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334B1 -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 Google Patents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334B1
KR102500334B1 KR1020220074260A KR20220074260A KR102500334B1 KR 102500334 B1 KR102500334 B1 KR 102500334B1 KR 1020220074260 A KR1020220074260 A KR 1020220074260A KR 20220074260 A KR20220074260 A KR 20220074260A KR 102500334 B1 KR102500334 B1 KR 102500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andfill
plates
stree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지은
Original Assignee
공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지은 filed Critical 공지은
Priority to KR1020220074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의 보도블럭과 가로수식재공간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수 식재공간의 경계영역을 따라 설정된 형상으로 배치되며, 지면 아래로 매립되는 복수개의 매립판(110)과; 상기 복수개의 매립판(110) 각각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가로수식재공간의 경계영역을 따라 지상에 배치되어 흙의 외부 누설을 차단하는 복수개의 경사노출지지판(120)과; 이웃하는 한 쌍의 매립판(110)의 모서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매립판(110)의 길이가 상기 가로수식재공간의 폭에 맞도록 모서리영역의 길이를 조절하는 하부폭조절브라켓(130)과; 상기 하부폭조절브라켓(130)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매립판(110)의 모서리 영역 거리가 조절되었을 때, 상기 복수개의 매립판(110)의 상부에 결합된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경사노출지지판(120) 사이의 빈 공간을 덮어 은폐하는 모서리캡(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Street Tree Protection Panel Assembly for Fine Dust Reduction}
본 발명은 가로수 보호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가로수의 보호와 함께 식물 식재가 가능하여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심지의 차도와 인도에는 녹지공간을 확보하고, 보행자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로수를 식재한다. 가로수에는 뿌리를 덮고 있는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고,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판이 설치된다. 보호판은 플라스틱, 금속, 콘크리트로 제작된 것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인도에 식재된 가로수(A)에 보호판(1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도에는 보행자의 보행을 위해 블럭(B)이 설치되고, 블럭(B)이 설치되지 않은 가로수식재공간에 가로수(A)가 식재된다.
그리고, 가로수(A)가 식재된 공간의 토양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판(10)이 덮혀진다.
그런데, 종래 보호판(10)은 그 크기가 획일화되어 크기 변형이 어려워, 블럭(B)의 배치형태에 따라 가로수식재공간의 폭(W)이 달라질 경우 보호판(10)을 설치하기 어려운 제약이 있었다.
또한, 종래 보호판(10)은 블럭(B)으로부터 높이(h)가 높지 않게 설치되므로, 외부로 드러난 토양의 높이(h)가 1-3cm 이내로 형성된다. 이에 도로 조경 또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기본 높이, 일례로 10cm가 충족되지 않아 식물을 식재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보호판(10)은 가로수(A)의 뿌리(A1)가 토양 밖으로 융기될 경우, 융기된 뿌리에 의해 상부로 들려지게 된다. 이렇게 보호판(10)의 한쪽이 들려지면 들려지지 않은 다른 쪽의 보호판(10)과 균형이 맞지 않아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경사진 지형과 같이 토양의 높이가 수평하지 않는 경우에도 종래 보호판(10)은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도 외부로 노출된 토양의 높이를 10cm 이상으로 유지하여 가로수 주변으로 식물 식재가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로수식재공간의 폭에 따라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수의 뿌리 융기, 또는 지형의 형상에 따라 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수의 뿌리로 잠적관수가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도의 보도블럭과 가로수식재공간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는, 가로수 식재공간의 경계영역을 따라 설정된 형상으로 배치되며, 지면 아래로 매립되는 복수개의 매립판(110)과; 상기 복수개의 매립판(110) 각각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가로수식재공간의 경계영역을 따라 지상에 배치되어 흙의 외부 누설을 차단하는 복수개의 경사노출지지판(120)과; 이웃하는 한 쌍의 매립판(110)의 모서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매립판(110)의 길이가 상기 가로수식재공간의 폭에 맞도록 모서리영역의 길이를 조절하는 하부폭조절브라켓(130)과; 상기 