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252B1 - 계단 난간 - Google Patents

계단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252B1
KR101920252B1 KR1020180050434A KR20180050434A KR101920252B1 KR 101920252 B1 KR101920252 B1 KR 101920252B1 KR 1020180050434 A KR1020180050434 A KR 1020180050434A KR 20180050434 A KR20180050434 A KR 20180050434A KR 101920252 B1 KR101920252 B1 KR 101920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andrail
floor
suppor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호
Original Assignee
성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호 filed Critical 성주호
Priority to KR1020180050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 난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이어 형성되는 계단의 수평면들에 각각 결합되는 바닥고정유닛들; 상기 바닥고정유닛들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관 형상으로 형성된 지주들; 상기 바닥면에 위치한 바닥측 지주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핸드레일; 상기 계단의 수평면들에 위치하는 계단측 지주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사핸드레일; 상기 수평핸드레일과 경사핸드레일을 연결하는 곡선연결레일; 상기 수평핸드레일과 바닥측 지주들 그리고 경사핸드레일과 계단측 지주들을 각각 연결하는 제1 연결구들; 상기 수평핸드레일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바닥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1 수평중간연결관들; 상기 제1 수평중간연결관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바닥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2 수평중간연결관들; 상기 제1,2 수평중간연결관을 연결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1 보강연결관들; 상기 경사핸드레일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계단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1 경사중간연결관들;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계단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2 경사중간연결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적 강도가 견고하고 조립 작업이 간단하다.

Description

계단 난간{STAIRWAY RAILING}
본 발명은 계단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층과 층 사이를 이동하기 위하여 건물에 계단을 시공하고 계단의 양쪽 또는 한쪽에 계단을 이용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보행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핸드레일을 포함하는 계단 난간을 설치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8170호(2002. 03. 15. 공고일)(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는 계단의 아래와 위의 바닥판에 각각 지주대가 설치되고 그 두 개의 지주대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핸드레일을 설치한 계단 난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핸드레일이 두 개의 지주대 사이에 연결되므로 핸드레일의 지지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42092호(2013. 12. 27. 공개일)(선행기술 2이라 함)에는 또한 계단의 아래와 위의 바닥판에 각각 지주대가 설치되고 그 두 개의 지주대 사이에 핸드레일(황주관)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난간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2 또한 두 개의 지주대 사이에 핸드레일이 설치된 구조로, 핸드레일의 지지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 강도가 견고하고 조립 작업이 간단한 계단 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면서 부품들의 조립이 가능한 계단 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물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이어 형성되는 계단의 수평면들에 각각 결합되는 바닥고정유닛들; 상기 바닥고정유닛들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관 형상으로 형성된 지주들; 상기 바닥면에 위치한 바닥측 지주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핸드레일; 상기 계단의 수평면들에 위치하는 계단측 지주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사핸드레일; 상기 수평핸드레일과 경사핸드레일을 연결하는 곡선연결레일; 상기 수평핸드레일과 바닥측 지주들 그리고 경사핸드레일과 계단측 지주들을 각각 연결하는 제1 연결구들; 상기 수평핸드레일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바닥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1 수평중간연결관들; 상기 제1 수평중간연결관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바닥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2 수평중간연결관들; 상기 제1,2 수평중간연결관을 연결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1 보강연결관들; 상기 경사핸드레일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계단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1 경사중간연결관들;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계단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2 경사중간연결관들; 상기 제1,2 경사중간연결봉관을 연결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보강연결관들;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고정유닛은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관과, 상기 앵커볼트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주의 하단이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앵커볼트의 수나사산부에 체결되어 고정구를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볼트의 하단부와 위치설정관의 하단부가 바닥면 또는 계단 수평면에 매립되며, 상기 제1 연결구는 지주의 상부가 결합되는 지주측 연결부재와, 상기 수평핸드레일 또는 경사핸드레일에 결합되는 레일측 연결부재와, 상기 레일측 연결부재를 상기 수평핸드레일 또는 경사핸드레일에 체결하는 체결나사와, 상기 지주측 연결부재와 레일측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지주측 연결부재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주가 삽입되는 지주삽입부와, 상기 지주삽입부의 상단을 막는 상면판부와, 상기 상면판부의 상면에 균일한 두께로 연장 돌출되는 삽입측 연결판부와, 상기 삽입측 연결판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측 연결부재는 상기 수평핸드레일 또는 경사핸드레일의 하면에 접촉되는 곡면판부와, 상기 곡면판부의 하면에 각각 연장 돌출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삽입측 연결판부가 삽입되는 두 개의 수용측 연결판부들과, 상기 수용측 연결판부들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수용측 연결판부들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곡면판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측 연결부재의 삽입측 연결판부가 상기 레일측 연결부재의 수용측 연결판부들 사이에 삽입되어 삽입측 연결판부와 수용측 연결판부들의 관통구멍에 상기 연결유닛이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난간이 제공된다.
