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620B1 -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 Google Patents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620B1
KR102009620B1 KR1020190014296A KR20190014296A KR102009620B1 KR 102009620 B1 KR102009620 B1 KR 102009620B1 KR 1020190014296 A KR1020190014296 A KR 1020190014296A KR 20190014296 A KR20190014296 A KR 20190014296A KR 102009620 B1 KR102009620 B1 KR 102009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ipe
vertical support
welding
spac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숙
Original Assignee
허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숙 filed Critical 허진숙
Priority to KR102019001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등 지주에 결합된 가로대에 있어서, 측면에 복수의 상부 용접홀, 측면 용접홀 및 하부 용접홀이 형성된 제1 파이프; 중심부에서 외측 삼방향으로 120°를 이루며 수직과 양옆으로 연장된 지지판이 상기 제1 파이프보다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후미에 삽입턱을 이루면서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를 이루며 상기 제1 파이프에 삽입되는 삼방향지지대; 판재 형상으로 상기 삼방향지지대의 말단과 용접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 후미쪽에 경사턱을 이루며 일정 폭으로 좁아지며, 후미 상부에 삽입턱을 이루고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를 이루는 제1 수직지지판; 판재 형상으로 사이각이 120°가 되게 절곡되어 상기 제1 수직지지판의 경사턱을 이루고 좁아진 하부에 용접으로 중앙 상부가 결합되고, 후미에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를 이루는 제1 절곡지지판; 상기 제1 수직지지판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1 파이프 내측과 상기 삼방향지지대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삽입된 제2 파이프; 판재 형상으로 상기 제1 수직지지판의 말단과 용접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 후미쪽에 경사턱을 이루며 일정 폭으로 좁아지며, 상부에 삽입턱을 이루고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를 이루는 제2 수직지지판; 판재 형상으로 사이각이 120°를 이루며 절곡되어 상기 제2 수직지지판의 경사턱을 이루고 좁아진 하부에 용접으로 중앙 상부가 결합되고, 후미에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를 이루는 제2 절곡지지판; 상기 제2 수직지지판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2 파이프 내측과 상기 제1 수직지지판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삽입된 제3 파이프; 상기 제2 수직지지판의 후미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2 파이프 내측과 상기 제2 수직지지판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삽입된 제4 파이프; 상기 제1 내지 제4 파이프에 형성된 상부 용접홀, 측면 용접홀 및 하부 용접홀로부터 상기 삼방향지지대, 제1 수직지지판, 제1 절곡지지판, 제2 수직지지판, 제2 절곡지지판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An antideflection structure for a horizontal arm of a traffic lamp pole}
본 발명은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등을 설치하기 위해 지주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가로보의 외부에 용접홀을 형성하고, 내부에 용접으로 연결된 수직지지판과 절곡지지판을 설치하고, 가로대의 용접홀을 통해 내부에 있는 수직지지판과 절곡지지판을 용접으로 고정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개선한 것으로, 신호등 기둥과 결합시 가로대의 변형 및 처짐현상이 없어 별도의 연결와이어나 보조대 같은 보강이 필요하지 않아 도로의 경관을 개선할 수 있는 신호등 가로대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로나 건널목에는 신호등 지주를 세워 설치하고, 지주의 상부에는 가로대를 설치하여 전원부와 연결된 정지 혹은 진행 신호를 표시하여 차량이나 보행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등은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여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는 신호기의 일종으로서, 교차로, 횡단보도 등에 설치하여 적색, 녹색, 황색의 점멸로 차량이나 사람에게 정지, 대기, 진행 등을 지시하는 장치이다.