하부폭조절브라켓(130)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매립판(110)의 모서리 영역 거리가 조절되었을 때, 상기 복수개의 매립판(110)의 상부에 결합된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경사노출지지판(120) 사이의 빈 공간을 덮어 은폐하는 모서리캡(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립판(110)은, 상기 가로수식재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하게 매립 배치되며 양단에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관통형성된 한 쌍의 본체볼트결합공(115)이 구비된 매립판본체(111)와; 상기 매립판본체(111)의 상단에 내측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경사노출지지판(120)의 하단이 거치되며 판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바결합슬릿(113a)이 관통형성된 상부절곡면(113)과; 상기 매립판본체(111)의 내측에 상기 본체볼트결합공(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하부폭조절브라켓(130)과 하부폭조절볼트(135)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결합판(117)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노출지지판(120)은, 상기 매립판본체(111)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판(121)과; 상기 수직판(121)의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상부절곡면(113)에 거치되는 하부안착면(123)과; 상기 수직판(121)의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모서리캡(150)이 거치되게 지지하는 캡거치면(125)과; 상기 하부안착면(123)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결합슬릿(113a)에 끼워지는 끼움바(126)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은 수직하게 절곡형성되며 판면에 각각 상기 하부폭조절볼트(135)가 상기 하부결합판(117)으로 삽입되게 일정길이 수평방향으로 장홀(131a,133a)이 관통형성된 한 쌍의 폭조절결합판(131,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는 모서리 영역에 상기 모서리캡(15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캡(150)의 결합위치를 지지하는 캡지지브라켓(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서리캡(150)은 이웃하는 한 쌍의 경사노출지지판(120)의 결합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캡거치면(125)에 거치되고, 상기 모서리캡(150)의 내벽면에는 캡볼트체결공(157a)이 형성된 캡볼트결합판(157)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캡지지브라켓(140)은 절곡형성되어 양단이 이웃하는 한 쌍의 경사노출지지판(120)의 내벽면에 접촉지지되며, 상기 캡볼트결합판(157)과 맞닿는 영역에는 상기 캡볼트체결공(157a)과 동축상으로 볼트결합공(145a)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매립판(110)의 내벽면을 따라 결합되며, 판면에 미세물배출구(163)가 관통형성되고, 폐쇄된 일단은 상기 매립판(110) 내부에 위치되고, 개방된 타단은 토양 외부로 노출되어 물을 공급받는 점적관수호스(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도에서 지면으로 노출된 상기 경사노출지지판(120)과 상기 경사노출지지판(120) 사이로 삽입되어 빗물을 지면 내부로 유입시키는 빗물유입판(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는, 경사완료지지판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인도 외부로 노출된 토양의 높이를 10cm 이상으로 유지하여 가로수 주변으로 식물 식재가 가능하다. 이에 의해 가로수 주변으로 다양한 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미세먼지 저감과 조경 조성 효과가 있다.
또한, 이웃하는 매립판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폭조절브라켓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가로수식재공간의 폭에 따라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크기의 가로수 식재공간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사완료지지판이 매립판에 대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가로수의 뿌리 융기, 또는 지형에 따라 높이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가로수 뿌리 융기에 의해 높이가 어긋나 심미감을 해치던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잠적관수 호수와 빗물유입판을 이용해 가로수의 뿌리로 물을 공급할 수 있어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보호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조립체가 인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조립체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조립체의 폭 조절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조립체의 높이 조절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가 인도에 설치되어 가로수(A)를 보호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는 인도의 블럭(B)과 가로수(A)가 식재되는 토양(G) 사이의 경계영역에 구비되어 가로수 식재공간을 블럭(B)과 구분하고, 보행자들로부터 가로수(A)를 보호한다.
