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374B1 -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374B1
KR102059374B1 KR1020190091456A KR20190091456A KR102059374B1 KR 102059374 B1 KR102059374 B1 KR 102059374B1 KR 1020190091456 A KR1020190091456 A KR 1020190091456A KR 20190091456 A KR20190091456 A KR 20190091456A KR 102059374 B1 KR102059374 B1 KR 10205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upport
wire
base plate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종순
함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야산업
Priority to KR102019009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E04H12/2223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by scre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는 일정 크기의 다수개의 철망(메쉬)(100)과, 철망(100)들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철망(100)을 서로 간에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주(200)와, 지주(200)와 그 옆에 위치하는 철망(100)을 서로 간에 접속시키는 다수개의 접지선(300), 및 각각의 지주(20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함과 더불어 대지(흙)에 접촉하여 접지하는 다수개의 지지구조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Fence with improved ground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이 발명은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펜스를 구성하는 철망(메쉬)과 지주를 도체 재질로 서로 간에 연결하고 펜스의 지주를 지지하는 도체 재질의 지지구조물을 통해 대지(흙)에 접지시킴으로써, 펜스 전체에 대한 감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는 일정 크기(2,000mm x 2,000mm)의 다수개의 철망(메쉬)과, 철망들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철망을 서로 간에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주, 및 각각의 지주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다수개의 콘크리트 기초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펜스는 공장, 건물, 태양광 설비, 전원주택, 야외 주요시설 등의 경계용 울타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펜스는 펜스로의 누전, 낙뢰시에 감전사고 등에 전혀 대비가 되어있지 않는 상태로 생산되고 있으며, 전기 수전실 또는 태양광 발전소 부지 경계용 울타리에나 접지설비가 시공되고, 대다수 펜스에는 접지설비가 생략되어 있어 감전사고에 취약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에 접지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지주와 지주를 동전선과 같은 접지선으로 연결하고, 콘크리트 기초석을 관통하여 대지(흙)에 접촉하는 지주를 통해 접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지주들이 대략 2m 간격으로 설치됨에 따라, 2m 이상의 접지선을 이용해야 한다. 즉, 작업자가 한 쪽의 지주에 접지선의 일단을 접속한 후, 다른 쪽의 지주 쪽으로 이동하여 그 곳에서 접지선의 타단을 접속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m 이상의 접지선을 철망에 얹혀진 형태로 마감 처리함에 따라 미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펜스는 지주와 지주는 대지(흙)에 접촉하여 접지가 되지만 철망(메쉬)은 페인트(도료)로 피복되어 접지가 되지 않기 때문에, 누전, 낙뢰시 감전의 우려가 있는 상태로 시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 기초석은 다양한 형상 및 규격을 갖도록 일괄적으로 제작 생산된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기초석을 사용한 울타리의 시공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지면에 콘크리트 기초석을 매설한 다음 콘크리트 기초석의 관통구멍에 지주를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고, 이어 지주에 철망 등을 연결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 과정을 걸쳐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기초석은 사각 또는 원형 형태로 제작하되, 지주를 지면에 지지해줄 수 있도록 고중량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기초석을 작업 현장으로 운반하거나 시공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콘크리트 기초석을 지면에 매설함에 있어서는 땅을 일정 깊이로 판 후 그 곳에 매설해야 하는데, 작업 현장이나 상황에 따라 콘크리트 기초석을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매설하거나 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콘크리트 기초석은 그 곳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지주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대해 수평상태로 매설되어야 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주를 원하는 높낮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기초석을 정확한 깊이에 매설해야 하는데, 작업 현장 등을 고려해 볼 때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펜스는 평탄한 지면을 비롯하여 경사진 곳에도 많이 설치된다.
