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272B1 -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 Google Patents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272B1
KR101828272B1 KR1020170068493A KR20170068493A KR101828272B1 KR 101828272 B1 KR101828272 B1 KR 101828272B1 KR 1020170068493 A KR1020170068493 A KR 1020170068493A KR 20170068493 A KR20170068493 A KR 20170068493A KR 101828272 B1 KR101828272 B1 KR 10182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deck
bodies
pivo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주식회사 서울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주식회사 서울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68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engthwise adjustable, e.g. telescopic
    • E04H2017/14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등산로 또는 산책로에 데크로드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데크로드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2난간기둥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제1,2지지체를 각각 갖추고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2난간기둥과; 제1,2난간기둥의 제1,2지지체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2연결체와, 일측이 제1,2난간기둥의 제1,2지지체에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타측이 제1,2연결체를 각각 통과하는 제1,2피벗체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서로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양측이 제1,2피벗체의 타측에 나사산 체결되는 연결봉 및, 제1,2피벗체의 타측에 각각 나사산 체결되어 연결봉의 양측에 각각 맞대어지는 제1,2고정너트를 갖춘 난간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Free Deck Road Handrail}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등산로 또는 산책로에 데크로드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프리 데크로드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는 등산로나 산책로에 설치되어, 보행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으로, 데크로드를 따라서는 난간이 설치된다. 이러한 난간은 난간기둥과 난간기둥이 연결봉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데크로드 난간은 자연과 어우러지는 등산로나 산책로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 데, 이에 따라 데크로드 난간은 설치 장소에 적합하도록 경사지거나 굴곡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데크로드 난간은 경사지거나 굴곡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데크로드 난간의 기둥과 연결봉을 연결할 시, 난간기둥과 연결봉의 연결각도 및 연결봉의 길이를 일일이 조절하여 각각의 난간기둥과 연결봉을 연결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데크로드 난간을 설치할 시, 장비(예를 들어 절단 장비, 용접 장비) 및 데크로드 난간 설치용 부재(예를 들어 난간기둥, 연결봉)를 작업 현장까지 이동한 후, 데크로드 난간 설치용 부재를 절단 또는 용접하여, 데크로드 난간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난간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우며, 작업 공정 및 작업 비용 또한 많이 소요된다.
더욱이, 데크로드는 등산로나 산책로에 설치되기 때문에, 데크로드 난간 설치용 부재를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작업 현장까지 이동한 후, 데크로드 작업 현장에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프리 데크로드 난간을 설치할 시, 작업 현장의 조건(지형의 경사 및 굴곡된 정도)에 상관없이 데크로드 난간을 편리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데크로드 난간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70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난간연결기구의 설치 각도 조절 및 길이 조절이 자유로워, 다양한 형태의 등산로 또는 산책로에 데크로드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프리 데크로드 난간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2난간기둥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제1,2지지체를 각각 갖추고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2난간기둥과;
제1,2난간기둥의 제1,2지지체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2연결체와, 일측이 제1,2난간기둥의 제1,2지지체에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타측이 제1,2연결체를 각각 통과하는 제1,2피벗체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서로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양측이 제1,2피벗체의 타측에 나사산 체결되는 연결봉 및, 제1,2피벗체의 타측에 각각 나사산 체결되어 연결봉의 양측에 각각 맞대어지는 제1,2고정너트를 갖춘 난간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2난간기둥의 제1,2지지체는, 호 형상으로 라운드져 측방으로 개구된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연결기구의 제1,2연결체는, 제1,2지지체에 각각 나사산 체결되는 너트부와, 너트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며 제1,2피벗체의 피벗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연결기구의 제1,2피벗체는, 일측에 구비되며 제1,2지지체의 안착부에 각각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안착되어 제1,2연결체의 걸림부에 각각 걸리는 볼 형상의 피벗부와, 피벗부에서 측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연결봉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서로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양측이 제1,2피벗체의 삽입부에 각각 나사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2난간기둥은, 다수의 제1,2지지체가 상하로 구비되고,
