형성되는 하부폴부, 상기 제 2 장공형 체결구멍들과 체결되기 위한 제 3 장공형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체결 시 장공형에 의해서 소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이스와 연장되는 제 2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둥 상부에 제 1 결합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제 2 결합부가 구성되며 상기 제 2 결합부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암지지체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상기 상부폴부를 포함하는 폴부와; 상기 암지지체와 결합되고 상기 암지지체와 결합되는 반대측 단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처침방지결합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처짐방지결합부로부터 상기 암지지체 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지지를 위한 지지결합부를 포함하는 암부; 및 제 1 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고 제 2 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처짐방지결합부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 1, 2 결합편 사이에 암부의 단부 처짐 방지를 위한 제 1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편 하부에 제 3 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결합편으로부터 암지지체 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제 4 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결합부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 3, 4 결합편 사이에 암부 지지를 위한 제 2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바람 유출을 위한 다수의 천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 없이 플레이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작이 쉽고 이로 인하여 작업 시간이 대폭 축소되면서 외관이 수려함에 따라 도시 미관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고 상부폴, 하부폴로 구분되어 사고로 인한 하부폴의 휨 발생시 빠르게 교체하면서 상하부폴에 장방형 체결구멍 형성되어 회전을 통한 미세조정으로 정확히 지주를 배치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지주의 암에 설치된 와이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폴부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폴부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부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 결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 기울기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와 처짐방지결합부들의 결합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제 2 결합부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또는 통신선 배선을 위한 구멍들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 및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구성도로서 상기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는 하부폴부(110)와 상부폴부(120)를 포함하는 폴부(100)와 암부(200) 및 플레이트부(30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하부폴부(110)는 제 1 장공형 체결구멍(111-1)들이 형성되어 체결 시 장공형에 의해서 소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베이스(11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111)와 연장되는 제 1 기둥(112)이 포함되며 상기 제 1 기둥(112) 상부에 함체를 받치기 위하여 한 측면으로 돌출된 함체 받침판(113)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함체 받침판(113)에 제 2 장공형 체결구멍(113-1)들이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폴부(100)는 차량 등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 시 휨이 발생하면 암에 카메라, 신호등, 표지판 등이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에 따라 하부폴부(110)와 상부폴부(120)을 분리되게 설계하여 하부폴부(11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교체시 미세조정을 위하여 회전되게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예로서, 상기 하부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a)와 같이 제 1 베이스(111), 제 1 기둥(112), 함체 받침판(113)이 구성되고 상기 제 1 베이스(111)는 도 3에 도시된 (b)와 같이 대략 60도 간격마다 6개의 제 1 장공형 체결구멍(111-1)들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 1 장공형 체결구멍(111-1)들 각각은 결합부재와 체결 시 도 3에 도시된 (b)의 A와 같이 장공형임에 따라 A범위에서 하부폴(110)과 결합되는 지주베이스부(도시하지 않음)에서 회전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111)와 제 1 기둥(112)은 흔들림 방지를 위해서 제 1 지지대(111-2)들이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고 제 1 지지대(111-2)들과 제 1 장공형 체결구멍(111-1)들은 도 3에 도시된 (b)와 같이 6개 형성된 제 1 장공형 체결구멍(111-1)들 사이마다 제 1 지지대(111-2)가 각각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폴부(100)는 보편적으로 암부(200)에 설치되는 신호등, 카메라 등을 제어할 수 있는 함체가 보편적으로 하부폴부(110) 측에 설치되어 함체와 충돌하는 교통사고가 수시로 발생하여 신호등, 카메라 등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폴부(110)는 교통사고로부터 피할 수 있도록 상부 측면으로 돌출되는 함체 받침판(113)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부폴부(120)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장공형 체결구멍(113-1)이 도 3에 도시된 (c)와 같이 대략 60도 간격마다 6개의 제 2 장공형 체결구멍(113-1)들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 2 장공형 체결구멍(113-1)들 각각은 결합부재와 체결 시 도 3에 도시된 (c)의 B와 같이 장공형임에 따라 B범위에서 상부폴부(120)와 결합시 회전하는 작용을 한다.
