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345B1 -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 Google Patents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345B1
KR102197345B1 KR1020190124540A KR20190124540A KR102197345B1 KR 102197345 B1 KR102197345 B1 KR 102197345B1 KR 1020190124540 A KR1020190124540 A KR 1020190124540A KR 20190124540 A KR20190124540 A KR 20190124540A KR 102197345 B1 KR102197345 B1 KR 102197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hole
tensioner
tendon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웅
Original Assignee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로 이루어진 집성목재기둥의 인서트홀 내측에 하부텐셔너와 상부텐셔너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되는 인장용 텐던을 설치하여 목재 방호 울타리의 우드서포터로 사용함으로써 방호 울타리에 작용하는 고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높여 우드서포터의 변형량 최소화를 통한 견고한 목재 방호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우드서포터(100)와, 상기 우드서포터(100)를 상호 연결하는 난간부재(600)로 이루어진 방호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우드서포터(100)는, 상기 설치면에 장착되게 설치되는 하부텐셔너(200); 상기 하부텐셔너(200)의 상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서트홀(310)이 중공되게 형성된 집성목재기둥(300);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평판형 장착플레이트(41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하측면에서 상기 인서트홀(310)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방인장커넥터(4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일측면에 걸림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텐셔너(400);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인장용 텐던(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에는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결속되는 긴결볼트(411)의 관통을 위한 볼트가이드공(412)과,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가 관통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걸림홀(41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걸림홀(413)에는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의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슬로프안착단(414)이 형성되며,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은 상기 관통걸림홀(413)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는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슬로프안착단(414)에 걸림되는 걸림회전턱(422)이 형성되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헤더구(421)와, 상기 헤더구(421)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는 쐐기구(423)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회전턱(422)은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에 대응되도록 상기 헤더구(421)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이 외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회전턱(422)이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걸림회전턱(422)의 상측면과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상측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회전턱(422)의 상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HIGH PERFORMANCE WOOD GUARD FENCE}
본 발명은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로 이루어진 집성목재기둥의 인서트홀 내측에 하부텐셔너와 상부텐셔너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되는 인장용 텐던을 설치하여 목재 방호 울타리의 우드서포터로 사용함으로써 방호 울타리에 작용하는 고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높여 우드서포터의 변형량 최소화를 통한 견고한 목재 방호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 울타리는 설치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기둥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난간을 상기 기둥에 볼트 및 VIS의 관통에 의해 설치하게 된다.
볼트의 관통에 의해 상기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둥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내경이 볼트의 직경보다 커야 체결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관통공의 내경과 볼트 직경의 차이로 인해 연결부재가 흔들거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볼트의 관통을 위한 상기 관통공을 공장에서 미리 타공해야 되는 점으로 인해 난간이 설치되는 현장의 다양한 경사도에 용이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설치구간에 따라 울타리가 일정한 하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이 세분화되면서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의 지주(1)와 일정한 넓이의 보부재(2)가 연결된 일정한 크기의 울타리 구조물을 아래 표 1과 같이 설치되는 구간에 따라 하중을 달리하여 하중에 대한 대응시험을 하게 되고, 울타리의 최대잔류변형량이 아래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수치이내여야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적용구간 보행자용 방호울타리 등급구분 하중(P)
도심구간용 보행자용 방호울타리 A등급 3700N/m × L
일반구간용 보행자용 방호울타리 B등급 2500N/m × L
기타용 보행자용 방호울타리 C등급 400N/m × L
* L: 울타리의 지주와 지주사이의 거리
보행자용 방호울타리 높이 최대잔류변형량
900미만 30이하
900이상 1100미만 36이하
1100이상 45이하
*단위: mm
상기와 같은 울타리의 변형량 시험을 간략히 살펴보면 시험대상 울타리를 일정한 하중으로 잡아당겨 상기 적용구간에 해당하는 하중에 도달과 동시에 그 상태로 1분을 유지한 후 그 하중을 제거하고 변위계를 영점 조정한다. 그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다시 시험대상 울타리를 일정한 하중으로 잡아당겨 상기 적용구간에 해당하는 하중에 도달과 동시에 1분 유지후 하중을 제거하여 울타리의 최대 잔류 변형량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울타리의 내구성 특히 지주의 직립성능이 확보되지 않으면 울타리의 설치에 제한이 따름은 물론 보행자 보호의 측면에서 울타리로써의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실정에 부합되는 견고한 울타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울타리의 지주 설치간격이 넓으면 경제성은 향상되나 견뎌야하는 하중값은 상기 지주의 설치간격 만큼을 곱한 값으로 상승되므로 상기 보부재에서부터 전달되어지는 수평의 고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지주의 직립성능이 대폭 향상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 하중은 상부(수직) 또는 측방(수평)에서 하중이 시작되고, 그 하중은 상기 보부재를 거쳐 상기 지주를 통해 기초로 전달되다. 