또한, 지주가 콘크리트 기초석에 견고하게 지지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기초석의 관통구멍에 지주가 끼워져 고정되어야 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지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지주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 기초석의 관통구멍과 지주 사이의 틈새에 나무 조각이나 플라스틱, 철재 등으로 된 쐐기를 억지끼움하여 지주를 고정하거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5093호 및 제2015-0055928호에 공개된 바와 같은 쐐기 고정방식이나 조임 고정방식으로 지주를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지주의 고정방식은 안정적이지 못하거나 그 구성관계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주가 콘크리트 기초석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대지(흙)에 접촉하더라도 표면이 코팅되지 않는 단부만이 대지(흙)에 접촉하여 접지되기 때문에, 그 접지면적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509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5928호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펜스를 구성하는 철망(메쉬)과 지주를 도체 재질로 서로 간에 연결하고 펜스의 지주를 지지하는 도체 재질의 지지구조물을 통해 대지(흙)에 접지시킴으로써, 펜스 전체에 대한 감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는, 일정 크기의 다수개의 철망과, 상기 다수개의 철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철망을 서로 간에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와 그 옆에 위치하는 철망을 서로 간에 접속시키는 다수개의 접지선, 및 각각의 지주를 지면에 대해 지지함과 더불어 대지에 접촉하여 접지하는 다수개의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물은, 일정너비와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구멍에 나사산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나사산에 맞물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와, 일측은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의 하단에 일체화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땅에 고정하는 쐐기부재, 및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의 상단에 일체화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를 지탱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쐐기부재는 지중에 일정 깊이로 전부 매설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 지지부재 또는 받침부재는 지중에 전부 매설되거나 상부 일부만이 지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지선은 일정 길이의 피복 동전선과, 상기 동전선의 양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접지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에는 2개의 상기 접지선의 한 쪽의 접지고리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피스로 고정하여 접속하고, 다른 쪽의 접지고리는 상기 철망의 와이어의 페인트 도포된 일부분을 제거하고 그 곳에 끼워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관통구멍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구멍과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나사산을 갖는 제2 관통구멍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는 표면이 아연으로 도금된 나선형 철근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나선형 철근 파이프의 둘레에 고정되는 새들과, 일측은 상기 새들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되 일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상기 새들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관통하는 경사형 관통구멍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경사형 관통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바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경사형 관통구멍의 테두리에 걸쳐지는 걸림턱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쐐기부재는 상기 나선형 철근 파이프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과 땅에 박히는 쐐기를 양 단부에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쐐기부재를 매설 공간의 땅속으로 깊숙이 박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수평상태를 갖도록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받침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에 고정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를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쐐기부재는 지중에 일정 깊이로 전부 매설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 지지부재 또는 받침부재는 지중에 전부 매설하거나 상부 일부만이 지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와 상기 지주의 하부를 일체화하여 상기 지주를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단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주의 양 쪽에 상기 철망을 고정해 일체화하고 상기 접지선으로 상기 지주와 그 옆에 위치하는 상기 철망을 서로 간에 각각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부재가 일렬로 설치되는 상기 철망의 전후방향에 위치하도록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펜스를 구성하는 철망(메쉬)과 지주를 접지선으로 서로 간에 연결하고 펜스의 지주를 지지하는 도체 재질의 지지구조물을 통해 넓은 영역에서 대지(흙)에 접지시킴으로써, 