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538B1 -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538B1
KR101781538B1 KR1020170020208A KR20170020208A KR101781538B1 KR 101781538 B1 KR101781538 B1 KR 101781538B1 KR 1020170020208 A KR1020170020208 A KR 1020170020208A KR 20170020208 A KR20170020208 A KR 20170020208A KR 101781538 B1 KR101781538 B1 KR 10178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box
control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비씨
Priority to KR102017002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Abstract

본 개시의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는 전후 또는 좌우로 폭이 넓은 타원형의 슬롯을 가진 제어판을 이용하여 가변박스가 기초 콘크리트를 덮도록 하였다. 본 개시의 지지 장치는 제작, 설치 및 관리가 편하고 경제적이며, 어느 방향으로도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Concrete foundation incorporating variable type pole support apparatus with easy control of height and slant}
본 발명은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과 같은 지주(pole)는 다수인의 이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지면에 설치하기 위해 지면을 일정 깊이로 파고, 그 내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이 기초 콘크리트에 기둥을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 지면에 설치되던 가로등과 같은 설비에 구비된 기둥은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에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며 볼트결합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기둥을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기초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베이스 플레이트를 기초 콘크리트에 결합시키는 앵커볼트와, 외부의 충격이나 바람 등에 의해 기둥이 기울어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기둥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삼각지지대 등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앵커볼트와 삼각지지대가 지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이 지면을 파서 고정 설치되는 설비의 기둥에는 가로등 기둥뿐만 아니라, 도로안내표지판 기둥, 교차로나 횡단보도의 신호등 기둥, CCTV 카메라 기둥, 전봇대나 통신주, 건축구조물 기둥, 교량의 교각 기둥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설비 기둥들을 지면에 고정 설치한 후 지면 상부로 드러나는 앵커볼트와 삼각지지대 등에 의해 도시 미관을 저해 및 유효 보행로 폭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삼각지지대의 측면에 보행자들이 걸려 넘어져 부상을 당하는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또한, 평평한 지면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사도를 갖는 지면에 가로등과 같은 지주시설물이나 전기 맨홀 또는 통신 맨홀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핸드홀들을 설치해야 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지주시설물이나 핸드홀의 설치 후 지면으로 노출되는 마감 재료가 지면의 경사도와 같은 기울기를 갖도록 기울어지게 설치하거나 단차 없이 평행하게 설치하기는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지주 및 핸드홀 커버 장치" 제하의 한국등록특허 제1066030호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면의 아래부터 위로 차례로 기초 큰크리트(130'), 하부박스(200') 및 가변박스(300')를 설치하고 지주(100')를 앵커볼트(120')를 통하여 기초 콘크리트(130') 내부에 매입하고 있다.
하부박스(200')에는 가변홀(210')이 형성되고, 가변박스(300')의 하면에는 가변볼트(410')가 설치되고, 가변볼트(410')상에 가변너트(420')가 나사 결합하도록 하고, 도 1에서와 같이 지반(G.L)의 오른쪽이 높도록 경사진 경우, 오른쪽 가변볼트(410')가 가변홀(210')에 삽입되는 길이가 왼쪽의 가변볼트(410')의 삽입 길이보다 짧도록 기울기를 조절하고, 각각의 가변너트(420')가 가변홀(210')의 입구에 걸리도록 하면, 가변박스(300')의 기울기가 지면(G.L)의 기울기와 같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덮개를 덮어 폐쇄하면, 경사진 지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430')은 라운딩된 캡으로서 가변너트(420')와 가변홀(210')의 입구 사이에 개재되어 부재간 충격을 완화하고 있다.
지반(G.L)의 왼쪽이 높도록 경사진 경우에는, 도 2의 좌우와 반대가 되게 가변박스(300')를 하부박스(200')에 연결하면 된다.
