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346B1 -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 Google Patents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346B1
KR102197346B1 KR1020190150366A KR20190150366A KR102197346B1 KR 102197346 B1 KR102197346 B1 KR 102197346B1 KR 1020190150366 A KR1020190150366 A KR 1020190150366A KR 20190150366 A KR20190150366 A KR 20190150366A KR 102197346 B1 KR102197346 B1 KR 102197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hole
wood pole
longitudinal direction
tend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웅
Original Assignee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4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Abstract

본 발명은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우드폴이 안정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직립우드폴의 상측에 교통시설물이나 조명장치, 표지판, 카메라 등의 중량물이 설치되는 캔틸레버를 인장고정유닛를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시, 상기 캔틸레버의 내측에 긴장력이 부여되게 설치되는 인장텐던에 의해 상기 캔틸레버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캔틸레버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치면에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을 매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우드폴(100)과,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인장고정유닛(400)을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목재의 캔틸레버(300);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고정유닛(400)은 상기 캔틸레버(30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캔틸레버(30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인서트홀(3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자유부인장부재(410)와,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인서트홀(310)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관통되는 인장텐던(440)과,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고정부인장부재(4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CANTILEVER TYPE MULTI-FUNCTIONAL WOOD SUPPORT}
본 발명은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우드폴이 안정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직립우드폴의 상측에 교통시설물이나 조명장치, 표지판, 카메라 등의 중량물이 설치되는 캔틸레버를 인장고정유닛를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시, 상기 캔틸레버의 내측에 긴장력이 부여되게 설치되는 인장텐던에 의해 상기 캔틸레버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캔틸레버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등이나 교통신호등이나 가로등에서 지주는 설치위치에 터파기를 한 후, 기초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를 형성한 후 복토하고 상기 기초위에 앵커를 매개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지주는 일반적으로 가혹한 환경에서도 견고함을 오랫동안 유지해야 하므로 금속재를 사용하며, 주로 주철이나 스테인레스를 사용하게 된다. 주철재 지주는 성형이 용이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부식에 의한 녹이 발생되어 외관이 불량한 단점이 있고, 스테인레스는 표면이 매끄러운 장점이 있으나 고가이고 주철재와 마찬가지로 금속 특유의 차가운 느낌을 주는 단점이 있는 관계로 자연친화적이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주위환경과 조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도시환경에 대한 관심과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위해 목재로 된 지주를 사용하여 지주의 상부에 전원등이나 교통신호등, 가로등과 같은 중량물을 설치하고 있으나 목재기둥의 경우 수분에 의한 팽창,수축, 갈라짐현상, 뒤틀림, 휨등의 변형, 습기에 의하 부패와 기초면에 결합되는 부위의 내구성 저하로 인해 직립성을 원활히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규격화되지 않은 나무를 가공하여 일정한 규격의 목재로 가공하는 것은 많은 수고와 비용이 요구되고 손실되는 양이 많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목재를 접착하여 대형부재로 제작하는 집성기술을 이용한 지주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집성지주 또한 기초 플레이트와의 결합뿐만 아니라 상부 조명등의 결합부위에서 진동, 풍하중 등의 장기 외력에 의해 결합부위가 마모되어 넓어지거나 할렬이 발생되어 헐거워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물론 원목에 비해서는 집성목재가 하자율이 감소하나 목재는 한번 결합부위에 마모나 할렬등이 발생하면 다시 보수해서 사용하기가 어려워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88280호의 천연나무소재의 가로등지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우드폴의 상측에 교통시설물이나 조명장치, 표지판, 카메라 등의 중량물이 설치되는 캔틸레버를 인장고정유닛을 매개로 고정한 상태에서 풍하중이 상기 캔틸레버에 작용시, 상기 직립우드폴이 안정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캔틸레버의 내측에 긴장력이 부여되게 설치되는 인장텐던에 의해 상기 캔틸레버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캔틸레버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면에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을 매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우드폴(100)과,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인장고정유닛(400)을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목재의 캔틸레버(300);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고정유닛(400)은 상기 캔틸레버(30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캔틸레버(30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인서트홀(3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자유부인장부재(410)와,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인서트홀(310)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관통되는 인장텐던(440)과,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고정부인장부재(450)로 구성되며,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는, 상기 캔틸레버(30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평판형 마운팅플레이트(420)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2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일측을 고정하는 픽싱텐션부(430)로 구성되되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20)에는 상기 픽싱텐션부(4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홀(421)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홀(421)의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걸림단(422)이 형성되고, 상기 픽싱텐션부(430)는 상기 안착걸림단(422)에 걸림되는 컨택안착구(432)가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커넥터구(431)와, 상기 커넥터구(43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점차 작아지는 상기 커넥터구(431)의 내주연에 의해 상기 인장텐던(44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픽싱구(433)로 이루어지며, 상기 텐던픽싱구(433)은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 