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702B1 - 친환경 데크로드 - Google Patents

친환경 데크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702B1
KR102022702B1 KR1020190043015A KR20190043015A KR102022702B1 KR 102022702 B1 KR102022702 B1 KR 102022702B1 KR 1020190043015 A KR1020190043015 A KR 1020190043015A KR 20190043015 A KR20190043015 A KR 20190043015A KR 102022702 B1 KR102022702 B1 KR 102022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deck
yoke
coupled
pill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to KR1020190043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06Foundations for 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초시스템은 목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재질로 데크로드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일정 폭으로 2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하나의 경간마다 서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며, 수평으로 타부분과의 연결과 수직으로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금속 재질인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와 기둥부재 사이를 이어주며, 데크와 직결피스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되어 상기 데크의 하부를 받치고, 상기 데크와 직각으로 배열한 수평부재로서 상기 데크의 자중과 보행자의 하중을 받는 장선(長線)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어 폭 방향의 기둥부재와 기둥부재를 결합시키며, 트라스 구조를 형성하는 멍에부재와; 양단이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와 기둥 부재사이에 설치되며, 아치 바 형상으로 상기 장선부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경간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가 중앙에서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데크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장선부재와 장선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와 직결피스로 결합되는 보조장선을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데크로드에 따르면 시공시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공법의 조립형 시스템이며, 공장 조립이 가능한 부재가 많아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산악 구릉지 하천변과 같은 특수지역 및 특수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며, 침하 세굴 도복에 의한 A/S가 용이하고, 지수판을 이용하여 수평과 수직 유지가 용이하고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데크로드{Foundation System of Eco-Friendly Deck Road and Deck Road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 변동에 따른 기둥부재의 높이 조절과 수평 유지 및 침하방지가 가능하고, 멀티소켓으로 멍에 장선 난간을 한번에 결합 할 수 있으며, 멍에가 트라스 구조이고 경간 연결바가 장선을 받쳐주므로 안정적이고 복원력이 있는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데크로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친환경 분위기가 일반화되면서 목재 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한 데크가 등산로나 공원 등지에 위치한 산책로, 호수 주변을 따라 형성된 보도, 전원주택이나 펜션 등에 많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데크로드 시스템의 일반화에 따라, 친환경성은 물론,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 그리고, 다양한 설치환경에의 적응가능성 등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데크로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데크와 데크프레임으로 구성된 데크로드와, 상기 데크로드를 설치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데크지주, 데크로드 상부에 설치되는 펜스를 포함하며, 펜스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벤치가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목재 데크 시스템은 설치 지면에 기둥를 설치할 장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만든 다음, 기초의 상단부를 가공하거나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기초 위에 기둥를 설치한다. 그리고, 기둥 상단부에 걸쳐 프레임을 결합한 후에 상기 프레임에 목재 데크를 결합하는 구조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목재 데크 구조물은 기초를 콘크리트 타설의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타설 후 양생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전체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콘크리트는 그 자체가 PH 12 정도의 강알칼리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나오는 암모니아 가스 등의 독성물질은 식물의 경우 엽록체를 파괴하고 광합성능을 저하시키며, 사람에게는 두통 및 구토를 유발하고 장기간 이에 노출되는 경우 간을 손상시키고 피부염을 일으키며, 심한 경우 기형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한번 타설된 기초는 다시 변경작업이 불가능하므로 추후에 목재 데크의 수평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기둥 높이의 미세한 조정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설치 