펜스 전체에 대한 감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철망에 직접 접지선의 일측이 부착된 상태로 생산되어 현장 시공시에 지주와 철망을 서로 직렬로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별도의 전기 기술자가 필요 없이도 접지구조를 갖는 제품으로 누구나 시공이 가능하며, 감전사고로부터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저중량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용하더라도 베이스 플레이트를 땅에 고정하는 쐐기부재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측방향으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높낮이 조절부재 및 지지부재를 비롯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너비 및 깊이에 해당하는 흙의 중량에 의해 더욱 견고한 지지력으로 지주 및 철망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높낮이 조절부재를 통해 지주를 지탱하는 받침부재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땅에 박히는 쐐기부재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를 편리하게 수평상태로 지중에 매설함에 따라 받침부재의 수평 조절이 용이해 시공성능이 우수하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망과 지주 간의 접속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밴드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지선의 상세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받침부재, 높낮이 조절부재 및 쐐기부재가 일체화된 형태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받침부재 및 높낮이 조절부재가 일체화된 형태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지지바(a)와 새들(b)의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쐐기부재의 구성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다른 일례의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받침부재, 높낮이 조절부재 및 쐐기부재가 일체화된 형태의 정면도이며,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받침부재 및 높낮이 조절부재가 일체화된 형태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 실시예들은 이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망과 지주 간의 접속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밴드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지선의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는 일정 크기의 다수개의 철망(메쉬)(100)과, 철망(100)들 사이에 배치되어 다수개의 철망(100)을 서로 간에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주(200)와, 지주(200)와 그 옆에 위치하는 철망(100)을 서로 간에 접속시키는 다수개의 접지선(300), 및 각각의 지주(20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함과 더불어 대지(흙)에 접촉하여 접지하는 다수개의 지지구조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망(메쉬)(100)은 일반적인 펜스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대략 2,000mm x 2,000mm의 크기를 갖는다. 한편, 철망(100)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 재질로 제작하되, 그 표면은 부식 등을 예방하기 위해 페인트로 도포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200)는 다수개의 철망(100)을 서로 간에 연결함과 더불어 철망(100)을 지탱하는 것으로서, 통상 원통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지주(200) 또한 전기가 흐르는 도체 재질로 제작하되, 그 표면은 부식 등을 예방하기 위해 페인트로 도포되어 있다. 한편, 지주(200)는 그 상단은 캡으로 마감 처리되고, 하단은 개방된 형태를 갖거나 지지구조물(400)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플랜지 등을 갖는다. 이때, 지주(200)의 하단 및 플랜지는 페인트로 도포되어 있지 않아 전기의 흐름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100)은 한 쌍의 밴드(110)와 볼트(120), 너트(130)에 의해 지주(200)에 고정된다. 즉, 한 쌍의 밴드(110)가 철망(100)의 와이어에 끼워지고 볼트(120)가 지주(200) 및 한 쌍의 밴드(110)를 관통하여 너트(130)로 조여짐으로써, 철망(100)이 지주(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선(300)은 지주(200)와 그 옆에 위치하는 철망(100)을 서로 간에 각각 접속시키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의 피복 동전선(310)과, 동전선(310)의 양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접지고리(320, 330)를 갖는다. 여기서, 한 쪽의 접지고리(320)는 피스 등으로 지주(200)에 고정되어 접속하는데 이용되고, 다른 쪽의 접지고리(330)는 철망(100)의 와이어에 끼워져 접속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지주(200)의 옆에는 2개의 철망(100)이 위치하므로, 2개의 접지선(300)으로 지주(200)와 그 옆에 위치하는 철망(100)을 각각 접속하되, 지주(200)에 대해서는 2개의 접지선(300)의 한 쪽의 접지고리(320)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피스로 고정하여 접속한다. 이때, 한 쪽의 접지고리(320)는 피스가 조여져 지주(200)에 자연스럽게 접속되고, 다른 쪽의 접지고리(330)는 철망(100) 와이어의 페인트 도포된 일부분을 제거하고 그 곳에 끼워 접속한다. 