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210B1 -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 Google Patents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210B1
KR101809210B1 KR1020170119812A KR20170119812A KR101809210B1 KR 101809210 B1 KR101809210 B1 KR 101809210B1 KR 1020170119812 A KR1020170119812 A KR 1020170119812A KR 20170119812 A KR20170119812 A KR 20170119812A KR 101809210 B1 KR101809210 B1 KR 101809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acket
ground
lower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흔구
권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성
권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성, 권숙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성
Priority to KR102017011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쉬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쉬 휀스의 지주를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기초구조체를 지중으로 매립 설치하되, 상기 기초구조체는 지중으로 매립되는 깔때기 형상의 베이스설치구와, 베이스설치구와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지중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하판플레이트, 및 이들을 상하로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하여, 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지주에 태양광 집광수단을 설치하여 메쉬 휀스의 높은 내구성과 태양광의 활용성을 통해 이용자의 안정성을 높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A Mesh Fence}
본 발명은 메쉬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쉬 휀스의 지주를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기초구조체를 지중으로 매립 설치하되, 상기 기초구조체는 지중으로 매립되는 깔때기 형상의 베이스설치구와, 베이스설치구와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지중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하판플레이트, 및 이들을 상하로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하여, 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지주에 태양광 집광수단을 설치하여 메쉬 휀스의 높은 내구성과 태양광의 활용성을 통해 이용자의 안정성을 높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메쉬휀스, 철망울타리 등은 관공서, 학교, 체육관, 아파트 단지, 공원 녹지, 도로변, 전원주택, 조경용, 체육시설 등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색상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 설치할 수 있어 블럭 주조물에 비해 매우 실용적이다.
그러나 와이어 메쉬휀스, 철망울타리 등은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매설된 지주에 단순히 볼트 등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견고성과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와이어 메쉬를 이용한 휀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메쉬휀스는 간편한 조립형으로 기초지주, 와이어 메쉬, 연결부속품으로 앵커 또는 매쉬연결구와 와이어 매쉬 상단과 하단을 감싸는 테두리 마감재인 보강프레임으로 구성한다.
즉 메쉬휀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주를 세우고, 지주와 지주사이 외주면에 와이어 메쉬를 펼치고 앵커볼트나 매쉬연결구 등으로 지주를 관통하여 너트로 견고하게 체결한다.
또한 상기 지주에 고정된 와이어 메쉬는 외부 충격에 쉽게 요동되어 흔들려 체결한 앵커볼트나 연결구 등이 헐거워진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은 충격에도 와이어 메쉬 자체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 메쉬 상단과 하단에 테두리와 보강재 역할을 갖는 보강프레임을 끼우고 양측은 지주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메쉬휀스를 설치하는 공정은 지주를 따라 수직으로 일정하게 체결되는 볼트에 와이어 메쉬가 단순히 걸친 상태로 지지하기 때문에 견고성이 떨어지고,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프레임을 별도로 설치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제작비용의 상승 및 작업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메쉬휀스 이외에도 다른 철망울타리나 가설방음벽도 지주에 단순히 체결된 볼트등의 연결수단에만 의존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어 견고성과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757890 (등록번호) 2007.09.03. KR 10-2008-0087951 (공개번호) 2008.10.02. KR 10-0686444 (등록번호) 2007.02.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중으로 설치되는 베이스설치구와, 상기 베이스설치구와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지중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하판플레이트, 및 이들을 상하로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으로 된 기초구조체에 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하여 메쉬 휀스의 높은 내구성과 이용자의 안정성을 높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설치구의 하부면에 흙 유입구를 구비하여 지중으로 박아 설치할 때 베이스설치구의 내부로 흙이 유입됨으로써 설치가 쉬우면서 지내력을 강화하여 지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변의 높이 변화를 수용하는 지주를 통하여 메쉬 휀스를 높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쉽고 간편하게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메쉬 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거푸집의 설치 없이도 지주의 고정수단을 지중으로 매립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를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메쉬휀스 연결용 볼트나 고정구 없이 지주만의 결합 고정으로 메쉬 휀스가 지주에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에 태양광 집광판을 설치하여 자력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쉬 휀스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통행자의 안전을 제고시키는 등 메쉬 휀스의 효용성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은 경사진 지면에도 메쉬망체를 분리하지 않고 연결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된 메쉬 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쉬 휀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집광수단의 각도를 쉽게 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계절에 따른 최대치의 태양광을 수용할 수 있는 메쉬 