신호등은 주로 차량이나 사람이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고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지주의 상부에 설치된 가로대를 통해 도로의 상부쪽 공간에 위치한다. 신호등 지주의 상부 끝부분에 외팔보형식으로 가로로 연결된 가로보에 신호등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지주와 가로대의 연결부위가 바람에 의한 진동 또는 가로대의 하중에 의해 벌려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가로대의 하중에 의해 지주와 연결부위가 벌려지고, 가로대가 쳐지는 것을 막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6042호 교통신호등용 철주 조립체에서는 가로대와 지주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해 두개의 고정판으로 연결부를 감싸고, 지주와 가로대 사이에 별도의 보강주를 세워 가로대를 받치게 하고, 지주의 상단 부근에 고리를 형성하고 가로대 상부에 몇개의 연결와이어를 설치하여 가로대의 무게를 지지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 철주 조립체는 신호등이 매달린 가로대가 휘지 않도록 지지하는데에는 효과적이지만 도로의 상부에 거미줄 같은 연결와이어와 별도의 보강주까지 추가되어 도로의 미관을 크게 훼손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기술 이외에도 가로대 내부에 보강물을 설치한 일부 기술들이 개시된 선행 기술들이 있으나 가로대가 휘지 않도록 수많은 구성을 가로대 내부에 삽입하였으나 가로대의 무게가 오히려 무거워져 이를 지지하기 위해 지주의 상부와 가로대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와이어가 필요하여 거미줄 같은 연결와이어가 도로의 미관을 훼손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60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해, 넓은 도로상에 설치하기 위해 다단의 파이프를 사용하더라도 꼭 필요한 보강요소를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무게가 가볍고 탄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별도의 연결와이어나 보강지주를 설치하지 않아 도로의 도로의 경관을 해치지 않는 가로대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호등 지주에 결합된 가로대(20)에 있어서, 측면에 복수의 상부 용접홀(170), 측면 용접홀(180) 및 하부 용접홀(190)이 형성된 제1 파이프(100); 중심부에서 외측 삼방향으로 120°를 이루며 수직과 양옆으로 연장된 지지판(230)이 상기 제1 파이프(100)보다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후미에 삽입턱(270)을 이루면서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며 상기 제1 파이프(100)에 삽입되는 삼방향지지대(200); 판재 형상으로 상기 삼방향지지대(200)의 말단과 용접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 후미쪽에 경사턱(450)을 이루며 일정 폭으로 좁아지며, 후미 상부에 삽입턱(270)을 이루고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는 제1 수직지지판(400); 판재 형상으로 사이각이 120°가 되게 절곡되어 상기 제1 수직지지판(400)의 경사턱을 이루고 좁아진 하부에 용접으로 중앙 상부가 결합되고, 후미에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는 제1 절곡지지판(470); 상기 제1 수직지지판(400)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1 파이프(100) 내측과 상기 삼방향지지대(200)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삽입된 제2 파이프(300); 판재 형상으로 상기 제1 수직지지판(400)의 말단과 용접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 후미쪽에 경사턱을 이루며 일정 폭으로 좁아지며, 상부에 삽입턱을 이루고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는 제2 수직지지판(550); 판재 형상으로 사이각이 120°를 이루며 절곡되어 상기 제2 수직지지판(550)의 경사턱(450)을 이루고 좁아진 하부에 용접으로 중앙 상부가 결합되고, 후미에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는 제2 절곡지지판(570); 상기 제2 수직지지판(550)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2 파이프(300) 내측과 상기 제1 수직지지판(400)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삽입된 제3 파이프(500); 상기 제2 수직지지판의 후미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2 파이프(300) 내측과 상기 제2 수직지지판(550)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삽입된 제4 파이프(600); 상기 제1 내지 제4 파이프에 형성된 상부 용접홀(170), 측면 용접홀(180) 및 하부 용접홀(190)로부터 상기 삼방향지지대(200), 제1 수직지지판(400), 제1 절곡지지판(470), 제2 수직지지판(550), 제2 절곡지지판(570)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0)의 후미와 제2 파이프(300)의 선두 부분에 제1 삽입되는 제1 간격메꿈링(350); 상기 제2 파이프(300)의 후미와 제3 파이프(500)의 선두 부분에 제1 삽입되는 제2 간격메꿈링(520); 상기 제3 파이프(500)의 후미와 제4 파이프(600)의 선두 부분에 제3 삽입되는 제1 간격메꿈링(350);이 더 포함되고, 간격메꿈링의 단부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가로대는 파이프의 내부에 수직지지판과 수직지지판의 일부에만 측면을 지지하는 절곡지지판을 설치하여 가로대의 탄성이 유지되면서도 하방과 측방향으로 휘는 것이 방지되고, 무게가 줄어 별도의 연결와이어나 보강지주 등을 설치하지 않아 도로의 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신호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일부 결합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직지지판을 뒤집어 장착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삼방향지지대와 간격메꿈링에 무게경감홀이 형성된 설명도