이 선행특허는 경사진 지면에 최적화된 지주 지지용 설치 구조로 시장의 호평을 받아 상품화 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하부박스(200')를 별도로 제작하고 하부박스(200')에 가변홀(210')을 형성하는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둘째, 가변홀(210')의 형상이 항상 동일하고, 라운딩캡(430')은 일종의 와셔 같은 역할을 하므로, 지면의 기울기에 맞추어 가변박스(300')를 4방향으로 골고루 정확히 기울여 중심을 맞추기 어렵고 높이 단차 및 기울기의 조정에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셋째, 토목공사 공정상 콘크리트기초 상부에 하부박스, 가변박스 및 덮개를 먼저 설치하고 토목마감공사를 마무리하고 지주(pole)를 나중에 설치할 경우에 베이스커버 중심축이 이동되어 재시공 하는 문제가 있다.
넷째, 콘크리트기초가 경계석과 밀착되게 설치하면 전후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지주가 차도와 인도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경계석을 기준으로 좌우 경사차가 심한 편이고, 어떤 곳은 차도의 지면이 높고 어떤 곳은 인도의 지면이 높은 등 도로 사정이 일정하지 않으며, 도로의 좌우는 물론 예를 들어 보행자 도로의 전후 방향으로도 지면이 기울어진 조건에서는 후자의 단점을 개선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평 도로에서 토목공사를 할 경우 지면(보도블럭, 화강석 등의 마감재료로 마감된)의 레벨은 우수를 맨홀로 유도하여 배수할 목적으로 약 2도 이상의 구배가 형성된다. 기초 콘크리트 상단의 면적이 500mm * 500mm인 경우는 약 17mm, 650mm * 650mm인 경우는 약 22mm의 단 차이가 형성되어 보행로 보행 시 걸림돌이 되고, 특히 눈비 올 때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여 불필요한 사회적 의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 도로의 토목 공사 현장의 작업 공정에서 지주를 설치하려면 콘크리트기초를 선 공사 후 토목 마감 재료 공사를 하기 때문에 지주의 위치마다 지면의 레벨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지면과 수평으로, 즉 경사진 지면과 평행하게 콘크리트 기초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며,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높이 및 기울기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고, 보행자 도로와 차도 사이 또는 보행자 도로까지 널리 적용될 수 있는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지면의 하부에서부터 차례로 측면에 케이블홈이 형성된 베이스와, 지주에 연결되는 앵커볼트를 수용한 빈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그 위에 형성된 블럭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기초; 가운데에 지주가 통과하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위로 포개질 수 있는 가변박스로서, 상기 가변박스의 하면으로부터는 가변너트가 체결된 가변볼트가 하향 연장하도록 된 가변박스; 및 가운데에 지주가 통과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변박스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블럭에는 복수의 제1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홈에는 컨트롤박스가 매입되며, 상기 가변볼트는 가변너트가 상기 컨트롤박스에 걸리는 위치까지 상기 컨트롤박스 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장치의 설치 높이와 기울기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와 블록 사이에는 엘(L)자 모양의 단차를 형성하여, 베이스가 경계석과 밀착되게 설치되어도 가변박스가 경계석과 간섭 없이 기울기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컨트롤박스는 가운데에 타원형의 슬롯이 형성된 제어판과, 상기 제어판이 상면에 결합되며 제1 체결홈에 매입되는 형상을 가지는 긴 슬림형의 조정 칼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는 바닥면은 밀폐되고 내부는 빈공간으로 유지되며, 상기 제어판의 상면에 결합되며 타원형의 슬롯을 구비한 보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판과 상기 보강판은 일체로 합체되며,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조정칼럼과 상기 제어판 사이에 개재되며 소정 형상의 슬롯을 가지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정박스, 지지판, 제어판 및 보강판에는 복수의 제2 체결홈이 형성되고, 제2 체결홈을 통과하는 볼트에 의한 나사 결합으로 일체로 컨트롤박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판 및 보강판의 슬롯은 타원의 장반경 위치가 변하도록 소정 각도 회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베이스의 일 측면은 지면에 수직한 수직면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 상기 가변박스 및 덮개는 적어도 2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박스가 생략되어 경제적이며 설치 시간이 기존보다 단축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의 전후 좌우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방향으로도 높이와 기울기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컴팩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다량 제작에 유리하다.