지면이 평탄하지 못한 경우라도 목재 데크는 수평을 유지해야 하는 바, 종래 목재 데크 구조물에서는 기초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는 없으므로 비교적 미세하게 기둥의 길이를 조정해야 하는 경우라도 그 길이에 맞는 기둥를 사용해야 하거나 아니면, 기둥를 잘라서 사용하는 등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면에 대한 고정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매설되는 기둥 및 콘크리트 기초가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 기둥 및 콘크리트 기초는 그 접촉면적이 작으므로 그만큼 기둥 및 콘크리트 기초를 지면에 더욱 깊숙이 매설할 수 밖에 없어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한편, 기둥의 길이를 길게 하여야 하므로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 지면은 다양한 경사각을 가지는 바, 1 자형 기둥의 형상으로는 이러한 다양한 경사각을 갖는 설치환경에 대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둥의 상하방향의 유동은 물론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는 그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설치나 보수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819533 (등록일자 : 2018년 01월 11일)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744715 (등록일자 : 2017년 06월 01일) 친환경 데크 로드 시스템 3.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71038 (등록일자 : 2014년 01월 21일) 친환경 데크 로드 시스템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35563 (등록일자 : 2012년 04월 04일) 친환경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895269 (등록일자 : 2018년 08월 30일)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하 세굴 도복에 의한 A/S가 용이하고 멍에부재와 장선부재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부재와, 트라스 구조의 멍에부재와, 장선부재의 휨을 방지하며 외관이 미려한 경간 연결바를 포함한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데크로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초시스템은 목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재질로 데크로드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일정 폭으로 2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하나의 경간마다 서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며, 수평으로 타부분과의 연결과 수직으로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금속 재질인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와 기둥부재 사이를 이어주며, 데크와 직결피스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되어 상기 데크의 하부를 받치고, 상기 데크와 직각으로 배열한 수평부재로서 상기 데크의 자중과 보행자의 하중을 받는 장선(長線)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어 폭 방향의 기둥부재와 기둥부재를 결합시키며, 트라스 구조를 형성하는 멍에부재와; 양단이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와 기둥 부재사이에 설치되며, 아치 바 형상으로 상기 장선부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경간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가 중앙에서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데크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장선부재와 장선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와 직결피스로 결합되는 보조장선을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재는, 오거를 포함한 장비나 수동지그로 회전하여 지반에 일정 깊이로 박아 설치하며, 기초 역할을 하게 지중에 매립되는 드릴비트와; 상기 드릴비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필요한 기둥부재의 높이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하단부의 일정 부분이 지중에 묻히는 메인기둥과; 상기 메인기둥의 외측에 결합되어 지반의 변동에 따라 대응할 수 있게 핸들형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항상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기둥부재를 지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지수판과; 상기 메인기둥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며, 파이프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의 내부에 서로 조임 방향이 반대인 나사가 형성되어 조임과 풀림으로 상기 기둥부재의 전체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지반 변동에 대처하여 상기 기둥부재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높이조정 커플링과; 일단은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이 상측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높이 조정을 할 수 있게 하며, 필요시 교체할 수 있는 보조기둥과; 하단은 상기 보조기둥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은 난간의 기둥이나 난간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플러그로 플러깅되며, 타측으로 상기 멍에부재와 장선부재와 결합되는 멀티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멍에부재는 복원력과 안정을 위해 상기 장선부재와 같은 레벨에 있는 제1 멍에와 상기 제1 멍에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 멍에로 구성된다.