이하 상기에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 신호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일부 결합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직지지판을 뒤집어 장착한 설명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삼방향지지대와 간격메꿈링에 무게경감홀이 형성된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하면, 교통신호등 지주(10)는 도로의 측면에 세워지고, 도로의 차선 방향으로 신호등을 설치하는 가로대(20)가 지주의 상부에 연결구(50)에 의해 결합된다. 지주(10)와 가로대(20)를 결합하기 위해 지주를 관통하는 관통파이프에 지주플랜지를 설치하고 복수의 보강리브(150)를 지주플랜지와 관통파이프에 결합하여 지주에 결합되는 가로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파이프(100)의 지주측 단부에도 연결플랜지(120)가 결합되고 연결플랜지(120)와 지주를 지지하는 복수의 보강리브(150)가 용접결합되어 볼트에 의해 지주플랜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었는데, 지주와 가로대의 결합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방법 이외에도 가로대와 지주가 튼튼히 결합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이프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일반구조용 탄소강관이 사용되었으며, 강관의 인장력이 강한 것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인장력이 너무 강하면 절곡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시작품에서 외측 파이프는 일반구조용 탄소강관이 사용되었고, 파이프 내부에 결합되는 부재들은 인장력이 약간 강한 강관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지주와 연결되는 제1 파이프(100)의 측면에는 내부 구성요소가 결합된 이후에 내부 구성요소들과 용접으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상부 용접홀(170), 측면 용접홀(180) 및 하부 용접홀(190)이 각각 120°각을 이루며 형성된다.
제1 파이프(100)의 내부에는 중심부에서 외측 삼방향으로 120°를 이루며 수직과 양옆으로 연장된 두께 6mm 안밖의 지지판(230)이 형성되고, 지지판(230)의 후미측에 삽입턱(270)을 이루면서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룬 삼방향지지대(200)가 삽입된다. 상기 끼움연결부는 직경이 작은 후술하는 제2 파이프(300)가 삽입되어 삽입턱(270)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삼방향지지대의 각 지지판(230)들은 제1 파이프(100)의 외측에 형성된 용접홀들을 통해 용접에 의해 제1 파이프에 고정되고, 제1 파이프(100)의 말단부에 형성된 용접홀은 후술하는 제2 파이프(300)의 외측에 결합된 제1 간격메꿈링(350)과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삼방향지지대(200)의 말단에는 수직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수직지지판(400)의 선두부분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제1 수직지지판(400)은 하부 후미쪽에 경사턱(450)을 이루며 일정 폭으로 좁아져 끝단까지 이어며, 후미측 상부에 삽입턱(270)을 이루면서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져 제3 파이프(500)가 삽입되는 끼움연결부(250)를 이루게 된다. 제1 수직지지판(400)의 경사턱(450)은 신호등을 연결하는 전선을 끼워 넣을 때 전선이 걸리지 않도록 경사를 둔 것이다.
제1 수직지지판(400)의 하부 경사턱(450)이 이루어져 좁아진 부분에 판재 형상으로 사이각이 120°가 되게 절곡된 제1 절곡지지판(470)이 용접으로 고정된다. 제1 절곡지지판(470)의 후미에도 경사턱(450)을 이루고 좁아진 끼움연결부가 수직지지판(230)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연결부(250)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2 파이프(300)는 제1 파이프(100)와 결합되기 전에 제1 간격메꿈링(350)이 선두 부분에 결합되고, 간격메꿈링의 양단측이 용접된 이후에, 제1 수직지지판(400)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제1 파이프(100) 내측과 상기 삼방향지지대(200)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삽입된다.
이어서 제1 수직지지판(400)의 후단부에 제2 수직지지판(550)의 선두부분이 용접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제2 수직지지판(550)은 제1 수직지지판(400)과 유사하게, 판재 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부 후미쪽에는 경사턱을 이루고 일정 폭으로 좁아지며, 상부에는 삽입턱(270)을 이루고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지는 끼움연결부(250)가 형성된다. 제2 수직지지판(550)은 후속되는 수직지지판(230)이 없이 제4 파이프(600)의 내부로 연장되므로 끼움연결부(250)가 제1 수직지지판(400)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2 수직지지판(550)의 하부에도 판재 형상으로 사이각이 120°를 이루며 절곡되어 후미에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가 형성된 제2 절곡지지판(570)이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어서, 제3 파이프(500)의 선단에는 제2 파이프(300)와 결합되기 전에 제2 간격메꿈링(520)이 결합되고, 상기 제1 수직지지판(550)의 후미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2 파이프(300) 내측과 상기 제1 수직지지판(400)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제3 파이프(500)가 삽입된다.