상기 지주측 연결부재의 삽입측 연결판부의 관통구멍 둘레에 원형을 이루도록 삼각치차들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측 연결판부의 삼각치차들에 접촉되는 레일측 연결부재의 수용측 연결판부의 관통구멍 둘레에 상기 삼각치차들과 맞물리는 삼각치차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체부와, 상기 환봉체부의 하단에 상기 환봉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 또는 계단 수평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환봉체부와 지지부의 가운데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구멍과, 상기 환봉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의 하단이 삽입 고정되는 지주삽입홈과, 상기 지지부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상기 볼트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설정관의 상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관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들 중 한 개는 바닥측 지주와 상기 바닥측 지주와 인접한 계단측 지주를 연결하며, 상기 바닥측 지주와 계단측 지주를 연결하는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의 한쪽 단부는 제2 연결구에 의해 상기 바닥측 지주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의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제1 연결구에 의해 상기 계단측 지주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삽입부와, 상기 관삽입부의 한쪽 단부를 복개하되, 상기 관삽입부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쪽에 경사곡면을 형성하는 지지판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한쪽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바닥측 지주의 일부에 접촉 지지되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측면지지부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제1 나사관통구멍과, 상기 관삽입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제2 나사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삽입부의 내부에 상기 관삽입부의 한쪽 면과 함께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구멍들은 서로 90도에서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평핸드레일의 아래에 바닥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1,2 수평중간연결관이 구비되고 그 제1,2 수평중간연결관을 연결하는 제1 보강연결관들이 구비되고, 경사핸드레일의 아래에 계단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1,2 경사중간연결관이 구비되고 그 제1,2 경사중간연결관을 연결하는 제2 보강연결관들이 구비되므로 수평핸드레일과 경사핸드레일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평핸드레일과 경사핸드레일의 아래쪽을 통하여 물체가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의 하단부가 바닥고정유닛에 의해 건물 바닥면 또는 계단의 수평면에 고정되므로 지주의 하부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지주의 상부가, 레일측 연결부재와 지주측 연결부재와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제1 연결구에 의해 수평핸드레일 또는 경사핸드레일에 연결되므로 핸드레일이 경사지거나 수평인 상태에서도 핸드레일과 견고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제1 연결구의 레일측 연결부재와 지주측 연결부재에 각각 삼각치차들이 구비되는 경우 그 삼각치차들에 의해 설정된 각도에서 레일측 연결부재와 지주측 연결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연결구의 레일측 연결부재와 지주측 연결부재가 연결유닛에 의해 연결되고 레일측 연결부재의 곡면판부를 수평핸드레일 또는 경사핸드레일의 하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체결나사로 체결하고 지주측 연결부재의 지주삽입부에 지주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지주와 수평핸드레일(또는 경사핸드레일)의 연결 작업이 간단하고 수평핸드레일 위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가 매끈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난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난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닥고정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난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연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난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연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난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삼각치차들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난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연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난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연결구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난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난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난간의 일실시예는, 바닥고정유닛(100), 지주(10), 수평핸드레일(H1), 경사핸드레일(H2), 곡선연결레일(H3), 제1 연결구(200), 제1 수평중간연결관(21), 제2 수평중간연결관(22), 제1 보강연결관(23), 제1 경사중간연결관(31), 제2 경사중간연결관(32), 제2 보강연결관(33)을 포함한다.