여기서, 상기 보부재의 하중을 상기 지주로 전달시키는 중요한 요소가 상기 보부재를 상기 지주에 결합하는 결속유닛이며, 상기 지주로 전달된 하중을 기초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주와 기초를 긴결하는 부재 및 방식의 역할이 중요하게 되므로,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울타리 구조물의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울타리에서 지주부재가 목재로 이루어진 경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타리 구조물의 설치면에 일정넓이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연결볼트구(20)에 의해 목재의 지주부재를 직립되게 설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목재 지주부재(10)를 설치하는 경우 울타리 구조물에 상부 횡력 발생시, 상기 목재 지주부재(10)의 하부가 상기 연결볼트구(20)에서 빠져 직립성을 잃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 지주부재(10)가 직립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목재 지주부재(10)의 길이방향 하측을 감싸도록 수용하는 철재의 고정부재(30)를 설치하여, 상기 목재 지주부재(10)의 하부를 상기 고정부재(30)의 내부에 삽입후 고정볼트구(40)를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 지주부재(10)의 측면에 박히는 상기 고정볼트구(40)로 인해 상기 목재 지주부재(10)의 측면에 크랙(15)이 발생하게 되고, 그러한 상태로 울타리 구조물의 장기간 사용에 의해 잦은 횡력발생시, 상기 크랙형성부위를 시작으로 크랙이 확장되어 상기 목재 지주부재(10)의 직립성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목재 지주부재(10)를 고정부재(30)에 끼우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부재(30)의 내경보다 상기 목재 지주부재(10)의 외경이 작아야 하고, 이러한 상태로 설치되면 상기 목재 지주부재(10)이 수축 건조 되었을 때 상기 목재 지주부재의 외경이 더 작아지므로 결국 상기 고정볼트구(40)로 고정하더라도 상기 목재 지주부재(10)가 흔들릴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249호의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성목재기둥의 내측에 하부텐셔너와 상부텐셔너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되는 인장용 텐던을 설치하여 목재 방호 울타리의 우드서포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우드서포터에 수평 및 수직하중 발생시, 상기 우드서포터의 변형량을 최소화하여 고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높여 견고한 목재 방호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장용 텐던을 인장하는 상기 하부텐셔너와 상부텐셔너의 인장부위를 상기 집성목재기둥의 내부로 삽입하여 숨김으로써 목재 방호 울타리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인장부위의 훼손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연신율이 낮은 꼬임구조의 인장용 텐던을 사용하여 상기 집성목재기둥의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목재 방호 울타리에 작용하는 고하중에 대한 우드서포터의 변형량을 줄여 견고한 울타리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꼬임구조의 인장용 텐던의 인장시 발생하는 단면상 회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하부텐셔너와 상부텐셔너의 인장부위가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인장용 텐던의 인장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장용 텐던의 긴장력을 상기 집성목재기둥의 상측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목재 방호 울타리가 설치되는 구간이나 난간지주 사이의 거리에 따라 수평 및 수직하중에 대한 우드서포터의 저항성능을 용이하게 조잘할 수 있도록 하며, 목재 방호 울타리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인장용 텐던의 긴장력 저하시 재긴장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우드서포터(100)와, 상기 우드서포터(100)를 상호 연결하는 난간부재(600)로 이루어진 방호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우드서포터(100)는, 상기 설치면에 장착되게 설치되는 하부텐셔너(200); 상기 하부텐셔너(200)의 상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서트홀(310)이 중공되게 형성된 집성목재기둥(300);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평판형 장착플레이트(41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하측면에서 상기 인서트홀(310)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방인장커넥터(4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일측면에 걸림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텐셔너(400);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인장용 텐던(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에는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결속되는 긴결볼트(411)의 관통을 위한 볼트가이드공(412)과,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가 관통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걸림홀(41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걸림홀(413)에는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의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슬로프안착단(414)이 형성되며,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은 상기 관통걸림홀(413)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는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슬로프안착단(414)에 걸림되는 걸림회전턱(422)이 형성되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헤더구(421)와, 상기 헤더구(421)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는 쐐기구(423)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회전턱(422)은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에 대응되도록 상기 헤더구(421)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이 외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회전턱(422)이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걸림회전턱(422)의 상측면과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상측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회전턱(422)의 상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장용 텐던(500)은 다수개의 가닥이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서로 말려가는 꼬임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텐셔너(200)는 설치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측면에서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500)을 인장고정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 걸림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방인장커넥터(2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가 관통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걸림공(214)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걸림공(214)에는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의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경사걸림단(215)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걸림단(215)은 상기 장착걸림공(214)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걸림되는 회전가이드턱(222)이 형성되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인서트헤더(221)와, 상기 인서트헤더(221)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고정구(2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텐셔너(400)에는 상기 난간부재(600)의 설치를 위한 난간설치유닛(430)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인서트홀(310)로 삽입되어 외주연이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주연에 접착제층(340)을 매개로 접착되는 하부보강구(250)가 설치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성목재기둥의 내측에 인장력이 