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994B1 - 데크 로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크 로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994B1
KR101976994B1 KR1020180113340A KR20180113340A KR101976994B1 KR 101976994 B1 KR101976994 B1 KR 101976994B1 KR 1020180113340 A KR1020180113340 A KR 1020180113340A KR 20180113340 A KR20180113340 A KR 20180113340A KR 101976994 B1 KR101976994 B1 KR 101976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pillar
sides
frame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덕
조은호
Original Assignee
조광덕
조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덕, 조은호 filed Critical 조광덕
Priority to KR102018011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크로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크와, 상기 데크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 및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난간으로 구성된 데크 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배수가 용이하고 습기의 침투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야간 가시성이 향상되어 데크로드의 사용이 용이하고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데크와, 상기 데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둥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을 갖음으로써 충돌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난간의 연결부분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하여 자연친화적인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데크 로드 시스템{Deck load system}
본 발명은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크로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크와, 상기 데크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기둥 및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난간으로 구성된 데크 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배수가 용이하고 습기의 침투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야간 가시성이 향상되어 데크로드의 사용이 용이하고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데크와, 상기 데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둥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을 갖음으로써 충돌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난간의 연결부분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하여 자연친화적인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 로드 시스템'이란 보행자가 편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목재를 이용하여 인공적인 길을 조성하는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서, 친환경 자재인 목재가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주로 자연과 가까운 산이나 공원, 강, 호수 등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데크 로드 시스템은 자연 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설치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설치 장소에 맞도록 경사지거나 구부러지게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바닥은 최대한 평탄하게하고,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난간부재를 설치하며, 안전성과 내구성을 고려하여 보통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데크로드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지면에 금속의 형강을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시키고 그 상부에 나무바닥판을 고정시켜 데크를 형성하는바, 호수와 같은 수중 위에 데크를 형성할 때에는 기둥을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세우고 그 기둥위에 형강을 연결한 후 나무바닥판을 고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데크는 직선 또는 직각으로 형성되지 않고 좌, 우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특히 등산로의 경우에는 경사진 길이나 계단을 형성함으로 지면의 경사각도에 따라 형강을 절곡하여 지면에 설치하였다.
따라서 종래에 데크를 설치할 때 상기와 같이 좌, 우로 일정한 각도로 형강을 형성하거나 경사진 지면에 형강을 설치할 때는 꺽여지는 부위를 필요한 각도로 절단한 다음 이를 용접 등과 같은 수단으로 고정하여야 함으로 데크를 설치하는 시간이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용접기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장비사용이 많은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등산로나 계단과 같은 경사진 곳에 데크를 설치를 할 때 지면에 따라 설치를 하여야 함으로 굴곡간격이 짧아 빈번한 용접을 하여야 함으로써 데크의 설치가 대단히 번거로워 많은 공사기간이 소요됨과 동시에 공사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이 경사로 및 계단이 설치된 부분 또는 지면에 따라 일측으로 휘어지게 설치되는 데크로드의 난간설치를 위한 종래 기술로 특허등록 제10-1828272호(등록일: 2018년 02월 06일)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은,