도 1 및 도 2는 선행기술의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컨트롤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주 지지 장치의 콘크리트 기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지면에 경사나 기울기가 없는 공사에 적합한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비대칭형 지지장치를 평평한 인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비대칭형 지지장치를 경사가 있는 인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컨트롤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컨트롤부를 이용한 지지장치를 인도에 시공한 다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 ⅱ),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컨트롤 박스의 분리 사시도이다.
"지주(pole)"라 함은 도로에 설치되는 가로등, 도로안내표지판, 교차로나 횡단보도의 신호등, CCTV 카메라, 전봇대나 통신주, 건축구조물, 교량 등 다양한 종류의 건축물의 기둥 또는 칼럼을 의미하며, 어느 구조물로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1)는 하부에서부터 차례로 콘크리트 기초(2), 가변박스(20) 및 커버(40)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기초(2)는 사다리꼴 형상의 4 측면을 포함하는 육면체의 베이스(6)와 베이스(6)에 일체로 위에 형성된 블럭(10)을 포함한다. 베이스(6)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중심을 향하여 경사진 절두형의 피라미드 형상을 하고 있다. 베이스(6)의 면에는 케이블을 인출하기 위한 케이블홈(8)이 형성된다. 케이블홈(8)은 복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나, 크기와 숫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블럭(10)은 가운데 수용홈(12)이 형성된 사각의 박스형으로 높이가 짧으며, 상부의 네 개 코너에는 제1 체결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2)은 밑면의 지름이 상면의 지름보다 작은, 즉 위로 갈수록 공간이 다소 넓어져 지주와 관련부재 - 베이스플레이트 또는 삼각지지대 - 를 수용하기 용이하며 거푸집 탈형이 간편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앵커볼트와 삼각지지대 등이 도로 위로 노출되어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그리고 경사도를 갖는 지면과 단차이 발생 및 유효 보행로 폭 감소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베이스(6)와 블록(10)사이에는 도시한 것과 같이 단차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가변박스(20)가 지상 또는 지하물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면서 기울기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수용홈(12)을 둘러 4개소에는 지주에 연결된 앵커볼트(16)가 설치되고, 수용홈(12)의 하면에는 케이블(8)과 연통된 복수의 케이블홈(8a)이 형성되며, 지주에 연결된 전선들은 케이블홈(8,8a)을 통과하여 전기 설비까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가변박스(20)는 가운데 제1 개구(24)가 형성된 사각의 박스형이나 폭이 블럭(10)보다 크고 측면 4면이 둘러싸는 내부가 빈 공간이므로, 블럭(10)위로 포개질 수 있다.
가변박스(20) 커버의 하면 4코너에는 가변볼트(28)가 길게 하향 연장되고, 가변볼트(28)상의 소정 위치에는 단면이 반원 형상의 가변너트(30)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가변너트(30)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변너트(30)는 가변볼트(28)의 나사산을 따라 상향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변볼트(28)의 나사산을 따라 하향한다.
가변볼트(28)는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박스를 경유하여 블럭(10)의 제1 체결홈(14) 안으로 진입 가능하다. 높이와 기울기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변박스(20)는 분할선(26)을 기준으로 1/2씩 분리되어 장착될 수 있다.
가변박스(20)의 규격은 예를 들어 600mm × 600mm의 크기에 180mm의 높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덮개(40)는 평판형의 플레이트로 가운데에 제2 개구(46)가 형성되고, 분할선(44)을 기준으로 가변박스(20)와 같이 2분할 되어 있다. 덮개(40)의 변을 따라서는 볼트홈(50)이 형성되고 볼트홈(50)을 통해 체결볼트가 삽입되어 가변박스(20) 상면에 고정된다.
