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717B1 -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717B1
KR101527717B1 KR1020140108591A KR20140108591A KR101527717B1 KR 101527717 B1 KR101527717 B1 KR 101527717B1 KR 1020140108591 A KR1020140108591 A KR 1020140108591A KR 20140108591 A KR20140108591 A KR 20140108591A KR 101527717 B1 KR101527717 B1 KR 101527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yoke
axis
extend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현
정영석
오무송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지케이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케이우드 filed Critical (주)지케이우드
Priority to KR102014010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재를 이용함에 의해 데크 구조물을 이루는 동바리, 멍에, 장선 등의 구조체들을 용접 없이 간단하게 조립하여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데크 구조물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고, 종래 구조체들의 연결에 사용하던 용접 작업을 없애므로 화재 위험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각종 구조체들에 대한 조립 연결 및 체결방식으로 데크 구조물의 간단한 시공과 더불어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도 데크 구조물의 수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용이함까지 제공할 수 있으며, 로드형이나 계단형 등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데크 구조물을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는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METHOD AND STRUCTURE FOR CONSTRUCTING OF DECK STRUCTURES}
본 발명은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 구조물을 이루는 구조체들을 용접 없이 연결하여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며, 시공 후 수정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등 유지보수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 구조물은 등산로나 산책로에서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둘레길, 해변 또는 공원이나 숲의 보행도로, 생태 관찰을 위한 길, 관광지 등의 전망대, 목교나 인도교 등을 포함하는 이용자 편의시설로서, 대부분이 목재나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데크플레이트 등의 데크 자재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데크 구조물에는 데크 자재를 시공하기 위해 동바리와 멍에 및 장선 등의 구조체가 함께 사용되는데, 이들 동바리와 멍에 및 장선 등의 구조체는 사각파이프 구조의 금속재 관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각형관체(동바리와 멍에 및 장선 등의 구조체)를 서로 용접하여 연결함으로써 데크 구조물을 위한 평탄형 또는 계단형 등의 외형 뼈대를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장선은 발 디딤부가 되는 데크 자재를 지탱하는 들보(beam)를 의미하고, 상기 멍에는 장선을 지지하는 대들보(girder)를 의미하며, 상기 동바리는 기둥(지주)을 의미한다.
하지만, 데크 구조물은 주로 산림이나 공원 등에 많이 설치되는데, 외형 뼈대를 구축하기 위한 각형관체(동바리와 멍에 및 장선 등의 구조체)의 용접작업에 의해 주변환경과 맞물려 화재발생 우려가 있고, 시공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한번 시공한 후에는 수정작업을 수행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유지보수에도 불편함 및 어려움이 존재하는 실정에 있다.
한편, 종래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았을 때, 국내등록특허 제10-1260252호에서는 평행한 라인을 따라 간격을 두고 길게 배치되는 복수의 장선들; 상기 장선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장선들 위에 상기 평행한 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단부들이 상기 평행한 라인을 따라 접촉되게 배열되는 복수의 보행용 데크재들; 및 상기 보행용 데크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보행로를 제1보행로와 제2보행로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보행용 데크재들 중 상기 제1보행로를 형성시키는 제1보행용 데크재들과 상기 제2보행로를 형성시키는 제2보행용 데크재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상기 장선과 같은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제1보행유도용 데크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장선들 중 상기 제1보행유도용 데크재를 받쳐 주는 한 쌍의 보행유도용 장선들은, 상기 제1보행용 데크재들과 제2보행용 데크재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들을 상기 보행유도용 데크재와 함께 받쳐 줄 수 있도록 배치되는 조경용 데크로드 및 시공방법에 관한 구성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등록특허 제10-1366337호에서는 지면에 직립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과 지지기둥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상측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와, 상기 바닥수평보의 상측에 볼트 결합을 통하여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난간부재와, 그 난간부재의 사이를 잇는 복수개의 난간보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수평보는 두께 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금속재질의 내공 각관이고 그 내공이 목재합판이나 발포 콘크리트로 채워지거나 목재합판과 발포콘크리트로 분할하여 채워진 구성을 취함으로써, 바닥부재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그것의 유실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보행자의 데크로드 보행시 울림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데크로드 구조물에 관한 구성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선행 특허문헌들은, 이하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본 발명과는 기술적 구조 및 방식에서의 차이를 갖는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0252호 (2013.04.26.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038호 (2011.10.24.