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034Y1 -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034Y1
KR200455034Y1 KR2020100002077U KR20100002077U KR200455034Y1 KR 200455034 Y1 KR200455034 Y1 KR 200455034Y1 KR 2020100002077 U KR2020100002077 U KR 2020100002077U KR 20100002077 U KR20100002077 U KR 20100002077U KR 200455034 Y1 KR200455034 Y1 KR 200455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ing
column
support
flang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춘
김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로
Priority to KR2020100002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0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으로 분할하여 조립할 수 있는 다단구조의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지주; 상기 제1지주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지주; 및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주의 상단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체결링; 상기 제2 지주의 하단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링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제2체결링; 및 상기 제2체결링이 상기 제1체결링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지부, 상기 제2지주 또는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이들을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재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A Support Structure Object for a Road Traffic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본 고안은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립식으로 분할하여 조립할 수 있는 다단구조의 지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은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도로, 상업지구 도로, 주택지구도로 등 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도로를 따라서 설치된다.
이러한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은 주강재, 탄소강관, 알루미늄재 등으로 제작되며,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의 설치는 장소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지는데 보통 짧게는 3미터에서 10미터 등의 긴 길이로 제작한 지주의 각 부분을 일직선상으로 용접작업하여 제작되며, 지주의 하부에는 고정부를 두어 기초바닥에 설치되는 기초 앵커볼트와 체결하여 직립으로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체형의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은 용접작업 등에 의해 길게 제작하기 때문에 현장설치에 따른 운반과정, 설치과정에서 길이가 긴 제품은 특히 제품에 손상이 이루어지거나, 설치하고자 하는데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의 지주를 수직상으로 세워준 상태에서 이를 지지한 다음 하부에 마련된 고정부를 통해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지지하는 작업과 고정하는 작업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많은 수의 작업인원이 필요로 하고, 제작 및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을 조립식으로 분할하여 조립할 수 있는 다단구조의 지주 구조물이 개시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7798호에는 지주를 하부지주와 상부지주로 분할 구성하여 양자의 대응단에 구비된 플랜지들을 볼트로 체결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지주 구조물의 플랜지 연결구조는 다수의 볼트 및 너트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매우 조잡하여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랜지의 볼트 및 너트가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기 쉬우며 먼지나 이물질이 쌓여 가로등 지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반복되는 진동이나 강풍에 의한 가로등의 흔들림은 플랜지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체결된 볼트 및 너트가 일부 풀리면서 가로등이 회전되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지주와 지주의 연결시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주와 지주의 연결을 위한 볼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외부 환경(빗물이나 먼지, 이물질 등)에 의한 손상(부식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주와 지주의 연결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이 세련되고 미려한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지주; 상기 제1지주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지주; 및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주의 상단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체결링; 상기 제2 지주의 하단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링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제2체결링; 및 상기 제2체결링이 상기 제1체결링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지부, 상기 제2지주 또는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이들을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재들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주 또는 상기 제2지주는 상기 제2체결링과 상기 제1체결링을 상기 체결부재로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작업용 개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용 개구는 상기 제1지주 또는 상기 제2지주 전체 길이의 중간보다 상기 연결구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주 또는 상기 제2지주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체결링은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지주의 상단에 걸쳐지는 제1플랜지와, 하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지주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들이 형성된 제2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링은 상기 제1체결링의 제1플랜지에 맞닿도록 상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플랜지와 상기 제1체결링의 제2플랜지와 맞닿도록 하단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홀들이 형성된 제4플랜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체결링은 상단의 직경이 크고 