패킹부재(48)는 제2 개구(46)의 외주와 지주 사이를 밀봉하여 낙엽이나 우수와 같은 이물질이 지지장치(1)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지주는 제2 개구(46), 제1 개구(24) 및 수용홈(12)을 통하여 수용되고 앵커볼트(16)를 통해 그 하면이 베이스(6)의 상부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1)는 선행기술에서와 같은 별도의 하부박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초 콘크리트(2)에 일체로 블럭(10)을 형성하였으므로,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며, 경제적이고 유지 보수에 편리하다.
또, 선행특허와 같이 하부박스를 사용하면 가변홀의 형상이 고정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은 가변박스(20)와 블럭(10) 사이에 높이와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컨트롤박스를 개재시킬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초(2)의 블럭(10)의 제1체결홈(14)에 삽입 고정되는 컨트롤박스(100)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컨트롤박스(100)는 도시한 것과 같이 아래에서부터 위로 조정칼럼(101), 지지판(102), 제어판(103) 및 보강판(104)을 포함한다.
조정칼럼(101)은 바닥면은 밀폐되고 내부는 빈 공간으로 유지되며 슬림한 사각 기둥 형상으로 중앙에는 원기둥 모양의 삽입홀(101a)이 천공되어 있다. 조정칼럼(101)은 제1 체결홈(14)내에 긴밀하게 안착 및 매입되는 형상을 가진다.
지지판(102), 제어판(103) 및 보강판(104)은 사각형의 평판으로 크기는 같으나 가운데 형성된 슬롯의 크기와 형상은 다르다. 예를 들어 지지슬롯(102a)은 원형 또는 원에 가까운 타원형, 제어슬롯(103a)은 장단반경의 차이가 뚜렷한 타원형, 보강슬롯(104a)은 제어슬롯(103a)보다 높이와 폭이 약간 좁은 타원형이다.
조정칼럼(101), 지지판(102), 제어판(103) 및 보강판(104) 각각에는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체결홈(101c,102b,103b,104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체결홈 내부는 탭 가공이 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장치(1)의 설치 시, 지지판(102)은 조정칼럼(101)의 상면(101b)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며, 제어판(103)과 보강판(104) 역시 용접등의 방법으로 합체되는데, 보강판(104)이 제어판(103)의 상면에 놓인다. 합체된 제어판(103)과 보강판(104)은 본 발명의 컨트롤부를 이룬다.
합체되어 세트가 된 제어판(103)과 보강판(104)을 지지판(102)상에 정렬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차례로 제2 체결홈(104b,103b,102b,101c)을 통해 삽입하고 조이면 컨트롤박스(10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마련된 4개의 컨트롤박스(100)를 각각의 코너의 제1체결홈(14)에 매입한 후, 가변너트(30)가 가체결된 가변볼트(28)를 보강판(104), 제어판(103) 및 지지판(102)의 각 슬롯을 통하여 차례로 통과시킨 후 조정칼럼(101)의 삽입홀(101a)에 삽입한다.
가변볼트(28)의 직경은 지지판(102), 제어판(103) 및 보강판(104)의 각각의 슬롯보다 작게 형성되며, 따라서 가변볼트(28)는 제1체결홈(14) 안으로 자유로이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가변너트(30)의 직경은 최소한 보강슬롯(104a)보다 크므로 가변볼트(28)는 가변너트(30)가 보강판(104)에 걸리는 위치에서 삽입이 중단된다.