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데크 구조물을 이루는 구조체들을 용접 없이 연결하여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며, 시공 후 수정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등 유지보수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데크 구조물을 이루는 동바리, 멍에, 장선 등의 구조체들을 용접 없이 조립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크 구조물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용접 작업을 없애므로 화재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는,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앵커 체결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중심부에 상향 돌출구조의 동바리체결부를 갖는 기초플레이트; 상기 기초플레이트의 동바리체결부에 하단부가 삽입 배치 및 볼트 체결에 의해 기초콘크리트 상에 직립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각관몸체의 동바리; 상기 동바리와 멍에용 각관 간의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3방향(3-way) 이상의 다방향성 연결속관을 갖는 제1 연결재; 상기 제1 연결재가 갖는 다방향성 연결속관에 멍에용 각관을 삽입하여 조립함에 의해 동바리의 상측에 구축되는 멍에; 상기 멍에의 상측으로 장선을 구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멍에용 각관과 장선용 각관 간의 상하 평행배열 연결 또는 상하 교차배열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클립타입의 제2 연결재; 상기 제2 연결재에 멍에용 각관과 장선용 각관을 조립 연결함에 의해 멍에의 상측에 구축되는 장선; 상기 멍에용 각관 간의 연결 또는 장선용 각관 간의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1방향(1-way)의 단방향성 또는 2방향(2-way) 이상의 다방향성 연결속관을 갖는 제3 연결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연결재는, 사각몸통부와, 상기 사각몸통부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 및 우측 X축 연결속관과, 상기 사각몸통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이 일체 형성되는 T형 연결재; 사각몸통부와, 상기 사각몸통부의 우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X축 연결속관과, 상기 사각몸통부의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Y축 연결속관, 및 상기 사각몸통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이 일체 형성되는 코너 연결재; 사각몸통부와, 상기 사각몸통부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 및 우측 X축 연결속관과, 상기 사각몸통부의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Y축 연결속관, 및 상기 사각몸통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이 일체 형성되는 2중코너 연결재; 사각몸통부와, 상기 사각몸통부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 및 우측 X축 연결속관과, 상기 사각몸통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전방 Y축 연결속관 및 후방 Y축 연결관과, 상기 사각몸통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이 일체 형성되는 4중코너연결재; 를 포함하며, 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동바리와 멍에 간의 각관 연결에 사용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속관 마다 외면에는 눈금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연결재는, "∪"자형 사각플레이트 구조의 상향 X축 결속부와, 상기 상향 X축 결속부의 하측으로 연접 및 교차되게 배치되는 "∩"자형 사각플레이트 구조의 하향 Z축 결속부가 일체 형성되는 상하 교차배열용 결속클립; "∪"자형 사각플레이트 몸체로 구비되는 상하 평행배열용 결속클립; 을 포함하며, 이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멍에와 장선 간의 각관 연결에 사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3 연결재는, 사각몸통부와, 상기 사각몸통부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 및 우측 X축 연결속관이 일체 형성되는 직선 연결재; 0~180도 각도영역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면에 관절각 확인용 눈금이 형성되어있는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관절속관 및 우측 관절속관이 일체 형성되는 관절 연결재; 부착플레이트와, 상기 부착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연결속관이 일체 형성되는 가로 부착재; "U"자형 구조의 조립클립과, 상기 조립클립의 하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연결속관이 일체 형성되는 세로 부착재; 전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는 전방부착플레이트 및 후방부착플레이트와, 상기 전방부착플레이트의 앞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전방 Y축 연결속관과,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후방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 및 하단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이 일체 형성되는 2중 부착재; 전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는 전방부착플레이트 및 후방부착플레이트와, 상기 전방부착플레이트의 앞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전방 Y축 연결속관과, 상기 후방부착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후방 Y축 연결속관과,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후방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 및 하단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이 일체 형성되는 3중 부착재; 를 포함하며, 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멍에의 구축을 위한 멍에용 각관 간의 연결 또는 장선의 구축을 위한 장선용 각관 간의 연결에 사용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속관 마다 외면에는 눈금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A)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으로 상향 돌출구조의 동바리체결부를 갖는 기초플레이트를 안착 배치한 상태에 앵커를 체결하여 고정 설치하는 단계; (B) 기초플레이트의 동바리체결부에 각관몸체인 동바리의 하단부를 삽입 배치 및 볼트 체결하여 기초콘크리트 상에 동바리를 직립되게 고정 설치하는 단계; (C) 동바리에 제1 연결재의 다방향성 연결속관 중 어느 하나의 연결속관을 삽입 및 피스 체결함에 의해 제1 연결재를 동바리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 (D) 동바리에 고정된 제1 연결재의 나머지 연결속관에 멍에용 각관을 삽입 및 피스 체결함에 의해 동바리의 상측으로 멍에용 각관을 연결 조립하는 단계; (E) 동바리에 연결 조립된 멍에용 각관에 제3 연결재가 갖는 연결속관을 이용하여 멍에용 각관을 부가 조립하여 연결함으로써 멍에를 구축하는 단계; (F) 멍에를 구축하는 멍에용 각관에 클립타입의 제2 연결재를 체결 고정하고, 이 제2 연결재를 이용하여 장선용 각관을 평행 배열 또는 교차 배열되게 연결 조립함으로써 멍에의 상측으로 장선용 각관을 연결 조립하는 단계; (G) 멍에용 각관에 연결 조립된 장선용 각관에 제3 연결재를 이용하되 제3 연결재가 갖는 연결속관에 장선용 각관을 부가 조립하여 연결함으로써 장선을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 구조물을 이루는 동바리, 멍에, 장선 등의 구조체들을 용접 없이 간단하게 조립하여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데크 구조물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 구조체들의 연결에 사용하던 용접 작업을 없애므로 화재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종 구조체들을 연결재를 이용하여 조립 연결할 수 있어 데크 구조물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특히 시공 후에도 데크 구조물의 수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용이함까지 제공할 수 있으며, 로드형이나 계단형 등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데크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구성을 갖는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동바리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T형 연결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코너 연결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2중코너 연결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4중코너 연결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상하 교차배열용 결속클립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상하 평행배열용 결속클립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직선 연결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관절 연결재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가로 부착재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세로 부착재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2중 부착재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를 위한 3중 부착재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는 연결재를 이용함으로써 로드형이나 계단형 등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데크 구조물을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앵커(101) 체결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중심부에 상향 돌출구조의 동바리체결부(111)를 갖는 기초플레이트(110)와, 상기 기초플레이트(110)의 동바리체결부(111)에 하단부가 삽입 배치 및 볼트(102) 체결함에 의해 기초콘크리트 상에 직립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각관몸체의 동바리(120)와, 상기 동바리(120)와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3방향(3-way) 이상의 다방향성 연결속관을 갖는 제1 연결재(130)와, 상기 제1 연결재(130)가 갖는 다방향성 연결속관에 멍에용 각관(141)을 삽입하여 조립함에 의해 동바리(120)의 상측에 구축되는 멍에(140)와, 상기 멍에(140)의 상측으로 장선(160)이 구축되도록 연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멍에용 각관(141)과 장선용 각관(161) 간의 상하 평행배열 연결 또는 상하 교차배열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클립타입의 제2 연결재(150)와, 상기 제2 연결재(150)에 멍에용 각관(141)과 장선용 각관(161)을 조립 연결함에 의해 멍에(140)의 상측에 구축되는 장선(160)과, 상기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 또는 장선용 각관(161) 간의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1방향(1-way)의 단방향성 또는 2방향(2-way) 이상의 다방향성 연결속관을 갖는 제3 연결재(1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기초플레이트(110)에는 앵커의 체결을 위한 앵커체결공이 형성되고, 상향 돌출구조의 동바리체결부(111)에도 볼트(102)의 체결을 위한 볼트체결공이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관몸체인 동바리(120)의 하단부에도 볼트체결공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동바리(120)와 멍에(140)를 구축하는 멍에용 각관(141) 및 장선(160)을 구축하는 장선용 각관(161)은 사각파이프 형태의 각형 각관이며, 각관의 크기에만 차이를 갖는 것으로서, 동바리 〉멍에용 각관 〉장선용 각관의 순서로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동바리(120)는 데크 구조물을 위한 기둥(지주) 구조체이고, 상기 멍에(140)는 동바리(120)의 상측에 구축되어 장선(160)을 지지하는 대들보(girder) 형 구조체이며, 상기 장선(160)은 발 디딤부가 되는 데크 자재를 지탱하는 들보(beam) 형 구조체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재(130)와 제2 연결재(150) 및 제3 연결재(170)에는 각각 마다 피스의 체결을 위한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피스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재(130)는 주로 동바리(120)와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 조립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바리(120)의 상측으로 멍에(140)를 용접 없이 조립하여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 연결재(130)는 T형 연결재(131)와 코너 연결재(132), 2중코너 연결재(133), 및 4중코너 연결재(134)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동바리(120)와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에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T형 연결재(131)는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T형 구조의 2방향성에 대한 각관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몸통부(131a)와, 상기 사각몸통부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131b) 및 우측 X축 연결속관(131c)과, 상기 사각몸통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31d)을 포함하여 일체 형성된다.