이 때,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는 블럭(B)으로부터 10cm 이상의 높이로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내부에 식물(C)이 식재될 수 있는 토양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들이 토양을 깊이 파지 않더라도 식물을 식재할 수 있고, 이렇게 식재된 식물이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할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저감에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는 블럭(B)과의 경계에 빗물유입판(170)이 구비되어 빗물(W)을 가로수(A)가 식재된 토양으로 유도하여 가로수(A)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는 가로수식재공간의 토양 내부에 매립되는 복수개의 매립판(110)과, 매립판(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로수식재공간의 외부로 노출되어 블럭(B)과 가로수식재공간을 구분하며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토양의 높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경사노출지지판(120)과, 이웃하는 매립판(110) 사이에 구비되어 매립판(1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하부폭조절브라켓(130)과, 이웃하는 경사노출지지판(120) 사이에 결합되어 경사노출지지판(120) 사이의 틈을 커버하는 모서리캡(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은 인도의 블럭(B) 사이에 형성된 가로수식재공간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매립판(110)과 경사노출지지판(120)은 사각형의 각 변을 형성하도록 각각 네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폭조절브라켓(130) 및 모서리캡(150)은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각각 4개가 구비된다.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은 사각형 뿐만 아니라 삼각형을 비롯한 다른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매립판(110), 경사노출지지판(120), 하부폭조절브라켓(130) 및 모서리캡(150)은 그에 맞게 개수가 가감될 수 있다.
매립판(110)은 일정 면적을 갖는 판 형태로 구비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도를 형성하는 블럭(B)과 가로수식재공간의 경계에서 토양 밑으로 수직방향으로 매립한다. 매립판(110)은 경사노출지지판(120)과 결합되어 지면 위로 노출되는 경사노출지지판(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매립판(110)은 도 5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판본체(111)와, 매립판본체(111)의 상부에 수평하게 일정면적 절곡되는 상부절곡면(113)과, 매립판본체(111)의 양측 판면에 일정길이 관통형성된 한 쌍의 본체볼트결합공(115)과, 매립판본체(111)의 양측 내벽면에 본체볼트결합공(115)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결합판(117)을 포함한다.
매립판본체(1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B)으로부터 토양 밑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매립판본체(111)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 재질로 형성된다. 매립판본체(111)는 내구성을 위해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절곡면(113)은 매립판본체(111)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일정면적 절곡되어 경사노출지지판(120)이 거치되게 지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판(110)의 상부에 경사노출지지판(120)이 결합될 때 경사노출지지판(120) 하부의 하부안착면(123)이 상부절곡면(113)의 상부에 나란하게 거치되어 매립판(110)의 상부에 경사노출지지판(120)이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상부절곡면(113)의 전체 영역으로 경사노출지지판(120)의 면적이 분산지지되어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부절곡면(113)의 판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바결합슬릿(113a)이 절개 형성된다. 바결합슬릿(113a)에는 경사노출지지판(120)의 끼움바(126)가 끼워져 매립판(110)과 경사노출지지판(12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이 때, 끼움바(126)는 바결합슬릿(113a)에 억지끼워맞춤 되지 않고 일정 유격이 있게 설계되어, 지형에 따라 경사노출지지판(12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이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체볼트결합공(115)은 매립판본체(111)의 양측 판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본체볼트결합공(115)이 형성된 매립판본체(111)의 내벽면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결합판(117)이 용접되어 고정결합된다.
하부결합판(117)은 하부폭조절브라켓(130)에 결합되어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폭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하부결합판(117)은 판면에 한 쌍의 결합판볼트결합공(117a)이 관통형성된다. 하부결합판(117)의 하단에는 내측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형성된 브라켓거치턱(117b)이 구비된다. 결합판볼트결합공(117a)에는 하부폭조절볼트(135)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의 판면에 형성된 장홀(131a,133a)의 희망하는 위치에 하부폭조절볼트(135)를 삽입하면, 하부폭조절볼트(135)는 결합판볼트결합공(117a)에 나사결합된 후 매립판본체(111)의 본체볼트결합공(115)에 체결된다.