하단의 직경이 작도록 테이퍼진 내면을 갖으며, 상기 제2체결링은 상기 제1체결링의 테이퍼진 내면과 동일하게 테이퍼지고 상기 제1체결링의 테이퍼진 내면과 접하는 테이퍼진 외면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은 상기 제2지주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3지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지주와 상기 제3지주는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주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주를 지면에 매립된 기초콘크리트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지주의 하단 외측면에 결합되는 받침 체결링; 및 상기 기초 콘트리트 상에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받침 체결링이 결합된 상기 제1지주의 하단이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기초 콘트리트 상에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앵커볼트용 관통구들이 형성된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 체결링은 하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체결공들이 형성된 제5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의 몸체는 상기 받침 체결링의 제5플랜지에 맞닿도록 내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들이 형성된 제6플랜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지주와 제2지주의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체결부재가 외부 환경(빗물이나 먼지, 이물질 등)에 의해 손상(부식 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체결부재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외관이 세련되고 미려한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체결링과 제2체결링이 웨지 방식으로 결합되고 이들을 다시 체결부재로 체결하기 때문에 지주와 지주의 연결부분의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CCTV용 지주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CCTV용 지주 구조물의 지주 연결부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CCTV용 지주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지주와 제2지주의 연결부분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부분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연결부재에 의해 제1지주와 제2지주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제1지주와 고정부재의 결합부분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부분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고정부재와 제1지주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 예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CCTV용 지주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CCTV용 지주 구조물의 지주 연결부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CCTV용 지주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CCTV용 지주 구조물(1)은 CCTV용 지주 구조물은 설치 장소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지는데 보통 짧게는 3미터에서 10미터 등의 긴 길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단 구조의 지주 구조물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2단 또는 4단 구조의 지주 구조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CCTV용 지주 구조물(1)은 크게 지주부(100)와, 최상단에 설치되는 안전 점검대(200)를 포함한다. 지주 구조물(1)의 최상단에는 도로교통 상황을 수집하기 위한 CCTV(300)가 설치된다.
지주부(100)는 아래로부터 제1지주(110), 제2지주(120) 그리고 최상단에 위치되는 제3지주(130)를 포함하며,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 그리고 제2지주(120)와 제3지주(130)는 연결부재(150)에 의해 연결된다. 참고로, 제3지주(130)에는 안전 점검대(200) 및 CCTV(300)가 설치된다.
제1지주(110)는 고정부재(180)에 의해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제1지주(110)의 상단에는 제2지주(120)가 연결부재(150)에 의해 수직하게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지주(120)의 상단에는 제3지주(130)가 연결부재(150)에 의해 수직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지주부(100)는 3개의 지주가 연결되는 3단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외부로 체결부재(152)가 노출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의 CCTV용 지주 구조물(1)은 지주들을 연결하는 체결부재가 지주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체결된다는데 구조적인 특징이 있다.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 각각에는 제2체결링(170)과 제1체결링(160)을 체결부재(152)로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작업용 개구(102)를 갖으며, 이 작업용 개구(102)는 커버(104)에 의해 덮어진다. 작업용 개구(102)는 가능한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의 연결부분 및 제2지주(120)와 제3지주(130)의 연결부분에 인접하도록 제1지주(110) 및 제2지주(120)의 전체 길이의 중간보다 연결부분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접하다는 것은 작업자가 작업용 개구(102)를 통해 팔을 집어넣고 체결부재(152)를 제1체결링(160)과 제2체결링(170)에 체결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대략 1m 이내)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152)가 아래에서 위로 체결되기 때문에 작업용 개구(102)가 연결부분의 아래에 위치되지만, 체결부재(152)의 체결 방향이 위에서 아래로 바뀌는 경우 작업용 개구(102)는 연결부분의 윗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4는 제1지주와 제2지주의 연결부분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부분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연결부재에 의해 제1지주와 제2지주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50)는 제1체결링(160)과 제2체결링(170) 그리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52)들을 포함한다.
제1체결링(160)은 제1 지주(110)의 상단 내측면(11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제1체결링(110)은 제1플랜지(162)와 제2플랜지(164)를 갖으며, 제1플랜지(162)는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지주(110)의 상단에 걸쳐진다. 제2플랜지(164)는 하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지주(110)의 내측 공간(B)에 위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166)들이 형성된다. 제1체결링(110)은 상단의 직경이 크고 하단의 직경이 작도록 테이퍼진 내면(161)을 갖는다.