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地中)으로 매립되며 상단부측이 넓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1)의 상단면 중앙부에서부터 하단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돌출부(112)를 포함하는 베이스설치구(110)와,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상부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지중으로 매립설치되되 하부면으로는 상기 베이스설치구(110) 내측으로 삽입되는 기둥부재(121)가 구비되는 하판플레이트(120), 및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와 상기 하판플레이트(120)를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140)으로 된 기초구조체(P)와; 가로철사부재(11)와 세로철사부재(12)를 엮어서 메쉬형상을 이루는 메쉬망체(10); 및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의 상부면으로 설치 고정되면서 상기 메쉬망체(10)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지주(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주(1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 또는 다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라운드부(131)와 상기 제1라운드부(131)의 양측면에 구비되면서 각각 제1체결구멍(132a)이 다수 개씩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32)로 된 제1브라케트(133)와,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 또는 다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라운드부(134)와 상기 제2라운드부(134)의 양측면에 구비되면서 각각 제2체결구멍(135a)이 다수 개씩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135)로 된 제2브라케트(136), 및 상기 제1플랜지부(132)와 상기 제2플랜지부(135)를 연결 고정하는 체결볼트(13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브라케트(133)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에 체결 고정되도록 제1설치구멍(133b)이 형성되는 제1바닥플랜지부(133a)가 구비되고, 또 상기 제2브라케트(136)의 하단부에도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에 체결 고정되도록 제2설치구멍(136b)이 형성되는 제2바닥플랜지부(136a)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라운드부(131) 또는 상기 제2라운드부(134)에는 빛이 반사되는 반사지 또는 반사체가 삽입 설치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주(130)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집광수단(170)이 설치되되, 상기 태양광집광수단(170)은 상기 지주(130)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플랜지부(132) 또는 제2플랜지부(135)에 설치되는 제1지지브라케트(171a)와 제2지지브라케트(171b)로 된 거치대(171)와, 상기 거치대(171)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전지패널(172), 및 상기 전지패널(172)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171)에 설치되는 회동조절체(173)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브라케트(171a) 및 상기 제2지지브라케트(171b)의 단부에는 각각 상기 전지패널(172)의 제1지지대(172a)가 연결되는 상기 회동조절체(173) 및 상기 전지패널(172)의 제2지지대(172b)가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174)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동조절체(173)는 일측면에 제1요철부(173ab)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지지브라케트(171a)의 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73a)와, 상기 지지부재(173a)에 대향되어 구비되면서 상기 제1요철부(173ab)에 치합되도록 하는 제2요철부(173ba)가 형성되는 조절부재(173b), 상기 지지부재(173a)와 상기 조절부재(173b)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지지브라케트(171a)의 단부에 형성된 설치구멍(171ab)에 체결되는 볼트부재(173c), 및 상기 제1요철부(173ab)와 상기 제2요철부(173ba)의 내측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볼트부재(173c)의 로드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73a)와 상기 조절부재(173b)를 서로 탄력적으로 밀어주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173d)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는 일단면이 상기 돌출부(112)의 외부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면이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면에 연결되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중공의 설치브라케트(111a)가 상기 돌출부(112)의 외면을 따라 다수 개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11)의 측면에는 외부의 흙이 내부로 유입는 관통구멍(111b)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2)의 끝단부에는 지면으로 박아 설치하는 뾰족부(112b)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1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111b)에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구멍조절수단이 더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의 모서리부에는 하향 절곡되어 지중의 흙이 주변으로 산개되는 것을 막아주는 절곡부(122)가 더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1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111b)에는 지중으로 박아 고정되는 보조말뚝(160)이 더 설치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설치구(110) 사이에는 보강플레이트(150)가 더 설치 구비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50)에는 상기 체결수단(140)이 삽입되는 설치구멍(151)이 형성되고, 또 상기 보강플레이트(150)의 모서리부에는 지중의 흙이 주변으로 산개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외주면으로 절곡된 절곡플랜지부(152)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는 지중으로 설치되는 베이스설치구와, 상기 베이스설치구와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지중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하판플레이트, 및 이들을 상하로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으로 된 기초구조체에 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하여 메쉬 휀스의 높은 내구성과 이용자의 안정성을 높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설치구의 하부면에 흙 유입구를 구비하여 지중으로 박아 설치할 때 베이스설치구의 내부로 흙이 유입됨으로써 설치가 쉬우면서 지내력을 강화하여 지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주변의 높이 변화를 수용하는 지주를 통하여 메쉬 휀스를 높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쉽고 