상기 코너 연결재(132)는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코너에서의 3방향성에 대한 각관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몸통부(132a)와, 상기 사각몸통부의 우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X축 연결속관(132b)과, 상기 사각몸통부의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Y축 연결속관(132c), 및 상기 사각몸통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32d)을 포함하여 일체 형성된다.
상기 2중코너 연결재(133)는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2중 코너에서의 3방향성에 대한 각관의 다중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몸통부(133a)와, 상기 사각몸통부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133b) 및 우측 X축 연결속관(133c)과, 상기 사각몸통부의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Y축 연결속관(133d), 및 상기 사각몸통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33e)을 포함하여 일체 형성된다.
상기 4중코너연결재(134)는 도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4중 코너에서의 3방향성에 대한 각관의 다중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몸통부(134a)와, 상기 사각몸통부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134b) 및 우측 X축 연결속관(134c)과, 상기 사각몸통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전방 Y축 연결속관(134d) 및 후방 Y축 연결관(134e)과, 상기 사각몸통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34f)을 포함하여 일체 형성된다.
이때, 상기 T형 연결재(131)와 코너 연결재(132), 2중코너 연결재(133), 및 4중코너 연결재(134)가 갖는 각각의 연결속관 마다 그 외면에는 눈금(103)이 형성되고, 각각의 연결속관 마다 피스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T형 연결재(131)와 코너 연결재(132), 2중코너 연결재(133), 및 4중코너 연결재(134)가 갖는 Z축 연결속관들은 각관몸체인 동바리(120)의 내부로 삽입 끼움되는 크기로 대응 형성되고, X축 연결속관들 및 Y축 연결속관들은 멍에용 각관(141)의 내부로 삽입 끼움되는 크기로 대응 형성된다.
상기 X축 연결속관들은 각관의 X축(좌우) 방향 연결에 사용되고, Y축 연결속관들은 각관의 Y축(전후) 방향 연결에 사용되며, Z축 연결속관들은 Z축(상하) 방향 연결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재(150)는 주로 멍에용 각관(141)과 장선용 각관(161) 간의 상하 평행배열 조립 연결 또는 상하 교차배열 조립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연결재(150)는 상하 교차배열용 결속클립(151)과 상하 평행배열용 결속클립(152)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멍에용 각관(141)과 장선용 각관(161) 간의 연결에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하 교차배열용 결속클립(151)은 도 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장선용 각관(161)과 멍에용 각관(141)을 상하 위치시키되 상호 교차되게 하는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형 사각플레이트 구조의 상향 X축 결속부(151a)와, 상기 상향 X축 결속부의 하측으로 연접 및 교차되게 배치되는 "∩"자형 사각플레이트 구조의 하향 Z축 결속부(151b)를 포함하여 일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자형 사각플레이트는 주로 장선용 각관(161)을 내부로 삽입 끼움할 수 있도록 대응 형성되고, 상기 "∩"자형 사각플레이트는 주로 멍에용 각관(141)을 내부로 삽입 끼움할 수 있도록 대응 형성된다.