제2체결링(170)은 제2 지주(120)의 하단 외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되며, 제1체결링(110)의 테이퍼진 내면(161)에 끼워진다. 제2체결링(170)은 제3플랜지(172)와 제4플랜지(174)를 갖으며, 제3플랜지(172)는 제1체결링(160)의 제1플랜지(162)에 맞닿도록 상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4플랜지(174)는 제1체결링(160)의 제2플랜지(164)와 맞닿도록 하단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관통공(166)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홀(176)들이 형성된다. 제2체결링(170)은 제1체결링(160)의 테이퍼진 내면(161)과 동일하게 테이퍼지고 제1체결링(160)의 테이퍼진 내면(161)과 접하는 테이퍼진 외면(171)을 갖는다.
체결부재(152)는 제2체결링(170)이 제1체결링(160)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지주(110)의 내부공간(B)과 제2지주(120)의 내부공간(A)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에 위치되어 이들을 상호 체결하게 된다. 체결부재(152)는 작업용 개구(102)를 통해 삽입되어 관통공(166)을 통해 나사홀(176)에 체결된다. 예컨대, 연결부재(150)의 제1체결링(160)과 제2체결링(170)은 공장에서 미리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에 용접으로 결합된 상태로 설치 현장으로 옮겨질 수 있다. 설치 현장에서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제1지주(110)의 상단에 제2지주(120)의 하단을 연결하고, 작업자가 작업용 개구(102)를 통해 체결부재(152)들을 제1체결링(160)과 제2체결링(170)에 체결하는 조립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도 6은 제1지주와 고정부재의 결합부분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부분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고정부재와 제1지주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제1지주(110)의 하단에는 고정 부재(180)가 결합된다. 고정 부재(180)는 제1지주(1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제1지주(110)를 지면에 매립된 기초콘크리트(미도시됨)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 부재(180)는 받침 체결링(182)과 받침부(190)를 포함한다.
받침 체결링(182)은 제1지주(110)의 하단 외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받침 체결링(182)은 하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체결공(186)들이 형성된 제5플랜지(184)를 갖는다.
받침부(190)는 기초 콘트리트 상에 다수의 앵커볼트(미도시됨)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으로, 제1지주(110)의 하단에 결합된 받침 체결링(182)이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몸체(191)와, 몸체(19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기초 콘트리트 상에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앵커볼트용 관통구(198)들이 형성된 베이스(197)를 갖는다. 몸체(191)은 테이퍼진 내면(193)을 갖으며, 받침 체결링(182)은 몸체의 테이퍼진 내면(193)과 접하는 테이퍼진 외면(181)을 갖는다.
