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595B1 - 교통신호등 부착대 - Google Patents

교통신호등 부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595B1
KR102622595B1 KR1020220171176A KR20220171176A KR102622595B1 KR 102622595 B1 KR102622595 B1 KR 102622595B1 KR 1020220171176 A KR1020220171176 A KR 1020220171176A KR 20220171176 A KR20220171176 A KR 20220171176A KR 102622595 B1 KR102622595 B1 KR 102622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eam
traffic light
round bar
attached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7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신호등 지주에 결합되고 교통신호등이 부착되는 교통신호등 부착대에 있어서, 신호등 지주(1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가로로 긴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상으로, 일단부는 신호등 지주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끝단이 막혀 있는 가로보(100);, 상기 가로보의 중공부 내부에 위치하는 트러스 구조물(200);을 구비하며, 상기 트러스 구조물(200)은, 트러스 형태로 벤딩된 벤딩환봉(210);, 상기 벤딩 환봉의 상부 격점에 부착되는 상부 환봉(220);, 상기 벤딩 환봉의 하부 격점에 부착되는 하부 환봉(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부착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신호등 부착대 개발을 통해 가로보 내부에 워런 트러스 구조물을 부착하여 가로보의 처짐을 개선하고 풍속으로 인한 상하 흔들림 현상을 줄여 높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신호등 부착대 {A Supporting bar for Traffic light}
본 발명은 신호등 지주에 결합되고 교통신호등이 부착되는 교통신호등 부착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등 지주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가로로 긴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상의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의 중공부 내부에 위치하는 트러스 구조물을 구비하는 교통신호등 부착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통상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신호등 지주장치를 통해 설치된다. 신호등 지주장치는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기둥(10)과, 지주기둥(10) 상부로 도로 방향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신호등이 배치되는 가로보(100), 가로보에 부착되는 신호등(2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가로보는 태풍 등과 같이 바람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부는 경우, 휘거나 부러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로보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8m 이하로 가설된 도심지역의 저압선으로 인한 감전사고 및 누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종래의 발명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8885호(2016.07.12)(특허문헌 1)는 신호등 및 도로 감시용 카메라 설치 지주용 부착대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지주에 부착된 트러스 구조로 인해 이동과 흔들림이 개선될 수 있으나, 프랫 트러스 구조를 사용하고 있어 제작시에 고정대와 경사재를 접점마다 부착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제작된 트러스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추가 부품들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적용에 많은 예산과 시간이 들어가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교통신호등 부착대 내부에 적용되는 트러스 구조물보다 자재를 적게 사용하며, 트러스 구조물 제작 시에 복잡한 공정 없이 효율적인 지지가 가능한 제품이 요구되었다.
상기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워런 트러스 구조를 가진 교통신호등 부착대를 제공한다면, 기존의 프랫 트러스 구조보다 공정이 간단하고, 추가 부품의 투입없이 효율적인 교통신호등 부착대의 설치가 가능하며, 가로보의 처짐을 개선하고 풍속으로 인한 상하 흔들림 현상을 줄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인 바,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장치의 개발을 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8885호(2016.07.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부착구조 없이 효율적인 지지가 가능한 교통신호등 부착대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보 내부에 워런 트러스 구조물을 부착하여 가로보의 처짐을 개선하고 풍속으로 인한 상하 흔들림 현상을 줄여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신호등 지주에 결합되고 교통신호등이 부착되는 교통신호등 부착대에 있어서, 신호등 지주(1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가로로 긴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상으로, 일단부는 신호등 지주(10)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끝단이 막혀 있는 가로보(100);, 상기 가로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트러스 구조물(200);을 구비하며, 상기 트러스 구조물(200)은, 트러스 형태로 벤딩된 벤딩환봉(210);, 상기 벤딩 환봉의 상부 격점에 부착되는 상부 환봉(220);, 상기 벤딩 환봉의 하부 격점에 부착되는 하부 환봉(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부착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 구조물(200)은, 트러스 구조물 양 끝단에 위치하며, 중심점(241), 상기 중심점(241)과 일단부가 연결되어 일정한 각도로 가로보의 내주면을 향해서 구비된 복수개의 고정바(242), 상기 고정바(242)의 타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점(243)을 구비하는 고정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부착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중심점(241)은 