상기 멀티소켓에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 멍에와 결합되는 제1멍에연결구와, 상기 제1멍에연결구와 일정 간격을 두고 하부에 설치되는 제2멍에연결구로 구성되는 멍에연결구와; 상기 멍에연결구에 90도 수평방향으로 양측 또는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선부재와 결합되는 장선연결구와; 상단부에 형성되어 난간의 기둥과 결합되거나 플러그로 막히는 상측연결구와;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기둥의 상단과 결합되는 하측연결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데크로드는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판을 이루며, 일정 폭을 가져 길이 방향으로 연속으로 설치되고 친환경 재질로 만들어진 데크와; 상기 데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의 자중과 보행자의 하중 및 풍력을 포함하는 하중을 지지해주는 상기 기초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기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데크로드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데크로드에 따르면 시공시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공법의 조립형 시스템이며, 공장 조립이 가능한 부재가 많아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산악 구릉지 하천변과 같은 특수지역 및 특수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며, 침하 세굴 도복에 의한 A/S가 용이하고, 지수판을 이용하여 수평과 수직 유지가 용이하고 침하방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전체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전체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에 따른 기둥부재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에 따른 기둥부재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기둥부재에 따른 멀티소켓 제1실시예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기둥부재에 따른 멀티소켓 제2실시예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기둥부재에 따른 멀티소켓과 장선부재 결합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제1실시예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제2실시예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보조장선부재가 없는 제1실시예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보조장선부재가 설치된 제1실시예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보조장선부재가 없는 제2실시예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보조장선부재가 설치된 제1실시예 측면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데크로드"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데크로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전체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전체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전체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에 따른 기둥부재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에 따른 기둥부재 분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기둥부재에 따른 멀티소켓 제1실시예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기둥부재에 따른 멀티소켓 제2실시예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의 기둥부재에 따른 멀티소켓과 장선부재 결합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제1실시예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제2실시예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보조장선부재가 없는 제1실시예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보조장선부재가 설치된 제1실시예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보조장선부재가 없는 제2실시예 측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데크로드의 보조장선부재가 설치된 제1실시예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1)은 목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재질로 데크로드의 하부를 지지해준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기초 시스템(1)은 일정 폭으로 2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하나의 경간마다 서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며, 수평으로 타부분과의 연결과 수직으로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금속 재질인 기둥부재(11)와;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 사이를 이어주며, 데크(2)와 직결피스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되어 상기 데크(2)의 하부를 받치고, 상기 데크(2)와 직각으로 배열한 수평부재로서 상기 데크(2)의 자중과 보행자의 하중을 받는 장선(長線)부재(12)와;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폭 방향의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을 결합시키며, 상기 기둥부재(11)와 같이 트라스 구조를 형성하는 멍에부재(13)와; 양단이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 사이에 설치되며, 아치 바 형상으로 상기 장선부재(12)의 처짐을 방지하는 경간 연결바(14)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재(11)는 일정 폭으로 2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하나의 경간마다 서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며, 수평으로 타부분과의 연결과 수직으로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금속 재질이며, 원형의 파이프 형상이어야 한다.
상기 경간은 길이 방향의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 사이를 말하며, 하나의 경간이 연속으로 설치된다.
상기 장선(長線)부재(12)는 상기 기둥부재(11)의 멀티소켓(116)의 장선연결구(1163)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 사이를 이어주며, 상기 데크(2)와 직결피스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되어 상기 데크(2)의 하부를 받치고, 상기 데크(2)와 직각으로 배열한 수평부재로서 상기 데크(2)의 자중과 보행자의 하중을 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멍에부재(13)는 상기 기둥부재(11)의 멀티소켓(116)의 제1멍에연결구(1161)와 제2멍에연결구(1162)에 결합되어 폭 방향의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을 결합시키며, 상기 기둥부재(11)와 같이 트라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멍에부재(13)는 상기 기둥부재(11)와 같이 트라스 구조를 형성과 복원력 및 안정을 위해 상기 장선부재(12)와 같은 레벨에 있는 제1 멍에(131)와 상기 제1 멍에(131)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 멍에(132)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멍에는 상기 장선부재를 받쳐주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멍에(131)는 상기 데크(2)를 고정하고, 상기 제2 멍에(132)는 상기 기둥부재(11)가 균형을 잡게 해서 상기 기둥부재(11)를 보강해서 기초 골격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간 연결바(14)는 양단이 상기 기둥부재(11)의 멀티소켓(116)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 사이에 설치되며, 아치 바 형상으로 상기 장선부재(12)의 처짐을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기초 시스템(1)의 핵심 사항은 시공시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공법의 조립형 시스템이며, 공장 조립이 가능한 부재가 많아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산악 구릉지 하천변과 같은 특수지역 및 특수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며, 침하 세굴 도복에 의한 A/S가 용이하고, 지수판을 이용하여 수평과 수직 유지가 용이하고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상기 기둥부재(11)와; 트라스 구조를 형성하는 상기 멍에부재(13)와; 아치 바 형상으로 상기 장선부재(12)의 처짐을 방지하는 경간 연결바(14)에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1)의 제1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상기 장선부재(12)와 장선부재(12) 사이에 보조장선부재(15)가 형성되지 않은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1)의 제2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상기 기초 시스템(1)은 상기 데크(2)가 중앙에서 처짐을 방지하고 쿠션을 주며 상기 데크(2)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장선부재(12)와 장선부재(1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2)와 직결피스로 결합되는 보조장선부재(15)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보조장선부재(15)는 쿠션과 복원력을 위해 나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기둥부재(11)는 일정 폭으로 2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하나의 경간마다 서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며, 수평으로 타부분과의 연결과 수직으로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금속 재질이며, 원형의 파이프 형상이어야 한다.
