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224B1 - 가로수 보호기구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224B1
KR101164224B1 KR1020110024903A KR20110024903A KR101164224B1 KR 101164224 B1 KR101164224 B1 KR 101164224B1 KR 1020110024903 A KR1020110024903 A KR 1020110024903A KR 20110024903 A KR20110024903 A KR 20110024903A KR 101164224 B1 KR101164224 B1 KR 101164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upport
cover
roadside
protec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563A (ko
Inventor
한경수
박용순
Original Assignee
박용순
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순, 한경수 filed Critical 박용순
Priority to KR1020110024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2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Abstract

덮개의 고정 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가로수 보호기구가 개시된다. 지지틀은 가로수 둘레의 지면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측 지지틀 및 내측 지지틀로 구성된다. 외측 지지틀은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제1단턱이 형성된다. 내측 지지틀은 제1단턱과 대향되게 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제2단턱이 형성된다. 덮개는 양측이 제1단턱과 제2단턱에 안착된다. 따라서, 덮개의 조립 상태가 변형되지 않으며 흙에 묻힐 염려가 없다. 또한, 가로수 주변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Description

가로수 보호기구{Apparatus for protection of roadside tree}
본 발명은 가로수 보호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수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여 외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곧은 성장을 돕는 가로수 보호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로수는 도로, 공원 등에 심어져 조경을 미려하게 하며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가로수는 행인과 자동차 등이 자주 지나는 장소에 심어지기 때문에, 손상되기 쉽다. 또한, 폭우, 폭설, 태풍 등의 기상환경에 의해, 가로수가 뿌리째 뽑히는 경우도 발생한다.
가로수 보호기구는 가로수가 심어진 흙과 도로의 경계를 구획하고 행인이나 비 등에 의해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울타리 역할을 한다. 또한, 가로수 보호기구는 가로수를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하고 줄기의 곧은 성장을 돕는 등의 목적으로 설치된다.
종래의 가로수 보호기구는 가로수가 심어진 지면의 소정 구역을 덮는 덮개와, 가로수의 줄기 부위를 감싸는 와이어와, 와이어에 고정된 상태로 지면에 지지되는 목재 등의 지지대를 구비한다. 이 경우, 덮개는 도로의 콘크리트 블럭과 가로수가 심어진 지면이 이루는 구역 안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가로수의 줄기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는 가로수 줄기의 주변을 감싸도록 적어도 두 개가 설치된다.
종래의 가로수 보호기구는 덮개가 콘크리트 블럭 경계 안의 지면에 안착된다. 하지만, 지면이 완전한 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지면이 평면을 이루고 있다고 해도 비 등에 의해 다시 불균일한 상태가 되기 쉽다. 따라서, 지면에 안착된 덮개가 틀어지거나 조립된 상태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행인이나 자전거의 잦은 왕래에 의해 덮개가 흙에 묻일 수 있고, 콘크리트 블럭의 경계안에 덮개를 끼워넣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난해하다.
한편, 가로수의 줄기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는 지면과 가로수 줄기의 지지점 사이 거리에 알맞게 절단된다. 만약, 지면으로부터 가로수 줄기의 지지점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으면, 지지대는 가로수를 견고히 지지할 수 없다. 또한,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 지지대를 교정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지지대가 가로수의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덮개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덮개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가로수의 줄기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가로수의 성장에 따른 교정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수 둘레의 지면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블럭이 조립되어 내부에 폐공간(closed type)을 형성하되,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내측을 향한 제1단턱이 형성되는 외측 지지틀과, 상기 제1단턱과 서로 마주보며 대향되게 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외측을 향한 제2단턱이 형성되며, 복수의 블럭이 조립되어 내부에 폐공간(closed type)을 형성하는 내측 지지틀로 구성된 지지틀 및 상기 제1단턱과 제2단턱에 양측이 안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가로수 보호기구가 설치된 후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조립 상태가 변형되지 않으며 덮개가 흙에 묻힐 염려가 없다.
