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627A -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 - Google Patents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627A
KR20020028627A KR1020000059734A KR20000059734A KR20020028627A KR 20020028627 A KR20020028627 A KR 20020028627A KR 1020000059734 A KR1020000059734 A KR 1020000059734A KR 20000059734 A KR20000059734 A KR 20000059734A KR 20020028627 A KR20020028627 A KR 20020028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bottom plate
double bottom
suppor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섭
Original Assignee
김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섭 filed Critical 김창섭
Priority to KR102000005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8627A/ko
Publication of KR2002002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62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04F15/02476Screw jacks height-adjustab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에 전력 및 전산, 통신용 배선 또는 공기조화 설비 등의 기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두고 이중바닥판을 설치시 이중바닥판을 받치는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바닥판 받침구를 터언버클식으로 왼나사와 오른 나사를 이용하여 높이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에 이중바닥판의 높이조절폭이 큰 경우에 치수가 더 크거나 작은 이중바닥판 받침구를 구격별로 사용해야 했던 것을 한 개의 이중바닥판 받침구로서 이중바닥판을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는, 상하부받침판(1,2)의 사이에 나사봉(3)과 록크너트(4)가 설치되어 상부받침판(1)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고 높이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이중바닥판 받침구(5)를 건물의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과 이중바닥판(7)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중바닥판(7)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판(2)의 상부에는 왼나사봉(8)이 수직 설치되고 상부받침판(1)의 저면에는 오른나사봉(9)이 수직 방향으로 하향 설치되며, 상기 왼나사봉(8)과 오른나사봉(9)에는 상부측 내부에 오른암나사(10)를 형성하고 하부측 내부에 왼암나사(11)를 형성한 높이조절나사관(12)이 체결되고, 높이조절나사관(12)의 상하부 각각의 오른나사봉(9)과 왼나사봉(8)에는 록크너트(4)가 각각 체결된 것으로서,높이조절나사관(12)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부받침판(1,2)과의 간격이 상하로 조절되고, 록크너트(4)의 체결에 의해 높이조절된 상태를 록킹,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A support for a double floor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에 전력 및 전산, 통신용 배선 또는 공기조화 설비 등의 기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두고 이중바닥판을 설치시 이중바닥판을 받치는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바닥판 받침구를 터언버클식으로 왼나사와 오른 나사를 이용하여 높이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에 이중바닥판의 높이조절폭이 큰 경우에 치수가 더 크거나 작은 이중바닥판 받침구를 규격별로 사용해야 했던 것을 한 개의 이중바닥판 받침구로서 이중바닥판을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주거용 건물은 물론이고 사무용 건물의 바닥면은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에 바닥재를 깔아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며, 그렇게 형성된 바닥면에 각종 사무용집기와 전기, 전자, 전산장비를 배치하게 되는데, 이들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또는 공기조화 설비 등의 기기가 자동적으로 바닥면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게 되어 건물의 실내가 단정하지 못하고 지저분해지게 되었다.
따라서 근래 들어서는 사무용건물의 바닥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이중바닥이 개발되게 되었는데, 이러한 이중바닥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두고 이중바닥판(7)을 설치하여 이중바닥판(7)의 하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이 이중바닥판(7)과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의 사이에는 이중바닥판(7)을 받쳐주는 이중바닥판 받침구(5)가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과 이중바닥판(7)의 사이에 공간부(13)가 형성됨에 따라 그 공간부(13)에 전력 및 전산, 통신용 배선 또는 공기조화 설비 등의 기기를 수용하여 건물의 실내를 단정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이중바닥판(7)을 받쳐주는 종래의 이중바닥판 받침구(5)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받침판(2)의 상부에 나사봉(3)이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고, 이 나사봉(3)의 나사부에는 저면에 너트(1a)가 용접고정된 상부받침판(1)이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너트(1a) 하단의 나사봉(3)에는 손잡이가 길게 형성된 록크너트(4)가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중바닥판 받침구(5)를 이용하여 이중바닥판(7)을 받칠 때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이 평탄하지 못하여 울퉁불퉁한 경우에 상부받침판(1)을 돌려서 상부받침판(1)의 높이를 승하강 조절하여 상부받침판(1)의 상부에 얹혀지는 다수의 이중바닥판(7)이 수평해지도록하며, 상부받침판(1)의 높이조절이 완료된 뒤에는 손잡이를 길게 형성한 록크너트(4)를 너트(1a)에 밀착되게 체결하여 상부받침판(1)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으로부터 이중바닥판(7)까지의 높이는 사무실의 용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종래의 이중바닥판 받침구(5)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량이 너트(1a)의 높이 만큼밖에 안되어 높이조절 폭이 적은 문제가 있었다.