하나의 제1,2지지체에 난간연결기구가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난간연결기구의 설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데크로드 설치 지형의 형상에 따라 난간연결기구의 설치 각도 또는 길이를 조절하여, 데크로드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데크로드 설치 현장까지 데크로드 난간 설치용 부재를 옮긴 후, 데크로드 난간 설치용 부재를 절단 또는 용접하여 데크로드 난간을 설치할 필요없이 개별적으로 구비된 제1,2난간기둥 및 난간연결기구를 간단하게 조립하여 데크로드 설치 지형에 따라 데크로드를 설치할 수 있어, 데크로드 설치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 공정 및 작업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난간연결기구의 길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치 높이가 다른 제1난간기둥과 제2난간기둥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직립 방향이 다른 제1난간기둥과 제2난간기둥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XY 평면상에서의 평면 위치가 다른 제1난간기둥과 제2난간기둥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굴곡된 지형을 따라 데크로드 난간이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에서 제1난간기둥 또는 제2난간기둥을 장선에 설치하는 것을 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X-X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고정장치를 통해 데크플레이트를 장선에 설치하고 제1난간기둥 또는 제2난간기둥을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에서 데크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데크플레이트의 일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데크플레이트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 17의 Y-Y선 단면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데크플레이트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 17의 Z-Z선 단면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으로 제1실시예의 데크로드 난간에 장선, 멍에, 지주, 박힘기구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데크로드 난간에서 멍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데크로드 난간에서 멍에 및 지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은 제1,2난간기둥(10,20)과, 난간연결기구(30)를 갖추고서, 데크로드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제1,2난간기둥(10,20)은, 제1,2난간기둥(10,20)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제1,2지지체(11,21)를 각각 갖추고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2지지체(11,21)는 호 형상으로 라운드져 측방으로 개구된 안착부(11a,21a)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2지지체(11,21)는, 다수 개가 제1,2난간기둥(10,20)을 따라 상하로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간연결기구(30)는 제1,2연결체(31,32)와, 제1,2피벗체(33,34)와, 연결봉(35) 및, 제1,2고정너트(36,37)를 갖춘다.
상기 제1,2연결체(31,32)는 제1,2난간기둥(10,20)의 제1,2지지체(11,21)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연결체(31,32)는 너트부(31a,32a)와, 걸림부(31b,32b)를 갖추고서, 제1,2지지체(11,21)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너트부(31a,32a)는 제1,2지지체(11,21)에 각각 나사산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부(31a,32a)는 링 형상을 이루고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1b,32b)는 너트부(31a,32a)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며 제1,2피벗체(33,34)의 피벗부(33a,34a)의 이탈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31b,32b)는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피벗체(33,34)는 피벗부(33a,34a)와, 삽입부(33b,34b)를 갖춘다.
상기 피벗부(33a,34a)는 제1,2피벗체(33,34)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2지지체(11,21)의 안착부(11a,21a)에 각각 전방향(모든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안착되어 제1,2연결체(31,32)의 걸림부(31b,32b)에 각각 걸리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피벗부(33a,34a)는 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33b,34b)는 피벗부(33a,34a)에서 측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연결봉(35)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33b,34b)는 제1,2연결체(31,32)의 걸림부(31b,32b)를 각각 통과하여 연결봉(35)에 삽입된다.
상기 연결봉(35)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33,34)의 타측 간의 간격이 서로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33,34)의 타측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양측이 제1,2피벗체(33,34)의 타측에 나사산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봉(35)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33,34)의 타측 간의 간격이 서로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33,34)의 타측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양측이 제1,2피벗체(33,34)의 삽입부(33b,34b)에 각각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1,2고정너트(36,37)는, 제1,2피벗체(33,34)의 타측에 각각 나사산 체결되어 연결봉(35)의 양측에 각각 맞대어진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난간연결기구의 길이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치 높이가 다른 제1난간기둥과 제2난간기둥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직립 방향이 다른 제1난간기둥과 제2난간기둥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XY 평면상에서의 평면 위치가 다른 제1난간기둥과 제2난간기둥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굴곡된 지형을 따라 데크로드 난간이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데크로드 난간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까지 본 실시예의 구성을 가지고 이동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데크로드를 따라 제1,2난간기둥(10,20) 및 난간연결기구(30)를 설치한다.