그리고, 접지선(300)은 양 접지고리(320, 330)가 접속된 상태로 반원 등의 일정 모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접지선(300)은 한 쪽의 지주(200)에서 양 쪽의 철망(100)에 대한 접속이 가능하여 작업이 효율적이고, 접지선(300)의 길이가 일정 모양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여 미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조물(400)은 각각의 지주(20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함과 더불어 대지(흙)에 접촉하여 접지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관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받침부재, 높낮이 조절부재 및 쐐기부재가 일체화된 형태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받침부재 및 높낮이 조절부재가 일체화된 형태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지지바(a)와 새들(b)의 구성도이며,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쐐기부재의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조물(400)은 일정너비와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구멍(411)에 나사산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나사산에 맞물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420)와, 일측은 높낮이 조절부재(420)에 고정되고 타측은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고정되어 높낮이 조절부재(4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30)와, 높낮이 조절부재(420)의 하단에 일체화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땅에 고정하는 쐐기부재(440), 및 높낮이 조절부재(420)의 상단에 일체화되어 지주(200)의 하부를 지탱하는 받침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일정너비와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콘크리트로 제작되지만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종래의 콘크리트 기초석에 비해 현저하게 저중량이지만 지면과 접촉하는 넓은 면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410)가 땅속 지중에 매설될 경우 땅의 중량에 의해 견고한 지지력을 갖게 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그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구멍(411)을 중앙에 가지며, 이러한 제1 관통구멍(411)에 나사산을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나사산은 암나사산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재질이 콘크리트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제1 관통구멍(411)에 직접 형성하는 것보다는 별도의 암나사산을 갖는 부재를 제1 관통구멍(411)의 내부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콘크리트가 아닌 제1 관통구멍(411)의 내측에 나사산 형성이 가능한 금속 재질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1 관통구멍(411)의 둘레를 따라 나사산을 갖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나사산은 후술할 높낮이 조절부재(420)의 높이방향으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상기와 같은 제1 관통구멍(411)과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나사산을 갖는 제2 관통구멍(412)을 더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관통구멍(412)의 나사산은 제1 관통구멍(411)의 나사산과 동일 개념으로 형성되어 동일 역할로 사용된다. 즉, 제2 관통구멍(412)의 나사산 또한 높낮이 조절부재(420)의 높이방향으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제2 관통구멍(412)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구체적인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지주(2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넓은 일반적인 위치의 경우에는 높낮이 조절부재(420)를 제1 관통구멍(411)의 나사산에 체결해 사용하고, 지주(200)를 설치하기 위한 측면공간이 부족한 위치의 경우에는 높낮이 조절부재(420)를 제2 관통구멍(412)의 나사산에 체결해 사용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제2 관통구멍(412)의 나사산을 더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주(200)를 설치하기 위한 측면공간이 부족한 위치에서도 편리하게 지주(200)를 설치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집이나 건물의 벽체와 거의 밀착하는 위치에 지주(200)를 설치할 경우에는 제2 관통구멍(412)의 나사산을 이용하면 효과적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420)는 상기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암나사산에 나사 체결되어 그 상단에 일체화되는 받침부재(45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의 나선형 철근 파이프로 구성된다. 여기서, 나선형 철근 파이프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암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는 숫나사산을 갖는다. 따라서, 나선형 철근 파이프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다. 한편, 나선형 철근 파이프는 금속 재질로 전기 흐름이 가능하다.
한편, 높낮이 조절부재(420)는 그 표면이 용융아연으로 도금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높낮이 조절부재(420)가 보다 효율적인 접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높낮이 조절부재(420)가 지중에 매설되어 대지(흙)에 넓은 면적으로 직접 접촉하여, 펜스로의 누전, 낙뢰시에 높낮이 조절부재(420)를 통해 대지(땅)으로 전류가 흐름으로 인해 감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가 있다.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30)는 높낮이 조절부재(4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재(430)는 높낮이 조절부재(420)를 구성하는 나선형 철근 파이프의 둘레에 고정되는 새들(431)과, 일측은 새들(431)에 고정되고 타측은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고정되되 일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새들(431)과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연결하는 지지바(432)로 구성된다.