이렇게 종래의 이중바닥판 받침구(5)는 높이조절폭이 적음에 따라 너트(1a)의 높이이상으로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과 이중바닥판(7) 사이의 높이를 유지해야하는 경우에는 높이조절폭이 더 큰 이중바닥판 받침구(5)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비합리적이고 비경제적인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중바닥판 받침구를 터언버클식으로 왼나사와 오른 나사를 이용하여 높이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에 이중바닥판의 높이조절폭이 큰 경우에 치수가 더 크거나 작은 이중바닥판 받침구를 규격별로 제작하여 사용해야 했던 것을 높이조절폭이 큰 한 개의 이중바닥판 받침구로서 이중바닥판을 받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부받침판의 사이에 나사봉과 록크너트가 설치되어 상부받침판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고 높이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이중바닥판 받침구를 건물의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과 이중바닥판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중바닥판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판의 상부에는 왼나사봉이 수직 설치되고 상부받침판의 저면에는 오른나사봉이 수직 방향으로 하향 설치되며, 상기 왼나사봉과 오른나사봉에는 상부측 내부에 오른암나사를 형성하고 하부측 내부에 왼암나사를 형성한 높이조절나사관이 체결되고, 높이조절나사관의 상하부측 각각의 오른나사봉과 왼나사봉에는 록크너트가 각각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건물의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과 이중바닥판의 사이에 이중바닥판 받침구가 설치되어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과 이중바닥판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이중바닥판 받침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바닥판 받침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바닥판 받침구의 높이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받침판 2 : 하부받침판
3 : 나사봉 4 : 록크너트
5 : 이중바닥판 받침구 6 :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
7 : 이중바닥판 8 : 왼나사봉
9 : 오른나사봉 10 : 오른암나사
11 : 왼암나사 12 : 높이조절나사관
13 : 공간부 14 : 완충패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단면도로서,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높이를 가장 낮게 한 것이고, 도 4의 (나)는 본 발명의 높이를 높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5)는, 건물의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과 이중바닥판(7)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중바닥판(7)의 설치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에 지지되는 하부받침판(2)의 상부에는 왼나사봉(8)이 수직 설치되고 상부받침판(1)의 저면에는 오른나사봉(9)이 수직 방향으로 하향 설치되며, 상기 왼나사봉(8)과 오른나사봉(9)에는 상부측 내부에 오른암나사(10)를 형성하고 하부측 내부에 왼암나사(11)를 형성한 높이조절나사관(12)이 체결되고, 높이조절나사관(12)의 상하부측 각각의 오른나사봉(9)과 왼나사봉(8)에는 높이조절나사관(12)에 의해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게 고정하는 록크너트(4)가 각각 체결되어 있다.
위에서 하부받침판(2)에 왼나사봉(8)이 설치되고 상부받침판(1)의 하부에 오른나사봉(9)을 설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부받침판(1)의 하부에 왼나사봉을 설치하고 하부받침판(2)의 상부에 오른나사봉을 설치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나사관(12)의 내부에 각각의 오른나사봉(9)과 왼나사봉(8)에 대응하는 각각의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부호중 미 설명부호 "14"는 이중바닥판(7)의 저면과 상부받침판(1)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이나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패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및 도 3,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무용건물의 바닥면을 이중구조의 바닥면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중바닥판(7)을 설치할 높이를 감안하여 상하부받침판(1,2)간의 높이를 개략적으로 조정한 뒤에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상에 세워 놓는다.