형상을 하는 다수개의 아크분할구(434)와 상기 아크분할구(434)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랩핑구(4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인장부재(450)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상부 측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평판형 안착플레이트(460)와,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걸림되게 설치되는 인장커넥터(470)로 구성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는 상기 인장커넥터(47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관통홀(46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관통홀(461)에는 상기 인장커넥터(470)의 일측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걸림단(462)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걸림단(462)은 상기 장착관통홀(461)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인장커넥터(470)는,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방향으로 삽입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가이드걸림단(462)에 걸림되는 대응걸림구(472)가 형성된 중공형 메인몸체(471)와, 상기 메인몸체(47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471)의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인장텐던(44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고정구(47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은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홀(110)에 일측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상부텐셔너(210)와, 상기 중공홀(1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텐셔너(210)에 인장고정되는 우드폴긴장재(240)와,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하부텐셔너(25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텐셔너(210)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 설치되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길이방향 일측을 인장고정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 걸림되게 설치되는 상방인장부(230)로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는 상기 상방인장부(2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걸림홀(22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걸림홀(223)의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로프걸림단(224)이 형성되며, 상기 상방인장부(230)는 상기 슬로프걸림단(224)에 걸림되는 회전안착단(232)이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중공형 헤더구(231)와, 상기 헤더구(231)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인장구(233)로 이루어지며, 상기 텐던인장구(233)는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 형상을 하는 다수개의 분할쐐기편(234)과 상기 분할쐐기편(234)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링(23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텐셔너(250)는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26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260)의 상측면에서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중공홀(110)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하방인장부(27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장텐던(440)과 우드폴긴장재(240) 중 어느 하나는, 다수개의 가닥이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서로 말려가는 꼬임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하측단에는 통기유닛(1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립우드폴에 설치되는 조인트스탠딩유닛의 상부텐셔너와 하부텐셔너에 의해 인장고정된 우드폴긴장재의 강한 긴장력 및 고정력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직립우드폴의 상측에 교통시설물이나 조명장치, 표지판, 카메라 등의 중량물이 설치되는 캔틸레버를 고정되게 장착하더라도 풍하중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직립성능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인장고정유닛의 자유부인장부재와 고정부인장부재에 의해 인장고정된 인장텐던의 강한 긴장력 및 고정력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직립우드폴의 상측에 설치되는 캔틸레버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우드폴의 내측에 심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스탠딩유닛의 상부텐셔너의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텐셔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스탠딩유닛의 하부텐셔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에 하부보강대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우드폴 하측에 로워픽싱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고정유닛의 자유부인장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부인장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고정유닛의 고정부인장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직립우드폴이 목재조인트보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우드폴이 연이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가 연이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우드폴의 내측에 심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스탠딩유닛의 상부텐셔너의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텐셔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분리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스탠딩유닛의 하부텐셔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에 하부보강대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우드폴 하측에 로워픽싱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고정유닛의 자유부인장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부인장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고정유닛의 고정부인장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직립우드폴이 목재조인트보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우드폴이 연이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가 연이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는 설치면에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을 매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우드폴(100)과,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인장고정유닛(400)를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캔틸레버(300)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고정유닛(400)는 상기 캔틸레버(3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는 자유부인장부재(410)와, 상기 캔틸레버(300)의 인서트홀(310)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에 연결되는 인장텐던(440)과,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텐던(440)이 연결되는 고정부인장부재(45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상측에 