간편하게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거푸집의 설치 없이도 지주의 고정수단을 지중으로 매립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를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메쉬휀스 연결용 볼트나 고정구 없이 지주만의 결합 고정으로 메쉬 휀스가 지주에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지주에 태양광 집광판을 설치하여 자력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쉬 휀스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통행자의 안전을 제고시키는 등 메쉬 휀스의 효용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은 경사진 지면에도 메쉬망체를 분리하지 않고 연결하여 작업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메쉬 휀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집광수단의 각도를 쉽게 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계절에 따른 최대치의 태양광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의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에 설치되는 지주의 기초구조체에 확대 사시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에 설치되는 지주의 기초구조체에 대한 상태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에 설치되는 지주의 기초구조체에 대한 평면상태도와 측면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에 설치되는 지주의 다른 실시예의 기초구조체에 대한 상태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의 지주에 구비되는 태양광 집광판의 확대 사시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의 지주에 연결 설치되는 태양광 집광판의 각도 조절 수단에 대한 상태도와 분리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의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100)는 도 1 내지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중(地中)으로 매립되는 깔때기 형상의 베이스설치구(110)와,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상부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지중으로 매립설치되되 하부면으로는 상기 베이스설치구(110) 내측으로 삽입되는 기둥부재(121)가 구비되는 하판플레이트(120), 및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와 상기 하판플레이트(120)를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140)으로 된 기초구조체(P)와;
가로철사부재(11)와 세로철사부재(12)를 엮어서 메쉬형상(메쉬형상에는 직사각형, 마름모, 다이아몬드 형상 포함한다)을 이루는 메쉬망체(10); 및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의 상부면으로 설치 고정되면서 상기 메쉬망체(10)가 설치 고정되는 지주(130);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설치구(110)는 상부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의 직경이나 폭이 작아지는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1)의 상단면 중앙부에서부터 하단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돌출부(112)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기초구조체(P)는 도 3 내지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중의 가장 하부측으로 상기 깔때기 형상의 베이스설치구(110)를 박아 고정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설치구(110)는 상부측이 넓고 하부측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 지중으로 박아 설치하기가 편리하다.
이어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내부와 그 상부측으로 흙을 덮고 다진 후에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 상부측 지중으로 상기 하판플레이트(120)를 매립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의 상부면으로 상기 지주(130)를 고정하고 상기 지주(130)에 상기 메쉬망체(10)를 설치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설치구(11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상을 취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의 폭이나 직경이 작아지는 상기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1)의 상단면 중앙부에서부터 하단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상기 돌출부(112)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는 일단면이 상기 돌출부(112)의 외부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면이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면에 연결되면서 내부에 폐쇄 공간이 형성되는 중공의 설치브라케트(111a)가 상기 돌출부(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설치브라케트(111a)는 상기 돌출부(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4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설치 여건에 따라 그 이하 또는 이상의 개수로도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11)는 도5와 도6에서 알 수 있듯이, 상부측이 일정 높이로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수직면은 상기 돌출부(112)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내측에 상기 설치브라케트(111a)가 완전히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설치브라케트(111a)는 몸체부(111)의 외측면 및 내부 경사면에서 면결합 된다. 또한 상기 설치브라케트(111a)는 지중에 항타에 의하여 매립될 시에 상기 몸체부(111)를 견고하게 고정시켜줌으로써 항타시에도 형상이 변경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깔대기 구성을 통하여 흙을 넣고 다질때에 거푸집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1)의 측면에는 지중에 항타에 의한 매설시에 해당 위치에 있던 흙이 그 내부로 밀려 유입되도록 하는 관통구멍(11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12)의 끝단부에는 측면경사부(112a)의 형성에 의해 지면으로 쉽게 박아 설치할 수 있도록 뾰족부(1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111b)은 지중의 상태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는바, 지중의 경도가 늪과 같이 부드러운 곳이면 구멍의 크기를 적게 하고, 지중의 경도가 높으면 구멍의 크기를 크게 하여 많은 흙이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12)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하며 내부가 공간으로 형성되는 중공형으로 되면서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몸체부(111) 매립시에 하단부를 통하여 지중의 흙이 유입되므로 항타에 의한 매립이 용이하며 유입된 흙으로 지중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후술하듯이 돌출부(112)의 상단부를 통하여 기둥부재(121)가 삽입되어 하단부로부터 유입된 흙이 단단하게 다져진다.