바닥고정유닛(100)은 건물 바닥면(1)과, 그 건물 바닥면(1)에 이어 형성되는 계단의 수평면(2)들에 각각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1층에 바닥면(1)이 구비되고 그 바닥면(1)에 이어 2층과 3층으로 계단과 바닥면이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계단은 수직면과 수평면(2)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건물의 바닥면(1)과 계단은 콘크리트로 시공된다. 바닥고정유닛(100)의 일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고정유닛(100)은 앵커볼트(110)와, 그 앵커볼트(11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관(120)과, 앵커볼트(110)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지주(10)의 하단이 결합되는 고정구(130)와, 앵커볼트(110)의 수나사산부에 체결되어 고정구(130)를 고정하는 너트(140)를 포함한다. 앵커볼트(110)의 하단부와 위치설정관(120)의 하단부가 바닥면(1) 또는 계단 수평면(2)에 매립되어 고정된다. 위치설정관(120)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구멍들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고정구(130)의 일예로, 고정구(130)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체부(131)와, 그 환봉체부(131)의 하단에 환봉체부(131)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1) 또는 계단 수평면(2)에 지지되는 지지부(132)와, 환봉체부(131)와 지지부(132)의 가운데에 관통 형성되어 앵커볼트(110)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구멍(133)과, 환봉체부(131)의 상면으로부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지주(10)의 하단이 삽입 고정되는 지주삽입홈(134)과, 지지부(132)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상기 볼트관통구멍(133)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위치설정관(120)의 상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관삽입홀(135)을 포함한다. 볼트관통구멍(133)은 내경이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관삽입홀(135)은 볼트관통구멍(133)의 하단부에 볼트관통구멍(133)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관삽입홀(135)과 볼트관통구멍(133)의 내경 차에 의해 단턱면이 구비되고 그 단턱면에 위치설정관(120)의 상단이 걸려 지지된다. 바닥고정유닛(100)들이 배열되는 일예로, 계단의 수평면(2)들 중 세 칸마다 결합되고 그 계단의 수평면들에 결합된 바닥고정유닛(100)들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건물 바닥면(1)에 제1 기준 바닥고정유닛(100)이 결합되고 그 제1 기준 바닥고정유닛(100)의 옆에 간격을 두고 제2 기준 바닥고정유닛(100)이 결합되고 그 제2 기준 바닥고정유닛(100)에 이어 설정된 간격을 두고 건물 바닥면(1)에 바닥고정유닛(100)들이 결합된다.
지주(10)는 바닥고정유닛(100)들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지주(10)는 원형 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단에 구비된 바닥고정유닛(100)에 결합된 지주(10)를 계단측 지주(10)라 하고, 건물 바닥면에 구비된 바닥고정유닛(100)에 결합된 지주(10)를 바닥측 지주(10)라 한다.
수평핸드레일(H1)은 바닥면(1)에 위치한 바닥측 지주(10)들의 상부에 위치한다. 수평핸드레일(H1)은 원형 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핸드레일(H2)은 계단의 수평면(2)들에 위치하는 계단측 지주(10)들의 상부에 위치한다. 경사핸드레일(H2)은 원형 관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사핸드레일(H2)은 계단의 경사를 따라 경사지게 위치한다.
곡선연결레일(H3)은 수평핸드레일(H1)과 경사핸드레일(H2)을 연결한다. 곡선연결레일(H3)은 제1,2 기준 바닥고정유닛(100)에 결합된 지주(10A)(10B) 사이에 위치하여 수평핸드레일(H1)의 단부와 경사핸드레일(H2)의 단부를 연결한다.
