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834B1 -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 Google Patents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834B1
KR101490834B1 KR20140096742A KR20140096742A KR101490834B1 KR 101490834 B1 KR101490834 B1 KR 101490834B1 KR 20140096742 A KR20140096742 A KR 20140096742A KR 20140096742 A KR20140096742 A KR 20140096742A KR 101490834 B1 KR101490834 B1 KR 10149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wire
tension wire
signal lamp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6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엠에스
Priority to KR20140096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등 지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력와이어의 장력을 제공받아 보강되는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제 1중공이 형성되는 지주기둥; 상기 지주기둥의 일측에 횡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1중공과 연통하는 제 2중공이 형성되는 가로보; 상기 장력와이어를 상기 제 1중공 및 제 2중공에 걸쳐 고정시키는 두 개 이상의 고정구로 구성되는 와이어고정부;를 포함하여 가로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주기둥으로 전달시켜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아울러 도심의 미관이 개선되며, 물리적 충격에 의한 신호등 파손시 2차 사고를 예방하는 등 안전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는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Traffic lights bolt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신호등 지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설치되어 교통의 흐름이나 보행자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원활한 교통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호등에 있어서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일반적으로 자동차라는 운반수단은 사용자가 편리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자동차는 단순한 운반수단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생활은 물론, 사회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요소로 그 비중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인 흐름을 타고 자동차 보유대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우리의 경우도 이미 1,000만대를 넘어선지 오래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보유대수가 날로 늘어감에 따라 인력으로는 도저히 교통흐름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이르러 보다 효과적으로 교통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신호등이다. 이러한 신호등은 차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교통 신호등과 보행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보행자 신호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신호등은 교통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적인 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등(信號燈)은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신호등으로 표시하는 색은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의 3색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신호등에서 빨간색(적색등)은 정지신호, 초록색(초록색등)은 진행신호 및 노란색(황색등)은 주의로 표시되나 도로교통에서는 노란색이 우회하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등은 통상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를 통해 설치되어진다.
이러한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는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기둥과 지지지둥 상부로부터 도로 방향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신호등을 지지하는 가로보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로보는 지주 기둥의 상단으로부터 연결되는 다수의 가로보 지지와이어를 통해 지지되어 상하로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지주기둥의 상단으로부터 가로보의 끝단부를 다수의 가로보 지지와이어를 통해 연결하고 있는 구조의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는 외관상 가로보 지지와이어가 부채살처럼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미관을 해치게 된다. 즉, 친환경적인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 외부로 드러난 가로보 지지 와이어는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물리적 충격에 의한 가로보와 신호등의 고정수단이 파손되는 경우에 신호등이 도로상에 낙하할 수 있어 차량 및 보행자에 2차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로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주기둥으로 전달시킴과 아울러 도심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강화하는 신호등 지주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17260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가로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주기둥으로 전달시켜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고, 아울러 도심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강화되는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는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내측에 제 1중공이 형성되며 연장보와 고정보가 양 측에 결합되는 지주기둥; 상기 고정보에 결합되는 가로보; 상기 연장보, 고정보 및 가로보에 걸쳐 형성되는 제 2중공에 배치되는 역'Y'자 형상의 보강바;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연장보의 내측에는 역'Y'자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중공 및 제 2중공에 걸쳐 장력와이어가 배치되고, 상기 보강바의 상단에는 상기 장력와이어를 통과시키는 'ㄷ'자 형상의 와이어홀이 