더욱이, 함체 받침판(113)은 제 1 기둥(11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지만 함체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함체 받침판(113)과 제 1 기둥(112) 사이에 제 2 지지대(113-2)들이 결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폴부(120)는 상기 제 2 장공형 체결구멍(113-1)들과 체결되기 위한 제 3 장공형 체결구멍(121-1)이 형성되어 체결 시 장공형에 의해서 소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베이스(121)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이스(121)와 연장되는 제 2 기둥(122)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둥(122) 상부에 제 1 결합부(123)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123)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제 2 결합부(124)가 구성되며 상기 제 2 결합부(124)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암지치체(125)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상부폴부(120)는 도 4에 도시된 (a)와 같이 하부에 제 2 베이스(121), 제 2 기둥(122), 제 1, 2 결합부(123, 124), 암지지체(125)가 구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121)는 도 4에 도시된 (b)와 같이 대략 60도 간격마다 6개의 제 3 장공형 체결구멍(121-1)들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 3 장공형 체결구멍(121-1)들 각각은 제 2 장공형 체결구멍(113-1)과 체결 시 제작 과정에서 정밀하게 일치되도록 제작하기 어려운 기계적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b)의 A와 같이 장공형임에 따라 A범위에서 하부폴부(110)와 상부폴부(120)를 각각 회전 또는 둘 중 하나만 회전시키는 작용을 통해서 암부(200)의 방향을 미세 조정하여 보다 정확하게 배치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121)와 제 2 기둥(122)은 흔들림 방지를 위해서 제 3 지지대(121-2)들이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고 상기 제 3 지지대(121-2)들과 제 3 장공형 체결구멍(121-1)들이 도 4에 도시된 (b)와 같이 6개 형성된 제 3 장공형 체결구멍(121-1)들 사이마다 제 3 지지대(121-1)가 각각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장공형 체결구멍들에 대해서 6개로 실시예를 들었지만 6개 이외에 설계 현장에 맞게 적절히 조절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폴부(120)는 제 2 기둥(122) 상부에 제 1 결합부(123)가 형성되고 제 1 결합부(123)는 플레이트부(300)와 결합되어 암부(2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결합부(123)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제 2 결합부(124)가 형성되고 제 2 결합부(124)는 플레이트부(300)와 결합되어 암부(200) 지지를 위한 것이며, 상기 제 2 결합부(124)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암지지체(125)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암지지체(125)는 암부(200)와 결합되어 지지한다.
상기 암부(200)는 상기 암지지체(125)와 결합되고 상기 암지지체(125)와 결합되는 반대측 단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처침방지결합부(210)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로부터 상기 암지지체(125) 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지지를 위한 지지결합부(2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암부(200)는 암지지체(125)와 결합되어 지지되지만 암의 길이에 의해서 단부에 처짐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처짐 현상으로 인하여 사고에 대한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부(300)와 결합되는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가 구성되고 또한, 암부(200)를 지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부(300)와 결합되는 지지결합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300)는 제 1 결합편(310)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123)와 결합되고 제 2 결합편(320)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 1, 2 결합편(310, 320) 사이에 암부(200)의 단부 처짐 방지를 위한 제 1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편(310) 하부에 제 3 결합편(330)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결합부(124)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결합편(320)으로부터 암지지체(125) 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제 4 결합편(340)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결합부(220)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 3, 4 결합편(330, 340) 사이에 암부(200) 지지를 위한 제 2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바람 유출을 위한 다수의 천공(350)이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플레이트부(300)는 도 6에 도시된 (a)와 같이 제 1, 2, 3, 4 결합편(310, 320, 330, 340)이 구성되고 상기 제 1, 3 결합편(310, 330)은 상부폴부(120) 측 결합, 구체적인 예로써 도 6에 도시된 (b)와 같이 제 1 결합편(310)은 제 1 결합부(123)와 결합되고 제 3 결합편(330)은 제 2 결합부(124)와 결합되며 상기 제 2, 4 결합편(320, 240)은 암부(200) 측 결합 즉, 제 2 결합편(320)은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와 결합되고 제 4 결합편(340)은 지지결합부(22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300)는 제 1 결합부(123)와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가 결합되면 도 6에 도시된 (b)의 A와 같이 제 1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함에 따라 암부(200)의 단부 처짐을 방지하고 또한, 제 2 결합부(124)와 지지결합부(220)가 결합되면 도 6에 도시된 (b)의 B와 같이 제 2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함에 따라 암부(200)를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부(300)는 상기 다수의 천공(350)이 없는 경우에 장마 때 비와 바람 등에 의한 휨 또는 흔들림이 발생하면 설치된 장비 예를 들어서, CCTV의 경우 흔들림으로 인하여 촬영된 객체의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지만 다수의 천공(350)을 형성함에 따라 비와 바람 등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CCTV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특히, 대한민국과 같은 나라는 매년 주기적이면서 수시로 비와 바람을 동반한 태풍을 접함에 따라 다수의 천공(350)이 유출구 역할을 하여 배출하는 작용을 통해 암부(200)에 부착되는 CCTV의 흔들림의 최소화를 통하여 원활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다수의 천공(350)은 도 6에서 장공형 천공(350)으로 도시하였지만 설치되는 환경에 맞게 도시 미관을 위하여 다수의 천공(350) 또는 다수의 천공(350)과 장공을 조합한 형태로 여러 가지 의미를 갖도록 표출되게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300)는 암부(20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 1, 2 기울기가 변화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 1 기울기에 의해서 상기 플레이트부(300)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의 위치가 변화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 2 기울기에 의해서 상기 플레이트부(300)와 결합되기 위한 지지결합부(220)의 위치가 변화되게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플레이트부(300)는 도 7에 도시된 (a)의 '가'와 같이 암부(200)의 길이가 2.5m이고 도 7에 도시된 (b)의 '나'와 같이 암부(200)의 길이가 3m이며 도 7에 도시된 (c)의 '다'와 같이 암부(200)의 길이가 3.5m인 경우에 암부(200)의 길이가 가장 작은 '가'의 경우는 암부(200)의 처짐 방지를 위해서 A-1과 같은 기울기를 갖고 암부(200)의 지지를 위해서 A-2와 같은 기울기를 갖으며 또한, 암부(200)의 길이가 '가'보다 큰 '나'의 경우는 암부(200)의 처짐 방지를 위해서 A-1보다 기울기가 작은 B-1과 같은 기울기를 갖고 암부(200)의 지지를 위해서 A-2보다 기울기가 작은 B-2와 같은 기울기를 갖으며 아울러, 암부(200)의 길이가 '나'보다 큰 '다'의 경우는 암부(200)의 처짐 방지를 위해서 B-1보다 기울기가 작은 C-1과 같은 기울기를 갖고 암부(200)의 지지를 위해서 B-2보다 기울기가 작은 C-2와 같은 기울기를 갖는다.
이러한 기울기에 의해서 암부(200)는 도 7에 도시된 (a)와 같이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의 위치가 A-3, 지지결합부(220)의 위치가 A-4이고 도 7에 도시된 (b)와 같이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의 위치가 B-3, 지지결합부(220)의 위치가 B-4이며 도 7에 도시된 (c)와 같이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의 위치가 C-3, 지지결합부(220)의 위치가 C-4와 같다.
따라서, 암부(200)의 길이 변화를 통해서 지주 설치시 주변 환경에 맞게 제 1, 2 기울기의 변화를 줄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와 지지결합부(220)의 위치 변화를 통해 암의 처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암부(200)를 견고히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상기 제 1, 2 기울기는 직선형도 바람직하고 완만한 곡면을 갖는 기울기도 환경에 따라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300)의 제 2 결합편(320)과 제 4 결합편(340) 사이에 제 5 결합편(360) 또는 제 6 결합편(370)이 형성되고 상기 암부(200)에 제 2 처짐방지결합부(230) 또는 제 3 처짐방지결합부(240)가 구성되어 상기 암부(200)의 길이에 따라 제 5 결합편(360)과 제 2 처짐방지결합부(230)의 결합 또는 제 5 결합편(360)과 제 2 처짐방지결합부(230)의 결합, 제 6 결합편(370)과 제 3 처짐방지결합부(240)가 결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플레이트부(300)가 암부(200)와 결합되는 제 2, 4 결합편(320, 340)이 형성된 경우는 도 8에 도시된 (a)와 같이 거리가 2m 정도의 암부(200)에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2m 정도의 암부(200)보다 길이가 긴 4m 정도의 암부(200)의 경우는 도 8에 도시된 (b)와 같이 제 2 결합편(320)과 제 4 결합편(340) 사이에 제 5 결합편(360)이 형성되고 상기 제 5 결합편(360)과 결합되기 위한 제 2 처짐방지결합부(230)가 암부(200)에 구성됨에 따라 암부(200)의 길이가 4m 정도 암부(200)의 단부 처짐을 방지한다.