제1 연결구(200)는 수평핸드레일(H1)과 바닥측 지주(10)들 그리고 경사핸드레일(H2)과 계단측 지주(10)들을 각각 연결한다. 즉, 제1 연결구(200)에 의해 바닥측 지주(10)의 상부가 수평핸드레일(H1)에 연결되고, 또한 제1 연결구(200)에 의해 계단측 지주(10)의 상부가 경사핸드레일(H2)에 연결된다. 제1 연결구(200)의 일예로,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구(200)는 지주(10)의 상부가 결합되는 지주측 연결부재(210)와, 수평핸드레일(H1)(또는 경사핸드레일)에 결합되는 레일측 연결부재(220)와, 레일측 연결부재(220)를 수평핸드레일(H1)(또는 경사핸드레일)에 체결하는 체결나사(230)와, 지주측 연결부재(210)와 레일측 연결부재(220)를 결합시키는 연결유닛(240)을 포함한다. 지주측 연결부재(21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지주(10)가 삽입되는 지주삽입부(211)와, 그 지주삽입부(211)의 상단을 막는 상면판부(212)와, 그 상면판부(212)의 상면에 균일한 두께로 연장 돌출되는 삽입측 연결판부(213)와, 그 삽입측 연결판부(213)에 형성되는 관통구멍(214)을 포함한다. 지주삽입부(211)는 지주(10)의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사각관일 경우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사각관으로 형성된다. 레일측 연결부재(220)는 수평핸드레일(H1)(또는 경사핸드레일)의 하면에 접촉되는 곡면판부(221)와, 그 곡면판부(221)의 하면에 각각 연장 돌출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삽입측 연결판부(213)가 삽입되는 두 개의 수용측 연결판부(222)들과, 그 수용측 연결판부(222)들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수용측 연결판부(222)들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곡면판부(221)에 구비되어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구멍(223)들을 포함한다. 나사관통구멍(223)들은 두 개이며 그 두 개의 나사관통구멍(223)들은 서로 90도에서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도의 위상차를 갖는다.
연결유닛(240)의 일예로, 연결유닛(240)은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측 연결부재(210)의 삽입측 연결판부(213)의 관통구멍(214) 둘레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도록 삼각치차들(G)이 구비되고, 그 삽입측 연결판부(213)의 삼각치차들(G)에 접촉되는 레일측 연결부재(220)의 수용측 연결판부(222)의 관통구멍 둘레에 삼각치차들(G)과 맞물리는 삼각치차들(G')이 구비될 수도 있다. 삼각치차들(G)(G')은 횡단면이 삼각형인 삼각기어들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연결유닛(240)이 레일측 연결부재(220)와 지주측 연결부재(210)를 체결한 상태에서 삽입측 연결판부(213)의 삼각치차들(G)과 수용측 연결판부(213)의 삼각치차들(G)이 맞물려 결합되어 회전이 방지되고, 연결유닛(240)이 체결되지 않거나 헐겁게 체결한 상태에서 레일측 연결부재(220)와 지주측 연결부재(2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 연결구(200)는 지주측 연결부재(210)의 삽입측 연결판부(213)가 레일측 연결부재(220)의 수용측 연결판부(222)들 사이에 삽입되어 삽입측 연결판부(213)와 수용측 연결판부(222)들의 관통구멍에 연결유닛(240)이 관통 결합되어 레일측 연결부재(220)와 지주측 연결부재(210)를 연결하며, 지주측 연결부재(210)의 지주삽입부(211) 내부에 지주(10)의 상단부가 결합되고, 레일측 연결부재(220)의 곡면판부(221)에 핸드레일(H1)(H2)의 아래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나사관통구멍(223)에 체결나사(230)가 관통하여 핸드레일에 체결된다. 이로 인하여, 제1 연결구(200)에 의해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 지주(10)와 핸드레일(경사핸드레일)의 경사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 후 지주(10)와 핸드레일(H1)(H2)이 움직이지 않도록 제1 연결구(200)의 연결유닛(240)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제1 수평중간연결관(21)은 수평핸드레일(H1)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바닥측 지주(10)들을 연결한다. 제1 수평중간연결관(21)은 횡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평중간연결관(21)들은 수평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수평중간연결관(22)은 제1 수평중간연결관(21)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바닥측 지주(10)들을 연결한다. 제1,2 수평중간연결관(21)(22)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수평중간연결관(21)(22)의 횡단면 크기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수평중간연결관(21)(22)의 각 양단부에 제1 연결구(200)가 구비되어 제1 연결구(200)에 의해 제1,2 수평중간연결관(21)(22)의 양단부가 바닥측 지주(1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연결구(200)의 지주측 연결부재(210)에 제1 수평중간연결관(21)의 단부가 삽입되되, 지주측 연결부재(210)의 지주삽입부(211)는 제1 수평중간연결관(21)의 횡단면 형상과 상응하게 사각통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연결구(200)의 레일측 연결부재(220)가 바닥측 지주(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제1 보강연결관(23)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제1,2 수평중간연결관(21)(22)을 연결한다. 제1 보강연결관(23)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경사중간연결관(31)은 경사핸드레일(H2)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계단측 지주(10)들을 연결한다. 