상기 몸체부(111)는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형이나 다각형으로 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브라케트(111a)의 상부면에는 그 내부로 연통되는 제1체결구멍(111h)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구멍(111h)의 하면에는 상기 체결수단(140)의 일단이 체결되는 제1체결너트(111c)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제1체결너트(111c)는 상기 제1체결구멍(111h)에 암나사를 탭핑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고 상기 제1체결구멍(111h)의 하부측에 용접 또는 일체형으로 너트를 고정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수단(140)은 일단부가 상기 제1체결너트(111c)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111)에 체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에 제2체결너트(111d)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상기 체결수단(140)은 외부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장볼트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베이스설치구(110)는 그 상부면으로 외력을 가하여 지중으로 박아 넣을 때 상기 돌출부(112)의 끝단부에 형성된 상기 뾰족부(112b)에 의해 지중으로 쉽게 박아 넣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11)의 측면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111b) 및 상기 돌출부(112)의 하단부를 통해 흙이 각각의 내부로 밀려 유입되면서 저항을 줄여줄 수가 있어 설치 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상부면으로 외력을 가하여 이를 지중으로 박아 넣을 때는 별도로 제작한 특수공구(미도시)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이러한 특수공구는 상기 설치브라케트(111a)의 각 상부면에 대향되도록 하는 지지브라케트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브라케트의 하부 중앙에서 하향 돌출되면서 상기 돌출부(112)의 상부면 내부로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특수공구를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상부면에 대고 그 상부면으로 외력을 가하면 쉽게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상부면으로 외력이 전달되어 지중으로 용이하게 박아 넣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베이스설치구(110)를 지중으로 박아 넣으면 상기 관통구멍(111b)과 상기 돌출부(112)의 하단부를 통해 지중의 흙이 각각 내부로 밀려 유입하게 되면서 채워지게 되고 내부의 부족한 흙은 상부면을 통해 작업자가 채워 넣은 후 다진다. 이때 경우(토압이 매우 약한 경우)에 따라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상부면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지중 매립은 끝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111b)에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조절수단(미도시)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멍조절수단은 지중의 흙이 상기 관통구멍(111b)을 통해 너무 많이 유입되거나 또는 적게 유입되는 것을 막아 주기 위해 흙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개폐하여 그 유입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구멍조절수단은 상기 관통구멍(111b)을 개폐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힌지를 상기 몸체부(111)에 설치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회전하면서 상기 관통구멍(111b)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멍조절수단은 상기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지중 매립이 끝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중심 방향이 맞지 않을 경우 상기 베이스설치구(110)를 회전시켜 그 중심 방향을 맞출 수가 있다. 즉,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상기 몸체부(1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111b)의 대각선 방향으로 지지대에 돌기가 형성된 도구(미도시)의 돌기를 각각 끼워 주고 상기 지지대를 돌려주게 되면 상기 돌출부(112)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설치구(110)가 회전되면서 그 중심 방향을 맞추어 줄 수가 있다.
한편, 상기 하판플레이트(120)는 중앙부에 상기 돌출부(112)의 내부로 그 하단부가 삽입되는 기둥부재(121)가 구비되어 있고, 모서리부에는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122)는 도면과 같이 양측면에만 설치할 수도 있고, 하판플레이트(120) 전체를 절곡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절곡부(122)는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지중의 흙이 주변으로 산개(밀려나가는 현상)되는 것을 막아 지내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하판플레이트(120)는 상기 몸체부(1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상하여 하판플레이트(120)와 베이스설치구(110) 사이에 형성된 다짐 흙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판플레이트(120)는 그 모서리부에서 하방측으로 화살표 형상의 지지구를 더 설치하여 상기 하판플레이트(120)가 지중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121)는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112)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121)는 상기 돌출부(112)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에는 상기 체결수단(140)이 삽입되는 플레이트구멍(123)이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구멍(123)은 상기 체결수단(140)이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이 맞추어 질 수 있도록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장홈(일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롯홈'이라고도 한다)으로 형성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초구조체의 상태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초구조체(P)는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설치구(110) 사이에 지내력을 보강하는 보강플레이트(150)가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150)에는 상기 체결수단(140)이 삽입되는 설치구멍(151)이 형성 구비되고, 또 상기 보강플레이트(150)의 모서리부에는 지중의 흙이 주변으로 산개되는 것을 막아 지내력을 보강하는 절곡플랜지부(152)가 보강플레이트(150)의 외주연에 따라 수직으로 절곡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111b)에는 지중으로 박아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보조말뚝(160)이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말뚝(160)을 상기 관통구멍(111b)을 통해 지중으로 박아주게 되면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고정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기초구조체(P)는 상기 베이스설치구(110)를 지중의 맨 하부측으로 외력을 이용하여 박아 설치하면서 그 내부측으로 흙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설치구(110)는 깔때기 형상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되어있어 지중으로 박아 주는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베이스설치구(110)를 매설한 후에는 주변의 흙을 덮고 단단하게 다진 후에 하판플레이트(120)를 고정한다. 상기 기둥부재(121)를 상기 돌출부(112)의 내부로 박아 주면서 상기 하판플레이트(120)를 지중으로 매립 설치한다. 이때 단단하게 다진 흙을 체결수단(140)으로 더욱 단단하게 조여 고정하므로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와 상기 하판플레이트(120) 사이에 흙은 주변의 흙보다 그 경도가 매우 높게 되며 외부로 산개되지 않는다.