제1,2난간기둥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제1,2지지체를 각각 갖추고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2난간기둥과; 제1,2난간기둥의 제1,2지지체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2연결체와, 일측이 제1,2난간기둥의 제1,2지지체에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타측이 제1,2연결체를 각각 통과하는 제1,2 피벗체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서로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양측이 제1,2피벗체의 타측에 나사산 체결되는 연결봉 및, 제1,2피벗체의 타측에 각각 나사산 체결되어 연결봉의 양측에 각각 맞대어지는 제1,2고정너트를 갖춘 난간연결기구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2난간기둥의 제1,2지지체는, 호 형상으로 라운드져 측방으로 개구된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연결기구의 제1,2연결체는, 제1,2지지체에 각각 나사산 체결되는 너트부와, 너트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며 제1,2피벗체의 피벗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연결기구의 제1,2피벗체는, 일측에 구비되며 제1,2지지체의 안착부에 각각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안착되어 제1,2연결체의 걸림부에 각각 걸리는 볼 형상의 피벗부와, 피벗부에서 측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연결봉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서로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양측이 제1,2피벗체의 삽입부에 각각 나사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난간은 다양한 각도로 난간과 기둥을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연결을 위한 브라켓이 외부로 노출되어 자연친화적인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데크로드를 구성하는 나무바닥재의 경우 표면은 표면처리되어 나무의 썩음이나 해충의 투입이 방지되나 절단면인 양측면의 경우 별도의 표면처리가 없어 나무바닥재가 측면에서부터 썩기 시작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벌래 역시 나무 바닥재의 양측의 절단면으로 유입되어 실질적으로 나무바닥재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근래에 들어 수변을 따라 시공되는 자전거전용 도로 역시 자연친화적인 미관을 위하여 데크로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으나 잦은 자전거와의 충돌에 의하여 기둥이나 난간이 쉽게 손상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8300호(공개일: 2011년 06월 22일)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등록특허공보 제10-1828272호(등록일: 2018년 02월 06일)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등록특허공보 제10-0885493호(등록일: 2009년 02월 18일) "도로 시설물"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0269호(등록일: 2004년 01월 19일) "학생용 의자의 틸팅구조" 등록특허공보 제10-1787663호(등록일: 2017년 10월 12일) "데크로드 난간" 등록특허공보 제10-1175220호(등록일: 2012년 08월 13일) "난간 폭 확장과 다리 미관성이 개선된 수변 데크로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데크로드 시스템의 구성 중 데크는 배수가 용이하여 표면 물고임에 의하여 바닥재의 부분적인 썩음, 수분의 침투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바닥재의 표면에 형광 및 야광 기능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주 야간의 가시성 향상을 통한 안전한 보행 및 주행을 보장할 수 있고, 데크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기둥이 탄성을 갖음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하여 부러짐과 같은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둥과 난간의 연결을 위하여 기둥에 설치되는 브라켓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하여 자연친화적인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나무바닥판(10')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나무바닥재(10)와,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기둥(20)과, 상기 기둥(20)과 이웃하는 기둥(2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난간(30)으로 구성된 데크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양측 단부에 밀착되어 절단면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고 파손을 방지하는 커버(40)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20)은 하부가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상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나무바닥재(10)를 관통하여 멍에(70) 또는 지주(60)에 연결 고정되며, 단면이 "ㄷ" 형태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21)과 개방부(22)가 형성된 프레임(23);과,
상기 프레임(23)의 개방부(22)에 결합되며 양측에 난간(30)의 단부가 삽입되며 복수 개의 볼트체결공(241)을 갖는 한 쌍의 삽입부(242)와, 상기 삽입부(242)를 연결하며 단면이 "ㄷ" 형태로 중앙부분에 관통공(244)과 볼트체결공(245)이 형성되고 양측에 절곡된 연결부(246)에 의하여 내측에 끼움홈(247)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243)로 구성된 연결브라켓(24);과,
상기 프레임(2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길이홈(251)이 프레임(23)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멍(2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8)에 의하여 기둥(20)의 외형을 형성하는 한 쌍의 목재부(25);와,
상기 목재부(25)의 상부와 하부에 조립되는 상부커버(26)와 하부커버(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나무바닥판(10')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나무바닥재(10)와,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기둥(20)과, 상기 기둥(20)과 이웃하는 기둥(2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난간(30)으로 구성된 데크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나무바닥판(10')은 상면 중앙부분에 미끄럼방지돌기(11)와 양측면에 장홈(12)이 형성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50)으로 서로 끼워 맞춤식으로 연결되며 미끄럼방지돌기(1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3)과, 상기 경사면(13)에 형성되어 형광채움부(16)와 야광채움부(17)가 채움되는 한 쌍의 채움홈(14)이 형성되고 양측에 커버(40)가 밀착되어 복수 개의 나무바닥판(10')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한 나무바닥재(10)의 절단된 단부를 보호하며,
상기 기둥(20)은 하부가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상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나무바닥재(10)를 관통하여 멍에(70) 또는 지주(60)에 연결 고정되며, 단면이 "ㄷ" 형태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21)과 개방부(22)가 형성된 프레임(23);과,