또한, 분해 조립이 간단하여, 가로수 주변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한편, 가로수 줄기를 지지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가로수 성장에 따른 교정작업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로수의 줄기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기구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기구의 단면도.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기구의 평면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봉의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7의 변형 예에 따른 지지봉의 단면도.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봉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가로수 보호기구의 기술적 구성을 일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수 보호기구는 지지틀(10), 및 덮개(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지지틀(10)은 가로수(100) 둘레의 지면 상에 안착된다. 지지틀(10)은 외측 지지틀(11)과 내측 지지틀(12)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 지지틀(11)과 내측 지지틀(12)은 모두 한 개의 프레임으로 이뤄질 수 있지만, 내부에 폐공간(closed type)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블럭이 조립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폐공간은 사각형, 오각형을 비롯한 다각형과, 원형, 타원형을 비롯한 폐곡선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외측 지지틀(11)은 가로수(100)가 심어진 지면의 외부 경계가 되는 것으로 도로와의 경계를 따라 틀을 이룬다. 외측 지지틀(11)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내측을 향한 제1단턱(15)이 형성된다. 내측 지지틀(12)은 외측 지지틀(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지지틀(11)의 내측에 배치된다. 내측 지지틀(12)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제2단턱(16)이 형성된다. 제2단턱(16)은 제1단턱(15)과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외측지지틀(11) 또는 내측지지틀(12)은 복수의 블럭이 조립된 형태로 한번 설치되면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다각형 및 폐곡선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단턱(15) 및 제2단턱(16)이 외측 지지틀(11) 및 내측 지지틀(12)의 저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소정 높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1단턱(15) 및 제2단턱(16)은 지면의 흙(99)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 외측 지지틀(11) 및 내측 지지틀(12)의 상하 길이는 비교적 길게 형성되도록 하며, 제1단턱(15) 및 제2단턱(16)은 외측 지지틀(11) 및 내측 지지틀(12)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측 지지틀(11) 및 내측 지지틀(12)의 대략 중간부부터 하부 저면까지 흙(99)에 매설시켜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고, 상부에 형성된 제1단턱(15) 및 제2단턱(16)은 흙(99)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덮개(20)는 제1단턱(15)과 제2단턱(16)에 양측이 안착된다. 덮개(20)는 가로수(100)가 심어진 흙(99)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흙(99)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덮개(20)는 단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복수개의 피스(Piece)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덮개(20)는 외측 지지틀(11)에 형성된 제1단턱(15)과 내측 지지틀(12)에 형성된 제2단턱(16)에 안착되어 견고히 고정되며 틀어지거나 지지틀(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제1단턱(15) 및 제2단턱(16)이 흙(99)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덮개(20)는 흙(99)과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덮개(20)의 설치는 단순히 덮개(20)를 외측 지지틀(11)과 내측 지지틀(12) 사이에 얹어 놓는 것으로 완성된다. 결국, 덮개(20)의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한편, 가로수 보호기구는 지지브라켓(30)과, 보호부재(40), 및 지지봉(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30)은 지지틀(10)과 덮개(20)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브라켓(30)은 제1단턱(15)에 밀착된다. 지지브라켓(30)은 제1단턱(15)에 밀접하게 안착되도록 절곡된 앵글 형상을 갖는다. 또한, 지지브라켓(30)은 지지틀(10) 및 덮개(2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보호부재(40)는 가로수(100)의 줄기를 감싸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소정 높이에 설치된다. 보호부재(40)는 가로수(100)의 줄기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여, 가로수(10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곧은 성장을 돕는 기능을 한다.
지지봉(50)은 일 측이 보호부재(40)에 연결되고 타 측이 지지브라켓(30)에 연결된다. 지지봉(50)은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져, 적어도 두 지점에서 가로수(100)의 줄기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30)에 연결공(32)이 형성된다. 즉, 지지브라켓(30)은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절곡된 부위의 중앙부에 돌출부(31)가 형성된다. 돌출부(31)는 지지봉(5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봉(5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연결공(32)은 돌출부(31)의 적소에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브라켓(30)을 지지봉(50)과 힌지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지지브라켓(30)이 절곡된 앵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공(32)을 구비하여, 지지브라켓(30)은 제1단턱(15)에 밀착되어 견고히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30)의 상부에 덮개(20)가 덮여 있어, 지지브라켓(30)이 지지틀(10)에 견고히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지지브라켓(30)은 지지틀(10) 및 덮개(20)와 별도로 제작되며, 지지틀(10)과 덮개(20) 사이에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30)을 설치하는 작업은 지지브라켓(30)을 제1단턱(15)위에 올려 놓고 덮개(20)를 덮음으로써 마무리된다. 또한, 지지브라켓(30)을 해체하는 작업은 덮개(20)를 지지틀(10)로부터 꺼낸 후 지지브라켓(30)을 지지틀(10)의 제1단턱(15)으로부터 꺼내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결국, 지지브라켓(30)은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여, 지지봉(50)을 지면에 지지하는 작업이 간편해진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기구의 평면도이다.