이때, 작업자는 제1,2난간기둥(10,20) 및 난간연결기구(30)가 연결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연결봉(3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와 같이 난간연결기구(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 사이가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도 5와 같이 제1,2고정너트(36,37)를 회전시켜 도 6과 같이 연결봉(35)의 위치를 단단히 고정한다. 한편 작업자가 제1,2난간기둥(10,20) 및 난간연결기구(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봉(35)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미도시), 제2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 사이가 가까워진다. 이와 같이 난간연결기구(30)의 조작을 통해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을 통해 도 7과 같이 제1,2난간기둥(10,20) 및 난간연결기구(3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2난간기둥(10,20)과 난간연결기구(30)의 설치 각도 및 난간연결기구(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의 설치 높이가 다르더라도 데크로드 난간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의 설치 높이가 달라 도 8과 같이 2개의 난간연결기구(30)의 길이를 늘려야 할 시, 각각의 난간연결기구(30)의 설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여,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 사이에 각각의 난간연결기구(30)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2난간기둥(10,20)과 난간연결기구(30)의 설치 각도 및 난간연결기구(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0과 같이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의 직립 각이 다르더라도 데크로드 난간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의 직립 각이 달라 도 10과 같이 2개의 난간연결기구(30)의 길이가 달라야 할 시, 각각의 난간연결기구(30)의 설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여,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 사이에 각각의 난간연결기구(30)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1,2난간기둥(10,20)과 난간연결기구(30)의 설치 각도 및 난간연결기구(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1과 같이 XY 평면상에서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의 위치가 다르더라도 데크로드 난간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XY 평면상에서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의 위치가 달라 도 11과 같이 난간연결기구(30)를 틀어서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에 설치해야 할 시, 각각의 난간연결기구(30)의 설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여, 제1난간기둥(10)과 제2난간기둥(20) 사이에 각각의 난간연결기구(30)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설치 작업이 가능한 본 실시예는 제1난간기둥(10)의 양측에 제1지지체(11)를 각각 설치하고, 제2난간기둥(20)의 양측에 제2지지체(21)를 각각 설치한 후,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2난간기둥(10,20)을 난간연결기구(30)를 통해 연결하면, 굴곡된 지형에도 도 12와 같이 난간연결기구(30)의 설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여, 데크로드 난간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난간연결기구(30)의 설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데크로드 설치 지형의 형상에 따라 난간연결기구(30)의 설치 각도 또는 길이를 조절하여, 데크로드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데크로드 설치 현장까지 데크로드 난간 설치용 부재를 옮긴 후, 데크로드 난간 설치용 부재를 절단 또는 용접하여 데크로드 난간을 설치할 필요없이 개별적으로 구비된 제1,2난간기둥(10,20) 및 난간연결기구(30)를 간단하게 조립하여 데크로드 설치 지형에 따라 데크로드를 설치할 수 있어, 데크로드 설치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 공정 및 작업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에서 제1난간기둥 또는 제2난간기둥을 장선에 설치하는 것을 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X-X선 부분 단면도로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은, 제1실시예의 데크로드 난간에서 장선(60)과, 다수 개의 고정장치(40) 및, 다수 개의 데크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선(60)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이 데크로드를 따라 구비된다. 본 실시예예에서 장선(60)은 측면에 플랜지(61)가 구비되고, 플랜지(61)를 통해 장선(60)의 하부에 구비되는 멍에(7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지만, 장선(60)을 멍에(70)에 고정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40)는 하부판(41)과, 제1수직판(42)과, 제2수직판(43)과, 기둥삽입체(44) 및, 체결부재(45)를 갖추고서, 장선(6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판(41)은 장선(60)의 하부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판(41)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판(41)의 양측에 멍에(70)가 각각 배치되지만, 하나의 멍에(70)의 상부에 하부판(41)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수직판(42)은 하부판(41)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장선(60)의 일측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수직판(42)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수직판(43)은, 하부판(41)의 타측에 상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선(60)의 타측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수직판(43)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며 힌지를 통해 하부판(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기둥삽입체(44)는,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44a)를 갖추고서 제1수직판(42)의 상부에 구비되되, 장선(60)과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재(45)는 제1수직판(42) 및 장선(60) 및 제2수직판(43)을 관통하는 볼트(45a)와, 제2수직판(43)을 통과한 볼트(45a)에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45b)를 갖춘다.