교통시설물이나 조명장치, 표지판, 카메라 등의 중량물이 설치되는 캔틸레버(300)를 설치시, 상기 캔틸레버(300)의 내측에 긴장력이 부여되게 설치되는 인장텐던(440)에 의해 상기 캔틸레버(300)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캔틸레버(300)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직립우드폴(100)은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을 매개로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홀(110)이 중공되게 형성된 것으로, 일정길이의 목재부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홀(110)을 천공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중공홀(110)을 일직선상으로 가공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단척제를 상호 집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홀(110)이 형성되는 부위의 단척재에 호 형상의 홀가공을 하여 상호 집성시 상기 호 형상의 홀을 마주하여 집성함으로써 상기 중공홀(11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제작시 상기 중공홀(110)과 더불어 별도의 전선인입공(120)을 형성하여 상기 캔딜레버(300)에 조명장치나 카메라, 전력이 필요한 교통시설물이 설치되는 경우,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선이 상기 전선인입공(120)을 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선인입공(120)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중공홀(110)을 통해 전력선이 상기 조명장치로 연장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중공홀(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심재(130)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는 다수개의 단척재를 상호 집성하여 일정길이의 직립우드폴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하측단에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이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우천시 빗물이 상기 직립우드폴(100)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는 경우나 빗물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하측단에 머물지 않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하측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기유닛(150)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통기유닛(150)은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하측에 설치되는 조인트스탠딩유닛(200)과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하측단사이에 설치되어 통기성을 확보하거나 빗물의 외부유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통기유닛(150)은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탄성베이스편(151)과, 상기 탄성베이스편(151)의 상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간격대(15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통기유닛(150)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직립우드폴(100)이 상기 통기유닛(150)의 상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면 상기 통기유닛(150)의 간격대(152)로 인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단부방향에 통기공(153)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우천시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외표면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하단에 정체되지 않고, 상기 통기공(153)을 통해 외부로 유동하게 됨은 물론 상기 통기공(153)으로 인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하단 건조가 빠르게 진행되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하단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통기유닛(150)이 상기 탄성베이스편(151)과 간격대(152)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하측단이 안착되는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에 다수개의 간격대를 형성하거나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측면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된 빗물이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의 외부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등 여러 다양한 구조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통기유닛(150)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직립우드폴(100)과 후술되는 상기 캔틸레버(300)의 접점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은 상기 직립우드폴(100)이 상기 설치면에 직립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은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중공홀(110)에 일측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상부텐셔너(210)와, 상기 중공홀(1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텐셔너(210)에 인장고정되는 우드폴긴장재(240)와,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하부텐셔너(25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텐셔너(210)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일측을 인장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텐셔너(21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 설치되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길이방향 일측을 인장고정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 걸림되게 설치되는 상방인장부(23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결속되는 긴결볼트(222)의 관통을 위한 볼트삽입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상방인장부(230)는 후술되는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길이방향 일측을 인장고정하는 부위로써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중공홀(110) 내측으로 삽입되어 감춰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방인장부(23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 고정되거나 걸림되게 설치되거나 회전되는 구조등 여러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상방인장부(2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는 상기 상방인장부(2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걸림홀(22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걸림홀(223)의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로프걸림단(2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방인장부(230)는 상기 슬로프걸림단(224)에 걸림되는 회전안착단(232)이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중공형 헤더구(231)와, 상기 헤더구(231)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인장구(233)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헤더구(231)는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안착단(232)은 상기 슬로프걸림단(224)에 대응되도록 상기 헤더구(231)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이 외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안착단(232)이 상기 슬로프걸림단(224)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회전안착단(232)의 상측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의 