그리고 흙의 상태에 따라 상기 보강플레이트(150)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와 상기 하판플레이트(120) 사이에 이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설치가 취약한 경우 상기 몸체부(1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111b)으로 상기 보조말뚝(160)을 박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1)에 구비된 제1체결구멍(111h)와, 상기 보강플레이트(150)가 설치된 경우 상기 설치구멍(151),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에 구비된 상기 플레이트구멍(123)에 상기 체결수단(140)인 장볼트를 끼워 하단부는 상기 제1체결너트(111c)를 이용하고 상단부는 상기 제2체결너트(111d)를 이용하여 이들을 견고하게 체결 고정한다.
한편, 상기 지주(1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 또는 다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라운드부(131)와 상기 제1라운드부(131)의 양측면에 구비되면서 각각 제1체결구멍(132a)이 다수 개씩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32)로 된 제1브라케트(133)와,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 또는 다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라운드부(134)와 상기 제2라운드부(134)의 양측면에 구비되면서 각각 제2체결구멍(135a)이 다수 개씩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135)로 된 제2브라케트(136)가 서로 맞대어 체결되는 구성으로 되며, 상기 제1브라케트(133)와 상기 제2브라케트(136) 사이에 상기 메쉬망체(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플랜지부(132)와 상기 제2플랜지부(135)를 체결볼트(137)를 이용해 서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메쉬망체(10)가 설치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플랜지부(132)와 상기 제2플랜지부(135) 사이에는 완충용 쿠션부재(138)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플랜지부(132)와 상기 제2플랜지부(135)를 상기 체결볼트(137)를 이용해 체결할 때 상기 쿠션부재(138)에 의해 서로 완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메쉬망체(10)가 안정적으로 압착 설치될 수 있으며, 메쉬 휀스 주변을 통행하는 통행자가 갑작스런 접촉이 있을 때에도 통행자의 안전을 보다 높게 보호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부(132)와 상기 제2플랜지부(135)를 체결하는 상기 체결볼트(137)에는 충격 완화 및 보호용 커버부재(13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39)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체결볼트(137)의 내구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충격에 의한 파손율을 줄이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메쉬 휀스의 주변을 지나는 통행자에게 체결볼트(137)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체결볼트(137)를 훼손하고자 하는 욕구가 저감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구멍(132a)과 상기 제2체결구멍(135a)은 장홈으로 형성하여 구비되어, 메쉬망체가 경사지게 삽입되어 고정될 경우 또는 지주의 위치가 메쉬 망체와 체결볼트와 겹쳐질 경우에도 지주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메쉬 망체와 지주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주(130)는 그 설치하고자 하는 담장의 높이에 따라 다단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주(130)는 설치하고자 하는 담장의 높이가 높을 때에는 지주를 2단 또는 3단 이상으로 설치하여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지주는 제1체결구멍(132a)과 제2체결구멍(135a)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체결구멍을 상단과 하단의 지주끼리 서로 연결하며 높이를 쉽고 간단하게 높여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 또는 다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라운드부(131)와 상기 제2라운드부(134)가 서로 대향되어 결합한 상태의 단면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상 등 매우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라운드부(131) 또는 상기 제2라운드부(134)에는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빛이 반사되는 반사지 또는 반사체 등을 삽입 설치하여 미관이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태양광집광수단으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빛을 조사하는 조명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명, 반사지 또는 반사체는 메쉬 휀스가 설치되어 있음을 통행자 또는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메쉬 휀스 주변에서 추락 또는 접촉 사고의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케트(133)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에 체결 고정되도록 제1설치구멍(133b)이 형성되는 제1바닥플랜지부(133a)가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제2브라케트(136)의 하단부에도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에 체결 고정되도록 제2설치구멍(136b)이 형성되는 제2바닥플랜지부(136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설치구멍(133b)과 상기 제2설치구멍(136b)은 장홈으로 형성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바닥플랜지부(133a)와 상기 제2바닥플랜지부(136a)를 상기 체결수단(140)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지주(130)가 상기 기초구조체(P)의 상부측으로 견고하게 설치 고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메쉬망체(10)는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하나의 긴 망부재로 구비되어 지지가 요구되는 간격마다 상기 지주(130)의 상기 제1브라케트(133)와 상기 제2브라케트(136)를 설치하여 체결하기만 하면 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메쉬망체(10)는 상기 지주(130) 사이 간격만큼 잘라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설치하고자 하는 담장의 길이만큼 하나의 단일부재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주(130)에는 상기 메쉬망체(10)를 고정하는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는 체육관이나 저수지수로, 학교담벽, 어린이보호구역, 수목원, 낚시터, 소공원, 도로경계 등 많은 장소에 설치된다. 특히 이들 중에서 저수지수로나 수목원, 소공원, 도로경계 등에는 특성상 전원이 설치되면 통행자 또는 운전자의 안전을 더욱 제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주(130)에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집광수단(1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태양광집광수단(170)은 상기 지주(130)에 설치되는 거치대(171)와, 상기 거치대(171)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전지패널(172), 및 상기 전지패널(172)이 태양의 고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상기 거치대(171)에 설치되는 회동조절체(173)로 구성된다. 상기 태양광집광수단(170)은 도1 또는 도2와 같이 사용 용도에 따라 작은 솔라셀로 또는 큰 솔라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171)는 상기 지주(130) 양측의 상기 제1플랜지부(132) 및 제2플랜지부(135)에 설치 고정되는 제1지지브라케트(171a)와 제2지지브라케트(17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브라케트(171a)의 단부에는 상기 전지패널(172)의 제1지지대(172a)가 연결되는 상기 회동조절체(173)가 설치되며, 상기 제2지지브라케트(171b)의 단부에는 상기 전지패널(172)의 제2지지대(172b)가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17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 제1지지브라케트(171a)의 단부에 상기 힌지(174)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조절체(173)는 상기 제2지지브라케트(171b)의 단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조절체(173)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제1지지대(172a)와 상기 제2지지대(172b)가 회전되면서 이에 연결 고정되는 상기 전지패널(172)이 태양의 고도에 따라 회전될 수가 있게 된다.