상기 프레임(23)의 개방부(22)에 결합되며 양측에 난간(30)의 단부가 삽입되며 복수 개의 볼트체결공(241)을 갖는 한 쌍의 삽입부(242)와, 상기 삽입부(242)를 연결하며 단면이 "ㄷ" 형태로 중앙부분에 관통공(244)과 볼트체결공(245)이 형성되고 양측에 절곡된 연결부(246)에 의하여 내측에 끼움홈(247)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243)로 구성된 연결브라켓(24);과,
상기 프레임(2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길이홈(251)이 프레임(23)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멍(2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8)에 의하여 기둥(20)의 외형을 형성하는 한 쌍의 목재부(25);와,
상기 목재부(25)의 상부와 하부에 조립되는 상부커버(26)와 하부커버(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50)의 내면에 실리콘겔로 이루어진 밀착부(51)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밀착부(51)가 나무바닥판(10')의 절단면에 밀착되어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수분 및 해충의 침투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23)의 내부에 끼움되며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91);
상기 케이스(91)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가 케이스(91)의 내부 상면에 고정되는 스프링(92;
상기 케이스(91)의 하부에 밀착되어 개방부분에 밀착되며 하면이 나무부닥재(10) 또는 나무바닥재(10)를 관통하여 장선(80) 또는 멍에(70)에 고정되며 상면에 스프링(92)의 하면이 고정되는 하부판(93);을 포함하는 탄성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90)의 구성을 통하여 기둥(20)에 외부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내부에 스프링(92)이 회전하며 기둥(20)에 발생된 충격을 상쇄시키고 원위치로 복원됨으로써 기둥의 손상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광채움재(16)와 야광채움재(17)는 용융된 프리폴리머에 가소제와 형광안료 또는 야광안료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교반하고 트레이에서 소정온도로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상면에 직경이 0.5mm ~ 5mm 범위로 파쇄한 맥반석으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부재(15)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은 천연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형성되며 나무바닥재와 기둥 및 난간으로 구성되는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서, 나무바닥재의 표면을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배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표면 물고임에 따른 나무바닥재의 썩음이나 들뜸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이, 나무바닥재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형광채움재와 야광채움재를 형성하여 주간 또는 야간에 시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우기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주간 또는 야간의 보행자 또는 자전거 등의 보행과 주행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충돌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크로드를 구성하는 난간 또는 기둥에 이동중인 보행자 또는 자전거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기둥을 제공함으로서 외부충격에 의한 데크로드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무바닥재의 양측면에 커버를 끼워 절단면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절단면으로 수분이나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나무바닥재의 단부가 썩거나 변형(뒤틀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균 및 해충의 유입을 구조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도 나무바닥재의 형태를 처음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나무바닥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나무바닥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기둥과 난간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기둥과 난간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연결브라켓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기둥과 연결브라켓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기둥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나무바닥재의 측면 커버를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나무바닥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나무바닥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기둥과 난간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기둥과 난간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연결브라켓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기둥과 연결브라켓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기둥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 중 나무바닥재의 측면 커버를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시스템(100)은 천연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면 양측으로 연결브라켓(미도시)이 끼움되는 장홈(11)과 상면이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2)이 형성된 복수 개의 나무바닥판(10')이 연결되어 구성된 나무바닥재(10)와,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기둥(20)과, 상기 기둥(20)과 이웃하는 기둥(20')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난간(30) 및 나무바닥재(10)의 양측 절단면을 보호하는 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무바닥재(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방지돌기(11)와 양측면에 장홈(12)이 형성된 복수 개의 나무바닥판(10')을 장홈(12)에 장선(80)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50)를 끼움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통상의 암수 연결방식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로드 형태의 나무바닥재(10)를 구성한다.