상측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안착단(232)의 상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텐던인장구(233)는 상기 헤더구(23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점차 작아지는 상기 헤더구(231)의 내주연에 의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외주연을 인장된 상태로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 형상을 하는 다수개의 분할쐐기편(234)과, 상기 분할쐐기편(234)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링(235)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분할쐐기편(234)이 상기 탄성링(235)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중앙부에 상기 우드폴긴장재(240)가 통과하는 긴장재패싱홀(23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방인장부(230)가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중공홀(110)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이 테이퍼지면서 좁아지는 경우와 같이 상방인장부의 삽입이 어려운 경우 상기 상방인장부(230)가 상기 베이스플레트(22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우드폴긴장재(240)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내측에 상기 상부텐셔너(210)와 하부텐셔너(250)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직립성을 원활히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우드폴긴장재(240)가 상기 상부텐셔너(210)와 하부텐셔너(250)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직립우드폴(100)에 긴장력을 부여하게 되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상기 캔틸레버(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풍하중에 대한 복원력이 형상되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변형량이 최소화됨으로써 안정된 직립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은 하나의 강선으로 이루어진 긴장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가닥이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서로 말려가는 꼬임구조의 긴장재를 목재지주의 설치상황이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우드폴긴장재(240)가 꼬임구조인 경우 낮은 연신율로 인해 상기 캔틸레버(300)에 풍하중 작용시 용이하게 대응하여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변형량을 줄여 견고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우드폴긴장재(24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내측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하부텐셔너(250)는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26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260)의 상측면에서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중공홀(110)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하방인장부(27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장착플레이트(260)의 상측에는 상기 통기유닛(150)이 안착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하방인장부(270)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하방인장부(270)는 상기 장착플레이트(260)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중공홀(110)의 내측방향으로 삽입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인서트헤더(271)와, 상기 인서트헤더(27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인서트헤더(271)의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인장바디(273)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인장바디(273)는 상기 인서트헤더(27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점차 작아지는 상기 인서트헤더(271)의 내주연에 의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외주연을 인장된 상태로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 형상을 하는 3개 이상의 분할구(274)과, 상기 분할구(274)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링부재(275)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인장바디(273)는 상기 상방인장부(230)의 텐던인장구(233)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방인장부(270)가 상기 장착플레이트(26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방인장부(270)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260)에 걸림되어 고정되거나 걸림된 상태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여기서, 상기 하방인장부(270)가 상기 장착플레이트(260)에 걸림되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장착플레이트(260)에는 상기 하방인장부(270)가 관통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피팅홀(261)이 형성되고, 상기 피팅홀(261)에는 상기 인서트헤더(271)의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경사걸림단(262)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걸림단(262)은 상기 피팅홀(261)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인서트헤더(271)의 길이방향 일측단에는 상기 경사걸림단(262)에 안착되어 걸림되는 걸림회전턱(27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회전턱(272)은 상기 경사걸림단(262)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서트헤더(271)의 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이 외향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장착플레이트(260)에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하측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보강대(265)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장착플레이트(260)에 상기 하부보강대(265)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하측이 상기 하부보강대(265)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방인장부(270)가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중공홀(110)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설치면에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하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로워픽싱부(280)가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로워픽싱부(280)의 내측에 상기 하부텐셔너(250)가 장착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로워픽싱부(280)는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는 플랜지(281)와 상기 플랜지(281)의 상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통체의 조인트관(282)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인트관(282)의 내측으로 상기 직립우드폴(100)을 삽입하도록 이루어지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일측에 상기 하부텐셔너(250)가 안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텐셔너(210)와 하부텐셔너(250)에 의해 인장고정된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강한 긴장력 및 고정력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상측에 상기 캔틸레버(300)가 설치되더라도 