한편, 지지바(432)의 일측은 새들(431)에 스크류 등으로 고정되고, 지지바(432)의 타측은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형성된 경사형 관통구멍(413)에 끼워져 경사형 관통구멍(413)의 테두리에 단부가 걸쳐져 고정된다. 즉, 지지바(432)의 타측은 그 단부에 걸림턱(432a)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바(432)의 일측이 먼저 경사형 관통구멍(413)을 관통하여 새들(431)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바(432) 타측의 걸림턱(432a)이 경사형 관통구멍(413)의 테두리에 걸쳐져 고정된다. 여기서, 경사형 관통구멍(413)은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경사진 형태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430)는 지중에 매설되어 대지(흙)에 접촉하여 접지할 수 있도록 전류 흐름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부재(440)는 높낮이 조절부재(420)의 하단에 일체화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땅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쐐기부재(440)는 높낮이 조절부재(420)를 구성하는 나선형 철근 파이프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441)와, 땅에 박히는 쐐기(442)를 양 단부에 각각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쐐기부재(440)는 땅에 박혀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땅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쐐기부재(440)는 높낮이 조절부재(420)와 함께 접지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높낮이 조절부재(420)와 쐐기부재(440)를 분리 구성하여 각각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으나, 높낮이 조절부재(420)의 하부쪽을 상기의 쐐기부재(440)와 동일 역할을 하도록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2가지의 역할을 각각의 구성요소로 언급하여 표현하든 한 개의 구성요소로 표현하든 동일한 권리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5,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450)는 높낮이 조절부재(420)의 상단에 일체화되고 지주(200)의 하단과 체결되어 지주(200)를 떠받쳐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받침부재(450)는 지주(200)의 하단을 떠받칠 수 있는 일정 너비를 가지며, 또한 지주(200)의 하단과 볼트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다. 여기서, 받침부재(450)는 지주(200)의 하단을 떠받친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는 사각판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받침부재(540)는 지주(200)를 거쳐 전달되는 전기가 높낮이 조절부재(420)에 전달되도록 금속재질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450A)는 지주(200)의 하부를 일정 깊이로 수용한 상태에서 지주(200)의 하부를 떠받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다른 일례의 지지구조물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받침부재, 높낮이 조절부재 및 쐐기부재가 일체화된 형태의 정면도이며,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받침부재 및 높낮이 조절부재가 일체화된 형태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례의 지지구조물(400A)은 지주(200)의 하부를 일정 깊이로 수용한 상태에서 지주(200)의 하부를 떠받치는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받침부재(450A)의 형상을 변형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에 도시된 지지구조물(40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주(200)가 위치에 곳의 땅을 일정 깊이로 판다. 그런 다음, 해당 매설 공간에 도 5과 같은 지지구조물(400)을 설치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그 길이방향이 일렬로 설치될 철망(100)과 직교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설치된 철망 또는 펜스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철망 또는 펜스가 전후방향으로 넘어지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지지부재(430)가 일렬로 설치된 철망의 전후방향에 위치하여 철망 또는 펜스를 전후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해당 매설 공간에 지지구조물(400)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먼저 쐐기부재(440)를 매설 공간의 땅속으로 깊숙이 박아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고정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410)가 수평상태를 갖도록 조정한다. 그런 다음, 지지부재(430)의 새들(431)을 높낮이 조절부재(42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부재(420)를 회전시켜 그 높낮이를 조절한다. 그 후, 새들(431)을 높낮이 조절부재(420)에 스크류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지지부재(430)가 높낮이 조절부재(420)를 지지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 상태에서 흙으로 지지구조물(400)을 덮어 매설한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410) 및 쐐기부재(440)는 지중에 일정 깊이로 전부 매설되고, 높낮이 조절부재(420), 지지부재(430) 또는 받침부재(450)는 지중에 전부 매설되거나 상부 일부만이 지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매설된다. 