상기 기둥부재(11)는 오거를 포함한 장비나 수동지그로 회전하여 지반에 일정 깊이로 박아 설치하며, 기초 역할을 하게 지중에 매립되는 드릴비트(111)와; 상기 드릴비트(111)의 상부에 결합되어 필요한 기둥부재(11)의 높이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하단부의 일정 부분이 지중에 묻히는 메인기둥(112)과; 상기 메인기둥(112)의 외측에 결합되어 지반의 변동에 따라 대응할 수 있게 핸들형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항상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기둥부재(11)를 지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지수판(113)과; 상기 메인기둥(112)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며, 파이프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의 내부에 서로 조임 방향이 반대인 나사가 형성되어 조임과 풀림으로 상기 기둥부재(11)의 전체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지반 변동에 대처하여 상기 기둥부재(1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높이조정 커플링(114)과; 일단은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114)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114)이 상측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높이 조정을 할 수 있게 하며, 필요시 교체할 수 있는 보조기둥(115)과; 하단은 상기 보조기둥(115)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은 난간(3)의 난간기둥(31)이나 난간(3)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플러그(117)로 플러깅되며, 타측으로 상기 멍에부재(13)와 장선부재(12)와 결합되는 멀티소켓(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릴비트(111)는 오거를 포함한 장비나 수동지그로 회전하여 지반에 일정 깊이로 박아 설치하며, 기초 역할을 하게 지중에 매립된다.
상기 드릴비트(111)는 오거를 포함한 장비나 수동지그로 회전하면 박을 수 있고, 지반에 박혔을 때 기초 역할을 할 수 있게 자중과 흙과의 마찰력이 상기 데크(2)가 설치된 상기 기초 시스템(1)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하므로, 형상이 원뿔 형상이며 회전하면 땅 속으로 박힐 수 있게 스크류(1111)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드릴비트(1111)의 중앙 상부에는 상기 메인기둥(112)와의 결합과, 오거를 포함한 장비나 수동지그와의 결합을 위한 기둥 장비 결합구(1112)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기둥(112)은 상기 드릴비트(111)의 상부에 결합되어 필요한 기둥부재(11)의 높이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하단부의 일정 부분이 지중에 묻힌다.
상기 메인기둥(112)에는 상기 지수판(113)을 회전하면 상기 지수판(113)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지수판 이동외면나사(1121)와, 상기 드릴비트(111)과의 결합을 위한 드릴비트 결합구(1122)와,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114)의 내면나사(1141)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114)를 회전시키면 상기 메인기둥(112)가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커플링결합외면나사(1123)이 형성된다.
상기 지수판(113)은 상기 메인기둥(112)의 외측에 결합되어 지반의 변동에 따라 대응할 수 있게 핸들형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항상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기둥부재(11)를 지반에 고정시키고, 침하 조절기능을 갖는다.
상기 지수판(113)에는 상기 메인기둥(112)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기둥결합구(1131)과, 상기 지수판(113)을 회전하기 위한 회전핸들(1132)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114)은 상기 메인기둥(112)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며, 파이프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의 내부에 서로 조임 방향이 반대인 나사가 형성되어 조임과 풀림으로 상기 기둥부재(11)의 전체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지반 변동에 대처하여 상기 기둥부재(1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멀티소켓(116)은 하단은 상기 보조기둥(115)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은 난간(3)의 난간기둥(31)이나 난간(3)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플러그(117)로 플러깅되며, 타측으로 상기 멍에부재(13)와 장선부재(12)와 결합된다.