상기 이중바닥판 받침구(5)의 높이를 개략적으로 조정할 경우에는 상하 록크너트(4)를 풀어서 높이조절나사관(12)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에서부터 설치해야 할 이중바닥판(7)의 높이에 근접해지도록 높이조절나사관(12)을 돌리면, 높이조절나사관(12)을 돌리는 방향에 따라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터언버클식으로 결합된 왼나사봉(8)과 오른나사봉(9)이 상하로 동시에 올라가거나 동시에 내려가서 상하부받침판(1,2)사이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는 록크너트(4)를 체결하지 않고 느슨하게 풀어놓은 상태이다.
이렇게 높이가 개략적으로 조정된 이중바닥판 받침구(5)를 이중바닥판(7)의 크기에 맞는 간격으로 다수 개를 세워 놓은 뒤에 이 이중바닥판 받침구(5)의 상부받침판(1)의 상면에 완충패드(14)를 각각 끼우고, 그 상면에 이중바닥판(7)을 올려놓는다.
상기와 같이 완충패드(14)가 덮어 씌워진 상부받침판(1)의 상면에 이중바닥판(7)을 올려놓으면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의 평탄도에 따라 이중바닥판 받침구(5)의 높이도 달라지기 때문에 이중바닥판(7)의 전체 상면의 높이가 동일하며 수평해지도록 높이조절나사관(12)을 돌려서 이중바닥판 받침구(5)의 전체높이가 높아지거나 또는 낮아지도록 하면서 이중바닥판(7)의 상면 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한다.
이렇게 이중바닥판 받침구(5)의 높이가 정확하게 조절된 뒤에는 이중바닥판(7)을 설치완료 후 발생하게 될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높이조절나사관(12)과 왼나사봉(8) 및 오른나사봉(9)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조절나사관(12)의 상하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록크너트(4)를 조여서 높이조절나사관(12)의 상하단에 밀착되게 체결하여 높이조절나사관(12)과 왼나사봉(8) 및 오른나사봉(9)이 이완되지 않게 한다.
상기와 같이 이중바닥판(7)을 설치할 높이에 맞게 이중바닥판 받침구(5)의 높이를 정확하게 조정하고 그 상부에 이중바닥판(7)을 안착시키므로써 이중바닥판(7)의 설치작업이 완료되게 되며, 이중바닥판(7)의 설치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과 이중바닥판(7)의 저면 사이에는 공간부(13)가 형성되어 그 공간부(13)로 전력 및 전산, 통신용 배선 또는 공기조화 설비 등의 기기를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는, 건물의 바닥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중바닥판을 받치는데 사용하는 이중바닥판 받침구를 터언버클식으로 왼나사와 오른 나사를 이용하여 높이조절하다 수 있도록 함으로서 높이조절폭이 큰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가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폭이 큼에 따라 종래에 이중바닥판의 높이조절폭이 큰 경우에 치수가 더 크거나 작은 이중바닥판 받침구를 규격별로 제작하여 사용해야 했던 불합리하고 비경제적인 것을 한 개의 이중바닥판 받침구로서 이중바닥판을 받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하부받침판(1,2)의 사이에 나사봉(3)과 록크너트(4)가 설치되어 상부받침판(1)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고 높이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이중바닥판 받침구(5)를 건물의 콘크리트슬라브 바닥면(6)과 이중바닥판(7)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중바닥판(7)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판(2)의 상부에는 왼나사봉(8)이 수직 설치되고 상부받침판(1)의 저면에는 오른나사봉(9)이 수직 방향으로 하향 설치되며, 상기 왼나사봉(8)과 오른나사봉(9)에는 상부측 내부에 오른암나사(10)를 형성하고 하부측 내부에 왼암나사(11)를 형성한 높이조절나사관(12)이 체결되고, 높이조절나사관(12)의 상하부 각각의 오른나사봉(9)과 왼나사봉(8)에는 록크너트(4)가 각각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
KR1020000059734A 2000-10-11 2000-10-11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 KR20020028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734A KR20020028627A (ko) 2000-10-11 2000-10-11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734A KR20020028627A (ko) 2000-10-11 2000-10-11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627A true KR20020028627A (ko) 2002-04-17