상기 고정브라켓(50)은 단면이 대략 "ㄷ"형태를 갖는 몸체(51)의 상부에 형성된 티(52)의 양측 날개(53)에 각각의 나무바닥판(10')의 장홈(11)이 끼움되어 복수 개의 나무바닥판(10')이 서로 밀착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나무바닥재(10)는 하부에 지면에 일측이 고정되는 지주(60)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형성되는 멍에(70) 및 상기 멍에(70)의 상부에 조립되는 장선(8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일반적인 설치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나무바닥판(10')의 상면은 중앙의 미끄럼 방지돌기(1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13)을 형성하여 여름철 빗물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나무바닥판(10')의 표면에 물고임에 따른 나무바닥판(10')의 수분침투에 의한 들뜸과 같은 변형에 의하여 나무바닥재(10) 전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13)은 나무바닥재(10')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1도 ~ 3도 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보행 또는 자전거의 주행에 무리가 없는 각도의 범위로 경사면(13)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13)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채움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채움홈(14)에는 각각 미끄럼방지부재(15)가 혼합된 상태에서 주간에 나무바닥재(10)의 시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광채움재(16)와 야간에 나무바닥재(10)의 시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야광채움재(17)가 각각 수용된다.
상기 형광채움재(16)와 야광채움재(17)는 용융된 프리폴리머에 가소제와 형광안료 또는 야광안료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교반하고 트레이에서 소정온도로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상면에 직경이 0.5mm ~ 5mm 범위로 파쇄한 맥반석으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부재(15)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형광채움재(16)와 야광채움재(17)를 나무바닥재(10)의 채움홈(14) 끼움하여 접착시킴으로서 데크로드를 보행하는 보행자 또는 주행중인 자전거의 우수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부재(15)에 의하여 형광채움재(16)와 야광채움재(17)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나무바닥재(10)는 통상적으로 복수 개의 나무바닥판(10')이 제조공장에서 동일한 길이로 재단된 것을 데크로드(A)의 설치현장에서 현장 길이에 맞도록 재단되어 끼워맞춤식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나무바닥판(10')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은 외부의 습기 또는 해충으로부터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조과정에서 표면 방부처리가 기본으로 진행되어 표면이 보호되나, 현장에서 절단된 전, 후면은 목재표면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습기의 침투 및 해충에 의하여 썩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어리한 전, 후면의 썩음에 의하여 장선과의 연결부분이 손상되어 나무바닥판(10')과 장선(80)의 연결부분이 손상되어 나무바닥재(10)로부터 떨어져 나오거나 부분적으로 부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특허출원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무바닥재(10)의 절단된 부분에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단면이 대략"ㄷ"형태를 갖는 커버(40)를 형성하고 끼움하며 절단면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고 습기로부터 나무바닥판(10')을 보호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나무바닥재(10)의 손상을 방지함에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커버(40)의 내면에 실리콘겔로 이루어진 밀착부(41)를 형성하여 나무바닥판(10')의 절단면이 밀착부(41)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수분 및 해충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기둥(2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상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나무바닥재(10)를 관통하여 멍에(70) 또는 지주(60)에 연결 고정되며, 단면이 "ㄷ" 형태를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21)과 개방부(22)가 형성된 프레임(23)과, 상기 프레임(23)의 개방부(22)에 중앙부분이 결합되며 양측으로 난간(30)의 단부가 삽입되는 연결브라켓(24) 및 상기 프레임(2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목재부(2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20)의 최상부에는 상부커버(26)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나무바닥재(10)와의 연결부분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커버(27)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3)의 외측으로 한 쌍의 목재부(25)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길이홈(251)이 프레임(23)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멍(21)을 관통하여 볼트(28)를 체결하여 기둥(2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목재부(25)의 측면에는 프레임(23)과 연결브라켓(24)이 연결된 부분에 홈(252)을 형성하여 연결브라켓(24)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연결브라켓(24)에 