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600Y1 -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600Y1
KR200172600Y1 KR2019990020884U KR19990020884U KR200172600Y1 KR 200172600 Y1 KR200172600 Y1 KR 200172600Y1 KR 2019990020884 U KR2019990020884 U KR 2019990020884U KR 19990020884 U KR19990020884 U KR 19990020884U KR 200172600 Y1 KR200172600 Y1 KR 200172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insertion hole
pin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민
Original Assignee
윤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민 filed Critical 윤상민
Priority to KR2019990020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6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운전자가 차량 신호등을 도로 상의 필요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신호등을 설치하기 위한 수평봉의 고정에 여러 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므로 써 그 설치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는데 반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은 도로 일측 지상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소정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뚫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주, 지주의 삽입공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수평되게 설치되며 끝단에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신호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신호등 고정용 강봉 및 핀구멍에 결합되어 신호등 고정용 강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호등 고정용 강봉을 동일직경을 갖는 하나의 연속된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한 것에 의해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한 작업성 개선효과 등과 또, 결합부를 삽입공에 삽입하여 핀구멍에 핀을 결합하는 매우 간단한 과정만으로 신호등 고정용 강봉의 설치가 이루어지므로 종래 여러 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시간과 인력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A fixing structure for vehicle signal lamp}
본 고안은 도로 가에 설치되는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운전자가 차량 신호등을 도로 상의 필요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도로 특히 교차로에는 차량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신호등을 설치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특히 이와 같은 차량 신호등은 차량 운전자들이 보다 잘 보이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로 상에 입설하고 있는 전봇대 등의 지주들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일 예가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 1024호에 공고번호 제 89-2593호로서 개시된 “가로등이 부설된 차량신호등 철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가로등이 부설된 차량신호등 철주”는 지주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지지간의 중량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직경이 서로 다른 수 개의 파이프들을 다단식으로 접속하여서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지지간을 제작함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들을 준비함과 아울러 그 파이프들의 준비가 완료되면 이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부위를 일일이 용접을 해가면서 서로 일체로 되게끔 고정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상기 지지간을 구성하는 데에 소요되는 많은 노동력과 작업 시간은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게하고 있다.
특히, 장기 사용할 때에 용접부위 등이 쉽게 부식되어 상기 지지간의 수명을 단축되게하는 요인이 되게함은 물론이고, 안전성에 있어서도 심한 위험성을 야기시키는 결과를 줄 우려성이 있음이 현 실정이다. 또한 직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들의 사용은 그 만큼 더 많은 재료의 소모를 유발되게하여 경제적인 부담은 가중시키는 요인도 되게하고 있다.
또 상기 선행기술의 지지간은 설치상의 하중문제로 인해 일정된 길이 외에는 더 크게 연장되게 구성할 수가 없다고는 구조적인 문제도 있다.
그 외에 실용공개번호 1998-068785호(1998년 12월 5일 공개)의 “교통안전표지등”,등록번호 20-0150257호(1999년 7월 1일 공고) “신호등 철주”, 등록번호 20-0146042호(1999년 6월 15일 공고) “교통신호등용 철주 조립체”등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신호등이 설치되는 수평봉을 지주에 고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볼트, 너트를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매우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지주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어 차량 신호등의 고정에 제공되게 한 고정부재를 어느 일단에서 끝단까지 동일 직경을 이루는 하나의 연속된 몸체를 이루게 형성하고, 그 고정부재와 지주는 용접된 연결구와 와이어 등으로서 연결되게 한 것에 의해, 작업성 및 내구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특히 신호등이 설치되는 수평 강봉을 지주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써 신호등 설치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신호등용 고정 구조물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의 정면도,
도 3은 도 2 I-I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신호등용 고정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 105 : 신호등
110 : 지주 111 : 삽입공
112 : 받침턱 113 : 보강재
120 : 신호등 고정용 강봉 122 : 결합부
124 : 핀구멍 130 : 핀
140 : 연결장치 142 : 와이어부재
143 : 턴버클 144 : 연결구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로에 입설하여 신호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에 있어서, 도로 일측 지상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소정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뚫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주, 지주의 삽입공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수평되게 설치되며 끝단에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신호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신호등 고정용 강봉 및 핀구멍에 결합되어 신호등 고정용 강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 지주에는 삽입공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강봉의 일측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턱과 삽입공 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고, 위 강봉은 어느 일단부터 타단까지 같은 직경을 이루는 하나의 연속된 몸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위 신호등 고정용 강봉과 지주에 각각 용착되어 체결된 연결구들과 그 연결구들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부재로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신호등용 고정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신호등용 고정 구조물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의 정면도, 도 3은 도 2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100)은 도로상에 입설되는 지주(110)와 그 지주(110)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고정 지지되는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0)의 소정 높이에는 삽입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공(111)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받침턱(112)이 설치되어 있다. 