부여되는 인장용 텐던을 설치하여 목재 방호 울타리의 우드서포터로 사용함으로써 목재 방호 울타리에 수평 및 수직하중 발생시 우드서포터의 변형량이 최소화되어 견고한 목재 방호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인장용 텐던의 인장부위가 집성목재기둥의 내측에 숨겨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목재 방호 울타리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인장부위의 훼손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신율이 낮은 꼬임구조의 인장용 텐던을 사용하여 목재 방호 울타리에 작용하는 고하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인장용 텐던을 인장하는 하부텐셔너와 상부텐셔너의 인장부위가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인장용 텐던의 인장시 발생하는 회전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상기 인장용 텐던의 긴장력을 상기 집성목재기둥의 상측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목재 방호 울타리가 설치되는 구간이나 난간지주 사이의 거리에 따라 수평 및 수직하중에 대한 우드서포터의 저항성능을 용이하게 조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의 우드서포터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저면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성목재기둥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성목재기둥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텐셔너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텐셔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호 울타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호 울타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호 울타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호 울타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서포터의 상측에 두겁대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우드서포터의 상측에 두겁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에 하부보강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0은 방호 울타리의 하중에 대한 시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1은 방호 울타리에 작용하는 하중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2는 종래 목재 방호 울타리의 지주부재가 직립되게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23은 종래 목재 방호 울타리의 지주부재가 직립되게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24은 종래 지주부재에 크랙이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의 우드서포터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저면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성목재기둥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성목재기둥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텐셔너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텐셔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호 울타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호 울타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호 울타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호 울타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서포터의 상측에 두겁대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우드서포터의 상측에 두겁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텐셔너에 하부보강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는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우드서포터(100)와, 상기 우드서포터(100)를 상호 연결하는 난간부재(600)로 이루어진 방호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우드서포터(100)는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는 하부텐셔너(200)와, 상기 하부텐셔너(200)의 상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집성목재기둥(300)과,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텐셔너(400)와,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에 연결되어 인장력이 부여되게 고정설치되는 인장용 텐던(500)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는 집성목재기둥(300)에 인서트홀(310)을 형성한 후,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장용 텐던(500)이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긴장력 부여 및 하중에 대한 복원력 향상을 통해 울타리 구조물의 변형량을 줄임으로써 견고한 목재 방호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장용 텐던(500)를 인장하는 인장부위가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인서트홀(310) 내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목재 방호 울타리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인장부위의 훼손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텐셔너(200)는 상기 설치면에 장착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인장고정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텐셔너(20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설치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측면에서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500)을 인장고정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 걸림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방인장커넥터(22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하측에 결속되는 고정스크류(211)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삽입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단면 면적보다 넓게 하여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하측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면에 앙카볼트(213)나 용접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가 관통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걸림공(214)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걸림공(214)에는 후술되는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의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경사걸림단(215)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걸림단(215)은 상기 장착걸림공(214)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는 후술되는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일측을 인장고정하는 부위로써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인서트홀(310) 내측으로 삽입되어 방호 울타리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훼손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가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인서트홀(310)으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설치면에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의 삽입을 위한 별도의 구멍가공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방호 울타리의 우스서포터 설치에 따른 작업공수의 증가로 울타리 