풍하중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직립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캔틸레버(300)는 교통시설물이나 조명장치, 표지판, 카메라 등의 중량물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인장고정유닛(400)를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캔틸레버(300)는 상기 직립우드폴(100)과 같이 다수개의 단척재를 상호 집성하여 이루어지되 내측에 인서트홀(310)이 형성되도록 집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캔틸레버(300)의 인서트홀(3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심재중공관(320)이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인장고정유닛(400)은 상기 캔틸레버(30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캔틸레버(30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자유부인장부재(410)와,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인서트홀(310)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관통되는 인장텐던(440)과,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고정부인장부재(45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캔틸레버(300)가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와 고정부인장부재(450)를 매개로 인장고정되는 상기 인장텐던(440)의 강한 긴장력 및 고정력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견고히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는 상기 캔틸레버(30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420)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2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일측을 고정하는 픽싱텐션부(430)로 구성되되 상기 픽싱텐션부(43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20)에 걸림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20)는 상기 캔틸레버(300)의 길이방향 일측 자유단에 밀착된 상태로 별도의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픽싱텐션부(430)는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일측을 인장고정하는 부위로써 상기 캔틸레버(300)의 인서트홀(310) 내측으로 삽입되어 감춰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픽싱텐션부(430)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20)에 걸림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20)에 고정되거나 걸림되어 고정되거나, 걸림되어 회전되는 구조 등 여러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픽싱텐션부(430)가 상기 캔틸레버(300)의 인서트홀(3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캔틸레버(300)이 길이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지면서 좁아지는 경우와 같이 상기 픽싱텐션부(430)의 삽입이 어려운 경우 상기 픽싱텐션부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20)에는 상기 픽싱텐션부(4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홀(421)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홀(421)의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걸림단(4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픽싱텐션부(430)는 상기 안착걸림단(422)에 걸림되는 컨택안착구(432)가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중공형 커넥터구(431)와, 상기 커넥터구(431)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인장텐던(44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픽싱구(433)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커넥터구(431)는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컨택안착구(432)는 상기 안착걸림단(422)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넥터구(431)의 단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텐던픽싱구(433)는 상기 커넥터구(43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점차 작아지는 상기 커넥터구(431)의 내주연에 의해 상기 인장텐던(440)의 외주연을 인장된 상태로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 형상을 하는 다수개의 아크분할구(434)와, 상기 아크분할구(434)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랩핑구(435)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아크분할구(434)가 상기 탄성랩핑구(435)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중앙부에 상기 인장텐던(440)기 통과하는 텐던통과공(43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장텐던(440)은 상기 캔틸레버(300)의 내측에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와 고정부인장부재(450)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캔틸레버(30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캔틸레버(300)의 인서트홀(310)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인서트홀(310)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관통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인장텐던(440)이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와 고정부인장부재(450)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캔틸레버(300)에 긴장력을 부여하게 되어 상기 캔틸레버(300)에 교통시설물이나 조명장치, 표지판, 카메라 등의 중량물이 설치된 상태에서 풍하중 발생시, 복원력이 향상되어 진동이나 풍하중에 대한 변형량이 최소화됨으로써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서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장텐던(440)은 하나의 강선으로 이루어진 긴장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가닥이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서로 말려가는 꼬임구조의 긴장재를 켄틸레버의 설치상황이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장텐던(440)이 꼬임구조인 경우 낮은 연신율로 인해 상기 캔틸레버(300)에 풍하중 작용시 용이하게 대응하여 변형량을 줄여 더욱 견고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인장텐던(440)은 필요에 따라 상기 캔틸레버(300)의 내측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인장부재(450)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상부 측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안착플레이트(460)와,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걸림되게 설치되는 인장커넥터(47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장커넥터(470)이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걸림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고정되게 설치되거나 걸림되어 고정되거나, 걸림되어 회전되는 등 여러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장커넥터(470)가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걸림되어 회전되는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는 상기 인장커넥터(47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관통홀(46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관통홀(461)에는 상기 인장커넥터(470)의 일측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걸림단(46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걸림단(462)은 상기 장착관통홀(461)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인장커넥터(470)는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방향으로 