상기 상하 평행배열용 결속클립(152)은 도 8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자형 사각플레이트 몸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자형 사각플레이트는 주로 장선용 각관(161)을 내부로 삽입 끼움할 수 있도록 대응 형성되고, 멍에용 각관(141)과는 피스 체결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하 교차배열용 결속클립(151)과 상하 평행배열용 결속클립(152)의 각각에는 조립 안정성을 위해 피스를 체결하기 위한 피스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 연결재(170)는 주로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 또는 장선용 각관(161) 간의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멍에 또는 장선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3 연결재(170)는 직선 연결재(171)와 관절 연결재(172), 가로 부착재(173), 세로 부착재(174), 2중 부착재(175), 및 3중 부착재(17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직선 연결재(171)는 도 9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각관의 직선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몸통부(171a)와, 상기 사각몸통부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171b) 및 우측 X축 연결속관(171c)을 포함하여 일체 형성된다.
상기 관절 연결재(172)는 코너 연결 등 각관의 연결에 보다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10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0~180도 각도영역을 커버하여 각관의 경사 배치 및 곡선 배치 등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0~180도 각도영역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면에 관절각 확인용 눈금(A)이 형성되어있는 관절부(172a)와, 상기 관절부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관절속관(172b) 및 우측 관절속관(172c)을 포함하여 일체 형성된다.
상기 가로 부착재(173)는 주 각관의 동일평면상으로 부착 각관을 연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각관의 측면에 체결하여 부착하기 위한 부착플레이트(173a)와, 상기 부착플레이트의 일면(부착면의 반대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연결속관(173b)을 포함하여 일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착플레이트(173a)에는 피스를 체결하여 가로 부착재(173)를 각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피스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 부착재(174)는 도 1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주 각관의 동일직선상 하측으로 부착 각관을 수직 배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U"자형 구조의 조립클립(174a)과, 상기 조립클립의 하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연결속관(174b)을 포함하여 일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립클립(174a)은 내부로 주 각관을 삽입 끼움할 수 있도록 대응 형성되고, 측면에서 피스를 체결하여 각관과 안정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측면에 피스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중 부착재(175)는 주 각관에 부착 각관을 다방향성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전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는 전방부착플레이트(175a) 및 후방부착플레이트(175b)와, 상기 전방부착플레이트의 앞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전방 Y축 연결속관(175c)과,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후방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 및 하단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75d)을 포함하여 일체 형성된다.
상기 3중 부착재(176)는 이 역시 주 각관에 부착 각관을 다방향성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전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는 전방부착플레이트(176a) 및 후방부착플레이트(176b)와, 상기 전방부착플레이트의 앞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전방 Y축 연결속관(176c)과, 상기 후방부착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후방 Y축 연결속관(176d)과,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후방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 및 하단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76e)을 포함하여 일체 형성된다.
이때, 상기 2중 부착재(175)와 3중 부착재(176)가 갖는 각각의 전방부착플레이트와 후방부착플레이트는 상호 한쌍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서로의 사이간격 내로 주 각관을 삽입 끼움할 수 있도록 간격 배치되고, 각각에는 피스 체결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피스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주 각관과의 부착 결합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도, 상기 Y축 연결속관들은 부착 각관의 Y축(전후) 방향 연결에 사용되며, Z축 연결속관들은 부착 각관의 Z축(상하) 방향 연결에 사용된다.
상기 직선 연결재(171)와 관절 연결재(172), 가로 부착재(173), 세로 부착재(174), 2중 부착재(175), 및 3중 부착재(176)가 갖는 각각의 연결속관 마다 그 외면에는 눈금(104)이 형성되고, 각각의 연결속관 마다 피스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연결속관들은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에 사용되느냐 또는 장선용 각관(161) 간의 연결에 사용되느냐에 따라 형성되는 크기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연결재(130)(150)(170)를 이용하여 데크 구조물을 시공하는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으로 상향 돌출구조의 동바리체결부(111)를 갖는 기초플레이트(110)를 안착 배치한 상태에 앵커를 체결하여 고정 설치한다(S110).
기초플레이트(110)의 동바리체결부(111)에 각관몸체인 동바리(120)의 하단부를 삽입 배치하고, 볼트를 체결함에 의해 기초플레이트(110)를 통해 기초콘크리트 상에 동바리(120)를 직립되게 고정 설치한다(S120).
기초플레이트(110)를 통해 기초콘크리트 상에 직립되게 고정 설치한 동바리(120)에 제1 연결재(130)의 다방향성 연결속관 중 어느 하나의 연결속관을 삽입하고 피스를 체결함에 의해 제1 연결재(130)를 동바리(12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한다(S130).