이 때, 하부폭조절볼트(135)가 장홀(131a,133a)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하부폭조절볼트(135)에 의해 하부결합판(117)에 결합된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은 브라켓거치턱(117b)에 거치되어 결합위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경사노출지지판(120)은 매립판(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외부로 노출되어 보행자가 가로수식재공간으로 보행하지 못하도록 경계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노출지지판(120)은 지면 위로 식물의 뿌리가 식재될 수 있는 토양의 높이인 10cm 이상으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가로수(A) 주변으로 꽃과 같은 다양한 식물이 식재될 수 있게 한다.
경사노출지지판(120)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판(110)과 동축상으로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판(121)과, 수직판(121)의 상부에 내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판(122)과, 수직판(121)의 하부에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형성되는 하부안착면(123)과, 하부안착면(123)의 중심영역에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바결합슬릿(113a)에 삽입되는 끼움바(126)를 포함한다.
경사노출지지판(120)은 도 3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121)은 매립판(110)에 결합된 상태로 토양 내부에 매립되고, 경사판(122)만 지면 위로 노출된다. 경사판(122)은 내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되어 내부의 토양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경사노출지지판(120)의 길이는 매립판(110)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하부안착면(123)은 수직판(121)의 하부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형성되어 매립판(110)의 상부절곡면(113) 상에 안착된다.
하부안착면(123)의 폭은 상부절곡면(113)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하부안착면(123)의 폭은 상부절곡면(113)의 바결합슬릿(113a)에 대응되는 폭으로 구비되어 하부안착면(123)이 상부절곡면(113)에 안착되었을 때 끼움바(126)가 바결합슬릿(113a)에 삽입된다.
끼움바(126)는 하부안착면(123)의 중심영역에 좌우로 일정 길이를 갖게 구비되어 매립판(110)과 경사노출지지판(120)의 결합상태가 구속되게 하고, 지형이나 가로수 뿌리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끼움바(126)는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높이조절수직바(126a)와, 높이조절수직바(126a)의 하부에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경사끼움바(126b)를 포함한다. 하부경사끼움바(126b)와 높이조절수직바(126a)는 함께 바결합슬릿(113a)에 삽입된다.
이 때, 높이조절수직바(126a)는 바결합슬릿(113a)에 느슨하게 끼워져 상하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경사노출지지판(120)에서 지상으로 노출되는 경사판(122)의 외측 판면에는 광고용 문구나 이미지 등이 음각 또는 양각되거나 인쇄되어 광고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에 의한 높이조절 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9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바(126)가 바결합슬릿(113a)에 삽입되면, 하부안착면(123)은 상부절곡면(113) 상에 접촉되며 안착되고, 수직판(121)은 매립판본체(111)와 동축상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높이조절수직바(126a)는 상부절곡면(113) 아래로 수직하게 위치되고, 하부경사끼움바(126b)는 매립판본체(111)의 내벽면과 접촉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수(A)의 뿌리(A1)가 지면으로 융기되면서 경사노출지지판(120)을 가압하면, 뿌리(A1)의 가압력에 의해 바결합슬릿(113a)으로부터 높이조절수직바(126a)가 뽑혀지며 상방향으로 들려지게 된다. 높이조절수직바(126a)가 바결합슬릿(113a) 상부로 들려지더라도 하부경사끼움바(126b)는 바결합슬릿(113a) 하부에 삽입된 상태로 매립판본체(111) 내벽면에 접촉지지되어 하중을 분산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뿌리(A1)에 의해 복수개의 경사노출지지판(120) 중 어느 하나의 높이가 높아지면, 나머비 경사노출지지판(120)과 높이가 맞지 않아 심미관을 해치게 된다. 이 때, 작업자는 나머지 경사노출지지판(120)도 손으로 가압하여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뿌리(A1)에 의해 들어올려진 경사노출지지판(120)과 동일한 높이로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바결합슬릿(113a) 상부로 들어올려진 높이조절수직바(126a)와 상부절곡면(113) 사이의 공간에 흙 또는 블럭(B)을 삽입하여 조절된 높이가 유지되게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경사진 지형에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를 설치해야하는 경우 복수개의 경사노출지지판(120)의 높이를 서로 상이하게 조절하여 지형에 맞게 설치할 수 있다.