즉, 가변볼트(28)는 가변너트(30)가 컨트롤부, 구체적으로는 보강판(104)의 상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너트(28)를 좌우로 돌려 상하 위치를 조절하면 4곳의 가변볼트(28)의 삽입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가변박스(20)의 높이와 기울기의 전체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가변너트(30)는 일종의 스토퍼 같은 차단부재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곳의 가변볼트(28)의 삽입 길이가 모두 동일하면, 가변박스(20)는 콘크리트 기초(2)에 단차 없이 평행하게 포개진다. 이는 지면(G.L)에 경사나 기울기가 없는 공사에 적합하다. 도 6은 이 상태를 잘 도시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박스(100)에 있어서는 제어판(103)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지지판(102)과 보강판(104)은 제어판(103)의 전후에서 와셔의 역할을 하거나, 조정칼럼(101)과 제어판(103)의 결합을 강하게 하고, 콘크리트 기초(2)에서 제1 체결홈(14)을 제작할 때 거푸집 탈형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적정한 강도와 재질의 조정칼럼(101)과 제어판(103)의 조합을 선택하고 제작 공정을 개선하면, 지지판(102)과 보강판(104)의 설치는 이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1)의 단면도로서, 보행자의 지면(G.L)과 차도의 지면(C.L) 사이에 높이 차가 존재하고, 경계석(B)이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경계석(B)은 길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형으로 길게 설치되며, 콘크리트 기초(2)의 상부 높이까지 점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경우 경계석(B)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기초 콘크리트(1)의 베이스(6)의 일 측면, 구체적으로 차도를 향하는 면(6a)은 도시한 것과 같이 평평한 수직면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대칭형 지지장치(1)는 인도와 차도의 중간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8은 비대칭형 지지장치(1)를 설치한 단면도이며, 도 7과의 차이점은 보행자의 지면이 경사진 점에 있다.
보행자의 지면(G.L)이 차도쪽을 향하여 오른쪽으로 상향 경사져 있다. 이 경우, 가변박스(20)의 좌측단이 지면(G.L)과 균일한 하나의 면이 되고 우측단이 예를 들어 경계석(B)과 하나의 면이 되도록, 가변박스(20)를 기초 콘크리트(2)의 블럭(10)상에 포갠다.
이 상태에서는, 왼쪽의 가변볼트(28)의 가변너트(30)가 컨트롤부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가변박스(20)의 하면까지의 거리가, 오른쪽의 가변볼트(28)의 가변너트(30)가 컨트롤부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가변박스(20)의 하면까지의 거리보다 더 짧다. 따라서, 가변박스(20)는 도 8에서와 같이 블럭(10)을 수용하면서 지면(G.L.)과 경계석(B) 사이가 균일한 면이 되도록 오른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가변박스(20)와 블럭(10) 사이에는 높이(H)의 단차가 생기고, 가변박스(20)는 블럭(1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각도(θ) 만큼 기울어진다.
도 8에서 원 형상의 점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6)와 블록(10) 사이에는 엘(L)자 모양의 단차를 형성하여, 베이스(6)가 경계석(B)과 밀착되게 설치되어도 가변박스(20)가 경계석과 간섭없이 기울기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행자의 지면(G.L.)이 차도쪽에서 떨어질수록 왼쪽으로 상향 경사진다면, 가변박스(20)의 좌우를 도 8과 반대로 위치시켜 설치하면 되며,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지지장치(1)를 공인 시험원에서 테스트한 시험성적서(모델명 KP-UAPF-6610)결과, 높이 가변거리(H)는 148.17mm, 좌우이동거리 10.25mm, 전후이동거리 0.12mm, 기울기 조절 범위(우상좌하) 12.52도, 기울기 조절 범위(좌상우하) 12.49도의 범위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지지장치(1)의 가변 박스(20)는 2분할형이므로, 한쪽의 가변박스(20)의 높이와 경사도를 조절하여 설치한 후, 남은 쪽의 가변박스(20)를 설치하면 되므로 시공 작업이 편리하고 높이와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음에, 도 9는 본 발명의 컨트롤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와의 차이점은 제어판(103)과 보강판(104)을 90도 회전시켜 합체한 점에 있다. 이 경우 전후 방향으로 장반경이 위치하여, 가변볼트(28)를 기울여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이 크므로 전후 방향에 따른 높이와 기울기 조정의 폭이 넓어지고 작업이 용이하다. 이에 대하여 도 4의 컨트롤부는 좌우 방향으로 장반경이 위치하여, 가변볼트(28)를 기울여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이 크므로 좌우 방향에 따른 높이와 기울기 조정의 폭이 넓어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컨트롤부를 이용한 비대칭형 지지장치(1)의 시공상의 다른 단면도로서, 앞서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보행자 지면(G.L)과 차도 사이, 즉 좌우 방향에 단차가 있는 것이 아니라 보행자 지면(G.L)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단차가 존재하는 점이다.