삽입공(111)은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110)의 일측을 수평되게 관통하고 있다. 이 삽입공(111)은 규정된 신호등(105)의 설치 높이에 따라서 설치된 것으로,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 역시 삽입공(111)에 의해서 규정된 높이로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삽입공(111)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받침턱(112)은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의 일측을 지지하고 또 처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삽입공(111)의 측면으로는 보강재(113)가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재(113)는 삽입공(111)으로 지주(110)의 인한 강도저하를 보강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을 사용하여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T 자 단면모양을 갖는 강재를 사용하여도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0)에 결합되는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은 어느 일단에서부터 끝단부까지 동일직경을 이루는 하나의 연속된 몸체를 이루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또 어느 단부에는 지주(110)에 형성된 삽입공(111)측으로 착탈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이러한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의 끝단에는 핀구멍(124)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100)은 핀(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핀(130)은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의 끝단에 형성된 핀구멍(124)에 결합되어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이 이탈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위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은 삽입공(111)에 삽입된 상태로 핀(130)에 의해 지주(110)에 고정되어서 그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측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와이어부재(142)와 그리고 연결구들(144)로서 구성된 연결장치(140)에 의하여 지주(110)로부터 처지게되는 일이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 부재(142)를 견고하게 연결함에 사용되는 연결구들(144)의 설치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도 3에 나타낸 형태로 설치하면 된다. 즉 도 3을 참고하여 어느 하나의 연결구(144)를 설명하면, 연결구(144)는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에 체결되는 U자형의 볼트(146)와 그 U자형 볼트(146)에 체결되는 체결너트(148)로서 구성되어있다. U자형의 볼트(146)는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에 와이어 부재(142)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구멍을 형성하면서 체결되게 되고, 또한 U자형의 볼트(146)는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고자 그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과의 일부 결합부위를 용접하여 용접부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용접부(147)의 형성은 너트(148)만으로 체결시 풀림 등으로 있게되는 안전위험사고를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한 것이다. 위 실시 예에서 116은 배선간을, 117은 배선용 뚜껑을, 118은 보행등용 배선구를 그리고 143은 와이어부재(142)에 긴장이나 혹은 이완력을 부여하는 턴버클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100)을 이용하는 경우 특히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의 결합부(122)를 삽입공(111)에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핀구멍(124)에 핀(130)을 끼우는 매우 간단한 공정만으로도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이 지주(110)에 수평되게 고정되므로 설치하기가 매우 쉽고 시간도 적게 걸린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신호등용 고정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 일실시 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 예는 도로의 크기에 따라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을 더 길게 형성하게되는 경우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을 지주(110)로부터 처지게되는 일없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고자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장치(140)들을 사용하여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을 연결시키고 있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일실시 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지주(110)의 높이는 대략 6m를 이루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은 도로의 넓이에 따라서 대략 6m, 9m, 11m 등의 길이를 이루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의 길이가 길게 제작될수록 연결장치(140)의 설치 개수도 비례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는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의 견고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조립 일 예를 다시 도 1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지주(110)의 삽입공(111)측으로는 기히 준비된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을 결합하게된다.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과 삽입공(111)과의 결합은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의 어느 일단부위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122)를 삽입공(111)으로 삽입하고 반대편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핀구멍(124)에 핀(130)을 결합하는 것으로 완료되게된다. 아울러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과 지주(110)는 연결장치(140)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견고성을 유지하게 한다. 즉, 와이어부재(142)를 사전에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과 지주(110)측으로 기히 체결하여 용착한 연결구들(144)측으로 연결함에 의해서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을 지주(110)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와이어부재(142)의 긴장력의 조절은 턴버클(143)로써 하면 된다.