캡거치면(125)은 경사판(122)의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하게 일정면적 절곡형성된다. 캡거치면(125)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폭조절브라켓(130)에 의해 매립판(110)과 경사노출지지판(1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었을 때, 모서리캡(150)이 거치되며 비어있는 빈 공간(D)을 커버할 수 있게 지지한다.
캡거치면(125)에는 모서리캡(150)의 캡거치턱(155)이 거치되어 모서리캡(150)의 위치가 1차 고정되게 한다.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은 인도의 블럭(B) 사이의 가로수식재공간의 폭에 맞게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폭이 조절되게 한다.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매립판(110)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한 쌍의 매립판(110)과 결합된다.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은 서로 수직하게 절곡형성된 제1폭조절결합판(131)과 제2폭조절결합판(133)을 포함한다. 제1폭조절결합판(131)과 제2폭조절결합판(133)의 판면에는 각각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개된 제1장홀(131a)과 제2장홀(133a)이 구비된다.
제1폭조절결합판(131)과 제2폭조절결합판(133)은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매립판(110)의 하부결합판(117)과 하부폭조절볼트(135)에 의해 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가로수식재공간의 폭을 측정하고, 매립판(110)의 길이와, 매립판(110)의 하부폭조절브라켓(130)에 결합되어 매립판(110) 외부로 노출되는 제1폭조절결합판(131)의 길이를 합하여 가로수식재공간의 폭에 맞아지도록 제1장홀(131a)에 하부결합판(117)이 결합되는 위치를 선택한다.
도 7과 도 8은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폭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가로폭(W1)과 세로폭(W2)가 최소 길이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가로폭(W3)과 세로폭(W4)가 최대 길이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폭을 줄어야할 경우, 제1장홀(131a)과 제2장홀(133a)의 내측에 하부결합판(117)을 결합시킨다. 즉, 장홀(131a,133a)의 전체길이(ℓ) 중 절곡선과 가깝게 하부폭조절볼트(135)를 체결할수록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폭이 줄어든다.
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폭을 증가시켜야 할 경우, 제1폭조절결합판(131)과 제2폭조절결합판(133)의 외측에 하부결합판(117)을 결합시킨다. 즉, 장홀(131a,133a)의 전체길이(ℓ) 중 절곡선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부폭조절볼트(135)를 체결할수록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이 폭이 증가된다.
이러한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을 이용한 폭 조절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가로수식재공간에 본 발명이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를 호환하여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는 모서리 영역에 모서리캡(15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모서리캡(150)의 결합위치를 지지하는 캡지지브라켓(14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매립판(110)이 하부폭조절브라켓(130)에 의해 폭이 조절되고, 매립판(110)의 상부에 경사노출지지판(120)이 결합되면, 이웃하는 경사노출지지판(120)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는 빈 공간(D)이 형성된다.
이렇게 빈 공간(D)이 외부로 노출되면, 심미감도 해칠 수 있고 내부의 토양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모서리캡(150)은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경사노출지지판(120)의 모서리 영역의 외부에서 빈 공간(D)을 덮어 토양의 외부누설을 막고 심미감도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캡지지브라켓(140)은 모서리캡(150)이 한 쌍의 경사노출지지판(120)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지지한다.
도 6의 (b)는 캡지지브라켓(140)과 모서리캡(150)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지지브라켓(140)은 중앙의 날개지지판(145)을 기준으로 양쪽에 제1지지날개(141) 및 제2지지날개(143)가 일정 각도 절곡되어 구비된다.
날개지지판(145)의 판면에는 결합볼트(147)가 삽입되는 볼트결합공(145a)이 관통형성된다. 제1지지날개(141)와 제2지지날개(14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경사노출지지판(120)의 내벽면에 접촉지지된다.
모서리캡(150)은 수직하게 절곡형성된 제1커버(151)와 제2커버(153)를 포함한다. 제1커버(151)와 제2커버(153)는 중앙의 절곡선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경사노출지지판(120)의 외부를 덮는다.