상기 데크플레이트(50)는 고정장치(40)의 기둥삽입체(44)와 장선(6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데크플레이트(50)는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며, 일측 중간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고정부(g)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둥삽입체(44)의 하부에 데크플레이트(50)의 고정부(g)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6)가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돌기(46)는 데크플레이트(50)에 삽입되어 고정장치(40)가 전후방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난간기둥(10) 또는 제2난간기둥(20)은 고정장치(40)의 기둥삽입체(44)에 삽입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팅 작업을 통해 제1난간기둥(10) 또는 제2난간기둥(20)이 기둥삽입체(44)에 고정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고정장치를 통해 데크플레이트를 장선에 설치하고 제1난간기둥 또는 제2난간기둥을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선(60)을 고정장치(40)의 하부판(41)의 상부에 배치시킨 후, 고정장치(40)의 제2수직판(43)을 도 16과 같이 회전시켜 세우고, 체결부재(45)를 이용하여 장선(60)에 고정장치(40)를 고정한다.
그리고, 데크플레이트(50)를 도 16과 같이 고정장치(40)의 기둥삽입체(44)와 장선(60) 사이에 삽입하여 배치시킨 후, 못(예를 들어 나사 못)을 통해 데크플레이트(50)를 장선(60)에 고정한다.
이후, 고정장치(40)의 기둥삽입체(44)의 개구부(44a)에 제1난간기둥(10) 또는 제2난간기둥(20)을 도 16과 같이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2난간기둥(10,20) 및 데크플레이트(50)를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데크로드 난간의 구조적 안정성을 이룰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에서 데크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데크플레이트의 일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데크플레이트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 17의 Y-Y선 단면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데크플레이트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 17의 Z-Z선 단면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은 제2실시예의 데크로드 난간에서 데크플레이트(50)의 구조가 변형실시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50)는, 제1고정부(51)와, 제1삽입부(52)와, 고정돌출부(53)와, 삽입돌출부(54)와, 제2삽입부(55) 및, 제2고정부(56)를 갖춘다.
상기 제1고정부(51)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데크플레이트(50)의 일측에 구비되며 못이 박힌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부(51)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부(52)는 측방으로 개구되며, 제1고정부(51)와 이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삽입부(52)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출부(53)는 제1삽입부(52)에 구비되어 측방으로 돌출되며 좌우로 일렬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돌출부(53)는 사각 바 형상을 이루며,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출부(54)는 데크플레이트(50)의 타측에 구비되며 또 다른 데크플레이트(50)의 제1삽입부(5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돌출부(54)는 사각 바 형상을 이루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부(55)는 삽입돌출부(54)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며 또 다른 데크플레이트(50)의 고정돌출부(53)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삽입부(55)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형상을 이루며,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부(56)는 데크플레이트(50)의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장치(40)의 고정돌기(46)는 데크플레이트(50)의 제2고정부(56)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50)는 도 19 및 도 20과 같이 하나의 데크플레이트(50)를 못(P)을 통해 장간(60)에 고정시킨 후 또 다른 데크플레이트(50)를 연결하면, 못(P)의 노출을 피할 수 있어, 데크플레이트(50)의 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하나의 데크플레이트(50)의 삽입돌출부(54)를 또 다른 데크플레이트(50)의 제1삽입부(52)에 삽입하여, 데크플레이트(50) 간의 연결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으로 제1실시예의 데크로드 난간에 장선, 멍에, 지주, 박힘기구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데크로드 난간에서 멍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데크로드 난간에서 멍에 및 지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분해사시도로서,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은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에 장선(60), 멍에(70), 지주(80), 박힘기구(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장선(60)은 한 쌍이 데크로드를 따라 구비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멍에(70)는 가로프레임(71)과, 세로프레임(72) 및, 고정부재(73)를 갖추고서, 장선(6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로프레임(71)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이 구비되며, 장선(60)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프레임(71)은 사각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세로프레임(72)은 가로프레임(71) 간을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프레임(71)은 사각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고정부재(73)는 지지브라켓(73a)과, 삽입브라켓(73b)를 갖춘다.