하부 환봉(230)의 양끝단과 수직 결합하며, 상기 결합점(243)은, 가로보(100)의 내주면 혹은 상부 환봉(220)과 결합되어 가로보(10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 부착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가로보(100)는, 가로보 상부 측면에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관통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부착용 홀(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 부착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부착용 홀(110)을 통하여 가로보 내부에 위치한 상부 환봉(220)과 가로보(100)의 측면을 용접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 부착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부착용 홀(110)에는, 조임과 풀림의 동작으로 휨을 억제 및 완화하여 가로보(100)의 수평유지를 보조해주는 고장력 볼트(120);를 더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 부착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추가적인 부착구조없이 효율적인 지지가 가능한 교통신호등 부착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보 내부에 워런 트러스 구조물을 부착하여 가로보의 처짐을 개선하고 풍속으로 인한 상하 흔들림 현상을 줄여 높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등과 부착대, 지지구조의 전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보와 트러스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보와 트러스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용 홀과 고장력 볼트를 나타낸 가로보의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교통신호등 부착대에서 가로보(100)는 신호등 지주(1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가로보(100)를 지면으로부터 상방에 이격 배치되도록 하여 가로보(100) 상에 설치되는 신호등(10)을 도로로부터 일정높이 상방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가로보(100)는 내측으로 트러스 구조물(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타원형 혹은 원형을 가지는 관 형상 부재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가로보(100)의 일단부는 신호등 지주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타단부는 풍압의 영향을 덜 받게 하기위해 끝단이 막혀있는 형상이다.
도 2는 트러스 구조물(200)과 가로보(1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트러스 구조물(200)은 상기 가로보(100) 내주면에 부착되어 가로보(100)의 처짐과 풍압으로 인한 상하 흔들림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트러스 구조물(200)은 전체적으로 워런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며, 벤딩 환봉(210), 상부 환봉(220), 하부 환봉(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트러스 구조물(200)의 중심을 이루고, 워런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는 벤딩 환봉(210)과 상기 벤딩 환봉(210)의 상부 격점에 부착되고, 이 후 상기 가로보(10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트러스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상부 환봉(220), 상기 벤딩 환봉(210)의 하부 격점에 부착될 수 있으며, 고정대(240)가 장착될 수 있는 하부 환봉(2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워런 트러스 구조로 형성되는 상기 벤딩 환봉(210)은 복수개의 V자 형태로 벤딩되어 제작되며, 이는 기존의 짧은 부재를 사선으로 이어 붙이는 워런 트러스보다 공정편의성이 높고, 결합부가 노후로 인해 분해될 위험이 없어 안전한 구조이다.
또한, 트러스 구조물 양 끝단에는 상기 트러스 구조물(200)이 가로보(100) 중공부 내주면에 단단하게 부착되는 것을 돕는 고정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대(240)는 중심점(241)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고정바(242)가 일정한 각도로 결합된 형상이다. 상기 고정바(242)의 끝단은 가로보(100)의 내주면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점(243)이 형성될 것이다.
트러스 구조물(200)의 하부 환봉의 끝단에 상기 중심점(241)을 기준으로 수직 결합하여 가로보(100)의 내주면 내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바(242)는 중심점(241)을 기준으로 결합했을 때에 내주면까지 닿는 길이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상기 트러스 구조물(200)과 가로보(100)의 결합 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고정대(240)가 하부 환봉(230)과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점(243) 은 상기 상부 환봉(230) 혹은 가로보(100)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부 환봉(230)에 결합점(243)이 부착된 경우에는 상부 환봉(230)의 처짐을 방지하여 트러스 구조물(2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용 홀(110)과 고장력 볼트(120)를 나타낸 가로보의 단면도이다. 상기 부착용 홀(110)은 상기 가로보(100) 상부의 측면에 95~105mm의 간격으로 관통되고 상기 부착용 홀(110)의 크기는 20~22mm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부착용 홀(110)을 통해 상기 가로보(100) 내부에 위치한 상부 환봉(220)을 상기 부착용 홀(110)에 용접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착용 홀(110) 과 상부 환봉(220)의 용접 결합이 끝난 후 여분의 상기 부착용 홀(110)에는 고장력 볼트(120)가 더 장착되어 상기 고장력 볼트(120)를 조였을 시에는 상기 가로보(100)의 휨을 억제하고, 상기 고장력 볼트(120)를 풀었을 시에는 휨을 완화하여 휨의 정도로 상기 가로보(10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사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지주기둥 20 : 신호등
100 : 가로보 110 : 부착용 홀
120 : 고장력 볼트 200 : 트러스 구조물
210 : 벤딩 환봉 220 : 상부 환봉
230 : 하부 환봉 240 : 고정대
241 : 중심점 242 : 고정바
243 : 결합점