난간(30)의 단부를 쉽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브라켓(24)은 양측에 난간(30)의 단부가 삽입되며 복수 개의 볼트체결공(241)을 갖는 한 쌍의 삽입부(242)와 상기 삽입부(242)를 연결하는 연결부(243)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43)는 단면이 "ㄷ" 형태를 갖으며 중앙부분에 관통공(244)과 볼트체결공(245)이 형성되고 양측에 절곡된 연결부(246)에 의하여 삽입부(242)와 연결부(243) 사이에 끼움홈(247)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23)과 연결브라켓(24)의 연결형태를 살펴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3)의 개방부(22)에 연결브라켓(24)을 삽입하여 개방부(22)의 내측면이 연결브라켓(24)의 끼움홈(247)으로 삽입되면서 프레임(23)의 내면에 연결브라켓(24)의 연결부(243)외면이 서로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23)과 연결브라켓(24)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브라켓(24)의 삽입부(242)에 난간(30)의 단부를 삽입하고 볼트체결공(241)으로 체결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프레임(23)의 외측에 한 쌍의 목재부(25)를 밀착시켜 프레임(23)과 연결브라켓(24)을 감싸 노출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28)로 목재부(25)와 프레임(23) 및 연결브라켓(24)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하여 기둥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둥(20)과 난간(30)의 연결을 위한 연결브라켓(24)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 함으로서 목재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의 자연친화적인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다.
상기 난간(30)은 기둥(20)과 이웃하는 기둥(20')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복수개의 난간(30)이 기둥(20)으로부터 노출된 연결브라켓(24)의 삽입부(242)에 조립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난간(30)은 파이프 형태의 금속으로 각형 또는 원형의 봉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각형 또는 원형의 봉형상을 갖는 목재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기둥(20)의 하부에 형성된 탄성수단(90)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와 같이 기둥(20)의 하부에 형성된 탄성수단(90)에 의하여 자전거와의 충돌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기둥의 파손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탄성수단(90)은 프레임(23)의 내부에 끼움되며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91)와, 상기 케이스(91)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가 케이스(91)의 내부 상면에 고정되는 스프링(92)과, 케이스(91)의 하부에 밀착되어 개방부분에 밀착되며 하면이 나무부닥재(10) 또는 나무바닥재(10)를 관통하여 장선(80) 또는 멍에(70)에 고정되며 상면에 스프링(92)의 하면이 고정되는 하부판(9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탄성수단(90)의 구성을 통하여 기둥(20)에 외부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내부에 스프링(92)이 회전하며 기둥(20)에 발생된 충격을 상쇄시키고 원위치로 복원됨으로써 기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90)은 기둥(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이 방지됨으로써 데크로드 시스템의 자연친화적인 미감의 저해가 없으며 특히, 충격에 의한 회전시에도 하부커버(27)에 의하여 변형되는 형태의 노출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는 천연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형성된 나무바닥재와 기둥 및 난간으로 구성되는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서 나무바닥재를 구성하는 나무바닥판의 상면에 양측으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빗물이나 이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함으로써 나무바닥판의 표면에 물고임에 따른 변형 및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양측의 경사면에 형광 기능과 야광기능을 갖는 기능성을 부여하여 주간 또는 야간에 나무바닥재의 시안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에 의하여 안전한 보행과 주행을 보장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기둥과 난간을 연결하는 브라켓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자연친화적인 미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과 더불어, 기둥과 난간의 연결을 브라켓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과정에서 용접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여 끼워맞춤식의 연결을 통한 일반기능공만으로도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인건비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 조립식이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철거 및 해체를 통한 자재의 재활용도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나무바닥재의 양측면에 커버를 끼워 절단면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절단면으로 수분이 흡수되어 썩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균 및 해충의 유입을 구조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도 나무바닥재의 형태를 처음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데크로드를 구성하는 난간 또는 기둥에 이동중인 보행자 또는 자전거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기둥을 제공함으로서 외부충격에 의한 데크로드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0 : 나무바닥재 10' : 나무바닥판