형성되되, 상기 장력와이어는 와이어고정부에 의해 제 1중공 및 제 2중공에 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고정부는 상기 가로보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 1고정구; 상기 지주기둥에 고정되되, 상기 제 1고정구 보다 높게 배치되는 제 2고정구; 상기 제 1고정구 및 제 2고정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장력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례로, 상기 제 2중공 내주연 상단에는 상기 장력와이어가 안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고정부는 상기 가로보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 1연장구 및 상기 제 2중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 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구는 상기 제 1연장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 1개구부를 통과하는 상기 장력와이어를 고정하되, 상기 제 1연장구는 수평에서 30~6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로보의 상단에는 상기 제 2중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 2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기둥에는 상기 가로보를 향해 제 3개구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2개구부와 인접한 상기 제 2중공 내주연에 방향전환구를 구성하여 상기 제 1고정구로부터 연장되는 장력와이어가 상기 제 2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 3개구부로 인입되어 상기 제 2고정구에 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지주기둥의 상단 상기 가로보의 대향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 2연장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고정구는 상기 제 2연장구에 결합되어 상기 방향전환구로부터 연장되는 장력와이어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장력와이어 및 신호등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연결수단이 더 구성되되, 상기 보조연결수단은 보조연결몸체; 상기 보조연결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리부; 상기 보조연결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신호등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고리부의 내주연에는 열차단막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는 지주기둥과 가로보에 각각 중공을 형성하여 장력와이어가 연결되고 장력와이어는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로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주기둥으로 전달시켜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아울러 도심의 미관이 개선되며, 물리적 충격에 의한 신호등 파손시 2차 사고를 예방하는 등 안전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성인 장력와이어가 적용되는 제 1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성인 장력와이어가 적용되는 제 2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구성인 장력와이어가 적용되는 제 3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구성인 장력와이어가 적용되는 제 4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장력조절부가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보조연결수단이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장력조절부가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보조연결수단이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2)은 모든 차선의 운전자들에게 신호를 알려야하는 것으로 모든 차선에서 신호등(2)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하기에 통상적으로 가로보(20)의 길이를 길게 제작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신호등(2)을 포함하여 속도위반카메라(미도시) 등의 시설물들이 가로보(20)에 결합되게 된다.
그러므로 가로보(20)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지주기둥(10)에 결속된 가로보(20)가 처지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가로보(2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주기둥(10)으로 전달시키는 구조로써 지주기둥(10)의 상단부와 가로보(20)를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가 설치되곤 하나 이는 도심의 미관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갖게 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1)는 전술한 바에 따른 가로보(2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주기둥(10)으로 전달시킴과 아울러 도심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보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도심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가로보(20)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이 지주기둥(10)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1)는 지주기둥(10), 가로보(20), 보강바(7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기둥(10)은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내측에는 공간부인 제 1중공(11)이 형성되고 동일 선 상에 이격된 연장보(12) 및 고정보(14)의 사이에서 각각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 1중공(11)은 연장보(12) 및 고정보(14)의 내측 공간과 상호 연통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보(20)는 신호등(2) 등의 시설이 결합되는 결합되는 곳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고정보(14)에 결합된다.
이때, 가로보(20)와 고정보(14)의 결합수단으로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가능한바, 그 일례로 상기 가로보(20)와 고정보(14)의 상호 결합부위에는 각각 플렌지(15,25)를 마련하여 볼트(도면부호 미도시)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보(20)의 내측의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연장보(12) 및 고정보(14)의 내측 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이렇게 횡방향으로 연장보(12), 고정보(14) 및 가로보(20)에 걸쳐 형성되는 연통 공간은 제 2중공(21)이 되고 상기 제 1중공(11)과 연통하게 된다.