받침부(180)의 몸체(191)는 받침 체결링(182)의 제5플랜지(184)에 맞닿도록 내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체결공(186)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96)들이 형성된 제6플랜지(194)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주부
200 : 안전 점검대
300 : CCTV
110 : 제1지주
120 : 제2지주
150 : 연결부재

Claims (10)

  1.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지주;
    상기 제1지주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지주; 및
    상기 제1지주와 상기 제2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주의 상단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체결링;
    상기 제2 지주의 하단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링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제2체결링; 및
    상기 제2체결링이 상기 제1체결링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링과 상기 제2체결링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링은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지주의 상단에 걸쳐지는 제1플랜지와,
    하단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지주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들이 형성된 제2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링은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플랜지와 맞닿는 제3플랜지와,
    하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플랜지와 맞닿는, 그리고 상기 관통공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홀들이 형성된 제4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지주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제2플랜지의 관통공과 상기 제4플랜지의 나사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플랜지와 상기 제4플렌지를 체결하며,
    상기 제1지주의 측벽에는 작업용 개구가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개구는 상기 제1지주 전체 길이의 중간보다 상기 연결부재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주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링은
    상단의 직경이 크고 하단의 직경이 작도록 테이퍼진 내면을 갖으며,
    상기 제2체결링은
    상기 제1체결링의 테이퍼진 내면과 동일하게 테이퍼지고 상기 제1체결링의 테이퍼진 내면과 접하는 테이퍼진 외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은
    상기 제2지주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3지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지주와 상기 제3지주는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주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주를 지면에 매립된 기초콘크리트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지주의 하단 외측면에 결합되는 받침 체결링; 및
    상기 기초 콘트리트 상에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받침 체결링이 결합된 상기 제1지주의 하단이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기초 콘트리트 상에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앵커볼트용 관통구들이 형성된 베이스를 갖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체결링은
    하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체결공들이 형성된 제5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의 몸체는
    상기 받침 체결링의 제5플랜지에 맞닿도록 내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들이 형성된 제6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2020100002077U 2010-02-26 2010-02-26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200455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077U KR200455034Y1 (ko) 2010-02-26 2010-02-26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077U KR200455034Y1 (ko) 2010-02-26 2010-02-26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034Y1 true KR200455034Y1 (ko) 2011-08-12

Family

ID=4929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077U KR200455034Y1 (ko) 2010-02-26 2010-02-26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0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22Y1 (ko) * 2012-08-22 2013-04-19 강경모 지주 연결용 연결체가 구비된 도로 시설물
KR102250305B1 (ko) * 2020-03-12 2021-05-07 윤재규 도로시설물 설치용 회전식 지주
KR102580461B1 (ko) * 2022-04-04 2023-09-19 뉴테크 주식회사 다단분리형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94B1 (ko) * 1999-12-21 2002-05-22 안승현 지주 연결장치
KR20060005137A (ko) * 2004-07-12 2006-01-17 김우준 친환경적 조립식 통신철주
KR100908220B1 (ko) * 2008-03-31 2009-07-20 공대성 가로등주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94B1 (ko) * 1999-12-21 2002-05-22 안승현 지주 연결장치
KR20060005137A (ko) * 2004-07-12 2006-01-17 김우준 친환경적 조립식 통신철주
KR100908220B1 (ko) * 2008-03-31 2009-07-20 공대성 가로등주 고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22Y1 (ko) * 2012-08-22 2013-04-19 강경모 지주 연결용 연결체가 구비된 도로 시설물
KR102250305B1 (ko) * 2020-03-12 2021-05-07 윤재규 도로시설물 설치용 회전식 지주
KR102580461B1 (ko) * 2022-04-04 2023-09-19 뉴테크 주식회사 다단분리형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0684255B1 (ko) 가로등의 베이스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1295890B1 (ko)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
KR102006932B1 (ko) 물탱크용 내진 기초 건식 패드
KR200455034Y1 (ko) 도로교통 시설물용 지주 구조물
KR100885131B1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43819Y1 (ko) 시설물 지주의 설치구조
AU2021107429B4 (en) Site Camera Stand
JP2008297886A (ja) 鋼製高欄及び高欄の取り替え方法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200433150Y1 (ko) 가로등용 지주의 고정대
KR101044022B1 (ko) 지지 구조물
KR200463353Y1 (ko) Cctv 지주 및 가로등주의 하부 고정 장치
CN216665241U (zh) 一种建筑工程管理用施工现场围挡装置
KR100759836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KR200418034Y1 (ko) 방음벽 지주받침대
KR200463352Y1 (ko) Cctv 지주의 상부 연결장치
JP2008002109A (ja) 金属管柱の基部構造
JP2011174372A (ja) 鋼製高欄
KR200437077Y1 (ko) 엘앵커 고정구
KR101314058B1 (ko)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교통시설물 철주
JP2011208350A (ja) 防護柵及び防護柵の改修方法
JP2007297897A (ja) 支柱構造体
KR20100042446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5671312U (zh) 一种利用楼座结构可拆卸可周转使用的安全防砸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