이렇게 조립완료된 구조물에는 신호등(105)의 설치와 아울러 배선작업의 실행으로 신호등의 기능을 실행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지주(110)에 설치되어 신호등(105)을 지지하도록 한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을 동일직경을 갖는 하나의 연속된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한 것에 의해,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을 설치하는 데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한 작업성 개선효과가 있다. 또 한가지의 단일 몸체를 이루는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을 사용하므로 종래의 직경이 다른 여러 가지의 관체를 이용하므로 인해 소요되는 장비에 비하여 적게 소요되는 경제적인 잇점이 있고, 또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의 끝단에 핀구멍(124)을 갖는 결합부(122)를 삽입공(111)에 삽입하여 핀구멍(124)에 핀(130)을 결합하는 매우 간단한 과정만으로 신호등 고정용 강봉(120)의 설치가 이루어지므로 종래 여러 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시간과 인력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도로에 입설하여 신호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에 있어서,
    도로 일측 지상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소정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뚫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주;
    상기 지주의 삽입공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수평되게 설치되며 끝단에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호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신호등 고정용 강봉; 및
    상기 핀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신호등 고정용 강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는 삽입공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강봉의 일측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턱과 삽입공 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강봉은 어느 일단부터 타단까지 같은 직경을 이루는 하나의 연속된 몸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등 고정용 강봉과 지주에 각각 용착되어 체결된 연결구들과 그 연결구들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부재로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신호등용 고정 구조물.
KR2019990020884U 1999-09-29 1999-09-29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 KR200172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884U KR200172600Y1 (ko) 1999-09-29 1999-09-29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884U KR200172600Y1 (ko) 1999-09-29 1999-09-29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600Y1 true KR200172600Y1 (ko) 2000-03-15

Family

ID=1959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884U KR200172600Y1 (ko) 1999-09-29 1999-09-29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6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025B1 (ko) 2006-08-09 2007-10-08 박진성 신호등의 설치구조
KR101871336B1 (ko) 2018-02-02 2018-06-26 미경산업주식회사 종합폴 지주의 시설물 연결장치
KR101949466B1 (ko) * 2018-11-06 2019-02-18 현형호 전봇대 및 전주의 발판 볼트 홀을 이용한 발판 볼트 브라켓
KR101987073B1 (ko) 2018-07-26 2019-06-10 주식회사 제이에스조명 내진 설계에 의한 강성 보강의 신호등용 가로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025B1 (ko) 2006-08-09 2007-10-08 박진성 신호등의 설치구조
KR101871336B1 (ko) 2018-02-02 2018-06-26 미경산업주식회사 종합폴 지주의 시설물 연결장치
KR101987073B1 (ko) 2018-07-26 2019-06-10 주식회사 제이에스조명 내진 설계에 의한 강성 보강의 신호등용 가로대
KR101949466B1 (ko) * 2018-11-06 2019-02-18 현형호 전봇대 및 전주의 발판 볼트 홀을 이용한 발판 볼트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451Y1 (ko) 신호등 지주용 수평지지대
KR200172600Y1 (ko)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
KR200293158Y1 (ko)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102092859B1 (ko) 휨 방지구조를 갖는 도로시설물용 강관구조
CN200957776Y (zh) 组合式电车接触线固定装置
KR102071170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0523556B1 (ko) 전광판 지지구조물
KR20010069576A (ko) 교통신호등용 철주
KR200150257Y1 (ko) 신호등 철주
KR101314058B1 (ko)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교통시설물 철주
KR19990004880U (ko) 차량신호 등용 고정구조물
JP2005146772A (ja) 屋根支持構造体ユニットおよび大空間屋根構造物並びにこれらの施工法
KR100368018B1 (ko) 교통신호등의 설치구조
KR890002593Y1 (ko) 가로등이 부설된 차량신호등 철주
KR200344219Y1 (ko) 와이어 연결고리가 형성된 연결판을 구비한 철주 조립체
KR200227076Y1 (ko) 가드레일용 시선반사유도체
KR101011536B1 (ko) 신호등 철주 조립체
KR101080683B1 (ko) 교통신호등 설치 구조물
CN220066800U (zh) 一种便于安装的新型线盒固定装置体系
KR200164195Y1 (ko) 신호등및도로표지판설치용보의장착상태보강구조
KR100795193B1 (ko) 신호등 철주 조립체
KR100440622B1 (ko) 교량빔의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200189893Y1 (ko) 신호등 설치 구조물
KR102666295B1 (ko) 교통신호등주
KR20010083455A (ko) 도로표지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