11 : 미끄럼장지돌기 12 : 장홈
13 : 경사면 14 : 채움홈
15 : 미끄럼방지부재 16 : 형광채움재
17 : 야광채움재 20 : 기둥
21 : 구멍 22 : 개방부
23 : 프레임 24 : 연결브라켓
25 : 목재부 26 : 상부커버
27 : 하부커버 28 : 볼트
30 : 난간 40 : 커버
41 : 밀착부 50 : 고정브라켓
60 : 지주 70 : 멍에
80 : 장선 90 : 탄성수단
91 : 케이스 92 : 스프링
93 : 하부판

Claims (5)

  1. 천연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나무바닥판(10')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나무바닥재(10)와,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기둥(20)과, 상기 기둥(20)과 이웃하는 기둥(2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난간(30)으로 구성된 데크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양측 단부에 밀착되어 절단면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고 파손을 방지하는 커버(40)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20)은 하부가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상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나무바닥재(10)를 관통하여 멍에(70) 또는 지주(60)에 연결 고정되며, 단면이 "ㄷ" 형태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21)과 개방부(22)가 형성된 프레임(23);과,
    상기 프레임(23)의 개방부(22)에 결합되며 양측에 난간(30)의 단부가 삽입되며 복수 개의 볼트체결공(241)을 갖는 한 쌍의 삽입부(242)와, 상기 삽입부(242)를 연결하며 단면이 "ㄷ" 형태로 중앙부분에 관통공(244)과 볼트체결공(245)이 형성되고 양측에 절곡된 연결부(246)에 의하여 내측에 끼움홈(247)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243)로 구성된 연결브라켓(24);과,
    상기 프레임(2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길이홈(251)이 프레임(23)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멍(2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8)에 의하여 기둥(20)의 외형을 형성하는 한 쌍의 목재부(25);와,
    상기 목재부(25)의 상부와 하부에 조립되는 상부커버(26)와 하부커버(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2. 천연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나무바닥판(10')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나무바닥재(10)와,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기둥(20)과, 상기 기둥(20)과 이웃하는 기둥(2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난간(30)으로 구성된 데크로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나무바닥판(10')은 상면 중앙부분에 미끄럼방지돌기(11)와 양측면에 장홈(12)이 형성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50)으로 서로 끼워 맞춤식으로 연결되며 미끄럼방지돌기(1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3)과, 상기 경사면(13)에 형성되어 형광채움부(16)와 야광채움부(17)가 채움되는 한 쌍의 채움홈(14)이 형성되고 양측에 커버(40)가 밀착되어 복수 개의 나무바닥판(10')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한 나무바닥재(10)의 절단된 단부를 보호하며,
    상기 기둥(20)은 하부가 상기 나무바닥재(10)의 상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나무바닥재(10)를 관통하여 멍에(70) 또는 지주(60)에 연결 고정되며, 단면이 "ㄷ" 형태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멍(21)과 개방부(22)가 형성된 프레임(23);과,
    상기 프레임(23)의 개방부(22)에 결합되며 양측에 난간(30)의 단부가 삽입되며 복수 개의 볼트체결공(241)을 갖는 한 쌍의 삽입부(242)와, 상기 삽입부(242)를 연결하며 단면이 "ㄷ" 형태로 중앙부분에 관통공(244)과 볼트체결공(245)이 형성되고 양측에 절곡된 연결부(246)에 의하여 내측에 끼움홈(247)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243)로 구성된 연결브라켓(24);과,
    상기 프레임(2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길이홈(251)이 프레임(23)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멍(2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8)에 의하여 기둥(20)의 외형을 형성하는 한 쌍의 목재부(25);와,
    상기 목재부(25)의 상부와 하부에 조립되는 상부커버(26)와 하부커버(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의 내면에 실리콘겔로 이루어진 밀착부(41)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밀착부(41)가 나무바닥판(10')의 절단면에 밀착되어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수분 및 해충의 침투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및 미관성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3)의 내부에 끼움되며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91);
    상기 케이스(91)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가 케이스(91)의 내부 상면에 고정되는 스프링(92;