동바리(120)에 고정된 제1 연결재(130)의 나머지 연결속관에 멍에용 각관(141)을 삽입하고 피스를 체결함에 의해 동바리(120)의 상측으로 멍에용 각관(141)을 연결 조립한다(S140).
이때, 제1 연결재(130)는 T형 연결재(131)와 코너 연결재(132), 2중코너 연결재(133), 및 4중코너 연결재(13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 사용하여 동바리(120)와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용접 없이 연결할 수 있다.
동바리(120)의 상측에 연결 조립된 멍에용 각관(141)에 제3 연결재(170)가 갖는 연결속관을 이용하여 또 다른 멍에용 각관(141)을 부가 조립하여 연결함으로써 대들보가 되는 멍에(140)를 구축 및 완성한다(S150).
이때, 제3 연결재(170)는 직선 연결재(171)와 관절 연결재(172), 가로 부착재(173), 세로 부착재(174), 2중 부착재(175), 및 3중 부착재(17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 사용하여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에 사용할 수 있고, 용접 없이 연결할 수 있으며, 계단식 구조를 비롯하여 경사 배치형 구조 또는 곡선형 구조 등 다양한 형태의 시공을 수행할 수 있다.
멍에를 구축하는 멍에용 각관(141) 측에 클립타입의 제2 연결재(150)를 체결 고정하고, 이 제2 연결재(150)를 이용하여 장선용 각관(161)을 평행 배열 또는 교차 배열되게 연결 조립함으로써 멍에(140)의 상측으로 장선용 각관(161)을 연결 조립한다(S160).
이때, 제2 연결재(150)는 상하 교차배열용 결속클립(151)과 상하 평행배열용 결속클립(15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 사용하여 멍에용 각관(141)과 장선용 각관(161) 간의 연결에 사용할 수 있고, 용접 없이 연결할 수 있다.
이어서, 멍에용 각관(141)에 연결 조립된 장선용 각관(161)에 제3 연결재(170)를 이용하되 제3 연결재가 갖는 연결속관에 또 다른 장선용 각관(161)을 부가 조립하여 연결함으로써 들보가 되는 장선(160)을 구축 및 완성한다(S170).
마지막으로, 장선(160) 위에 데크 자재를 안착 배치 및 피스를 체결하여 고정 설치함으로써 데크 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한다(S180).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동바리와 멍에용 각관과의 연결 조립에 제1 연결재(13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멍에용 각관과 장선용 각관과의 연결 조립에 제2 연결재(15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멍에용 각관 간의 연결 또는 장선용 각관 간의 연결에 제3 연결재(17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함으로써 동바리(120)와 멍에(140) 및 장선(160)을 구축하는 것으로 기재 및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동바리와 멍에용 각관의 연결 조립에 제3 연결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각관 간의 연결 조립에 제1 연결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 또는 치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0: 기초플레이트 111: 동바리체결부
120: 동바리 130: 제1 연결재
131: T형 연결재 132: 코너 연결재
133: 2중코너 연결재 134: 4중코너 연결재
140: 멍에 141: 멍에용 각관
150: 제2 연결재 151: 상하 교차배열용 결속클립
152: 상하 평행배열용 결속클립 160: 장선
161: 장선용 각관 170: 제3 연결재
171: 직선 연결재 172: 관절 연결재
173: 가로 부착재 174: 세로 부착재
175: 2중 부착재 176: 3중 부착재

Claims (5)

  1.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앵커 체결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중심부에 상향 돌출구조의 동바리체결부(111)를 갖는 기초플레이트(110);
    상기 기초플레이트(110)의 동바리체결부(111)에 하단부가 삽입 배치 및 볼트 체결에 의해 기초콘크리트 상에 직립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각관몸체의 동바리(120);
    상기 동바리(120)와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3방향(3-way) 이상의 다방향성 연결속관을 갖는 제1 연결재(130);
    상기 제1 연결재(130)가 갖는 다방향성 연결속관에 멍에용 각관(141)을 삽입하여 조립함에 의해 동바리(120)의 상측에 구축되는 멍에(140);
    상기 멍에(140)의 상측으로 장선(160)을 구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멍에용 각관(141)과 장선용 각관(161) 간의 상하 평행배열 연결 또는 상하 교차배열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클립타입의 제2 연결재(150);
    상기 제2 연결재(150)에 멍에용 각관(141)과 장선용 각관(161)을 조립 연결함에 의해 멍에(140)의 상측에 구축되는 장선(160); 및
    상기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 또는 장선용 각관(161) 간의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1방향(1-way)의 단방향성 또는 2방향(2-way) 이상의 다방향성 연결속관을 갖는 제3 연결재(17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재(130)는,
    사각몸통부(131a)와, 상기 사각몸통부(131a)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131b) 및 우측 X축 연결속관(131c)과, 상기 사각몸통부(131a)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31d)이 일체 형성되는 T형 연결재(131);