제4 파이프(600)도 선단에 제3 간격메꿈링(650)이 제3 파이프(500)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수직지지판의 후미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3 파이프(300) 내측과 상기 제2 수직지지판(550)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삽입된다. 제4 파이프(6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용접홀(170)을 통해 제2 수직지지판(550)의 말미측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어서 제1 파이프의 후단부와 제2 파이프, 제2 파이프의 후단부와 제3 파이프, 제3 파이프의 후단과 제4 파이프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말단부에 마감구(700)가 삽입되며, 용접결합을 마친 가로대 전체에 녹방지용 페인트가 도색되어 가로대가 완성된다.
이처럼 상기 제1 내지 제4 파이프(600)에 형성된 상부 용접홀(170), 측면 용접홀(180) 및 하부 용접홀(190)로부터 상기 삼방향지지대(200), 제1 수직지지판(400), 제1 절곡지지판(470), 제2 수직지지판(550), 제2 절곡지지판(570)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삼방향지지대(200)의 후단에 용접 결합되는 제1 수직지지판(400), 제1 절곡지지판(470), 제2 수직지지판(550) 및 제2 절곡지지판(570)이 뒤집어진 형태로 결합된 것으로, 제1 수직지지판은 판재 형상으로 상기 삼방향지지대(200)의 말단과 용접에 의해 용접 고정되고, 상부 후미쪽에 경사턱(450)을 이루며 일정 폭으로 좁아지며, 후미 하부에 삽입턱(270)을 이루고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는 것으로 제1 실시예의 제1 수직지지판(400)을 뒤집어 놓은 것과 같다. 제1 절곡지지판은 판재 형상으로 사이각이 120°가 되게 절곡되어 상기 제1 수직지지판(400)의 경사턱(450)을 이루고 좁아진 상부에 용접으로 중앙 하부가 결합되고, 후미에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는 것으로, 제1 실시예의 제1 절곡지지판(470)과 형태는 같지만 뒤집어 놓은 것이 다르다.
제2 수직지지판은 판재 형상으로 상기 제1 수직지지판(400)의 말단과 용접 연결되고, 상부 후미쪽에 경사턱(450)을 이루며 일정 폭으로 좁아지며, 하부에 삽입턱(270)을 이루고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고, 제2 절곡지지판(570)은 판재 형상으로 사이각이 120°를 이루며 절곡되어 상기 제2 수직지지판(550)의 경사턱(450)을 이루고 좁아진 상부에 용접으로 중앙 하부가 결합되어 제1 실시예의 제2 수직지지판을 뒤집어 놓은 것과 같다.
다시말해, 제2 실시예의 제1 수직지지판(400), 제1 절곡지지판(470), 제2 수직지지판(550) 및 제2 절곡지지판(570)은 제1 실시예와 형태는 같으나 뒤집어진 형태로 결합된 것이고, 제2 파이프(300) 내지 제4 파이프(600)도 뒤집어진 형태로 결합된 것이다.