결국, 상기 제 2 결합편(320)과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가 결합된 본 발명은 종래의 지주와 비교할 때 와이어 1개가 구성된 역할을 하고 또한, 상기 제 5 결합편(360)과 제 2 처짐방지결합부(230)가 더 결합되면 종래의 지주와 비교할 때 와이어 2개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c)와 같이 암의 길이가 7m 정도의 암부(200)인 경우에 제 5 결합편(360)과 제 4 결합편(340) 사이에 제 6 결합편(370)이 형성되고 상기 제 6 결합편(370)과 결합되기 위한 제 3 처짐방지결합부(240)가 암부(200)에 구성됨에 따라 암부(200)의 길이가 7m 정도 암부(200)의 단부 처짐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은 제 2 결합편(320)과 제 1 처짐방지결합부(210)가 결합, 제 5 결합편(360)과 제 2 처짐방지결합부(230)가 결합, 제 6 결합편(370)과 제 3 처짐방지결합부(240)가 결합됨에 따라 종래의 지주와 비교할 때 와이어 3개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우리나라에서 지주가 보편적으로 암에 최대 3개의 와이어가 설치되는 점을 고려할 때 와이어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축소되고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폴에 2개의 암이 설치되고 각각 3개씩 와이어가 설치되는 경우라면 작업 시간은 물론이고 설치함에 소요되는 노력이 매우 큰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도 7과 도 8의 실시예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은 너무나 자명한 것이어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 2 결합부(124)는 상기 암지지체(125)까지 일체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고정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 2 결합부(124)는 상부폴부(120)에 구성되는 바, 암부(200)와 결합되는 암지지체(125)가 보다 암부(20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지지체(125)까지 일체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고정되고 이때, 연장되는 일부분은 상부폴부(12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천공(350)은 문자, 도형, 기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의미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천공(350)은 본 발명 도면들에서 '청주시'라는 의미를 갖도록 천공하였지만, 예를 들어서 'CCTV 촬영중, 60km 미만'등 다양한 의미를 갖도록 형성하고 또한, 단지 천공(350) 뿐만 아니라 장공형, 곡선형 등 다양한 형태의 공(孔)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천공(350)은 문자, 도형, 기호로 의미를 부여함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작용은 물론이고 시각적으로 도시 미관이 수려해지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하부폴부(110)의 상부에 제 1 구멍(112-1)이 형성되고 상기 함체 받침판(113)에 제 2 구멍(113-3)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구멍(112-1)을 통해서 상기 제 2 구멍(113-3)으로 지주에 설치되는 시설물에 대한 전선 또는 통신선이 함체에 진입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하부폴부(110)의 제 1 구멍(112-1)과 함체 받침판(113)의 제 2 구멍(113-3)은 하부폴부(110)와 상부폴부(120)가 분리되는 구조로써 하부폴부(110) 교체시 전선 또는 통신선을 함체에 설치함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a)의 A와 같이 전선 또는 통신선을 진입시킨 후 제 1 구멍(112-1)을 통해서 제 2 구멍(113-3)으로 배선되고 또한, 암부(200)에 설치된 CCTV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b)의 B와 같이 전선 또는 통신선이 제 1 구멍(112-1)을 통해서 제 2 구멍(113-3)으로 배선되어 함체에 구성된 제어장치와 연결됨에 따라 하부폴부(110) 교체시에도 어려움 없이 함체에 전선 또는 통신선을 배선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처짐 방지는 처짐 방지뿐만 아니라 흔들림 방지의 의미도 함께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폴부 110 : 하부폴부
111 : 제 1 베이스 111-1 : 제 1 장공형 체결구멍
111-2 : 제 1 지지대 112 : 제 1 기둥
112-1 : 제 1 구멍 113 : 함체 받침판
113-1 : 제 2 장공형 체결구멍 113-2 : 제 2 지지대
113-3 : 제 2 구멍 120 : 상부폴부
121 : 제 2 베이스 121-1 : 제 3 장공형 체결구멍
121-2 : 제 3 지지대 122 : 제 2 기둥
123 : 제 1 결합부 124 : 제 2 결합부
125 : 암지지체 200 : 암부
210 : 제 1 처짐방지결합부 220 : 지지결합부
230 : 제 2 처짐방지결합부 240 : 제 3 처짐방지결합부
300 : 플레이트부 310 : 제 1 결합편
320 : 제 2 결합편 330 : 제 3 결합편
340 : 제 4 결합편 350 : 천공
360 : 제 5 결합편 370 : 제 6 결합편

Claims (6)

  1. 제 1 장공형 체결구멍들이 형성되어 체결 시 장공형에 의해서 소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와 연장되는 제 1 기둥이 포함되며 상기 제 1 기둥 상부에 함체를 받치기 위하여 한 측면으로 돌출된 함체 받침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함체 받침판에 제 2 장공형 체결구멍들이 형성되는 하부폴부, 상기 제 2 장공형 체결구멍들과 체결되기 위한 제 3 장공형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체결 시 장공형에 의해서 소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이스와 연장되는 제 2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둥 상부에 제 1 결합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제 2 결합부가 구성되며 상기 제 2 결합부로부터 소정 거리 아래에 암지지체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상부폴부를 포함하는 폴부와;
    상기 암지지체와 결합되고 상기 암지지체와 결합되는 반대측 단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처침방지결합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처짐방지결합부로부터 상기 암지지체 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지지를 위한 지지결합부를 포함하는 암부; 및