상기 보강바(70)는 제 2중공(21)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주기둥(10)과 가로보(20)의 결합구조를 보강하여 가로보(20)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의한 처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바(70)의 형상은 역'Y'자 형상으로 마련함으로써, 가로보(20)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양측 방향으로 분산시키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바(70)는 그 길이가 연장보(12)와 고정보(14)를 지나 가로보(20)의 일부에 걸쳐지도록 구성하되, 가로보(20)의 일부에 걸쳐지는 길이가 상기 연장보(12) 및 고정보(14)에 걸쳐지는 길이보다 짧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강바(70)가 가로보(20)의 일부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가로보(20)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한 보강효과가 확보될 수 있으며 보강바(70)가 가로보(20)의 일부에 걸쳐지는 길이가 상기 연장보(12) 및 고정보(14)에 걸쳐지는 길이보다 길어질 경우 오히려 가로바(20)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가로바(20)의 처짐, 파손 등을 초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강바(70)는 역'Y'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수직하중의 작용을 양측면으로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바, 지주장치의 시공,후 장시간이 경과하거나 물리적인 충격등에 의해 상기 보강바(70)가 원통형인 제 2중공(21) 내에서 회전하여 보강효율이 저하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보(12)내에는 고정부재(72)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2)에는 상기 보강바(70)가 삽입고정되도록 보강바(7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홈(72a)을 마련하여 보강바(70)가 제 2중공(21) 내에서 회전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주장치에 장력와이어(40)가 적용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력와이어(40)는 상기 제 1, 2중공을 통해 상기 가로보(20)의 끝단에서부터 상기 지주기둥(10)의 상단부까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이때 발생되는 장력을 통해 상기 지주기둥(10)에 결합된 가로보(20)의 결속력을 보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바(70)의 상단에는 'ㄷ'자 형상의 와이어홀을 구성하여 상기 장력와이어(4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장력와이어(40)를 제 1중공(11) 및 제 2중공(21)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와이어고정부(30)가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고정부(30)는 상기 장력와이어(40)를 상기 제 1중공(11) 및 제 2중공(21)에 걸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두 개 이상의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주기둥(10)과 가로보(20)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는 종래 일반적인 신호등 지주장치(1)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1)의 경우, 상기 지주기둥(10)과 가로보(20)의 결합관계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보(20)의 처짐은 방지하면서도 장력와이어(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지주장치(1)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지주장치(1)에 장력와이어(40)가 적용되는 제 1실시 예로써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고정부(30)는 제 1고정구(310), 제 2고정구(330) 및 방향전환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고정구(310)는 상기 가로보(20)의 끝단에 구성되고 상기 장력와이어(40)의 일단이 제 1고정구(310)에 결속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 1고정구(310)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 가능한바, 장력와이어(40)의 일단이 제 1고정구(310)에 결속된 상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상기 제 2고정구(330)는 상기 지주기둥(10)에 고정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중공(11)의 상단 중 상기 가로보(20)의 대향측에 배치되며, 상기 장력와이어(40)의 타단이 결속된다.
상기 제 2고정구(330)의 형상 및 구조는 상기 제 1고정구(310)와 마찬가지로 장력와이어(40)의 타단이 제 2고정구(330)에 결속된 상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제 2고정구(330)는 제 1고정구(31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가로보(20)의 끝단과 지주기둥(10)의 상단을 장력와이어(40)로 연결함으로써 가로보(2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주기둥(10)에 전가시키는 것으로 종래 방식인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지주기둥(10)의 상단 및 가로보(20)의 끝단을 연결하는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방향전환구(320)는 장력와이어(40)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으로,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력와이어(40)가 높이 차이가 나는 제 1고정구(310)로 및 제 2고정구(330)를 연결함에 있어 장력와이어(40)의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장력와이어(4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수단이 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방향전환구(320)는 고정면(322) 및 