한편 파이프 내부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삼방향지지대(200), 제1 간격메꿈링(350), 제1 수직지지판(400), 제2 간격메꿈링(520), 제2 수직지지판(550) 및 제3 간격메꿈링(650)에 무게경감홀을 복수로 형성하여 장착하면 지지력에 큰 변동이 없으면서도 가로대(20)의 무게를 상당히 경감할 수 있어 지주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호등 가로대는 파이프의 내부에 수직지지판(230)과 수직지지판(230)의 후미에 측면을 지지하는 절곡지지판(230)을 설치하여 가로대(20)의 탄성이 유지되면서도 하방과 측방향으로 휘는 것이 방지되고, 무게가 크게 줄어 별도의 연결와이어(70)나 보강지주 등을 설치하지 않아 도로의 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지주 20 : 가로대
50 : 연결구 70 : 연결와이어
100 : 제1 파이프 120 : 연결플랜지
150 : 보강리브 170 : 상부 용접홀
180 : 측면 용접홀 190 : 하부 용접홀
200 : 삼방향지지대 230 : 지지판
250 : 끼움연결부 270 : 삽입턱
300 : 제2 파이프 350 : 제1 간격메꿈링
400 : 제1 수직지지판 450 : 경사턱
470 : 제1 절곡지지판 500 : 제3 파이프
520 : 제2 간격메꿈링 550 : 제2 수직지지판
570 : 제2 절곡지지판 600 : 제4 파이프
650 : 제3 간격메꿈링 700 : 마감구

Claims (4)

  1. 신호등 지주에 결합된 가로대에 있어서,
    측면에 복수의 상부 용접홀(170), 측면 용접홀(180) 및 하부 용접홀(190)이 형성된 제1 파이프(100);
    중심부에서 외측 삼방향으로 120°를 이루며 수직과 양옆으로 연장된 지지판(230)이 상기 제1 파이프(100)보다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후미에 삽입턱(270)을 이루면서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며 상기 제1 파이프(100)에 삽입되는 삼방향지지대(200);
    판재 형상으로 상기 삼방향지지대(200)의 말단과 용접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 후미쪽에 경사턱(450)을 이루며 일정 폭으로 좁아지며, 후미 상부에 삽입턱(270)을 이루고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는 제1 수직지지판(400);
    판재 형상으로 사이각이 120°가 되게 절곡되어 상기 제1 수직지지판(400)의 경사턱(450)을 이루고 좁아진 하부에 용접으로 중앙 상부가 결합되고, 후미에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는 제1 절곡지지판(470);
    상기 제1 수직지지판(400)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1 파이프(100) 내측과 상기 삼방향지지대(200)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삽입된 제2 파이프(300);
    판재 형상으로 상기 제1 수직지지판(400)의 말단에 용접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 후미쪽에 경사턱(450)을 이루며 일정 폭으로 좁아지며, 상부에 삽입턱(270)을 이루고 일정폭으로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는 제2 수직지지판(550);
    판재 형상으로 사이각이 120°를 이루며 절곡되어 상기 제2 수직지지판(550)의 경사턱(450)을 이루고 좁아진 하부에 용접으로 중앙 상부가 결합되고, 후미에 단차지게 좁아진 끼움연결부(250)를 이루는 제2 절곡지지판(570);
    상기 제2 수직지지판(550)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2 파이프(300) 내측과 상기 제1 수직지지판(400)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삽입된 제3 파이프(500);
    상기 제2 수직지지판의 후미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2 파이프(300) 내측과 상기 제2 수직지지판(550)의 끼움부 외측 사이에 삽입된 제4 파이프(600);
    상기 제1 내지 제4 파이프(600)에 형성된 상부 용접홀(170), 측면 용접홀(180) 및 하부 용접홀(190)로부터 상기 삼방향지지대(200), 제1 수직지지판(400), 제1 절곡지지판(470), 제2 수직지지판(550), 제2 절곡지지판(570)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0)의 후미와 제2 파이프(300)의 선두 부분에 삽입되는 제1 간격메꿈링(350);
    상기 제2 파이프(300)의 후미와 제3 파이프(500)의 선두 부분에 삽입되는 제2 간격메꿈링(520);
    상기 제3 파이프(500)의 후미와 제4 파이프(600)의 선두 부분에 삽입되는 제3 간격메꿈링(650); 이 더 포함되고, 간격메꿈링의 단부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삼방향지지대(200), 제1 간격메꿈링(350), 제1 수직지지판(400), 제2 간격메꿈링(520), 제2 수직지지판(550) 또는 제3 간격메꿈링(650)에 복수의 무게경감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이프, 제3파이프 및 제4파이프와 제1 수직지지판(400), 제1 절곡지지판(470), 제2 수직지지판(550) 및 제2 절곡지지판(570)이 뒤집어진 형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4. 삭제
KR1020190014296A 2019-02-07 2019-02-07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KR102009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96A KR102009620B1 (ko) 2019-02-07 2019-02-07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96A KR102009620B1 (ko) 2019-02-07 2019-02-07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620B1 true KR102009620B1 (ko) 2019-10-23

Family