제1 경사중간연결관(31)은 횡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경사중간연결관(31)들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경사중간연결관(32)은 제1 경사중간연결관(31)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계단측 지주(10)들을 연결한다. 제2 경사중간연결관(32)은 횡단면이 사각형인 사각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경사중간연결관(32)들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경사중간연결관(31)들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보강연결관(33)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제1,2 경사중간연결봉관(31)(32)을 연결한다. 제2 보강연결관(33)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경사중간연결관(31)들 중 한 개는 제1 기준 바닥고정유닛(100)에 연결된 바닥측 지주(10A)와 그 바닥측 지주(10A)에 인접한 계단측 지주(10)를 연결하며, 그 바닥측 지주(10A)와 계단측 지주(10)를 연결하는 제1 경사중간연결관(31)의 한쪽 단부는 제2 연결구(300)에 의해 바닥측 지주(10A)와 연결되고 제1 경사중간연결관(31)의 다른 한쪽 단부는 제1 연결구(200)에 의해 계단측 지주(1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연결구(300)의 일예로,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구(300)는 제1 경사중간연결관(31)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삽입부(310)와, 그 관삽입부(310)의 한쪽 단부를 복개하되, 관삽입부(310)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쪽에 경사곡면(321)을 형성하는 지지판부(320)와, 그 지지판부(320)의 한쪽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바닥측 지주(10)의 일부에 접촉 지지되는 측면지지부(330)와, 그 측면지지부(330)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제1 나사관통구멍(331)과, 관삽입부(310)의 다른 한쪽 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제2 나사관통구멍(311)을 포함한다. 또한, 관삽입부(310)의 내부에 관삽입부(310)의 한쪽 면과 함께 제1 경사중간연결관(31)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3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연결구(300)는 제1 경사중간연결관(31)의 단부가 관삽입부(310)에 삽입 고정되고 바닥측 지주(10A)의 측면에 지지판부(320)의 경사곡면(321)이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제1 나사관통구멍(331)에 체결나사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제2 연결구(300)는 지지판부(320)에 경사곡면(321)들이 구비되고 측면지지부(330)가 구비되므로 바닥측 지주(10A)와 제1 경사중간연결관(31)이 경사지게 위치한 상태에서 바닥측 지주(10A)와 제1 경사중간연결관(31)을 견고하게 연결하게 된다.
제2 경사중간연결관(32)들 중 한 개는 제1 기준 바닥고정유닛(100)에 연결된 바닥측 지주(10A)와 그 바닥측 지주(10A)에 인접한 계단측 지주(10)를 연결하며, 그 바닥측 지주(10A)와 계단측 지주(10)를 연결하는 제2 경사중간연결관(33)의 한쪽 단부는 제2 연결구(300)에 의해 바닥측 지주(10)와 연결되고 제2 경사중간연결관(33)의 다른 한쪽 단부는 제1 연결구(200)에 의해 계단측 지주(1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난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평핸드레일(H1)의 아래에 바닥측 지주(10)들을 연결하는 제1,2 수평중간연결관(21)(22)이 구비되고 그 제1,2 수평중간연결관(21)(22)을 연결하는 제1 보강연결관(23)들이 구비되고, 경사핸드레일(H2)의 아래에 계단측 지주(10)들을 연결하는 제1,2 경사중간연결관(31)(32)이 구비되고 그 제1,2 경사중간연결관(31)(32)을 연결하는 제2 보강연결관(33)들이 구비되므로 수평핸드레일(H1)과 경사핸드레일(H2)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평핸드레일(H1)과 경사핸드레일(H2)의 아래쪽을 통하여 물체가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10)의 하단부가 바닥고정유닛(100)에 의해 건물 바닥면(1) 또는 계단의 수평면(2)에 고정되므로 지주(10)의 하부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지주(10)의 상부가, 레일측 연결부재(220)와 지주측 연결부재(210)와 연결유닛(240)을 포함하는 제1 연결구(200)에 의해 수평핸드레일(H1) 또는 경사핸드레일(H2)에 연결되므로 핸드레일이 경사지거나 수평인 상태에서도 핸드레일과 견고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제1 연결구(200)의 레일측 연결부재(220)와 지주측 연결부재(210)에 각각 삼각치차(G)(G')들이 구비되는 경우 그 삼각치차(G)(G')들에 의해 설정된 각도에서 레일측 연결부재(220)와 지주측 연결부재(210)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연결구(200)의 레일측 연결부재(220)와 지주측 연결부재(210)가 연결유닛(240)에 의해 연결되고 레일측 연결부재(220)의 곡면판부(221)를 수평핸드레일(H1) 또는 경사핸드레일(H2)의 하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체결나사(230)로 체결하고 지주측 연결부재(210)의 지주삽입부211)에 지주(1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지주(10)와 수평핸드레일(H1)(또는 경사핸드레일)의 연결 작업이 간단하고 수평핸드레일(H1) 위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가 매끈하게 된다.