걸게홈(3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중공(11) 및 제 2중공(21)의 교차지점의 상측에 고정면(322)이 고정되고 고정면(322)에서 걸게홈(324)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 1고정구(310)로부터 진행되는 장력와이어(40)가 상기 걸게홈(324)에 감기면서 제 2고정구(330) 측으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장력와이어(40)의 일부가 감기게 되는 걸게홈(324)을 라운드 처리하여 장력와이어(40)에 작용하는 마찰을 최소화시켜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지주장치(1)에 장력와이어(40)가 적용되는 제 2실시 예로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 2중공(21) 내주연 상단에는 가로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에 걸쳐 안내홈(22)을 형성하고 C-C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장력와이어(40)가 안내홈(22)에 안착되므로, 장력와이어(40)가 가로보(20)의 제 2중공(21)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장력이 작용하여 가로보(20)를 지지함에 있어 유리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지주장치(1)에 장력와이어(40)가 적용되는 제 3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고정부(30)는 상기 가로보(20)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 1연장구(312) 및 상기 제 2중공(2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 1개구부(23)가 형성되고, 제 1고정구(310)가 상기 제 1연장구(312)에 결합된 상태로 제 1개구부(23)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장력와이어(4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연장구(312)가 수평을 기준으로 30~6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가로보(20) 보다 높은 위치에 제 1고정구(310)가 배치되므로 제 2고정구(330) 및 제 1고정구(310) 간 연결된 장력와이어(40)에 발생되는 장력이 가로보(20)를 상승시키려는 힘이 작용을 하게되므로 가로보(20)의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장력와이어(40)의 장력이 가로보(20)를 상승시키려는 힘이 배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5 내지 도 6에서 각각 두 가지 실시 예가 제시되는 바, 그 첫번째 실시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기둥(10)에 인접한 가로보(20)의 상단에는 상기 제 2중공(2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 2개구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지주기둥(10)에는 상기 가로보(20)를 향해 제 3개구부(13)를 형성하되, 상기 제 2개구부(24)와 인접한 상기 제 2중공(21) 내주연에 방향전환구(320)를 구성하여 상기 제 1고정구(310)로부터 연장되는 장력와이어(40)가 상기 제 2개구부(24)를 통과하여 상기 제 3개구부(13)로 인입되어 상기 제 2고정구(330)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지주장치(1)에 장력와이어(40)가 적용되는 제 4실시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기둥(10)의 상단 상기 가로보(20)의 대향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 2연장구(31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고정구(330)는 상기 제 2연장구(314)에 결합되어 상기 방향전환구(320)로부터 연장되는 장력와이어(4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주기둥(10)의 후단에는 제 4개구부(14)를 마련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 2고정구(330)에 장력와이어(40)가 연결되도록 이렇게 제 2고정구(330)가 지주기둥(10)의 후단측에 연장되게 배치됨으로써 가로보(20) 측으로 치우친 무게중심을 어느정도 해소될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장력조절부(60)가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부(60)는 상기 제 1중공(11)에 구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작업자의 손이 닿는 지주기둥(10)의 하측에 배치시켜 상기 장력와이어(40)의 길이조절을 통해 장력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고정부(30)는 가로보(20)의 끝단에 배치되는 제 1고정구(310)와 제 1중공(11)에 배치되는 두 개의 방향전환구(3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과 상면에 각각 고정되어 장력와이어(40)를 지지하는 것으로써, 가로보(20)의 하중은 지주기둥(10)의 상단으로 전가될 수 있고, 이후 장력와이어(40)가 상기 장력조절부(60)로 연결되어 장력 제어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보조연결수단(50)이 적용되는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보조연결수단(50)은 상기 장력와이어(40)와 신호등(2)을 연결하는 것으로 보조연결몸체(51), 고리부(52) 및 신호등고정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와이어 또는 판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판형상 구조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연결몸체(51)는 면 형태의 얇은 직육면체로 구성되고, 상기 고리부(52)는 상기 보조연결몸체(51)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장력와이어(40)와 체결되는 고리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등고정부(53)는 상기 보조연결몸체(51)의 하단에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절곡면 구조로 구성되어 신호등(2)케이싱(미도시)과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신호등(2)과 고정된다.
통상적으로 신호등(2)은 가로보(20)에 다양한 형태의 고정구를 통해 고정되어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인 것으로 주로 도로상에 설치되게 된다.