ID=6846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296A KR102009620B1 (ko) 2019-02-07 2019-02-07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6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253B1 (ko) * 2021-05-31 2021-09-03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가로보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가 구비된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KR102328091B1 (ko) * 2021-05-31 2021-11-18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KR102423261B1 (ko) * 2021-12-21 2022-07-21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스앤티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2504725B1 (ko) * 2021-09-03 2023-02-28 주식회사현진테크 조립식 와이어리스 신호등주
KR102542765B1 (ko) * 2023-01-13 2023-06-14 렉스젠(주) 보강부재가 구비된 부착대를 포함하는 지주장치
KR102622595B1 (ko) * 2022-12-09 2024-01-10 주식회사 한길엔지니어링 교통신호등 부착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042Y1 (ko) 1996-05-02 1999-06-15 신창식 교통신호등용 철주 조립체
KR101173593B1 (ko) * 2011-11-30 2012-08-13 김선미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1244261B1 (ko) * 2012-09-24 2013-03-18 황민선 빔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도로교통시설물 지지유닛
KR101338922B1 (ko) * 2013-09-04 2013-12-09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탄소섬유 가로보 연결구조를 갖는 신호등 지주장치
KR101490834B1 (ko) * 2014-07-29 2015-02-09 주식회사 앤엠에스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KR101567029B1 (ko) * 2015-03-02 2015-11-06 황민선 신호등 설치용 가로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042Y1 (ko) 1996-05-02 1999-06-15 신창식 교통신호등용 철주 조립체
KR101173593B1 (ko) * 2011-11-30 2012-08-13 김선미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1244261B1 (ko) * 2012-09-24 2013-03-18 황민선 빔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도로교통시설물 지지유닛
KR101338922B1 (ko) * 2013-09-04 2013-12-09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탄소섬유 가로보 연결구조를 갖는 신호등 지주장치
KR101490834B1 (ko) * 2014-07-29 2015-02-09 주식회사 앤엠에스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KR101567029B1 (ko) * 2015-03-02 2015-11-06 황민선 신호등 설치용 가로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253B1 (ko) * 2021-05-31 2021-09-03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가로보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가 구비된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KR102328091B1 (ko) * 2021-05-31 2021-11-18 주식회사 석광아이티에스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KR102504725B1 (ko) * 2021-09-03 2023-02-28 주식회사현진테크 조립식 와이어리스 신호등주
KR102423261B1 (ko) * 2021-12-21 2022-07-21 주식회사 와이에이치에스앤티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2622595B1 (ko) * 2022-12-09 2024-01-10 주식회사 한길엔지니어링 교통신호등 부착대
KR102542765B1 (ko) * 2023-01-13 2023-06-14 렉스젠(주) 보강부재가 구비된 부착대를 포함하는 지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620B1 (ko)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KR101173593B1 (ko)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220162018A (ko) 가로보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가 구비된 스마트 신호등 지주장치
KR101934541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KR101343504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140132914A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KR101063846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 지지장치 및 거푸집 지지구조
JP2009065804A (ja) 共架用構造具
KR101703493B1 (ko)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KR102213903B1 (ko) 교통 신호등용 지주장치
CN212033733U (zh) 地线横担增挂点连接件
KR20200122829A (ko) 신호등용 지주와 가로보의 어셈블리 구조
KR102071170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CN210657942U (zh) 一种快速拼接的钢架桥梁结构
KR102057407B1 (ko)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
US20040159027A1 (en) Electronic display board supporting structure
JP2007009633A (ja) 索条吊下げ用治具
KR102622595B1 (ko) 교통신호등 부착대
JP2005146772A (ja) 屋根支持構造体ユニットおよび大空間屋根構造物並びにこれらの施工法
KR20200140142A (ko) 수직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수평 지지대 및, 그 설치 구조
KR200272499Y1 (ko) 가로등지주의 깃대꽂이관구조
KR200172600Y1 (ko)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
KR102504725B1 (ko) 조립식 와이어리스 신호등주
KR101011536B1 (ko) 신호등 철주 조립체
KR200479073Y1 (ko) 차량 신호등용 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