상기 지지브라켓(73a)은 가로프레임(71)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안착부(73a1)와, 안착부(73a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3a2)와, 연장부(73a2)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며 세로프레임(72)이 안착되는 지지부(73a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73a1), 연장부(73a2), 지지부(73a3)는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멍에(70)의 삽입브라켓(73b)은 측부가 개구되어, 지지브라켓(73a)의 연장부(73a2)에 설치되며, 세로프레임(72)이 삽입고정된다.
상기 지주(80)는 삽입브라켓(81)과, 지지체(82) 및, 연결브라켓(83)을 갖춘다.
상기 지주(80)의 삽입브라켓(81)은 상부가 개구되며, 멍에(70)의 가로프레임(71)이 삽입고정된다.
상기 지지체(82)는 기둥 형상을 이루며, 지주(80)의 삽입브라켓(81)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브라켓(83)은 사각 패널 형상을 이루어, 지지체(82)의 하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브라켓(83)은 볼팅 작업을 통해 지지체(82)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박힘기구(90)는 이음브라켓(91)과, 박힘체(92)를 갖춘다.
상기 이음브라켓(91)은 지주(80)의 연결브라켓(83)에 맞대어 고정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음브라켓(91)은 볼팅 작업을 통해 연결브라켓(83)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박힘체(92)는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며, 이음브라켓(91)의 하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박힘체(92)는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지면에 박힌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난간은 데크로드를 형성할 시,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다양한 지형에 따른 데크로드 설치 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제1,2난간기둥(10,20), 난간연결기구(30) 이외의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7060호(발명의 명칭: 데크 로드 시스템)의 구성 중 기초구조물, 지주, 데크플레이트, 장선프레임, 멍에프레임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7060호를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데크로드 난간에 장선(60), 멍에(70), 지주(80), 박힘기구(90)가 더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제4실시예의 장선(60), 멍에(70), 지주(80), 박힘기구(90)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20; 제1,2난간기둥 11,21; 제1,2지지체
30; 난간연결기구 31,32; 제12연결체
33,34; 제1,2피벗체 35; 연결봉
36,37; 제1,2고정너트 40; 고정장치
50; 데크플레이트 60; 장선
70; 멍에 80; 지주
90; 박힘기구

Claims (7)

  1. 제1,2난간기둥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제1,2지지체를 각각 갖추고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1,2난간기둥과; 제1,2난간기둥의 제1,2지지체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2연결체와, 일측이 제1,2난간기둥의 제1,2지지체에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타측이 제1,2연결체를 각각 통과하는 제1,2피벗체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서로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양측이 제1,2피벗체의 타측에 나사산 체결되는 연결봉 및, 제1,2피벗체의 타측에 각각 나사산 체결되어 연결봉의 양측에 각각 맞대어지는 제1,2고정너트를 갖춘 난간연결기구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2난간기둥의 제1,2지지체는, 호 형상으로 라운드져 측방으로 개구된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연결기구의 제1,2연결체는, 제1,2지지체에 각각 나사산 체결되는 너트부와, 너트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며 제1,2피벗체의 피벗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연결기구의 제1,2피벗체는, 일측에 구비되며 제1,2지지체의 안착부에 각각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안착되어 제1,2연결체의 걸림부에 각각 걸리는 볼 형상의 피벗부와, 피벗부에서 측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연결봉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서로 좁아지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1,2피벗체의 타측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양측이 제1,2피벗체의 삽입부에 각각 나사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난간기둥은, 다수의 제1,2지지체가 상하로 구비되고,
    하나의 제1,2지지체에 난간연결기구가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난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 난간은,
    데크로드를 따라 구비되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장선과;
    데크로드를 따라 구비되는 장선의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장선의 일측에 밀착되는 제1수직판과, 하부판의 타측에 상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선의 타측에 밀착되는 제2수직판과,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갖추고서 제1수직판의 상부에 구비되되 장선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기둥삽입체 및, 제1수직판 및 장선 및 제2수직판을 관통하는 볼트, 제2수직판을 통과한 볼트에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한 체결부재를 갖춘 다수 개의 고정장치 및;
    상기 고정장치의 기둥삽입체와 장선 사이에 배치되는 데크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난간기둥 또는 제2난간기둥은 고정장치의 기둥삽입체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난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데크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못이 박히는 제1고정부와, 측방으로 개구되며 제1고정부와 이어지는 제1삽입부와, 제1삽입부에 구비되어 측방으로 돌출되며 좌우로 일렬로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돌출부와, 데크플레이트의 타측에 구비되며 또 다른 데크플레이트의 제1삽입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출부와, 삽입돌출부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며 또 다른 데크플레이트의 고정돌출부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제2삽입부 및, 데크플레이트의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는 제2고정부를 갖추며,
    상기 고정장치는,
    고정장치의 기둥삽입체의 하부에 데크플레이트의 제2고정부가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난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세로프레임 및,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며 세로프레임이 안착되는 지지부를 구비한 지지브라켓, 측부가 개구되어 지지브라켓의 연장부에 설치되며 세로프레임이 삽입고정되는 삽입브라켓을 갖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장선의 하부에 배치되는 멍에와;
    상부가 개구되며 멍에의 가로프레임이 삽입고정되는 삽입브라켓과, 삽입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체 및, 지지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을 갖춘 지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난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연결브라켓에 설치되는 이음브라켓과,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며 이음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박힘체를 갖춘 박힘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난간.