태양의 고도는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상기 전지패널(172)은 계절별로 상기 회동조절체(173)를 통해 태양의 고도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동조절체(173)는 일측면에 제1요철부(173ab)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지지브라케트(171a)의 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73a)와, 상기 지지부재(173a)에 대향되어 구비되면서 상기 제1요철부(173ab)에 치합되도록 하는 제2요철부(173ba)가 형성되는 조절부재(173b), 상기 지지부재(173a)와 상기 조절부재(173b)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지지브라케트(171a)의 단부에 형성된 설치구멍(171ab)에 체결되는 볼트부재(173c), 및 상기 제1요철부(173ab)와 상기 제2요철부(173ba)의 내측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볼트부재(173c)의 로드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73a)와 상기 조절부재(173b)를 서로 탄력적으로 밀어주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173d)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조절체(173)를 이용하여 상기 전지패널(172)을 태양의 고도에 맞추어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볼트부재(173c)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73a)와 상기 조절부재(173b)가 상기 제1지지브라케트(171a)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설치구멍(171ab)에 체결 고정되면 상기 지지부재(173a)에 형성된 상기 제1요철부(173ab)와 상기 조절부재(173b)에 형성된 상기 제2요철부(173ba)가 서로 물려지면서 치합되고 동시에 상기 제1요철부(173ab)와 상기 제2요철부(173ba)의 내부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73d)가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전지패널(172)은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태양의 고도에 맞추어 상기 전지패널(172)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볼트부재(173c)를 서서히 풀어준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173d)가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조절부재(173b)를 일측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조절부재(173b)에 형성된 상기 제2요철부(173ba)가 상기 지지부재(173a)에 형성된 상기 제1요철부(173ab)에서 그 물림상태가 해제된다. 이어 상기 전지패널(172)을 인위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절부재(173b)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172a)가 회전되고 동시에 상기 제2지지대(172b)는 상기 힌지(174)에서 회전되어 상기 전지패널(172)이 회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동조절체(173)를 이용하여 상기 전지패널(172)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볼트부재(173c)를 다시 체결 고정하게 되면 전지패널(172)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태양광집광수단(170)으로 발생된 전기는 지주 상단에 설치되는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야간에 통행자와 차량의 안전운행을 보조하거나, 메쉬 망체 상부에 LED 조명 또는 위험 또는 주의에 관한 문구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수단 등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는 낚시터, 저수지수로나 수목원, 소공원, 도로경계 등과 같이 통행자의 시야를 확보시키거나 위험물로의 추락 또는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등, 표시수단, CCTV 구동, 센서 또는 스피커 동작 등에 필요한 전원이 태양광집광수단(170)을 설치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는 메쉬 휀스의 지주를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기초구조체를 지중으로 매립 설치하되, 상기 기초구조체는 지중으로 매립되는 깔때기 형상의 베이스설치구와, 베이스설치구와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지중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하판플레이트, 및 이들을 상하로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하여, 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지주에 태양광 집광수단을 설치하여 메쉬 휀스의 높은 내구성과 태양광의 활용성을 통해 이용자의 안정성을 높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100: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10:메쉬망체
110:베이스설치구
111:몸체부 111a:설치브라케트 111b:관통구멍
111c:제1체결너트 111d:제2체결너트 111h:제1체결구멍
112:돌출부 112a:측면경사부 112b:뾰족부
120:하판플레이트 121:기둥부재 122:절곡부 123:플레이트구멍
130:지주
131:제1라운드부 132:제1플랜지부 132a:제1체결구멍 133:제1브라케트
134:제2라운드부 135:제2플랜지부 135a:제2체결구멍 136:제2브라케트
137:체결볼트 138:쿠션부재 139:커버부재
140:체결수단 150:보강플레이트 151:설치구멍 152:절곡플렌지부
160:보조말뚝
170:태양광집광수단
171:거치대 171a:제1지지브라케트 171b:제2지지브라케트
171ab:설치구멍
172:전지패널 172a:제1지지대 172b:제2지지대
173:회동조절체 173a:지지부재 173ab:제1요철부
173b:조절부재 173ba:제2요철부 173c:볼트부재
173d:탄성부재 174:힌지

Claims (11)

  1. 지중(地中)으로 매립되며 상단부측이 넓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1)의 상단면 중앙부에서부터 하단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돌출부(112)를 포함하는 베이스설치구(110)와,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의 상부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지중으로 매립설치되되 하부면으로는 상기 베이스설치구(110) 내측으로 삽입되는 기둥부재(121)가 구비되는 하판플레이트(120), 및 상기 베이스설치구(110)와 상기 하판플레이트(120)를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140)으로 된 기초구조체(P)와;