이 경우에도 가변볼트(28)와 가변너트(30)를 이용한 가변박스(20)와 콘크리트 기초(2)간의 결합 방식은 기본적으로 앞서와 동일하다. 그러나, 가변볼트(28)를 장반경이 위치한 컨트롤부의 전후 방향으로 더 기울일 수 있으므로 보행자 지면(G.L)의 전후 방향으로 더욱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도 10의 작업은 보행자 도로 뿐만 아니라 전후로 인접한 보행자와 차도 지면 사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의 컨트롤부와 도 9의 컨트롤부는 도로 환경과 주변 여건에 따라 현장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도 4의 컨트롤박스(100)가 공급된 콘크리트 기초(2)에서 도 9의 컨트롤부를 구비한 컨트롤박스(100)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제2 체결홈(101b,102b,103b,104b)에 결합된 볼트를 해제하여 합체된 컨트롤부, 즉 제어판(103)과 보강판(104)을 지지판(102)에서 완전히 분리시켜 도 9와 같이 90도 회전시킨 후 다시 제2 체결홈(101b,102b,103b,104b)을 통해 볼트 결합하여 컨트롤박스(100)를 완성하면 된다.
역으로, 작업자가 도 9의 컨트롤박스(100)가 공급된 콘크리트 기초(2)에서 도 4의 컨트롤부를 구비한 컨트롤박스(100)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이와 반대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지장치(1)는 선행 기술에 비하여 전후 좌우 방향의 높이와 기울기 조절이 더욱 간편하며 정확하고, 조정 가능 범위를 더 확장시킨 장점을 발휘한다.
컨트롤부의 타원 모양 슬롯은, 적당히 큰 원 모양이어서 어느 방향으로나 유격이 같은 원형의 슬롯에 비하여 전후 또는 좌우 방향의 높이와 기울기 선택 및 조절 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컨트롤부를 90도 회전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대각선 방향과 같이 사선형으로 경사가 진 도로의 경우는 45도 정도로 컨트롤부를 회전시켜 장착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부의 특정 회전 각도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한 실시예를 임의로 변경 또는 추가할 수 있으며 이들 변형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까지 미친다는 점은 자명하다.