설치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가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인서트홀(310) 내부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후술되는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원활한 인장고정 및 우드서포터(100)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걸림되는 회전가이드턱(222)이 형성되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인서트헤더(221)와, 상기 인서트헤더(221)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고정구(223)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회전가이드턱(222)은 상기 경사걸림단(215)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서트헤더(221)의 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이 외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가이드턱(222)이 상기 경사걸림단(215)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회전가이드턱(222)의 하측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하측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가이드턱(222)의 하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텐던고정구(223)는 깔때기 형상으로 상기 인서트헤더(221)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인서트헤더(221)의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외측면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되 외주연이 상기 인서트헤더(221)의 내주연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텐던고정구(223)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텐던고정구(223)는 외주연과 내주연이 호 형상을 하는 3개의 분할쐐기편(224)과, 상기 분할쐐기편(224)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227)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분할쐐기편(224)이 상기 탄성부재(227)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중앙부에 상기 인장용 텐던(500)이 통과하는 텐던통과공(2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분할쐐기편(224)의 내주연에는 나사산과 같은 형상으로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돌출가압부(226)가 마련되어 상기 텐던고정구(223)를 상기 인서트헤더(221)의 내측에 삽입시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외측을 견고히 물고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은 상기 하부텐셔너(200)의 상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서트홀(310)이 중공되게 형성된 것으로, 일정길이의 목재부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인서트홀(310)을 천공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인서트홀(310)을 일직선상으로 가공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단척재를 상호 집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서트홀(310)이 형성되는 부위의 단척재에 호 형상의 홀가공을 하여 상호 집성시 상기 인서트홀(31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제작시 상기 인서트홀(310)과 더불어 별도의 전선인입공(320)이 형성되도록 하여 방호 울타리에 조명시설을 설치시, 상기 조명시설로의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선이 상기 전선인입공(320)을 통해 상기 조명시설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하측단에는,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집성목재기둥(300) 사이의 통기성을 확보하거나 빗물의 외부유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통기유닛(23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통기유닛(23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통기유닛(2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측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밀착판(231)과, 상기 밀착판(231)의 상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간격대(23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통기유닛(230)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측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이 고정스크류(211)에 의해 직립되게 설치되면 상기 통기유닛(230)의 간격대(232)로 인해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단부방향에 통기공(233)이 형성되고, 우천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외표면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이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하단에 정체되지 않고, 상기 통기공(233)을 통해 외부로 유동하게 됨은 물론 상기 통기공(233)으로 인해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하단 건조가 빠르게 진행되어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하단 부폐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하단 부폐로 인한 상기 고정스크류(211)의 결속력 저하문제가 후술되는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인장력 손실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통기유닛(230)이 상기 밀착판(231)과 간격대(232)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다수개의 간격대를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을 설치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면 사이에 통기공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거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측면을 따라 하측방향을 이동된 빗물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외부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등 여러 다양한 구조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상부텐셔너(400)는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41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하측면에서 상기 인서트홀(310)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방인장커넥터(4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일측면에 걸림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에는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결속되는 긴결볼트(411)의 관통을 위한 볼트가이드공(412)과,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가 관통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걸림홀(4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걸림홀(413)에는 후술되는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의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슬로프안착단(414)이 형성되고,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은 상기 관통걸림홀(413)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는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슬로프안착단(414)에 걸림되는 걸림회전턱(422)이 형성되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헤더구(421)와, 상기 헤더구(421)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는 쐐기구(423)로 구성된다.