이렇게 도로상의 신호등(2)은 태풍 등 자연재해 또는 교통사고 등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도로 위로 낙하하게 되어 고속으로 주행하는 자동차 등과 충동하여 2차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상기 보조연결수단(50)은 신호등(2)을 가로보(20)에 고정하는 고정구외의 별도 안전장치로서 외부충격에 의해 신호등(2)이 파손되더라도 신호등(2)과 보조연결수단(50)의 내부적 연결구조에 기해 신호등(2)이 도로상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호등(2)과 연결되는 보조연결수단(50)은 다수의 LED로 구성되는 발열구조인 신호등(2)의 열기를 분산시켜 냉각하는 방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고리부(52)의 내주연에는 열차단막(54)을 구성하여 상기 장력와이어(40)로의 열전달을 차단시켜 장력와이어(40)가 열팽창하여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지주장치 2 : 신호등
10 : 지주기둥 11 : 제 1중공
20 : 가로보 22 : 제 2중공
30 : 와이어고정부 40 : 장력와이어
50 : 보조연결수단 60 : 장력조절부

Claims (10)

  1.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내측에 제 1중공이 형성되며 연장보와 고정보가 양 측에 결합되는 지주기둥;
    상기 고정보에 결합되는 가로보;
    상기 연장보, 고정보 및 가로보에 걸쳐 형성되는 제 2중공에 배치되는 역'Y'자 형상의 보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중공 및 제 2중공에 걸쳐 장력와이어가 배치되며,
    상기 보강바의 상단에는 상기 장력와이어를 통과시키는 'ㄷ'자 형상의 와이어홀이 형성되되,
    상기 장력와이어는 와이어고정부에 의해 제 1중공 및 제 2중공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고정부는
    상기 가로보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 1고정구;
    상기 지주기둥에 고정되되, 상기 제 1고정구 보다 높게 배치되는 제 2고정구;
    상기 제 1고정구 및 제 2고정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장력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중공 내주연 상단에는 상기 장력와이어가 안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고정부는
    상기 가로보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 1연장구 및 상기 제 2중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 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구는 상기 제 1연장구에 결합되어 상기 제 1개구부를 통과하는 상기 장력와이어를 고정하되,
    상기 제 1연장구는 수평에서 30~60°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의 상단에는 상기 제 2중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 2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기둥에는 상기 가로보를 향해 제 3개구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 2개구부와 인접한 상기 제 2중공 내주연에 방향전환구를 구성하여 상기 제 1고정구로부터 연장되는 장력와이어가 상기 제 2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 3개구부로 인입되어 상기 제 2고정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기둥의 상단 상기 가로보의 대향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 2연장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고정구는 상기 제 2연장구에 결합되어 상기 방향전환구로부터 연장되는 장력와이어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와이어 및 신호등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연결수단이 더 구성되되,
    상기 보조연결수단은
    보조연결몸체;
    상기 보조연결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리부;
    상기 보조연결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신호등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내주연에는 열차단막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KR20140096742A 2014-07-29 2014-07-29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KR101490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6742A KR101490834B1 (ko) 2014-07-29 2014-07-29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6742A KR101490834B1 (ko) 2014-07-29 2014-07-29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834B1 true KR101490834B1 (ko) 2015-02-09

Family

ID=5259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6742A KR101490834B1 (ko) 2014-07-29 2014-07-29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620B1 (ko) * 2019-02-07 2019-10-23 허진숙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175U (ko) * 1998-04-07 1999-11-05 김영철 도로 설치물 현수용 구조물
KR101358426B1 (ko) 2013-04-12 2014-02-04 (주) 금성산업 교통신호등 지주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175U (ko) * 1998-04-07 1999-11-05 김영철 도로 설치물 현수용 구조물
KR101358426B1 (ko) 2013-04-12 2014-02-04 (주) 금성산업 교통신호등 지주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620B1 (ko) * 2019-02-07 2019-10-23 허진숙 굴절에 강한 신호등 가로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379B1 (ko)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567029B1 (ko) 신호등 설치용 가로보
US20140334875A1 (en) Jersey Barrier Improvements
KR102208572B1 (ko) Led를 이용한 보조 교통 신호등
WO2017106990A1 (zh) 一种快速拆装的环型围挡
KR200458034Y1 (ko)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휀스
KR20100123343A (ko) 가드펜스
US10109189B2 (en) Traffic signaling apparatus
KR101490834B1 (ko) 가로보 및 신호등을 보강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CN109255968A (zh) 一种多功能交通信号灯
KR100930971B1 (ko)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521895B1 (ko) 장력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신호등 지주장치
JP2001081746A (ja) 歩行者横断防止柵
KR100802095B1 (ko)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KR200432405Y1 (ko) 보조신호등램프가 설치된 보행자신호등
KR102386274B1 (ko)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KR101679392B1 (ko) Led 전광판 일체형 신호등
CN205804142U (zh) 一种钢架人行天桥
KR101581837B1 (ko)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CN210574317U (zh) 一种可升降式太阳能交通信号灯
KR200430471Y1 (ko) 사슬을 장착한 차선규제 가이드박스
KR101031632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결합된 신호등 지주장치
KR200341550Y1 (ko) 현수식 다방향 교차로 신호등장치
KR102348803B1 (ko) 보조신호등을 갖는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KR102086342B1 (ko) 현수식 평탄 도로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