상기 보조기둥(115)은 일단은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114)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114)이 상측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높이 조정을 할 수 있게 하며, 필요시는 높이 조정을 위해 더 긴 것으로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보조기둥(115)의 하부에는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114)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114)을 회전시키면 상기 보조기둥(115)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게 하는 보조기둥외면나사(1151)이 형성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멀티소켓(116)은 하단은 상기 보조기둥(115)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은 난간(3)의 난간기둥(31)이나 난간(3)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플러그(117)로 플러깅되며, 타측으로 상기 멍에부재(13)와 장선부재(12)와 결합된다.
상기 멀티소켓(116)에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멍에부재의 제1 멍에와 결합되는 제1멍에연결구(1161)와; 상기 제1멍에연결구(1161)와 일정 간격을 두고 하부에 설치되는 제2멍에연결구(1162)와; 상기 제1멍에연결구(1161)에 90도 수평방향으로 양측 또는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선부재(12)와 결합되는 장선연결구(1163)와; 상단부에 형성되어 난간(3)의 난간기둥(31)과 결합되거나 플러그(1166)로 막히는 상측연결구(1164)와;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기둥(115)의 상단과 결합되는 하측연결구(116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멀티소켓(116)에는 상기 경간 연결바(14)와의 결합을 위한 보강패드(1166)나 브래킷이 형성되거나 직접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멀티소켓(116)의 재질은 용접이 가능하게 주강이거나 스테인레스 스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도 7에는 상기 제1멍에연결구(1161), 제2멍에연결구(1162), 장선연결구(1163), 상측연결구(1164) 및 하측연결구(1165)가 상기 제1 멍에(131), 제2 멍에(132), 장선부재(12) 및 보조기둥(115) 및 난간기둥(31)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제1멍에연결구(1161), 제2멍에연결구(1162), 장선연결구(1163), 상측연결구(1164) 및 하측연결구(1165)는 각각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 가능하며, 결합되기 위하여 삽입되는 부분의 원활한 입출입을 위해 1/2이 오픈될 수도 있고, 삽입 후 밴딩하는 방법, 고리로 연결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도 6의 상기 멀티소켓(116)은 양측으로 상기 장선연결구(1163)가 있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재(11)가 중간에 설치될 때이고, 도 7의 상기 멀티소켓(116)은 일측으로 상기 장선연결구(1163)이 있은 것으로 상기 기둥부재(11)이 맨 처음에 설치되거나 맨 나중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8과 같이 특히 상기 장선연결구(1163)는 장선부재(12)와의 결합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도 8의 중간 도면의 상기 장선연결구(1163)는 끼우는 허브가 없이 보강패드가 같은 방식일 수도 있다.
상기 장선부재(12)와 결합되는 상기 장선연결구(1163)를 링고리 타입으로 연결하고 연결핀의 나사 돌림으로 텐션을 조정하면 도 8의 최하부 도면과 같이 좌우 상하 사면 자유자재 각도유지가 가능하다.
도 9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상기 기초 시스템(1)을 사용한 제1실시예의 데크로드(A)는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판을 이루며, 일정 폭을 가져 길이 방향으로 연속으로 설치되고 친환경 재질로 만들어진 데크(2)와; 상기 데크(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2)의 자중과 보행자의 하중 및 풍력을 포함하는 하중을 지지해주는 기초 시스템(1)과; 상기 기초시스템(1)의 멀티소켓(116) 상단의 상측연결구(1164)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난간기둥(31)과 상기 난간기둥(31)과 난간기둥(31)을 결합시켜주며 보행자가 상기 데크(2)위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핸드레일(32)을 포함하는 난간(3)으로 구성된다.