Claims (6)

  1. 신호등 지주에 결합되고 교통신호등이 부착되는 교통신호등 부착대에 있어서,
    신호등 지주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가로로 긴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상으로, 일단부는 신호등 지주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타단부는 끝단이 막혀 있는 가로보;
    상기 가로보의 중공부 내부에 위치하는 트러스 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트러스 구조물은,
    트러스 형태로 벤딩된 벤딩환봉;
    상기 벤딩 환봉의 상부 격점에 부착되는 상부 환봉;
    상기 벤딩 환봉의 하부 격점에 부착되는 하부 환봉;
    트러스 구조물 양 끝단에 위치하며, 중심점, 상기 중심점과 일단부가 연결되어 일정한 각도로 가로보의 내주면을 향해서 구비된 복수개의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타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점을 구비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점은, 하부 환봉의 양끝단과 수직 결합하며
    상기 결합점은, 가로보의 내주면 혹은 상부 환봉과 결합되어 가로보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 부착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는,
    가로보 상부 측면에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관통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부착용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 부착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홀을 통하여 가로보 내부에 위치한 상부 환봉과 가로보의 측면을 용접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 부착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홀에는,
    조임과 풀림의 동작으로 휨을 억제 및 완화하여 가로보의 수평유지를 보조해주는 고장력 볼트를 더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 부착대
KR1020220171176A 2022-12-09 2022-12-09 교통신호등 부착대 KR102622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176A KR102622595B1 (ko) 2022-12-09 2022-12-09 교통신호등 부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176A KR102622595B1 (ko) 2022-12-09 2022-12-09 교통신호등 부착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595B1 true KR102622595B1 (ko) 2024-01-10

Family

ID=8951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176A KR102622595B1 (ko) 2022-12-09 2022-12-09 교통신호등 부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59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354A (ja) * 2000-07-10 2002-01-23 Showa:Kk 支柱とカーポート
KR20100066636A (ko) * 2008-12-10 2010-06-18 최도문 구조용 지주 보강구조체
KR101147074B1 (ko) * 2010-11-11 2012-05-17 (주) 금성산업 교통신호표지판 시설물
KR20120109807A (ko) * 2011-03-28 2012-10-09 최하정 지점부의 휨 모멘트에 대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킨 트러스 상하현재와 사재 보강구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244261B1 (ko) * 2012-09-24 2013-03-18 황민선 빔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도로교통시설물 지지유닛
KR20160041587A (ko) * 2014-10-08 2016-04-18 가나안전주식회사 가로보의 설치구조
KR101638885B1 (ko) 2016-04-30 2016-07-12 이덕관 신호등 및 도로 감시용 카메라 설치 지주용 부착대
KR102009620B1 (ko) * 2019-02-07 2019-10-23 허진숙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354A (ja) * 2000-07-10 2002-01-23 Showa:Kk 支柱とカーポート
KR20100066636A (ko) * 2008-12-10 2010-06-18 최도문 구조용 지주 보강구조체
KR101147074B1 (ko) * 2010-11-11 2012-05-17 (주) 금성산업 교통신호표지판 시설물
KR20120109807A (ko) * 2011-03-28 2012-10-09 최하정 지점부의 휨 모멘트에 대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킨 트러스 상하현재와 사재 보강구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244261B1 (ko) * 2012-09-24 2013-03-18 황민선 빔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도로교통시설물 지지유닛
KR20160041587A (ko) * 2014-10-08 2016-04-18 가나안전주식회사 가로보의 설치구조
KR101638885B1 (ko) 2016-04-30 2016-07-12 이덕관 신호등 및 도로 감시용 카메라 설치 지주용 부착대
KR102009620B1 (ko) * 2019-02-07 2019-10-23 허진숙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93B1 (ko)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US6640517B2 (en) Pole mounting system having unique bas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KR102009620B1 (ko)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KR101251124B1 (ko) 지지구조물
US5008967A (en) Triangular truss walkout cantilever
KR100946212B1 (ko) 교통시설물 설치용 가로보의 설치구조
KR101230498B1 (ko) 신호등 장치
KR101106074B1 (ko)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
KR101703493B1 (ko)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KR102622595B1 (ko) 교통신호등 부착대
KR101343504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2190352B1 (ko) 신호등 구조체
KR101326157B1 (ko)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US20030183740A1 (en) Breakaway sign-stand
KR101544122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장치
KR20150085596A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2305795B1 (ko) 수직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수평 지지대 및, 그 설치 구조
KR101581837B1 (ko)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KR101320528B1 (ko)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US20210005950A1 (en) Single point heavy duty monopole platform
KR102071170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1966643B1 (ko) 내진 설계에 의한 강성 보강의 가로등용 지주
KR101254164B1 (ko) 교량용 지주
KR200340325Y1 (ko) 교량점검대
KR20130140311A (ko) 리브없는 구조의 신호등 지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