상기 덮개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안착되는 부위에 절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홀의 폭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폭보다 좁게 형성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는 적어두 두 개의 절개홀(21)을 구비한다. 절개홀(21)은 덮개(20)의 가장자리 중 외측 지지틀(11)의 제1단턱(15)에 안착되는 부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봉(50)의 일 측이 절개홀(21)을 통과하여 지지브라켓(30)에 결합된다. 절개홀(21)의 개수는 지지봉(50)의 개수와 대응된다. 절개홀(21)의 폭은 지지브라켓(3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브라켓(30)은 덮개(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지지봉(5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절개홀(21)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덮개(20)가 단일체가 아닌 복수개의 피스(Piece)로 이루어질 경우, 절개홀(21)은 각각의 조각 덮개(20)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절개홀(21)은 덮개(20)가 지지틀(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봉(50)이 지지브라켓(30)에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한편,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40)는 고무패드(46)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패드(46)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보호부재(4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하지만, 보호부재(40)는 별도의 고무패드를 구비하지 않고 그 자체로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고무패드(46)는 가로수의 줄기를 부드럽게 지지하여 줄기를 손상시키지 않고,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 탄력적으로 가로수의 줄기를 지지한다.
또한, 보호부재(40)는 외주면에 연결브라켓(43)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43)은 지지봉(50)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공(44)이 형성된다. 지지봉(50)의 일측은 볼트(59)를 이용해 체결공(44)에 체결된다. 또한, 연결브라켓(43)은 보호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브라켓(43)에 관통공(47)을 형성하고, 관통공(47)에 철사와 같은 와이어(45)를 통과시켜 와이어(45)가 보호부재(40)의 외주면을 조이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40)는 일부분이 서로 포개지는 다수개의 조각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와이어(45)가 조각부재들의 외주면을 조일 수 있다. 즉, 보호부재(40)는 제1보호부재(41), 제2보호부재(42), 제3보호부재(48), 및 제4보호부재(49)로 구성되고, 제1보호부재(41)의 일부는 제2보호부재(42)의 내측과 겹쳐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보호부재들도 서로 일부분이 겹치도록 배치된다. 와이어(45)는 겹쳐진 보호부재(41)(42)(48)(49)들의 외주면을 조여 줄기에 견고히 고정된다. 따라서, 보호부재(40)는 조립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
한편, 지지봉(50)은 신축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지지봉(50)은 스크류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잭의 회전에 의해 지지봉(50)의 길이는 줄어들거나 늘어난다. 따라서, 지지봉(50)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지지봉(50)의 양 측은 각각 보호부재(40)와 지지브라켓(30)에 결합되는데, 보호부재(40)와 지지브라켓(30) 사이의 거리는 하나의 가로수 안에서도 다를 수 있으며, 가로수의 설치 지점마다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지지봉(50) 자체를 신축적으로 늘리거나 줄이면서 지지봉(50)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보호부재(40)의 외주면과 지지봉(50)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야광소재의 야광부(59)를 구비할 수 있다. 야광부(59)는 야광 테입을 부착하거나 야광 페인트를 도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야간에도 보행자의 안전이 도모된다.
전술한 가로수 보호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지지틀 11 : 외측 지지틀
12 : 내측 지지틀 15 : 제1단턱
16 : 제2단턱 20 : 덮개
21 : 절개홀 30 : 지지브라켓
40 : 보호부재 43 : 연결브라켓
45 : 와이어 46 : 고무패드
50 : 지지봉 59 : 야광부
100 : 가로수

Claims (6)

  1. 가로수 둘레의 지면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블럭이 조립되어 내부에 폐공간(closed type)을 형성하되,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내측을 향한 제1단턱이 형성되는 외측 지지틀과, 상기 제1단턱과 서로 마주보며 대향되게 저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외측을 향한 제2단턱이 형성되며, 복수의 블럭이 조립되어 내부에 폐공간(closed type)을 형성하는 내측 지지틀로 구성된 지지틀; 및
    상기 제1단턱과 제2단턱에 양측이 안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과 덮개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단턱에 밀착되도록 절곡된 앵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틀 및 덮개로부터 분리 가능한 지지브라켓;
    가로수의 줄기를 감싸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설치되는 보호부재; 및
    일 측이 상기 보호부재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브라켓에 연결되어, 가로수를 지지하는 적어도 두개의 지지봉;을 더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안착되는 부위에 절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홀의 폭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가로수 보호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신축성 재질의 고무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지지봉을 체결시키기 위한 연결브라켓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브라켓에 와이어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보호부재의 외주면을 조이는 가로수 보호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일부분이 서로 포개지는 다수개의 조각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조각부재들의 외주면을 조이는 가로수 보호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야광소재의 야광부를 구비하는 가로수 보호기구.