삽입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메인몸체(471)와, 상기 메인몸체(47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471)의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인장텐던(44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고정구(473)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471)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걸림단(462)에 걸림되는 대응걸림구(472)가 형성되고, 상기 대응걸림구(472)는 상기 가이드걸림단(462)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몸체(471)의 단부에서 외주연이 직경이 점차 증가되도록 외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텐던고정구(473)는 상기 메인몸체(47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점차 작아지는 상기 메인몸체(471)의 내주연에 의해 상기 인장텐던(440)의 외주연을 인장된 상태로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텐던고정구(473)는 상기 텐던픽싱구(433)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와 고정부인장부재(450)에 의해 인장고정된 상기 인장텐던(440)의 강한 긴장력 및 고정력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상측에 상기 캔틸레버(3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캔틸레버(300)에 풍하중발생시 용이하게 대응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내측에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의 우드폴긴장재(24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캔틸레버(300)에 설치되는 상기 인장고정유닛(400)의 상기 인장텐던(440)을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에 관섭되지 않도록 한 쌍의 인장텐던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으로 각각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인장부재(45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직립우드폴(100)이 하나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직립우드폴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직립우드폴 상측에 내부가 중공된 목재조인트보(500)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목재조인트보(500)는 상기 인장텐던(44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긴장부재(510)를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인장부재(450)와 동일한 구성과 구조를 갖는 일측인장부(520)을 한 쌍의 직립우드폴 중 어느 하나의 직립우드폴 상측에 설치하여 상기 긴장부재(510)의 일측을 인장하여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직립우드폴 상측에 상기 일측인장부(520)와 동일한 구성과 구조를 갖는 타측인장부(530)를 설치하여 상기 긴장부재(510)의 타측을 인장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우드폴(100)의 상측에 다른 직립우드폴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2개 이상의 직립우드폴을 연이어 설치하거나, 상기 직립우드폴(100)에 연결되는 캔틸레버를 2개 이상의 캔틸레버가 연이어 설치되는 구조를 통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직립우드폴 110: 중공홀
130: 심재 150: 통기유닛
160: 접착제층 200: 조인트스탠딩
210: 상부텐셔너 220: 베이스플레이트
230: 상방인장부 240: 우드폴긴장재
250: 하부텐셔너 260: 장측플레이트
270: 하방인장부 280: 로워픽싱부
300: 캔틸레버 310: 인서트홀
320: 심재중공관 400: 인장고정유닛
410: 자유부인장부재 420: 마운팅플레이트
430: 픽싱텐션부 440: 인장텐던
450: 고정부인장부재 460: 안착플레이트
470: 인장커넥터 500: 목재조인트보
510: 긴장부재 520: 일측인장부
530: 타측인장부

Claims (7)

  1. 설치면에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을 매개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직립우드폴(100)과,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인장고정유닛(400)을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목재의 캔틸레버(300);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고정유닛(400)은 상기 캔틸레버(30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안착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캔틸레버(30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인서트홀(3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자유부인장부재(410)와,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인서트홀(310)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관통되는 인장텐던(440)과,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고정부인장부재(450)로 구성되며,
    상기 자유부인장부재(410)는, 상기 캔틸레버(30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평판형 마운팅플레이트(420)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2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일측을 고정하는 픽싱텐션부(430)로 구성되되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20)에는 상기 픽싱텐션부(4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홀(421)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홀(421)의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걸림단(422)이 형성되고, 상기 픽싱텐션부(430)는 상기 안착걸림단(422)에 걸림되는 컨택안착구(432)가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커넥터구(431)와, 상기 커넥터구(43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점차 작아지는 상기 커넥터구(431)의 내주연에 의해 상기 인장텐던(44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픽싱구(433)로 이루어지며, 상기 텐던픽싱구(433)은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 형상을 하는 다수개의 아크분할구(434)와 상기 아크분할구(434)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랩핑구(4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인장부재(450)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상부 측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평판형 안착플레이트(460)와,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텐던(4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걸림되게 설치되는 인장커넥터(470)로 구성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는 상기 인장커넥터(47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관통홀(46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관통홀(461)에는 상기 인장커넥터(470)의 일측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걸림단(462)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걸림단(462)은 상기 장착관통홀(461)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인장커넥터(470)는, 상기 안착플레이트(460)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방향으로 삽입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가이드걸림단(462)에 걸림되는 대응걸림구(472)가 형성된 중공형 메인몸체(471)와, 상기 메인몸체(47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471)의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인장텐던(44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고정구(4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스탠딩유닛(200)은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홀(110)에 