즉, 상기 걸림회전턱(422)은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에 대응되도록 상기 헤더구(421)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이 외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회전턱(422)이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걸림회전턱(422)의 상측면과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상측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회전턱(422)의 상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쐐기구(423)는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의 텐던고정구(223)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관통걸림홀(413)을 관통한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가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인서트홀(310)로 삽입되어 감춰지므로 방호 울타리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훼손이나 파손이 방지되어 후술되는 인장용 텐던의 지속적인 긴장력 유지를 가능케 하여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직립성능을 장기간 원활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장용 텐던(500)은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이 상기 고정스크류(211)의 결속에 의해 직립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를 통해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내측에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설치되는 상기 인장용 텐던(500)으로 인해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직립성이 향상됨에 따라 상기 우드서포터(100)에 작용하는 수평하중과 더불어 수직하중과 같은 고하중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직립된 상태를 지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내측에 상기 인장용 텐던(500)을 인장하여 설치함에 따라 상기 우드서포터(100)에 긴장력을 부여함은 물론 하중에 대한 복원력이 향상되어 목재 방호 울타리의 변형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인장용 텐던(500)은 다수개의 가닥이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서로 말려가는 꼬임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나의 강선으로 이루어진 인장용 텐던보다 낮은 연신율을 갖는 꼬임구조의 인장용 텐던을 채택함으로써 울타리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변형량을 줄여 더욱 견고한 목재 방호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여기서, 꼬임구조의 상기 인장용 텐던(500)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를 연결하여 잡아당기는 인장력 부여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꼬임구조의 상기 인장용 텐던(500)이 단면상 꼬임되는 반대방향으로 자체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와 상방인장커넥터(420)가 회전됨에 따라 꼬임구조의 인장용 텐던의 인장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내측에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에 의해 인장고정되는 상기 인장용 텐던(500)을 설치하여 상기 우드서포터(100)가 울타리에 작용하는 수평 및 수중 하중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고 견고한 목재 방호 울타리를 장기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장용 텐던(500)을 인장하는 부위인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의 하방인장커넥터(220)와 상방인장커넥터(420)를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인서트홀(310) 내부로 숨겨 목재 방호 울타리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인장부위의 훼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의 외부노출로 인한 상부캡의 설치로 제작비용의 증가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신률이 낮은 꼬임구조의 인장용 텐던(500)를 사용하여 수평 및 수중하중에 대한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변형량을 줄여 더욱 견고한 목재 방호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꼬임구조의 인장용 텐던(500)의 인장시 발생하는 단면상 회전에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과 상방인장커넥터(420)가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의 손상방지 및 안정된 인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우드서포터의 내측에 인장용 텐던을 설치하여 장기간 사용시 우드서포터의 가장 큰 단점인 흔들거리는 하자를 근원적으로 방지하여 최근 강화되고 있는 새로운 규정에 부합하면서 종래에 비해 더욱 견고한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에 의해 인장고정된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강한 긴장력 및 고정력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상부에 추가적인 난간부재를 설치하거나 측면의 난간부재에 수직 및 수평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견고한 울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상측에 상기 상부텐셔너(4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상부에 상부캡(330)을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상부캡(330)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상부텐셔너(400)에 의해 인장고정된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일정길이 상기 상부텐셔너(400)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하여 목재 방호 울타리의 장기간 사용에 의한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긴장력 손실시 상기 인장용 텐던(500)을 재긴장하여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고하중 저항성능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텐셔너(400)에 의해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유지 및 보수 작업 즉 상기 인장용 텐던의 긴장력 부여 