(1) : 지지장치 (2): 콘크리트 기초 (6) : 베이스 (10): 블럭
(14): 제1 체결홈 (20): 가변박스 (28): 가변볼트 (30): 가변너트
(100): 컨트롤박스 (101): 조정칼럼 (102): 지지판 (103): 제어판
(104): 보강판

Claims (8)

  1.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지면의 하부에서부터 차례로
    측면에 케이블홈이 형성된 베이스와, 지주에 연결되는 앵커볼트를 수용한 빈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그 위에 형성된 블럭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기초;
    가운데에 지주가 통과하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위로 포개질 수 있는 가변박스로서, 상기 가변박스의 하면으로부터는 가변너트가 체결된 가변볼트가 하향 연장하도록 된 가변박스; 및
    가운데에 지주가 통과하는 제2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변박스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블럭에는 복수의 제1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홈에는 컨트롤박스가 매입되며, 상기 가변볼트는 가변너트가 상기 컨트롤박스에 걸리는 위치까지 상기 컨트롤박스 안에 삽입되어 지지장치의 설치 높이와 기울기가 조정되며,
    상기 컨트롤박스는 가운데 타원형의 슬롯이 형성된 제어판과, 상기 제어판이 상부에 결합되며 제1 체결홈에 매입되는 형상을 가지는 긴 슬림형의 조정 칼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는 바닥면은 밀폐되고 내부는 빈 공간으로 유지되며, 상기 제어판의 상면에 결합되며 타원형의 슬롯을 구비한 보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판과 상기 보강판은 일체로 합체되며,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조정칼럼과 상기 제어판 사이에 개재되며 소정 형상의 슬롯을 가지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박스, 지지판, 제어판 및 보강판에는 복수의 제2 체결홈이 형성되고, 제2 체결홈을 통과하는 볼트에 의한 나사 결합으로 일체로 컨트롤박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 및 보강판의 슬롯은 타원의 장반경 위치가 변하도록 소정 각도 회전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의 베이스의 일 측면은 지면에 수직한 수직면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장치.
  7. 제 1항 또는 제 3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박스 및 덮개는 적어도 2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장치.
  8. 제 1항 또는 제 3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블록 사이에는 엘(L)자 모양의 단차를 형성하여, 베이스가 경계석과 밀착되게 설치되어도 가변박스가 경계석과 간섭없이 기울기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장치.
KR1020170020208A 2017-02-14 2017-02-14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 KR10178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08A KR101781538B1 (ko) 2017-02-14 2017-02-14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08A KR101781538B1 (ko) 2017-02-14 2017-02-14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538B1 true KR101781538B1 (ko) 2017-09-26

Family

ID=6003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208A KR101781538B1 (ko) 2017-02-14 2017-02-14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9350A (zh) * 2019-07-11 2019-11-1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低压配电线路承托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30B1 (ko) * 2011-01-27 2011-09-20 조영석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지주 및 핸드홀 커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30B1 (ko) * 2011-01-27 2011-09-20 조영석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지주 및 핸드홀 커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9350A (zh) * 2019-07-11 2019-11-1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低压配电线路承托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030B1 (ko)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지주 및 핸드홀 커버 장치
US20100205875A1 (en) Pole assembly and mounting thereof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1781538B1 (ko)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
JP2013040467A (ja) 縁石併用型防護柵の支柱基礎ブロック
KR101422799B1 (ko) 회전 접이식 보안등 및 가로등 지주 결합용 받침대와 그 시공방법
KR100673583B1 (ko) 도로 안내표지판 및 가로등 지주
KR101326157B1 (ko)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KR101383314B1 (ko) 항타형 인도교
KR102475707B1 (ko) 모듈형 보도 블럭로 및 그 시공방법
KR100592416B1 (ko)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KR20090049900A (ko) 지주의 지지구조
SK8287Y1 (sk) Kanalizačná šachta s poklopom, s výškovým a uhlovým nastavením
KR102104964B1 (ko) 안전난간 휀스지주의 수평조절장치
CA2259874A1 (en) A device for road protection and method of obtaining such a device
KR102202881B1 (ko) 가로등받침 보도 틀
JP2003184015A (ja) 路面覆工施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覆工板
KR100556629B1 (ko) 교량 승상과 동시에 접속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설치 및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접속가교 및 이의 설치방법
JP4939101B2 (ja) アプローチ構築方法
KR200230713Y1 (ko) 물튀김방지 휀스
KR102471226B1 (ko) 모듈형 보행로 및 그 시공방법
GB2324321A (en) Installing a post in the ground
KR102638338B1 (ko) 고강도의 경량화 도로 경계 구조물
KR20200011507A (ko) 조립식 진입로 및 그 설치방법
KR100528363B1 (ko)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