이에 의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조절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모서리영역의 빈공간(D)이 은폐될 수 있다.
모서리캡(150)의 내측의 절곡선 영역에는 캡볼트결합판(157)이 날개지지판(145)에 대응되게 고정결합된다. 캡볼트결합판(157)은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모서리캡(150)에 고정결합된다.
캡볼트결합판(157)의 판면에는 날개지지판(145)의 볼트결합공(145a)에 대응되는 캡볼트체결공(157a)이 형성된다. 캡볼트체결공(157a)의 내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볼트(147)가 볼트결합공(145a)에 삽입된 후 캡볼트결합판(157)에 나사결합되게 한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지지브라켓(140)의 좌우 한 쌍의 지지날개(141,143)가 이웃하는 경사노출지지판(120)의 내벽면을 접촉가압하고, 모서리캡(150)은 캡거치턱(155)에 의해 경사노출지지판(120)의 캡거치면(125)에 거치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결합볼트(147)를 날개지지판(145)의 볼트결합공(145a)으로 삽입한 후 캡볼트결합판(157)의 캡볼트체결공(157a)에 체결하여 모서리캡(150)이 한 쌍의 경사노출지지판(120)의 모서리영역의 외부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는 가로수의 생장에 필요한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점적관수호스(160)와 빗물유입판(170)을 포함한다.
점적관수호스(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노출지지판(120)의 경사판(122) 내벽면을 따라 배치된다. 이 때, 점적관수호스(160)의 일단은 막혀지고, 타단은 지상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된다. 외부로 노출된 타단은 개방된 물유입구(1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점적관수호스(160)의 표면에는 미세한 미세물배출구(163)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이 채워지고 가로수(A)와 식물(C)이 식재된 상태에서 비가 오면 빗물이 물유입구(161)를 통해 점적관수호스(160)로 유입되고, 미세물배출구(163)를 통해 천천히 장시간에 걸쳐 토양으로 공급되어 가로수(A)와 식물(C)들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빗물유입판(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도에 설치된 블럭(B)과 경사판(122) 사이의 경계에 구비되어 빗물(W)이 경사판(122) 내부로 스며들어 토양으로 공급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의 사용과정을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를 미리 조립하지 않고 현장 지형과 가로수 식재공간의 폭을 고려하여 현장에서 조립한다.
네 개의 매립판(110)을 먼저 수직하게 위치시키고, 모서리 영역에 네 개의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로수 식재공간의 폭에 맞게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의 장홀(131a,133a)에 하부폭조절볼트(135)를 끼워 네 개의 매립판(110)과 네 개의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을 조립한다.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의 조립이 완료되면, 각각의 매립판(110)의 바결합슬릿(113a)에 끼움바(126)를 끼워 경사노출지지판(120)을 조립한다. 경사노출지지판(120)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웃하는 경사노출지지판(120)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 캡지지브라켓(140)과 모서리캡(150)을 결합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를 가로수식재공간의 블럭(B) 경계에 위치시키고, 경사판(122)만 지상으로 노출되게 매립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경사판(122)의 내부 둘레를 따라 점적관수호스(16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로수 보호판조립체(100) 내부에 가로수(A)를 식재하고 토양을 채운다.
토양을 채울 때, 점적관수호스(160)의 물유입구(161)는 토양 밖으로 노출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빗물유입판(170)을 블럭(B)과 경사판(122) 사이 경계영역에 배치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시공이 완료되면, 경사노출지지판(120)의 경사판(122)의 높이가 식물(C)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최소 높이를 초과하므로, 식재된 가로수 주변으로 꽃과 같은 식물(C)들을 식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는, 경사완료지지판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인도 외부로 노출된 토양의 높이를 10cm 이상으로 유지하여 가로수 주변으로 식물 식재가 가능하다. 이에 의해 가로수 주변으로 다양한 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미세먼지 저감과 조경 조성 효과가 있다.