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상기 상부텐셔너(400)의 상방인장커넥터(420)가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인서트홀(310)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캡(330)의 형상이 커지거나 복잡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목재 방호 울타리가 설치되는 구간이나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설치간격에 따라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긴장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저항성능을 현장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텐셔너(400)가 설치된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상측에는 일정길이의 보부재로 형성된 상기 난간부재(600)의 설치를 위한 난간설치유닛(430)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난간설치유닛(430)은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안착결속판(431)과 상기 안착결속판(431)의 상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상기 난간부재(600)의 단면에 대응하는 난간대삽입공(미부호)이 형성된 난간연결구(4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난간설치유닛(430)을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어 상기 우드서포터(100)에 난간부재의 설치시 상기 우드서포터(100)에 볼팅결합부위를 줄여 내구성이 향상된 목재 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목재 방호 울타리의 제조시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측면에 난간부재(600)가 결합되지 않는 설계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목재 방호 울타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써의 상기 난간설치유닛(430)은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외측면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장착편(433)과 상기 연장장착편(433)의 길이방향 하측에서 상기 난간부재(6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난간지지구(434)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연장장착편(433)과 난간지지구(434)로 이루어진 상기 난간설치유닛(430)은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분리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의 상기 난간설치유닛(430)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하부텐셔너(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기 상부텐셔너(400)의 장착플레이트(4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측방밀착판(435)과 상기 측방밀착판(435)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난간부재(600)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난간고정구(436)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측방밀착판(435)과 난간고정구(435)으로 이루어진 상기 난간설치유닛(4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장착플레이트(410)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분리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난간고정구(435)는 상기 방호난간을 고정하기 위한 여러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일정길이의 보형상을 갖는 상기 난간부재(600)를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길이방향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경우, 별도의 결속유닛(610)에 의해 설치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결속유닛(610)은 상기 난간부재(600)와 우드서포터(100)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밀착고정편(611)과, 상기 밀착고정편(611)을 관통하여 상기 난간부재(600)와 우드서포터(100)에 연결되는 연결결속구(61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난간부재(600)가 일정한 패턴이 형성된 일정면적의 판상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결속유닛(610)의 밀착고정편(611)이 상기 난간부재(600)의 길이방향 양측을 감싸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난간부재(600)을 고정하면서 상기 연결결속구(612)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다양한 구조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난간부재(600)가 투명체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결속유닛(610)의 밀착고정편(611)은 상기 투명체의 난간부재 양측면에 밀착고정되면서 상기 연결결속구(612)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단면상 ㄷ"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체의 상기 난간부재(600)를 고정하면서 상기 연결결속구(612)가 관통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다양한 구조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난간부재(600)가 일정한 길이의 와이어로프로 형성된 경우, 상기 결속유닛(610)은 상기 우드서포터(100)에 밀착되게 설치되게 설치되되 상기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진 난간부재를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로프고정구(614)가 형성된 지주장착판(613)과, 상기 지주장착판(613)을 관통하여 상기 우드서포터(100)에 결속되는 결속볼트구(615)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속유닛(610)이 상기 지주장착판(613)과 결속볼트구(615)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와이어로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결속볼트구(615)에 의해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여러 다양한 구조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두겁대(70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면적을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단면 면적보다 넓게 하여 상기 두겁대(700)를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안착시킨 