    가로철사부재(11)와 세로철사부재(12)를 엮어서 메쉬형상을 이루는 메쉬망체(10); 및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의 상부면으로 설치 고정되면서 상기 메쉬망체(10)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지주(130);를 포함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 또는 다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라운드부(131)와 상기 제1라운드부(131)의 양측면에 구비되면서 각각 제1체결구멍(132a)이 다수 개씩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32)로 된 제1브라케트(133)와,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 또는 다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라운드부(134)와 상기 제2라운드부(134)의 양측면에 구비되면서 각각 제2체결구멍(135a)이 다수 개씩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135)로 된 제2브라케트(136), 및
    상기 제1플랜지부(132)와 상기 제2플랜지부(135)를 연결 고정하는 체결볼트(137)를 포함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케트(133)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에 체결 고정되도록 제1설치구멍(133b)이 형성되는 제1바닥플랜지부(133a)가 구비되고, 또 상기 제2브라케트(136)의 하단부에도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에 체결 고정되도록 제2설치구멍(136b)이 형성되는 제2바닥플랜지부(136a)가 구비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운드부(131) 또는 상기 제2라운드부(134)에는 빛이 반사되는 반사지 또는 반사체가 삽입 설치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30)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집광수단(170)이 설치되되,
    상기 태양광집광수단(170)은 상기 지주(130)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플랜지부(132) 또는 제2플랜지부(135)에 설치되는 제1지지브라케트(171a)와 제2지지브라케트(171b)로 된 거치대(171)와, 상기 거치대(171)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전지패널(172), 및 상기 전지패널(172)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171)에 설치되는 회동조절체(173)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브라케트(171a) 및 상기 제2지지브라케트(171b)의 단부에는 각각 상기 전지패널(172)의 제1지지대(172a)가 연결되는 상기 회동조절체(173) 및 상기 전지패널(172)의 제2지지대(172b)가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174)가 설치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조절체(173)는 일측면에 제1요철부(173ab)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1지지브라케트(171a)의 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73a)와, 상기 지지부재(173a)에 대향되어 구비되면서 상기 제1요철부(173ab)에 치합되도록 하는 제2요철부(173ba)가 형성되는 조절부재(173b), 상기 지지부재(173a)와 상기 조절부재(173b)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지지브라케트(171a)의 단부에 형성된 설치구멍(171ab)에 체결되는 볼트부재(173c), 및 상기 제1요철부(173ab)와 상기 제2요철부(173ba)의 내측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볼트부재(173c)의 로드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73a)와 상기 조절부재(173b)를 서로 탄력적으로 밀어주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173d)로 구성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에는 일단면이 상기 돌출부(112)의 외부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면이 상기 몸체부(111)의 내부면에 연결되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중공의 설치브라케트(111a)가 상기 돌출부(112)의 외면을 따라 다수 개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11)의 측면에는 외부의 흙이 내부로 유입는 관통구멍(111b)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2)의 끝단부에는 지면으로 박아 설치하는 뾰족부(112b)가 형성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111b)에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구멍조절수단이 더 설치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의 모서리부에는 하향 절곡되어 지중의 흙이 주변으로 산개되는 것을 막아주는 절곡부(122)가 더 형성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111b)에는 지중으로 박아 고정되는 보조말뚝(160)이 더 설치 구비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설치구(110) 사이에는 보강플레이트(150)가 더 설치 구비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50)에는 상기 체결수단(140)이 삽입되는 설치구멍(151)이 형성되고, 또 상기 보강플레이트(150)의 모서리부에는 지중의 흙이 주변으로 산개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외주면으로 절곡된 절곡플랜지부(152)가 더 형성되는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KR1020170119812A 2017-09-18 2017-09-18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KR101809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812A KR101809210B1 (ko) 2017-09-18 2017-09-18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812A KR101809210B1 (ko) 2017-09-18 2017-09-18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210B1 true KR101809210B1 (ko) 2017-12-14