    사각몸통부(132a)와, 상기 사각몸통부(132a)의 우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X축 연결속관(132b)과, 상기 사각몸통부(132a)의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Y축 연결속관(132c), 및 상기 사각몸통부(132a)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32d)이 일체 형성되는 코너 연결재(132);
    사각몸통부(133a)와, 상기 사각몸통부(133a)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133b) 및 우측 X축 연결속관(133c)과, 상기 사각몸통부(133a)의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Y축 연결속관(133d), 및 상기 사각몸통부(133a)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33e)이 일체 형성되는 2중코너 연결재(133); 및
    사각몸통부(134a)와, 상기 사각몸통부(134a)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134b) 및 우측 X축 연결속관(134c)과, 상기 사각몸통부(134a)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전방 Y축 연결속관(134d) 및 후방 Y축 연결관(134e)과, 상기 사각몸통부(134a)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34f)이 일체 형성되는 4중코너연결재(134); 를 포함하되,
    이들이 동바리(120)와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에 사용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속관 마다 외면에는 눈금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제2 연결재(150)는,
    "∪"자형 사각플레이트 구조의 상향 X축 결속부(151a)와, 상기 상향 X축 결속부(151a)의 하측으로 연접 및 교차되게 배치되는 "∩"자형 사각플레이트 구조의 하향 Z축 결속부(151b)가 일체 형성되는 상하 교차배열용 결속클립(151); 및
    "∪"자형 사각플레이트 몸체로 구비되는 상하 평행배열용 결속클립(152); 을 포함하되,
    이들이 멍에용 각관(141)과 장선용 각관(161) 간의 연결에 사용되고,
    상기 제3 연결재(170)는,
    사각몸통부(171a)와, 상기 사각몸통부(171a)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X축 연결속관(171b) 및 우측 X축 연결속관(171c)이 일체 형성되는 직선 연결재(171);
    0~180도 각도영역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면에 관절각 확인용 눈금(A)이 형성되어있는 관절부(172a)와, 상기 관절부(172a)의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는 좌측 관절속관(172b) 및 우측 관절속관(172c)이 일체 형성되는 관절 연결재(172);
    각관의 측면에 체결하여 부착하기 위한 부착플레이트(173a)와, 상기 부착플레이트(173a)의 일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연결속관(173b)이 일체 형성되는 가로 부착재(173);
    "U"자형 구조의 조립클립(174a)과, 상기 조립클립(174a)의 하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연결속관(174b)이 일체 형성되는 세로 부착재(174);
    전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는 전방부착플레이트(175a) 및 후방부착플레이트(175b)와, 상기 전방부착플레이트(175a)의 앞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전방 Y축 연결속관(175c)과, 상기 전방부착플레이트(175a)와 후방부착플레이트(175b)의 사이에 위치 및 하단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75d)이 일체 형성되는 2중 부착재(175); 및
    전후에 위치하여 간격 배치되는 전방부착플레이트(176a) 및 후방부착플레이트(176b)와, 상기 전방부착플레이트(176a)의 앞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전방 Y축 연결속관(176c)과, 상기 후방부착플레이트(176b)의 후면에서 연장 돌출되는 후방 Y축 연결속관(176d)과, 상기 전방부착플레이트(176a)와 후방부착플레이트(176b)의 사이에 위치 및 하단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Z축 연결속관(176e)이 일체 형성되는 3중 부착재(176); 를 포함하되,
    이들이 멍에용 각관(141) 간의 연결 또는 장선용 각관(161) 간의 연결에 사용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속관 마다 외면에는 눈금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08591A 2014-08-20 2014-08-20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527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91A KR101527717B1 (ko) 2014-08-20 2014-08-20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91A KR101527717B1 (ko) 2014-08-20 2014-08-20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717B1 true KR101527717B1 (ko) 2015-06-12

Family

ID=5350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591A KR101527717B1 (ko) 2014-08-20 2014-08-20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7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702B1 (ko) * 2019-04-12 2019-09-18 주식회사 예건 친환경 데크로드