100; 바닥고정유닛 10; 지주
H1; 수평핸드레일 H2; 경사핸드레일
H3; 곡선연결레일 200; 제1 연결구
21; 제1 수평중간연결관 22; 제2 수평중간연결관
23; 제1 보강연결관 31; 제1 경사중간연결관
32; 제2 경사중간연결관 33; 제2 보강연결관

Claims (6)

  1. 건물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이어 형성되는 계단의 수평면들에 각각 결합되는 바닥고정유닛들;
    상기 바닥고정유닛들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관 형상으로 형성된 지주들;
    상기 바닥면에 위치한 바닥측 지주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핸드레일;
    상기 계단의 수평면들에 위치하는 계단측 지주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사핸드레일;
    상기 수평핸드레일과 경사핸드레일을 연결하는 곡선연결레일;
    상기 수평핸드레일과 바닥측 지주들 그리고 경사핸드레일과 계단측 지주들을 각각 연결하는 제1 연결구들;
    상기 수평핸드레일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바닥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1 수평중간연결관들;
    상기 제1 수평중간연결관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바닥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2 수평중간연결관들;
    상기 제1,2 수평중간연결관을 연결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1 보강연결관들;
    상기 경사핸드레일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계단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1 경사중간연결관들;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계단측 지주들을 연결하는 제2 경사중간연결관들;
    상기 제1,2 경사중간연결봉관을 연결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보강연결관들;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고정유닛은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관과, 상기 앵커볼트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주의 하단이 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앵커볼트의 수나사산부에 체결되어 고정구를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볼트의 하단부와 위치설정관의 하단부가 바닥면 또는 계단 수평면에 매립되며,
    상기 제1 연결구는 지주의 상부가 결합되는 지주측 연결부재와, 상기 수평핸드레일 또는 경사핸드레일에 결합되는 레일측 연결부재와, 상기 레일측 연결부재를 상기 수평핸드레일 또는 경사핸드레일에 체결하는 체결나사와, 상기 지주측 연결부재와 레일측 연결부재를 결합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지주측 연결부재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주가 삽입되는 지주삽입부와, 상기 지주삽입부의 상단을 막는 상면판부와, 상기 상면판부의 상면에 균일한 두께로 연장 돌출되는 삽입측 연결판부와, 상기 삽입측 연결판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측 연결부재는 상기 수평핸드레일 또는 경사핸드레일의 하면에 접촉되는 곡면판부와, 상기 곡면판부의 하면에 각각 연장 돌출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삽입측 연결판부가 삽입되는 두 개의 수용측 연결판부들과, 상기 수용측 연결판부들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수용측 연결판부들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곡면판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구멍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측 연결부재의 삽입측 연결판부가 상기 레일측 연결부재의 수용측 연결판부들 사이에 삽입되어 삽입측 연결판부와 수용측 연결판부들의 관통구멍에 상기 연결유닛이 관통 결합되며, 상기 지주측 연결부재의 삽입측 연결판부의 관통구멍 둘레에 원형을 이루도록 삼각치차들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측 연결판부의 삼각치차들에 접촉되는 레일측 연결부재의 수용측 연결판부의 관통구멍 둘레에 상기 삼각치차들과 맞물리는 삼각치차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난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체부와, 상기 환봉체부의 하단에 상기 환봉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 또는 계단 수평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환봉체부와 지지부의 가운데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구멍과, 상기 환봉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의 하단이 삽입 고정되는 지주삽입홈과, 상기 지지부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상기 볼트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설정관의 상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관삽입홀을 포함하는 계단 난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들 중 한 개는 바닥측 지주와 상기 바닥측 지주와 인접한 계단측 지주를 연결하며, 상기 바닥측 지주와 계단측 지주를 연결하는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의 한쪽 단부는 제2 연결구에 의해 상기 바닥측 지주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의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제1 