도 11의 상기 기초 시스템(1)은 일정 폭으로 2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하나의 경간마다 서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며, 수평으로 타부분과의 연결과 수직으로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금속 재질인 기둥부재(11)와;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 사이를 이어주며, 상기 데크(2)와 직결피스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되어 상기 데크(2)의 하부를 받치고, 상기 데크(2)와 직각으로 배열한 수평부재로서 상기 데크(2)의 자중과 보행자의 하중을 받는 장선(長線)부재(12)와;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폭 방향의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을 결합시키며, 상기 기둥부재(11)와 같이 트라스 구조를 형성하는 멍에부재(13)와; 양단이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 사이에 설치되며, 아치 바 형상으로 상기 장선부재(12)의 처짐을 방지하는 경간 연결바(14)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재(11), 장선부재(12), 멍에부재(13) 및 경관연결바(14)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본 데크로드(A)에서는 생략한다.
도 10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상기 기초 시스템(1)을 사용한 제2실시예의 데크로드(A)는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판을 이루며, 일정 폭을 가져 길이 방향으로 연속으로 설치되고 친환경 재질로 만들어진 데크(2)와; 상기 데크(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2)의 자중과 보행자의 하중 및 풍력을 포함하는 하중을 지지해주는 기초 시스템(1)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초시스템(1)의 멀티소켓(116) 상단에 난간기둥(31)이 설치되지 않고 플러그(1167)로 막아 놓으며, 핸드레일(32)이 필요없는 곳에 설치되는 데크로드(A)이다.
도 12과 도 14의 상기 기초 시스템(1)은 일정 폭으로 2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하나의 경간마다 서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며, 수평으로 타부분과의 연결과 수직으로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금속 재질인 기둥부재(11)와;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 사이를 이어주며, 상기 데크(2)와 직결피스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되어 상기 데크(2)의 하부를 받치고, 상기 데크(2)와 직각으로 배열한 수평부재로서 상기 데크(2)의 자중과 보행자의 하중을 받는 장선(長線)부재(12)와;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폭 방향의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을 결합시키며, 상기 기둥부재(11)와 같이 트라스 구조를 형성하는 멍에부재(13)와; 양단이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 사이에 설치되며, 아치 바 형상으로 상기 장선부재(12)의 처짐을 방지하는 경간 연결바(14)와; 상기 데크(2)가 중앙에서 처짐을 방지하고 쿠션을 주며 상기 데크(2)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장선부재(12)와 장선부재(1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2)와 직결피스로 결합되는 보조장선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데크로드에 따르면 시공시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공법의 조립형 시스템이며, 공장 조립이 가능한 부재가 많아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산악 구릉지 하천변과 같은 특수지역 및 특수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며, 침하 세굴 도복에 의한 A/S가 용이하고, 지수판을 이용하여 수평과 수직 유지가 용이하고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A : 데크로드
1 : 기초시스템 11 : 기둥부재
111 : 드릴비트 1111 : 스크루
1112 : 기둥 장비 결합구 112 : 메인기둥
1121 : 지수판 이동외면나사 1122 : 드릴비트 결합구
1123 : 커플링결합외면나사 113 : 지수판
1131 : 기둥결합구 1132 : 회전핸들
114 : 높이조정 커플링 1141 : 내면나사
115 : 보조기둥 1151 : 보조기둥외면나사
116 : 멀티소켓 1161 : 제1멍에연결구
1162 : 제2멍에연결구 1163 : 장선연결구
1164 : 상측연결구 1165 : 하측연결구
1166 : 연결바결합구 1167 : 플러그
12 : 장선부재 13 : 멍에부재
131 : 제1 멍에 132 : 제2 멍에
14 : 경간 연결바 15 : 보조장선부재
2 : 데크 3 : 난간
31 : 난간기둥 311 : 캡
32 : 핸드레일 4 : 지반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목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재질로 형성되는 데크로드(A)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A)는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판을 이루며, 일정 폭을 가져 길이 방향으로 연속으로 설치되고 친환경 재질로 만들어진 데크(2)와;
    상기 데크(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데크(2)의 자중과 보행자의 하중 및 풍력을 포함하는 하중을 지지해주는 기초 시스템(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초 시스템(1)은,