또한, 이웃하는 매립판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폭조절브라켓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가로수식재공간의 폭에 따라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크기의 가로수 식재공간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사완료지지판이 매립판에 대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가로수의 뿌리 융기, 또는 지형에 따라 높이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가로수 뿌리 융기에 의해 높이가 어긋나 심미감을 해치던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잠적관수 호수와 빗물유입판을 이용해 가로수의 뿌리로 물을 공급할 수 있어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110 : 매립판
111 : 매립판본체 113 : 상부절곡면
113a : 바결합슬릿 115 : 본체볼트결합공
117 : 하부결합판 117a : 결합판볼트결합공
117b : 브라켓거치턱 120 : 경사노출지지판
121 : 수직판 122 : 경사판
123 : 하부안착면 125 : 캡거치면
126 : 끼움바 126a : 높이조절수직바
126b : 하부경사끼움바 130 : 하부폭조절브라켓
131 : 제1폭조절결합판 131a : 제1장홀
133 : 제2폭조절결합판 133a : 제2장홀
135 : 하부폭조절볼트 140 : 캡지지브라켓
141 : 제1지지날개 143 : 제2지지날개
145 : 날개지지판 145a : 볼트결합공
147 : 결합볼트 150 : 모서리캡
151 : 제1커버 153 : 제2커버
155 : 캡거치턱 157 : 캡볼트결합판
157a : 캡볼트체결공 160 : 점적관수호스
161 : 물유입구 163 : 미세물배출구
170 : 빗물유입판
A : 가로수
A1 : 가로수뿌리
B : 블럭
C : 식물
C1 : 식물뿌리
G : 토양
W : 물

Claims (5)

  1. 인도의 보도블럭과 가로수식재공간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에 있어서,
    가로수 식재공간의 경계영역을 따라 설정된 형상으로 배치되며, 지면 아래로 매립되는 복수개의 매립판(110)과;
    상기 복수개의 매립판(110) 각각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가로수식재공간의 경계영역을 따라 지상에 배치되어 흙의 외부 누설을 차단하는 복수개의 경사노출지지판(120)과;
    이웃하는 한 쌍의 매립판(110)의 모서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매립판(110)의 길이가 상기 가로수식재공간의 폭에 맞도록 모서리영역의 길이를 조절하는 하부폭조절브라켓(130)과;
    상기 하부폭조절브라켓(130)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매립판(110)의 모서리 영역 거리가 조절되었을 때, 상기 복수개의 매립판(110)의 상부에 결합된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경사노출지지판(120) 사이의 빈 공간을 덮어 은폐하는 모서리캡(150)을 포함하되,
    상기 매립판(110)은,
    상기 가로수식재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하게 매립 배치되며 양단에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관통형성된 한 쌍의 본체볼트결합공(115)이 구비된 매립판본체(111)와;
    상기 매립판본체(111)의 상단에 내측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경사노출지지판(120)의 하단이 거치되며 판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바결합슬릿(113a)이 관통형성된 상부절곡면(113)과;
    상기 매립판본체(111)의 내측에 상기 본체볼트결합공(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하부폭조절브라켓(130)과 하부폭조절볼트(135)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결합판(117)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노출지지판(120)은,
    상기 매립판본체(111)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판(121)과;
    상기 수직판(121)의 상부에 내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판(122)과;
    상기 수직판(121)의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상부절곡면(113)에 거치되는 하부안착면(123)과;
    상기 경사판(122)의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모서리캡(150)이 거치되게 지지하는 캡거치면(125)과;
    상기 하부안착면(123)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결합슬릿(113a)에 끼워지는 끼움바(126)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폭조절브라켓(130)은,
    수직하게 절곡형성되며 판면에 각각 상기 하부폭조절볼트(135)가 상기 하부결합판(117)으로 삽입되게 일정길이 수평방향으로 장홀(131a,133a)이 관통형성된 한 쌍의 폭조절결합판(131,133)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바(126)는,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높이조절수직바(126a)와, 상기 높이조절수직바(126a)의 하부에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경사끼움바(126b)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수직바(126a)와 상기 하부경사끼움바(126b)는 상기 바결합슬릿(113a)에 함께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수직바(126a)는 상기 상부절곡면(113) 아래로 수직하게 위치되고, 상기 하부경사끼움바(126b)는 상기 매립판본체(111)의 내벽면과 접촉지지되며, 상기 경사노출지지판(120)이 상기 매립판(110)에 대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수 보호판조립체는,