연결구에 의해 상기 계단측 지주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삽입부와, 상기 관삽입부의 한쪽 단부를 복개하되, 상기 관삽입부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쪽에 경사곡면을 형성하는 지지판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한쪽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바닥측 지주의 일부에 접촉 지지되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측면지지부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제1 나사관통구멍과, 상기 관삽입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제2 나사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계단 난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삽입부의 내부에 상기 관삽입부의 한쪽 면과 함께 상기 제1 경사중간연결관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난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나사관통구멍들은 서로 90도에서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난간.
KR1020180050434A 2018-05-02 2018-05-02 계단 난간 KR101920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34A KR101920252B1 (ko) 2018-05-02 2018-05-02 계단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34A KR101920252B1 (ko) 2018-05-02 2018-05-02 계단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252B1 true KR101920252B1 (ko) 2018-11-20

Family

ID=6456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434A KR101920252B1 (ko) 2018-05-02 2018-05-02 계단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2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599B1 (ko) * 2019-09-27 2020-03-12 주식회사 하나로금속 각도 조정이 용이한 조립식 난간 구조
KR20210001732A (ko) * 2019-06-28 2021-01-06 이승로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395Y1 (ko) * 2005-09-09 2005-12-09 안종복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
KR100828175B1 (ko) * 2006-12-01 2008-05-08 이도춘 계단 핸드레일 장치
KR101193141B1 (ko) * 2012-03-05 2012-10-26 최은규 난간동자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395Y1 (ko) * 2005-09-09 2005-12-09 안종복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
KR100828175B1 (ko) * 2006-12-01 2008-05-08 이도춘 계단 핸드레일 장치
KR101193141B1 (ko) * 2012-03-05 2012-10-26 최은규 난간동자 고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32A (ko) * 2019-06-28 2021-01-06 이승로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KR102254952B1 (ko) * 2019-06-28 2021-05-24 이승로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KR102088599B1 (ko) * 2019-09-27 2020-03-12 주식회사 하나로금속 각도 조정이 용이한 조립식 난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32888B2 (en)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KR102334512B1 (ko) 상호 작용하여 임시 계단을 형성하는 계단 모듈
KR101991026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20252B1 (ko) 계단 난간
KR101968222B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US20050127346A1 (en) Bracket system for attaching elongated members
EP0083770A1 (en) Modular support for stairway steps
EP2434073A1 (en) Adjustable mezzanine floor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20200098233A (ko) 신축건물 공사용 추락방지 안전지지대
KR200443024Y1 (ko) 계단용 난간 지주
KR100783972B1 (ko)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KR102071825B1 (ko) 코어형 pc 계단실 골조의 시공방법
CN109537919B (zh) 一种分段企口围栏的快速搭设方法
EP1853774A1 (en) A construction element
JPH0593448A (ja) 標準化したステツプモジユール
KR20120121983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200434150Y1 (ko) 건설현장용 계단난간
JP6436361B2 (ja) 階段下地構造、階段、及び階段の施工方法
KR200322170Y1 (ko) 난간대
KR102315853B1 (ko) 데크용 난간의 설치구조
KR100966540B1 (ko) 경량형강을 사용한 벽체 패널의 시공방법
KR20100010750U (ko) 철근 안전 난간대 조립 좌대
KR102599522B1 (ko) 횡대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534196B1 (ko) 조립식 계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