이때, 지주(200)에 볼트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받침부재(450)만이 지면으로 노출되도록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구조물(400)은 그 대부분이 지중에 매설됨에 따라, 쐐기부재(440)에 의해 땅에 고정되고 지지부재(430)에 의해 측방향(설치된 펜스의 전후방향)으로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410)가, 그 너비 및 깊이에 해당하는 흙의 중량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지지구조물(400)에 대한 시공이 완료되면, 받침부재(450)의 상단에 지주(200)의 하단에 위치하는 플랜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여 지주(200)를 지지구조물(400)의 상단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지주(200)의 양 쪽에 철망(100)을 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밴드(110)와 볼트(120), 너트(130)를 이용해 철망(100)을 지주(200)에 고정된다. 즉, 한 쌍의 밴드(110)를 철망(100)의 와이어에 끼우고 볼트(120)를 지주(200) 및 한 쌍의 밴드(110)를 관통한 후 너트(130)로 조여짐으로써, 철망(100)을 지주(20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런 다음, 접지선(300)을 이용해 지주(200)와 그 옆에 위치하는 철망(100)을 서로 간에 각각 접속시킨다. 즉, 접지선(300)의 한 쪽의 접지고리(320)는 피스 등으로 지주(200)에 고정하여 접속하고, 다른 쪽의 접지고리(330)는 철망(100)의 와이어에 끼워 접속한다. 이때, 2개의 접지선(300)으로 지주(200)와 그 옆에 위치하는 철망(100)을 각각 접속하되, 지주(200)에 대해서는 2개의 접지선(300)의 한 쪽의 접지고리(320)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피스로 고정하여 접속하고, 다른 쪽의 접지고리(330)는 철망(100) 와이어의 페인트 도포된 일부분을 제거하고 그 곳에 끼워 접속한다. 이러한 접속구조를 통해 접지선(300)은 반원 등의 일정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접지선(300)은 다른 쪽의 접지고리(330)가 철망(100)에 직접 부착된 상태로 철망(100)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 현장 작업에 효율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는 철망(100)과 지주(200)를 접지선(300)으로 서로 간에 연결하고 지주(200)를 지지하는 도체 재질의 지지구조물(400)을 통해 넓은 영역에서 대지(흙)에 접지시킴으로써, 펜스 전체에 대한 감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는 철망(100)에 직접 접지선(300)의 일측이 부착된 상태로 생산되어 현장 시공시에 지주(200)와 철망(100)을 서로 직렬로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별도의 전기 기술자가 필요 없이도 접지구조를 갖는 제품으로 누구나 시공이 가능하며, 감전사고로부터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지지구조물(400)은 저중량의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이용하더라도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땅에 고정하는 쐐기부재(440)와,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측방향으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높낮이 조절부재(420) 및 지지부재(430)를 비롯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너비 및 깊이에 해당하는 흙의 중량에 의해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갖는다. 또한, 높낮이 조절부재(420)를 통해 지주(200)를 지탱하는 받침부재(450)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땅에 박히는 쐐기부재(440)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편리하게 수평상태로 지중에 매설함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450)의 수평 조절이 용이해 시공성능이 우수하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철망 110 : 밴드
120 : 볼트 130 : 너트
200 : 지주 300 : 접지선
310 : 동전선 320, 330 : 접지고리
400, 400A : 지지구조물 410 : 베이스 플레이트
411 : 제1 관통구멍 412 : 제2 관통구멍
413 : 경사형 관통구멍 420 : 높낮이 조절부재
430 : 지지부재 431 : 새들
432 : 지지바 432a : 걸림턱
440 : 쐐기부재 441 : 암나사부
442 : 쐐기 450, 450A : 받침부재

Claims (10)

  1. 일정 크기의 다수개의 철망과, 상기 다수개의 철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철망을 서로 간에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와 그 옆에 위치하는 철망을 서로 간에 접속시키는 다수개의 접지선, 및 각각의 지주를 지면에 대해 지지함과 더불어 대지에 접촉하여 접지하는 다수개의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물은,
    일정너비와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구멍에 나사산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나사산에 맞물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부재와,
    일측은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의 하단에 일체화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땅에 고정하는 쐐기부재, 및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의 상단에 일체화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를 지탱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의 둘레에 고정되는 새들과, 일측은 상기 새들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되 일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상기 새들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은 일정 길이의 피복 동전선과, 상기 동전선의 양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접지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에는 2개의 상기 접지선의 한 쪽의 접지고리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피스로 고정하여 접속하고, 다른 쪽의 접지고리는 상기 철망의 와이어의 페인트 도포된 일부분을 제거하고 그 곳에 끼워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관통구멍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구멍과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나사산을 갖는 제2 관통구멍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는 표면이 아연으로 도금된 나선형 철근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관통하는 경사형 관통구멍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경사형 관통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바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경사형 관통구멍의 테두리에 걸쳐지는 걸림턱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는 상기 나선형 철근 파이프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과 땅에 박히는 쐐기를 양 단부에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8. 