KR102040637B1 (ko) * 2019-02-28 2019-11-06 경동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장선 체결 구조
KR102076734B1 (ko) * 2019-08-22 2020-02-12 경동산업(주) 데크 지지력이 증대된 장선 및 클립을 활용한 체결력과 시공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76737B1 (ko) * 2019-08-23 2020-02-12 경동산업(주) 피스 체결력이 강화된 데크로드 시스템용 장선
KR102382992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더우드 경사면의 보행로 확장을 위해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601740B1 (ko) 2023-07-26 2023-11-13 (주)새길산업 데크로드의 지지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603A (ja) * 1993-03-11 1994-09-20 Saitou Mokuzai Kogyo Kk 木材柱の防腐、防虫方法及び防腐、防虫装置
JP2002061303A (ja) * 2000-08-24 2002-02-28 Zero Corporation:Kk 柱脚の固定金物
JP2006083646A (ja) * 2004-09-17 2006-03-30 Kobe Steel Ltd 枠体及び床施工方法
KR100825009B1 (ko) * 2008-02-05 2008-04-25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목재데크판 장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2603A (ja) * 1993-03-11 1994-09-20 Saitou Mokuzai Kogyo Kk 木材柱の防腐、防虫方法及び防腐、防虫装置
JP2002061303A (ja) * 2000-08-24 2002-02-28 Zero Corporation:Kk 柱脚の固定金物
JP2006083646A (ja) * 2004-09-17 2006-03-30 Kobe Steel Ltd 枠体及び床施工方法
KR100825009B1 (ko) * 2008-02-05 2008-04-25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목재데크판 장착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637B1 (ko) * 2019-02-28 2019-11-06 경동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장선 체결 구조
KR102022702B1 (ko) * 2019-04-12 2019-09-18 주식회사 예건 친환경 데크로드
KR102076734B1 (ko) * 2019-08-22 2020-02-12 경동산업(주) 데크 지지력이 증대된 장선 및 클립을 활용한 체결력과 시공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76737B1 (ko) * 2019-08-23 2020-02-12 경동산업(주) 피스 체결력이 강화된 데크로드 시스템용 장선
KR102382992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더우드 경사면의 보행로 확장을 위해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601740B1 (ko) 2023-07-26 2023-11-13 (주)새길산업 데크로드의 지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717B1 (ko) 데크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890274B1 (ko)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KR20140021278A (ko) 플랜지플레이트와 연결철근의 수평용접 다이아프램이 설치된 cft용 강관기둥과 이를 이용한 철골보와의 강접합구조
KR100716453B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 보강 구조
KR100660522B1 (ko) 내부보강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보접합부의 보강구조
KR101766810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JP6546781B2 (ja) 外装材取付構造
KR20200089793A (ko) 보강강판 및 관통볼트를 사용한 충전형 합성 보-기둥의 무용접 접합 구조체
KR101570675B1 (ko) 정착철근을 이용한 강관기둥-보 접합부
KR101766808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JP2017214717A (ja) 柱梁接合部と梁との連結構造
KR20200000017A (ko) 내진용 고정 브라켓
KR200477104Y1 (ko) 중공형 강관 기둥과 강재 보의 접합부 구조
KR101409796B1 (ko) 유닛구조체용 절곡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KR102037633B1 (ko) W형 합성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20170044240A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JP7224037B2 (ja) 天井枠吊り下げ構造
KR20190060351A (ko)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 구조
JP2011052485A (ja) 補強梁受け金物
KR101766811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JP4326926B2 (ja) 梁受け金物
KR20140098527A (ko)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 구조물 및 그 결합방법
JPH03221636A (ja) 梁の接続構造
KR100660524B1 (ko) 내부보강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보접합부의 보강구조
JP2019105074A (ja) 天井下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