    일정 폭으로 2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하나의 경간마다 서로 일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되며, 수평으로 타부분과의 연결과 수직으로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금속 재질인 기둥부재(11)와;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 사이를 이어주며, 상기 데크(2)와 직결피스 또는 볼트너트로 결합되어 상기 데크(2)의 하부를 받치고, 상기 데크(2)와 직각으로 배열한 수평부재로서 상기 데크(2)의 자중과 보행자의 하중을 받는 장선(長線)부재(12)와;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폭 방향의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을 결합시키며, 트라스 구조를 형성하는 멍에부재(13)와;
    양단이 상기 기둥부재(11)에 결합되어 길이 방향의 상기 기둥부재(11)와 기둥부재(11) 사이에 설치되며, 아치 바 형상으로 상기 장선부재(12)의 처짐을 방지하는 경간 연결바(14)를 포함되고,
    상기 기둥부재(11)는,
    오거를 포함한 장비나 수동지그로 회전하여 지반에 일정 깊이로 박아 설치하며, 기초 역할을 하게 지중에 매립되는 드릴비트(111)와;
    상기 드릴비트(111)의 상부에 결합되어 필요한 기둥부재(11)의 높이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하단부의 일정 부분이 지중에 묻히는 메인기둥(112)과;
    상기 메인기둥(112)의 외측에 결합되어 지반의 변동에 따라 대응할 수 있게 핸들형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항상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기둥부재(11)를 지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지수판(113)과;
    상기 메인기둥(112)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며, 파이프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의 내부에 서로 조임 방향이 반대인 나사가 형성되어 조임과 풀림으로 상기 기둥부재(11)의 전체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지반 변동에 대처하여 상기 기둥부재(1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높이조정 커플링(114)과;
    일단은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114)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정 커플링(114)이 상측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높이 조정을 할 수 있게 하며, 필요시 교체할 수 있는 보조기둥(115)과;
    하단은 상기 보조기둥(115)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은 난간(3)의 난간기둥(31)이나 난간(3)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플러그(117)로 플러깅되며, 타측으로 상기 멍에부재(13)와 장선부재(12)와 결합되는 멀티소켓(116)을 포함하고,
    상기 멍에부재(13)는 복원력과 안정을 위해 상기 장선부재(12)와 같은 레벨에 있는 제1 멍에(131)와 상기 제1 멍에(131)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 멍에(132)로 구성되며,
    상기 멀티소켓(116)에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멍에부재의 제1 멍에와 결합되는 제1멍에연결구(1161)와;
    상기 제1멍에연결구(1161)와 일정 간격을 두고 하부에 설치되는 제2멍에연결구(1162)와;
    상기 제1멍에연결구(1161)에 90도 수평방향으로 양측 또는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선부재(12)와 결합되는 장선연결구(1163)와;
    상단부에 형성되어 난간(3)의 난간기둥(31)과 결합되거나 플러그(1166)로 막히는 상측연결구(1164)와;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기둥(115)의 상단과 결합되는 하측연결구(116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데크로드 기초 시스템을 이용한 친환경 데크로드
  7. 삭제
KR1020190043015A 2019-04-12 2019-04-12 친환경 데크로드 KR102022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15A KR102022702B1 (ko) 2019-04-12 2019-04-12 친환경 데크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15A KR102022702B1 (ko) 2019-04-12 2019-04-12 친환경 데크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702B1 true KR102022702B1 (ko) 2019-09-18

Family

ID=6807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015A KR102022702B1 (ko) 2019-04-12 2019-04-12 친환경 데크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7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723B1 (ko) * 2020-10-16 2022-01-06 전정진 수직도 보정장치가 구비된 기둥부재
CN115162086A (zh) * 2022-08-15 2022-10-11 陈杰盾 一种富冰、饱冰路段热棒型高速公路路基拓宽装置
CN116791422A (zh) * 2023-08-28 2023-09-22 创辉达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软土地层的高速公路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627A (ko) * 2000-10-11 2002-04-17 김창섭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
KR101135563B1 (ko) 2011-05-19 2012-04-17 장익식 친환경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25919A (ko) * 2011-05-09 2012-11-19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목재데크의 결합구조