    상기 케이스(91)의 하부에 밀착되어 개방부분에 밀착되며 하면이 나무부닥재(10) 또는 나무바닥재(10)를 관통하여 장선(80) 또는 멍에(70)에 고정되며 상면에 스프링(92)의 하면이 고정되는 하부판(93);을 포함하는 탄성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90)의 구성을 통하여 기둥(20)에 외부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내부에 스프링(92)이 회전하며 기둥(20)에 발생된 충격을 상쇄시키고 원위치로 복원됨으로써 기둥의 손상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채움부(16)와 야광채움부(17)는 용융된 프리폴리머에 가소제와 형광안료 또는 야광안료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교반하고 트레이에서 소정온도로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상면에 직경이 0.5mm ~ 5mm 범위로 파쇄한 맥반석으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부재(15)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180113340A 2018-09-21 2018-09-21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976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40A KR101976994B1 (ko) 2018-09-21 2018-09-21 데크 로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40A KR101976994B1 (ko) 2018-09-21 2018-09-21 데크 로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994B1 true KR101976994B1 (ko) 2019-08-28

Family

ID=6777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340A KR101976994B1 (ko) 2018-09-21 2018-09-21 데크 로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705B1 (ko) 2019-10-16 2020-12-21 에스와이우드(주) 데크 패널용 사이드 보호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269Y1 (ko) 2003-09-19 2004-01-31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KR100885493B1 (ko) 2008-06-13 2009-02-24 (주)우림휀스 도로 시설물
KR20110068300A (ko) 2009-12-16 2011-06-22 나원이엔지(주)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KR101175220B1 (ko) 2012-01-27 2012-08-21 배대환 난간 폭 확장과 다리 미관성이 개선된 수변 데크로드
KR20150134852A (ko) * 2014-05-23 2015-12-02 (주)그린우드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787663B1 (ko) 2017-03-09 2017-10-18 코랜스그린산업(주) 데크로드 난간
KR101828272B1 (ko) 2017-06-01 2018-02-13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269Y1 (ko) 2003-09-19 2004-01-31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KR100885493B1 (ko) 2008-06-13 2009-02-24 (주)우림휀스 도로 시설물
KR20110068300A (ko) 2009-12-16 2011-06-22 나원이엔지(주)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KR101175220B1 (ko) 2012-01-27 2012-08-21 배대환 난간 폭 확장과 다리 미관성이 개선된 수변 데크로드
KR20150134852A (ko) * 2014-05-23 2015-12-02 (주)그린우드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787663B1 (ko) 2017-03-09 2017-10-18 코랜스그린산업(주) 데크로드 난간
KR101828272B1 (ko) 2017-06-01 2018-02-13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705B1 (ko) 2019-10-16 2020-12-21 에스와이우드(주) 데크 패널용 사이드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330B1 (ko)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176188B1 (ko) 데크로드 구조물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230336B1 (ko)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KR101199429B1 (ko) 설치각도와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난간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1792440B1 (ko) 산책로용 목재 데크
KR101473157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KR101991026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341317B1 (ko) 삽입형 유동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난간 시공방법
KR102492698B1 (ko) Y형 클립 데크 및 선형에 구애받지 않는 난간이 적용된 풀림방지볼트로 조립하는 교량 구조물
KR101976994B1 (ko)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34892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KR102022702B1 (ko) 친환경 데크로드
CA2844561C (en) Collapsible safe ladder
KR102156673B1 (ko) 목재 펜스용 하이브리드 브래킷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KR102447799B1 (ko) 양방향 각도 조절 가능한 십자형 안전난간
KR101630189B1 (ko) 플렉시블 펜스
KR101631566B1 (ko)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48996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지주 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KR101986606B1 (ko) 스토퍼가 구비된 난간 구조물
KR101486762B1 (ko) 유동적 체결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KR20120026710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난간
US6526706B1 (en) Beach stair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