Family

ID=6095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812A KR101809210B1 (ko) 2017-09-18 2017-09-18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21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208B1 (ko) * 2018-05-18 2019-06-11 청오기초건설 주식회사 나선형 파일을 이용한 기초공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
KR20190132156A (ko) * 2018-05-18 2019-11-27 청오기초건설 주식회사 포장이 완료된 도로 위의 작은 하중을 받는 수직형 파일 기초공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
KR102059373B1 (ko) * 2019-07-29 2019-12-26 주식회사 가야산업 펜스용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59374B1 (ko) * 2019-07-29 2019-12-26 주식회사 가야산업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
KR102063297B1 (ko) * 2019-05-30 2020-01-07 대화전설(주) 배전용 전신주의 매립장치
KR102128878B1 (ko) 2019-01-30 2020-07-01 이경준 울타리용 서브 지주
KR102132112B1 (ko) * 2019-01-22 2020-07-09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태양광 발전 소음저감장치
KR200496837Y1 (ko) 2022-09-07 2023-05-08 신동열 철망 펜스 기둥 고정용 기초 구조체
KR20230154509A (ko)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지킴이 휀스의 기초 구조체
KR102602356B1 (ko) 2023-03-27 2023-11-16 주식회사 지킴이 휀스 기초파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07B1 (ko) 2011-09-05 2012-04-02 재 술 나 가드레일용 지주의 지지구조
KR101181365B1 (ko) 2011-10-26 2012-09-10 재 술 나 도로변의 지반 보강용 펜스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07B1 (ko) 2011-09-05 2012-04-02 재 술 나 가드레일용 지주의 지지구조
KR101181365B1 (ko) 2011-10-26 2012-09-10 재 술 나 도로변의 지반 보강용 펜스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208B1 (ko) * 2018-05-18 2019-06-11 청오기초건설 주식회사 나선형 파일을 이용한 기초공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
KR20190132156A (ko) * 2018-05-18 2019-11-27 청오기초건설 주식회사 포장이 완료된 도로 위의 작은 하중을 받는 수직형 파일 기초공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
KR102161171B1 (ko) * 2018-05-18 2020-09-29 청오기초건설 주식회사 포장이 완료된 도로 위의 작은 하중을 받는 수직형 파일 기초공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
KR102132112B1 (ko) * 2019-01-22 2020-07-09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태양광 발전 소음저감장치
KR102128878B1 (ko) 2019-01-30 2020-07-01 이경준 울타리용 서브 지주
KR102063297B1 (ko) * 2019-05-30 2020-01-07 대화전설(주) 배전용 전신주의 매립장치
KR102059373B1 (ko) * 2019-07-29 2019-12-26 주식회사 가야산업 펜스용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59374B1 (ko) * 2019-07-29 2019-12-26 주식회사 가야산업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
KR20230154509A (ko)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지킴이 휀스의 기초 구조체
KR200496837Y1 (ko) 2022-09-07 2023-05-08 신동열 철망 펜스 기둥 고정용 기초 구조체
KR102602356B1 (ko) 2023-03-27 2023-11-16 주식회사 지킴이 휀스 기초파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210B1 (ko)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KR101147074B1 (ko) 교통신호표지판 시설물
US5261435A (en) Shading device
US5011107A (en) Post anchor apparatus
US20080016786A1 (en) Shading systems
KR101103382B1 (ko) 터널 방음벽
US6526722B1 (en) Wood fence post repair device
KR101422799B1 (ko) 회전 접이식 보안등 및 가로등 지주 결합용 받침대와 그 시공방법
KR100875276B1 (ko) 도로용 강관유닛
KR101542013B1 (ko) 시공이 간편한 회전 접이식 보안등 및 가로등 지주체
KR100374000B1 (ko)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
KR102112034B1 (ko) 지주고정장치
KR100636622B1 (ko) 사면 부근 도로의 다단식 낙석 방지대
KR102414111B1 (ko) 조립식 파크렛
KR100974510B1 (ko) 도로용 울타리
KR20110017141A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1266186B1 (ko) 차광막 구조물
CN213774795U (zh) 一种安全防护栏
KR102500334B1 (ko)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KR100629944B1 (ko) 암반붕괴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구
KR200465745Y1 (ko) 도로조경수용 바람막이 고정구
KR102647499B1 (ko) 맨홀의 잠금용 속뚜껑
KR100917983B1 (ko) 가로 시설물의 매립형 지지장치
JP6207182B2 (ja) 基礎ブロックの設置方法及び基礎ブロック
KR102566152B1 (ko) 솔라셀 led램프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