KR200471038Y1 (ko) 2012-04-18 2014-02-12 주식회사 지비케이 친환경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527717B1 (ko) * 2014-08-20 2015-06-12 (주)지케이우드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150134852A (ko) * 2014-05-23 2015-12-02 (주)그린우드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744715B1 (ko) 2009-07-16 2017-06-0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염 및 이를 함유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1791144B1 (ko) * 2017-07-11 2017-10-27 주식회사 임성 데크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목교
KR101819533B1 (ko) 2017-06-14 2018-01-17 주식회사 임성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1895269B1 (ko) 2018-02-09 2018-09-05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627A (ko) * 2000-10-11 2002-04-17 김창섭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
KR101744715B1 (ko) 2009-07-16 2017-06-0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염 및 이를 함유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120125919A (ko) * 2011-05-09 2012-11-19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목재데크의 결합구조
KR101135563B1 (ko) 2011-05-19 2012-04-17 장익식 친환경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200471038Y1 (ko) 2012-04-18 2014-02-12 주식회사 지비케이 친환경 데크 로드 시스템
KR20150134852A (ko) * 2014-05-23 2015-12-02 (주)그린우드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527717B1 (ko) * 2014-08-20 2015-06-12 (주)지케이우드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819533B1 (ko) 2017-06-14 2018-01-17 주식회사 임성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1791144B1 (ko) * 2017-07-11 2017-10-27 주식회사 임성 데크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목교
KR101895269B1 (ko) 2018-02-09 2018-09-05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723B1 (ko) * 2020-10-16 2022-01-06 전정진 수직도 보정장치가 구비된 기둥부재
CN115162086A (zh) * 2022-08-15 2022-10-11 陈杰盾 一种富冰、饱冰路段热棒型高速公路路基拓宽装置
CN116791422A (zh) * 2023-08-28 2023-09-22 创辉达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软土地层的高速公路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CN116791422B (zh) * 2023-08-28 2023-11-07 创辉达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软土地层的高速公路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702B1 (ko) 친환경 데크로드
US5398478A (en) Means and method for rigidly elevating a structure
US20050172427A1 (en) Adjustable support bracket
KR101083119B1 (ko) 목재 데크 구조물 및 그 친환경 시공방법
KR200471038Y1 (ko) 친환경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777746B1 (ko) 지주받침대
KR101754932B1 (ko) 주춧돌 위의 목재기둥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와 그에 따른 정자 및 퍼걸러
KR102112575B1 (ko) 펜스 지주용 받침 기초대 및 그 시공방법
US11814855B2 (en) Column bracket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and structures
KR101754939B1 (ko) 내구성 향상을 위한 주춧돌 위의 목재기둥 설치구조 및 그것이 적용된 정자와 퍼걸러
KR102177944B1 (ko) 내식성 및 이탈변형방지기능을 갖는 한식 구조물 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KR101747423B1 (ko) 자립식 토석류 방지 구조물
JP4698661B2 (ja) 支柱立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633729B1 (ko) 옹벽 구조
KR200392545Y1 (ko) 목구조 건축물의 기둥 시공용 고정받침
KR100868932B1 (ko) 목재 기둥 설치구조
KR101976994B1 (ko)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439789B1 (ko) 기둥 설치장치
KR100791456B1 (ko)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96257Y1 (ko) 견고한 시공이 가능한 목재기둥의 조립구조
KR102651458B1 (ko) 경사 지반에 지주를 설치하기 위한 지반 보강구조체
CN220705101U (zh) 脚手架防沉降装置
KR101441117B1 (ko) 가로등 등의 지주 매설용 시멘트 블록
KR102592016B1 (ko) 조경시설물 철강재 각관 기둥고정을 위한 기초콘크리트 매립 고정브라켓 플레이트 및 그 시공공법
KR101194062B1 (ko) 보행로 설치용 발판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