KR1020110024903A 2011-03-21 2011-03-21 가로수 보호기구 KR101164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903A KR101164224B1 (ko) 2011-03-21 2011-03-21 가로수 보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903A KR101164224B1 (ko) 2011-03-21 2011-03-21 가로수 보호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356A Division KR101261808B1 (ko) 2008-11-05 2008-11-05 가로수 보호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563A KR20110036563A (ko) 2011-04-07
KR101164224B1 true KR101164224B1 (ko) 2012-07-10

Family

ID=4404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903A KR101164224B1 (ko) 2011-03-21 2011-03-21 가로수 보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8498A (zh) * 2012-02-01 2013-08-14 王芳 一种树木预栽稳固装置
CN104350985A (zh) * 2014-11-13 2015-02-18 北京东方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保护大规格乔木种植的多功能装置及方法
CN105766499A (zh) * 2016-04-29 2016-07-20 王学军 树池盖板模块和模块化拼装的树池盖板及树干支撑系统
CN106818393A (zh) * 2016-12-26 2017-06-13 埃瑞弗(上海)规划设计工程咨询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标杆卡箍复合式树干固定装置
KR102144279B1 (ko) 2018-10-17 2020-08-13 어스그린코리아(주) 다기능 가로수 보호 기구
KR102352981B1 (ko) 2021-05-04 2022-01-20 (주)봉림조경 수목용 유공관의 개폐구
KR102352974B1 (ko) 2021-05-04 2022-01-20 (주)봉림조경 수목 생육 환경 개선 장치
KR102430652B1 (ko) 2021-06-21 2022-08-11 (주)봉림조경 수목을 위한 통기 빗물 저류조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58Y1 (ko) * 2000-06-15 2000-12-15 추연한 수목보호 지지장치
KR200422963Y1 (ko) 2006-05-19 2006-08-01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가로수 보호덮개
KR100666089B1 (ko) 2006-08-07 2007-01-11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단지 내 조경가로수 보호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58Y1 (ko) * 2000-06-15 2000-12-15 추연한 수목보호 지지장치
KR200422963Y1 (ko) 2006-05-19 2006-08-01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가로수 보호덮개
KR100666089B1 (ko) 2006-08-07 2007-01-11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단지 내 조경가로수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563A (ko)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224B1 (ko) 가로수 보호기구
KR101261808B1 (ko) 가로수 보호기구
KR100666089B1 (ko) 건축물 단지 내 조경가로수 보호대
KR101167716B1 (ko) 가로수 보호기구
KR101546524B1 (ko) 유지관리 효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가로등 지주
KR20090033984A (ko) 지지대가 구비된 가로수 보호 덮개
KR101959056B1 (ko) 수목지지장치
KR100560598B1 (ko) 도시계획단지 조경용 가로수 보호대 설치구조
KR102265550B1 (ko) 연통홀이 형성된 단위 보호유닛을 포함하는 천연잔디 보호매트
KR100810755B1 (ko) 가로수 보호대
KR100630808B1 (ko) 건축단지 내 가로수 보호대 구조
KR20070087942A (ko) 가로수 아래의 식물식재와 비산 먼지 방지 가로수 보호대
KR20180095256A (ko) 지지대가 일체로 결합된 가로수 보호판
KR102175271B1 (ko) 수목 뿌리 보호기능을 갖는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및 그 시공방법
KR200445933Y1 (ko) 가로수 보호덮개
KR101293718B1 (ko) 도시계획단지 조경용 가로수 보호대 설치구조
JP2001045887A (ja) 樹木の支持装置
KR101922199B1 (ko) 지주커버
CN206333115U (zh) 一种大树支撑器
KR200494526Y1 (ko) 내경이 조절되는 가로수 지지 조립체
KR101028778B1 (ko) 수목용 보호블럭틀 조립체
KR100872707B1 (ko) 도로 보호 겸용 도로변 식물 성장 억제용 덮개시설
KR100332653B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KR200465745Y1 (ko) 도로조경수용 바람막이 고정구
KR20150100179A (ko) 미관성을 향상시킨 수목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