    제 1 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고 제 2 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처짐방지결합부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 1, 2 결합편 사이에 암부의 단부 처짐 방지를 위한 제 1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편 하부에 제 3 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결합편으로부터 암지지체 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제 4 결합편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결합부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 3, 4 결합편 사이에 암부 지지를 위한 제 2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바람 유출을 위한 다수의 천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암부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 1, 2 기울기가 변화되게 구성되고 상기 제 1 기울기에 의해서 상기 플레이트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처짐방지결합부의 위치가 변화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 2 기울기에 의해서 상기 플레이트부와 결합되기 위한 지지결합부의 위치가 변화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제 2 결합편과 제 4 결합편 사이에 제 5 결합편 또는 제 6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암부에 제 2 처짐방지결합부 또는 제 3 처짐방지결합부가 구성되어 상기 암부의 길이에 따라 제 5 결합편과 제 2 처짐방지결합부의 결합 또는 제 5 결합편과 제 2 처짐방지결합부의 결합, 제 6 결합편과 제 3 처짐방지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암지지체까지 일체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공은 문자, 도형, 기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의미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폴부의 상부에 제 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함체 받침판에 제 2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구멍을 통해서 상기 제 2 구멍으로 지주에 설치되는 시설물에 대한 전선 또는 통신선이 함체에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KR1020210019845A 2021-02-15 2021-02-15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KR102247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845A KR102247278B1 (ko) 2021-02-15 2021-02-15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845A KR102247278B1 (ko) 2021-02-15 2021-02-15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278B1 true KR102247278B1 (ko) 2021-05-03

Family

ID=7591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845A KR102247278B1 (ko) 2021-02-15 2021-02-15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8347A (zh) * 2022-11-19 2022-12-30 山西省交通新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太阳能智能交通标志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464U (ko) * 2010-08-23 2012-03-05 대양기업(주) 도로교통 표시장치용 회전식 지주대
KR101622702B1 (ko) * 2015-09-25 2016-05-19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와이어가 불필요한 시설물 설치용 지주 구조물
KR101636060B1 (ko) * 2015-11-05 2016-08-05 이영심 도로시설물 지주장치
KR101847911B1 (ko) * 2017-11-03 2018-04-11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삼단 일체형 cctv 지주
KR102167170B1 (ko) 2020-02-18 2020-10-16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464U (ko) * 2010-08-23 2012-03-05 대양기업(주) 도로교통 표시장치용 회전식 지주대
KR101622702B1 (ko) * 2015-09-25 2016-05-19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와이어가 불필요한 시설물 설치용 지주 구조물
KR101636060B1 (ko) * 2015-11-05 2016-08-05 이영심 도로시설물 지주장치
KR101847911B1 (ko) * 2017-11-03 2018-04-11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삼단 일체형 cctv 지주
KR102167170B1 (ko) 2020-02-18 2020-10-16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8347A (zh) * 2022-11-19 2022-12-30 山西省交通新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太阳能智能交通标志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278B1 (ko) 무와이어 도로시설물 지주
US8468728B2 (en) Breakaway outdoor signs
CN201050200Y (zh) 带旋转挡风罩的岗亭
KR101362660B1 (ko) 가로등 회전윈드배너
DE102005039219B4 (de) Schilderpfosten mit Meßstelleneinrichtung
KR20130000173U (ko) 통합형 도로교통 시설물
CN205487127U (zh) 一种能随意拆装标识牌的防撞型指路牌
CN206516271U (zh) 基于计算机技术的城市公交电子站牌
CN214247162U (zh) 防台风门窗
KR200404597Y1 (ko) 전광판과 현수막을 이용한 지주형 간판
EP3972138A1 (de) Strassenleuchte mit edge-computing-einrichtung
CN203550075U (zh) 一种空调室外机的安全防护装置
CN220704378U (zh) 一种警示装置
CN206338665U (zh) 一种道路照明装置
CN215814841U (zh) 一种景观设计指示牌
CN103036189A (zh) 防雷设备
CN219285566U (zh) 一种具有防坠效果的红外补光灯板
CN213330222U (zh) 一种上升式停车房
CN210956020U (zh) 一种旅游管理服务项目明示公告栏
CN216586168U (zh) 一种桥梁用多功能防护栏
CN214247161U (zh) 防台风门窗
CN216671114U (zh) 一种可根据环境自适应调节的智能化导向指示牌
CN213896895U (zh) 一种一体式防盗监控车卡装置
CN216521304U (zh) 一种多功能led路灯灯杆
CN208884413U (zh) 一种便携式路政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