  7. 삭제
KR1020170068493A 2017-06-01 2017-06-01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KR10182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493A KR101828272B1 (ko) 2017-06-01 2017-06-01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493A KR101828272B1 (ko) 2017-06-01 2017-06-01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272B1 true KR101828272B1 (ko) 2018-02-13

Family

ID=6123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493A KR101828272B1 (ko) 2017-06-01 2017-06-01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2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330B1 (ko) 2018-08-20 2019-04-26 조광덕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976994B1 (ko) 2018-09-21 2019-08-28 조광덕 데크 로드 시스템
KR20210105646A (ko) 2020-02-19 2021-08-27 (주)익성텍린텔 데크로드용 지주
KR20210105645A (ko) 2020-02-19 2021-08-27 (주)익성텍린텔 데크로드 난간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950B1 (ko) * 1999-07-22 2002-08-01 이경호 서포트장치
KR100531247B1 (ko) * 2005-08-16 2005-11-29 (주)천일기술단 고소작업장의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100802500B1 (ko) * 2007-01-17 2008-02-14 주식회사강산 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950B1 (ko) * 1999-07-22 2002-08-01 이경호 서포트장치
KR100531247B1 (ko) * 2005-08-16 2005-11-29 (주)천일기술단 고소작업장의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100802500B1 (ko) * 2007-01-17 2008-02-14 주식회사강산 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330B1 (ko) 2018-08-20 2019-04-26 조광덕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976994B1 (ko) 2018-09-21 2019-08-28 조광덕 데크 로드 시스템
KR20210105646A (ko) 2020-02-19 2021-08-27 (주)익성텍린텔 데크로드용 지주
KR20210105645A (ko) 2020-02-19 2021-08-27 (주)익성텍린텔 데크로드 난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272B1 (ko) 자유로운 데크로드 난간
KR20090085188A (ko)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KR101678849B1 (ko) 출렁거림 및 비틀림 억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케이블 교량
KR101991026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054261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KR101973330B1 (ko)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102374283B1 (ko) 탄성결합 클립형 데크로드와 결속력 강화 확장형 난간 및 h빔 구조를 갖는 데크로드 시스템
US20210123263A1 (en) Vertical cable rail barrier
KR101449654B1 (ko)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 안전점검시설
KR101930844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68881B1 (ko)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KR101570672B1 (ko) 난간대 각도 조절용 지주 체결구
KR102190118B1 (ko) 교량 점검로 및 그 설치 공법
US20140332745A1 (en) Railing member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KR200484993Y1 (ko) 지주와 난간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결합시키기 위한 휀스용 연결조립체
KR101178814B1 (ko)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또는 펜스
KR101952924B1 (ko) 난간 연결장치
KR101920252B1 (ko) 계단 난간
KR101852139B1 (ko) 계단용 난간지주
KR20180003332A (ko) 교량 유지 점검 시설물
KR20120033608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KR101457633B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KR102347886B1 (ko) 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