일측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상부텐셔너(210)와, 상기 중공홀(1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상부텐셔너(210)에 인장고정되는 우드폴긴장재(240)와,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하부텐셔너(25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텐셔너(210)는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 설치되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길이방향 일측을 인장고정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 걸림되게 설치되는 상방인장부(230)로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는 상기 상방인장부(2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걸림홀(22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걸림홀(223)의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로프걸림단(224)이 형성되며,
    상기 상방인장부(230)는 상기 슬로프걸림단(224)에 걸림되는 회전안착단(232)이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중공형 헤더구(231)와, 상기 헤더구(231)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인장구(233)로 이루어지며, 상기 텐던인장구(233)는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 형상을 하는 다수개의 분할쐐기편(234)과 상기 분할쐐기편(234)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링(23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텐셔너(250)는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26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260)의 상측면에서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중공홀(110)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우드폴긴장재(2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하방인장부(2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텐던(440)과 우드폴긴장재(240) 중 어느 하나는, 다수개의 가닥이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서로 말려가는 꼬임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우드폴(100)의 길이방향 하측단에는 통기유닛(1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7. 삭제
KR1020190150366A 2019-11-21 2019-11-21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KR102197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66A KR102197346B1 (ko) 2019-11-21 2019-11-21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66A KR102197346B1 (ko) 2019-11-21 2019-11-21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346B1 true KR102197346B1 (ko) 2020-12-31

Family

ID=7408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366A KR102197346B1 (ko) 2019-11-21 2019-11-21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34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062A (ja) * 2005-01-14 2006-07-27 Akita Sekizai:Kk 束石と束柱の連結具
KR101294696B1 (ko) * 2011-10-26 2013-08-08 재 술 나 가드 레일의 지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326157B1 (ko) * 2013-05-23 2013-11-20 최광철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KR101434470B1 (ko) * 2013-10-31 2014-08-27 문중묵 폐간벌목을 이용한 목재 펜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71164B1 (ko) * 2013-05-10 2014-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KR101647957B1 (ko) * 2016-01-15 2016-08-16 유한회사 성광산업 도로시설물용 횡대
KR101798638B1 (ko) * 2017-08-23 2017-11-16 휴인 주식회사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KR20180104817A (ko) * 2017-03-14 2018-09-2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프리스트레스 타입 목재 보, 그 제작 방법, 프리스트레스 타입 목재 보와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를 이용한 접합방법
JP2019019639A (ja) * 2017-07-21 2019-02-07 株式会社トラスト 車線区分柵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062A (ja) * 2005-01-14 2006-07-27 Akita Sekizai:Kk 束石と束柱の連結具
KR101294696B1 (ko) * 2011-10-26 2013-08-08 재 술 나 가드 레일의 지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471164B1 (ko) * 2013-05-10 2014-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KR101326157B1 (ko) * 2013-05-23 2013-11-20 최광철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KR101434470B1 (ko) * 2013-10-31 2014-08-27 문중묵 폐간벌목을 이용한 목재 펜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47957B1 (ko) * 2016-01-15 2016-08-16 유한회사 성광산업 도로시설물용 횡대
KR20180104817A (ko) * 2017-03-14 2018-09-2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프리스트레스 타입 목재 보, 그 제작 방법, 프리스트레스 타입 목재 보와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를 이용한 접합방법
JP2019019639A (ja) * 2017-07-21 2019-02-07 株式会社トラスト 車線区分柵
KR101798638B1 (ko) * 2017-08-23 2017-11-16 휴인 주식회사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372B1 (ko) 보부재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량지붕틀의 보강구조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102197346B1 (ko)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KR101742479B1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KR20180006191A (ko) 막구조물 코너 등분포하중용 장력조절장치
JP2654254B2 (ja) テント又は建物用の支持骨組
KR102186713B1 (ko) 텐던에 의한 직립성이 향상된 다기능 목재지주
KR200430523Y1 (ko) 가로등주의 연결구조
KR102023036B1 (ko) 고강도 강판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CN209636968U (zh) 一种无内环全张拉交叉索桁架结构
KR100901990B1 (ko) 지붕막 고정구조를 갖는 막구조 시스템
KR102197345B1 (ko)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KR101021935B1 (ko) 환경친화적 가로등 전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7344B1 (ko) 고하중 저항력을 갖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KR100497055B1 (ko) 분해조립이 가능한 도로용 지주의 고정구조
KR200446167Y1 (ko)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KR100592528B1 (ko) 지붕막 재인장 구조
JPH10219820A (ja) 組立式トラスベース構造体
KR100840031B1 (ko) 한국형 하우스 골조
JP3852202B2 (ja) トラス状骨組構造体
JP5406102B2 (ja) 屋根支持構造
KR200390342Y1 (ko) 원추형 막구조를 갖는 야외용 조경물
KR200418548Y1 (ko) 수목 지지대
CN102124920A (zh) 经济实用型多用途温室棚
CN211523512U (zh) 一种装配式膜结构异型车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