후, 상기 장착플레이트(410)를 관통하는 두겁대정착구(710)에 의해 상기 두겁대(700)를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상측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목재 방호 울타리의 시공시 울타리가 꺾이거나 굴곡지는 구간에서 상기 두겁대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에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두겁대(700)에 연결되는 두겁대장착편(720)을 설치하여 목재 방호 울타리의 굴곡진 설치구간에서의 두겁대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상부에 상기 두겁대(70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두겁대(700) 또한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긴장력을 통한 고정력이 전달되어 더욱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텐셔너(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인서트홀(310)으로 삽입되어 외주연이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주연에 접착제층(340)을 매개로 접착되는 하부보강구(25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하부보강구(250)가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인서트홀(310)에 삽입되어 상기 접착제층(340)에 의해 접착고정됨에 따라 상기 인장용 텐던(500)에 의한 고정력과 더불어 상기 우드서포터(100)의 하부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우드서포터 200: 하부텐셔너
210: 베이스플레이트 220: 하방인장커넥터
230: 통기유닛 300: 집성목재기둥
310: 인서트홀 320: 전선인입공
330: 상부캡 400: 상부텐셔너
410: 장착플레이트 420: 상방인장커넥터
430: 난간설치유닛 500: 인장용 텐던
600: 난간부재 610: 결속유닛
700: 두겁대 710: 두겁대정착구
720: 두겁대장착편

Claims (6)

  1. 설치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우드서포터(100)와, 상기 우드서포터(100)를 상호 연결하는 난간부재(600)로 이루어진 방호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우드서포터(100)는, 상기 설치면에 장착되게 설치되는 하부텐셔너(200); 상기 하부텐셔너(200)의 상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서트홀(310)이 중공되게 형성된 집성목재기둥(300);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평판형 장착플레이트(410)와,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하측면에서 상기 인서트홀(310)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방인장커넥터(4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일측면에 걸림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텐셔너(400);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하부텐셔너(200)와 상부텐셔너(400)에 의해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인장용 텐던(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에는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길이방향 상측에 결속되는 긴결볼트(411)의 관통을 위한 볼트가이드공(412)과,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가 관통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걸림홀(41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걸림홀(413)에는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의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슬로프안착단(414)이 형성되며,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은 상기 관통걸림홀(413)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방인장커넥터(420)는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슬로프안착단(414)에 걸림되는 걸림회전턱(422)이 형성되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헤더구(421)와, 상기 헤더구(421)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고정하는 쐐기구(423)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회전턱(422)은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에 대응되도록 상기 헤더구(421)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이 외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회전턱(422)이 상기 슬로프안착단(414)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걸림회전턱(422)의 상측면과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상측면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회전턱(422)의 상측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용 텐던(500)은, 다수개의 가닥이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서로 말려가는 꼬임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텐셔너(200)는, 설치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2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측면에서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측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500)을 인장고정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 걸림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방인장커넥터(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가 관통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걸림공(214)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걸림공(214)에는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의 길이방향 일측이 걸림된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경사걸림단(215)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걸림단(215)은 상기 장착걸림공(214)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걸림되는 회전가이드턱(222)이 