청구항 1에 기재된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쐐기부재를 매설 공간의 땅속으로 깊숙이 박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수평상태를 갖도록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받침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에 고정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를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쐐기부재는 지중에 일정 깊이로 전부 매설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 지지부재 또는 받침부재는 지중에 전부 매설하거나 상부 일부만이 지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와 상기 지주의 하부를 일체화하여 상기 지주를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단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주의 양 쪽에 상기 철망을 고정해 일체화하고 상기 접지선으로 상기 지주와 그 옆에 위치하는 상기 철망을 서로 간에 각각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의 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은 일정 길이의 피복 동전선과, 상기 동전선의 양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접지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에는 2개의 상기 접지선의 한 쪽의 접지고리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피스로 고정하여 접속하고, 다른 쪽의 접지고리는 상기 철망의 와이어의 페인트 도포된 일부분을 제거하고 그 곳에 끼워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의 시공방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부재가 일렬로 설치되는 상기 철망의 전후방향에 위치하도록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의 시공방법.
KR1020190091456A 2019-07-29 2019-07-29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 KR10205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456A KR102059374B1 (ko) 2019-07-29 2019-07-29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456A KR102059374B1 (ko) 2019-07-29 2019-07-29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374B1 true KR102059374B1 (ko) 2019-12-26

Family

ID=6910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456A KR102059374B1 (ko) 2019-07-29 2019-07-29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3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210B1 (ko) * 2017-09-18 2017-12-14 주식회사 임성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US20190051996A1 (en) * 2017-08-08 2019-02-14 Cochrane Steel Products (Pty) Ltd Earthing techniqu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51996A1 (en) * 2017-08-08 2019-02-14 Cochrane Steel Products (Pty) Ltd Earthing technique
KR101809210B1 (ko) * 2017-09-18 2017-12-14 주식회사 임성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5556B2 (ja) 支柱固定の容易性と固定力強化を兼ね備えたアンカー基礎機構
US8197156B2 (en) Shallow mounted fixed vehicle barrier device
US20220074228A1 (en) Modular perimeter fencing system
US20180155956A1 (en) Fencing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KR102059374B1 (ko) 접지구조를 개량한 펜스 및 그 시공방법
KR102112575B1 (ko) 펜스 지주용 받침 기초대 및 그 시공방법
KR102059373B1 (ko) 펜스용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210002844A1 (e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2266784B1 (ko) 무천공 지주와 클립형 클램프를 이용한 메시형 울타리 및 이의 설치 자율 방향 시공 방법
KR101747423B1 (ko) 자립식 토석류 방지 구조물
KR102104964B1 (ko) 안전난간 휀스지주의 수평조절장치
CN211714770U (zh) 一种与临水临电管线支架相结合的围挡支撑体系
CN209837881U (zh) 一种临建围挡模块化装置
CN210342851U (zh) 一种高强度水泥电线杆
CN109653522B (zh) 一种临边防护栏固定装置
CN109038232B (zh) 一种用于避雷针的预埋件结构
CN104453336A (zh) 一种高压钢管杆的基座结构
CN111910994A (zh) 一种与屋面光伏方阵结合的围栏及安装方法
KR102291157B1 (ko) 항타형 지지구조물을 갖는 펜스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32710A (ko) 암반용 조립식 강관전주의 지지대
CN213418688U (zh) 一种建筑施工插接式临边围杆装置
CN214994006U (zh) 一种建筑施工用桩基防护装置
JP6207182B2 (ja) 基礎ブロックの設置方法及び基礎ブロック
KR102592016B1 (ko) 조경시설물 철강재 각관 기둥고정을 위한 기초콘크리트 매립 고정브라켓 플레이트 및 그 시공공법
CN218581221U (zh) 一种可灵活搭设的防护栏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