Family

ID=1969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734A KR20020028627A (ko) 2000-10-11 2000-10-11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86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898Y1 (ko) * 2011-07-21 2012-03-15 주식회사 해광 플로어 패널용 지지유닛의 조인헤드 결합구조
CN102535817A (zh) * 2012-02-06 2012-07-04 中国电子系统工程第二建设有限公司 高架地板可调节支撑座及其组合的连接结构
KR20150129103A (ko) * 2014-05-08 2015-11-19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KR102022702B1 (ko) * 2019-04-12 2019-09-18 주식회사 예건 친환경 데크로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324U (ja) * 1992-11-17 1994-06-10 株式会社大林組 二重床用支柱のoaケーブル保護装置
JPH0644927U (ja) * 1992-11-17 1994-06-14 株式会社大林組 高床式二重床の支柱
JPH11350707A (ja) * 1998-06-05 1999-12-21 Yuusu Kitaura:Kk 束金具および筒状材支持材
JP2000008593A (ja) * 1998-06-23 2000-01-11 Tsuka Kanamono Kk 床荷重支持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324U (ja) * 1992-11-17 1994-06-10 株式会社大林組 二重床用支柱のoaケーブル保護装置
JPH0644927U (ja) * 1992-11-17 1994-06-14 株式会社大林組 高床式二重床の支柱
JPH11350707A (ja) * 1998-06-05 1999-12-21 Yuusu Kitaura:Kk 束金具および筒状材支持材
JP2000008593A (ja) * 1998-06-23 2000-01-11 Tsuka Kanamono Kk 床荷重支持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898Y1 (ko) * 2011-07-21 2012-03-15 주식회사 해광 플로어 패널용 지지유닛의 조인헤드 결합구조
CN102535817A (zh) * 2012-02-06 2012-07-04 中国电子系统工程第二建设有限公司 高架地板可调节支撑座及其组合的连接结构
KR20150129103A (ko) * 2014-05-08 2015-11-19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운반대차를 구비한 도교
KR102022702B1 (ko) * 2019-04-12 2019-09-18 주식회사 예건 친환경 데크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7639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odular building
GB2070100A (en) Adjustable Flooring
KR20020028627A (ko) 건물의 이중바닥판 받침구
CN212718852U (zh) 一种音频系统定位器
CN205116781U (zh) 一种建筑钢构支撑架
CN113882692A (zh) 钢柱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CN112282074A (zh) 用于埋件的调节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418670Y1 (ko) 내진 액세스플로어 지지구조
JP3252318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アジャスター装置
JPH0732427U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18149787U (zh) 一种新型建筑工程模板支撑装置
JPH0136467Y2 (ko)
CN214982223U (zh) 一种顶部楼板打孔用辅助装置
JP2710018B2 (ja) 床における配線ダクト支持構造
CN213927303U (zh) 一种新型的可蓄电架空地板
CN220582583U (zh) 一种机房专用空调外机稳固架
CN218523154U (zh) 市政工程施工用管线支架结构
CN212715945U (zh) 一种混凝土建筑剪力墙置换加固支撑装置
KR200331862Y1 (ko) 바닥재 지지구
JPH077409Y2 (ja) 浴室ユニットの防水パン支持構造
KR20020078315A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JP3100169U (ja) 多機能ネット架空フリーアクセス床
JPH0136468Y2 (ko)
JPS6036680Y2 (ja) 床支持装置
JPH071380Y2 (ja) 床パネルの支持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