형성되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중공형 인서트헤더(221)와, 상기 인서트헤더(221)의 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인장용 텐던(500)의 외주연을 압박하면서 인장고정하는 텐던고정구(2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텐셔너(400)에는 상기 난간부재(600)의 설치를 위한 난간설치유닛(430)이 상기 장착플레이트(41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는, 상기 하방인장커넥터(22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집성목재기둥(300)의 인서트홀(310)로 삽입되어 외주연이 상기 인서트홀(310)의 내주연에 접착제층(340)을 매개로 접착되는 하부보강구(2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KR1020190124540A 2019-10-08 2019-10-08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KR102197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540A KR102197345B1 (ko) 2019-10-08 2019-10-08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540A KR102197345B1 (ko) 2019-10-08 2019-10-08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345B1 true KR102197345B1 (ko) 2020-12-31

Family

ID=7408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540A KR102197345B1 (ko) 2019-10-08 2019-10-08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7346A1 (de) 2021-03-29 2022-10-06 Neue Holzbau Ag Lungern Verbindungsanordnung zum verbinden von zwei bauteilen im bauwes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062A (ja) * 2005-01-14 2006-07-27 Akita Sekizai:Kk 束石と束柱の連結具
KR101294696B1 (ko) * 2011-10-26 2013-08-08 재 술 나 가드 레일의 지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434470B1 (ko) * 2013-10-31 2014-08-27 문중묵 폐간벌목을 이용한 목재 펜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71164B1 (ko) * 2013-05-10 2014-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KR101647957B1 (ko) * 2016-01-15 2016-08-16 유한회사 성광산업 도로시설물용 횡대
KR101798638B1 (ko) * 2017-08-23 2017-11-16 휴인 주식회사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KR20180104817A (ko) * 2017-03-14 2018-09-2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프리스트레스 타입 목재 보, 그 제작 방법, 프리스트레스 타입 목재 보와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를 이용한 접합방법
JP2019019639A (ja) * 2017-07-21 2019-02-07 株式会社トラスト 車線区分柵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062A (ja) * 2005-01-14 2006-07-27 Akita Sekizai:Kk 束石と束柱の連結具
KR101294696B1 (ko) * 2011-10-26 2013-08-08 재 술 나 가드 레일의 지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471164B1 (ko) * 2013-05-10 2014-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KR101434470B1 (ko) * 2013-10-31 2014-08-27 문중묵 폐간벌목을 이용한 목재 펜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47957B1 (ko) * 2016-01-15 2016-08-16 유한회사 성광산업 도로시설물용 횡대
KR20180104817A (ko) * 2017-03-14 2018-09-2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프리스트레스 타입 목재 보, 그 제작 방법, 프리스트레스 타입 목재 보와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를 이용한 접합방법
JP2019019639A (ja) * 2017-07-21 2019-02-07 株式会社トラスト 車線区分柵
KR101798638B1 (ko) * 2017-08-23 2017-11-16 휴인 주식회사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7346A1 (de) 2021-03-29 2022-10-06 Neue Holzbau Ag Lungern Verbindungsanordnung zum verbinden von zwei bauteilen im bauwes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3027B2 (en) Cable system and method for wind-resistant buildings
US7802351B2 (en) Compression post mount
US6718710B2 (en) Post mount
US7757439B1 (en) Fabric structures with tensioner and tensioner device
CN110374010B (zh) 一种斜拉索临时减振的施工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197345B1 (ko)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KR101083119B1 (ko) 목재 데크 구조물 및 그 친환경 시공방법
KR101883734B1 (ko) 막구조물 코너 등분포하중용 장력조절장치
US560364A (en) Fence
KR102465048B1 (ko) 막재시공 및 재인장이 편리한 인장장치
KR101178814B1 (ko)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또는 펜스
KR102197344B1 (ko) 고하중 저항력을 갖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KR102197342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이용한 고성능 울타리 구조물
KR102197343B1 (ko) 텐던 인장형 고성능 울타리 구조물
KR101754939B1 (ko) 내구성 향상을 위한 주춧돌 위의 목재기둥 설치구조 및 그것이 적용된 정자와 퍼걸러
KR102186713B1 (ko) 텐던에 의한 직립성이 향상된 다기능 목재지주
KR200346218Y1 (ko)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조임장치
KR101097833B1 (ko) 조립식 스틸펜스
KR102197346B1 (ko)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KR101573821B1 (ko) 두겁대의 설치가 용이한 목재형 데크로드 난간
KR102446503B1 (ko) 목재기둥의 직립성이 향상된 목조 구조물
KR200496257Y1 (ko) 견고한 시공이 가능한 목재기둥의 조립구조
JP2011032824A (ja) 部材の締結構造
KR102347310B1 (ko) 목조건축물의 구조유닛
CN212405455U (zh) 一种木梁悬挑骨架及遮阳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