    모서리 영역에 상기 모서리캡(15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캡(150)의 결합위치를 지지하는 캡지지브라켓(1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캡(150)은 이웃하는 한 쌍의 경사노출지지판(120)의 결합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캡거치면(125)에 거치되고,
    상기 모서리캡(150)의 내벽면에는 캡볼트체결공(157a)이 형성된 캡볼트결합판(157)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캡지지브라켓(140)은 절곡형성되어 양단이 이웃하는 한 쌍의 경사노출지지판(120)의 내벽면에 접촉지지되며, 상기 캡볼트결합판(157)과 맞닿는 영역에는 상기 캡볼트체결공(157a)과 동축상으로 볼트결합공(145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매립판(110)의 내벽면을 따라 결합되며, 판면에 미세물배출구(163)가 관통형성되고, 폐쇄된 일단은 상기 매립판(110) 내부에 위치되고, 개방된 타단은 토양 외부로 노출되어 물을 공급받는 점적관수호스(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인도에서 지면으로 노출된 상기 경사노출지지판(120)과 상기 경사노출지지판(120) 사이로 삽입되어 빗물을 지면 내부로 유입시키는 빗물유입판(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KR1020220074260A 2022-06-17 2022-06-17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KR102500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260A KR102500334B1 (ko) 2022-06-17 2022-06-17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260A KR102500334B1 (ko) 2022-06-17 2022-06-17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334B1 true KR102500334B1 (ko) 2023-02-14

Family

ID=8522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260A KR102500334B1 (ko) 2022-06-17 2022-06-17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3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781Y1 (ko) * 2002-05-07 2002-08-14 박창우 가로수 보호대
KR20070029885A (ko) * 2005-09-12 2007-03-15 박인호 가로수 보호판용 가변형 받침대
KR101380489B1 (ko) * 2012-12-24 2014-04-04 장성기 수목 보호용 관수 틀 및 이를 이용 자동급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781Y1 (ko) * 2002-05-07 2002-08-14 박창우 가로수 보호대
KR20070029885A (ko) * 2005-09-12 2007-03-15 박인호 가로수 보호판용 가변형 받침대
KR101380489B1 (ko) * 2012-12-24 2014-04-04 장성기 수목 보호용 관수 틀 및 이를 이용 자동급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210B1 (ko)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KR100888887B1 (ko)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장치 및 가로수 보호 조립체
KR101290672B1 (ko) 식생수목 보호대
KR20090105791A (ko) 슬렌팅 보호덮개
KR101164224B1 (ko) 가로수 보호기구
KR101361196B1 (ko) 화분 난간
KR101188652B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유닛 및 그 장치
US6925753B1 (en) Landscape edging
KR102500334B1 (ko)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KR100822057B1 (ko) 담수형 가로수 보호 덮개
KR101261808B1 (ko) 가로수 보호기구
WO2011033463A1 (en) Modular floating roof- garden system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101325928B1 (ko) 설치가 간편한 논 물꼬용 패널
KR102585947B1 (ko) 우수 정화 지중 침투장치
KR102119086B1 (ko) 관수 기능을 갖는 중앙지주식 가로수 보호판
KR200445933Y1 (ko) 가로수 보호덮개
KR20200120192A (ko) 고정력이 향상된 다기능 조립식 경계석 받침틀
KR102414111B1 (ko) 조립식 파크렛
KR102568826B1 (ko) 도로변 식생 급수기능을 갖는 식재 펜스
KR101871206B1 (ko) 화단 경계시설구조
KR101132766B1 (ko) 뿌리 성장 유도 수목보호대
KR101112771B1 (ko)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24136B1 (ko) 다기능 가로수 관수장치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