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150Y1 - 건설현장용 계단난간 - Google Patents

건설현장용 계단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150Y1
KR200434150Y1 KR2020060026628U KR20060026628U KR200434150Y1 KR 200434150 Y1 KR200434150 Y1 KR 200434150Y1 KR 2020060026628 U KR2020060026628 U KR 2020060026628U KR 20060026628 U KR20060026628 U KR 20060026628U KR 200434150 Y1 KR200434150 Y1 KR 200434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transverse
fastening
construction si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훈
윤만
정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코
Priority to KR2020060026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1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수직부재용 지주와 수평부재용 횡난간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의 하단부 외측에는, 계단구조물의 표면상으로 노출된 철근을 수용하여 상기 지주본체를 연직방향으로 입설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철근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중앙부의 외측에는, 상기 횡난간을 임의의 지향각으로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을 구비한 브래킷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횡난간은, 어느 한 쪽의 관체 내에 다른 쪽의 관체를 삽입 수용한 후 상호 고정 유지되는 제1, 제2횡난간파이프로 구성되어 그 각 횡난간파이프간 중첩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횡난간파이프의 각 일단부에는, 상기 브래킷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난간지주가 연직방향으로 입설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자의 층간이동시 계단참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통행장애의 우려가 전혀 없고, 계단의 길이에 따른 별도의 파이프 절단공정 없이도 횡난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보울트를 사용한 조립 및 분해방식이어서 시공이 간편·신속하고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건설현장, 계단난간, 지주, 횡난간, 지주입설경사각, 계단참, 통행장애

Description

건설현장용 계단난간{Rail of stairs for construction fiel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이 계단구조물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에 적용되는 횡난간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 ; 지주입설경사각 1 ; 계단구조물
2 ; (노출)철근 3 ; 프레임
4 ; 바이스 5 ; 클램프(또는 유-보울트)
10 ; 지주 11 ; 브래킷
12 ; 체결공 13, 16, 24 ; 체결보울트(또는 나비나사)
14 ; 철근지지대 14a ; 철근삽입공
15, 21b, 22b, 23 ; 지지너트 20 ; 횡난간
21 ; 제1횡난간파이프 21a, 22a ; 체결부
22 ; 제2횡난간파이프
본 고안은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간지주가 연직방향으로 입설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자의 층간이동시 계단참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통행장애의 우려가 전혀 없고, 계단의 길이에 따른 별도의 파이프 절단공정이 없이도 횡난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보울트 등의 체결구에 의한 조립 및 분해방식이어서 시공이 간편·신속하고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빌딩 등의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층간 이동 중 인부의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계단 측면에 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통상의 계단난간 설치작업은, 콘크리트 또는 강철프레임 구조물을 이루는 계단의 측면 상·하단부에 각각 지주를 고정 입설한 후, 그 양 지주의 상단부 사이와, 상기 양 지주의 중앙부 사이에 횡난간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지주와 횡난간의 교차부위를 체결구로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3은 계단 측면부위에 난간을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시공방식에 의해 형성된 계단난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구조물(1)의 측면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주(10)는, 그 지주 하단부에 바이스(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계단구조물(1)의 측면 상·하단부로 노출되어 있는 강철 프레임(3) 등과 같은 건축구 조물의 일부에 상기 바이스(4)를 체결함으로써 고정 입설되고, 그 입설된 양 지주(10)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횡난간(20)은, 상기 지주(10)와의 교차부위에 클램프 또는 유-보울트(5) 등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지주(10)와 일체로 고정된다. 통상적으로 건설현장에 사용되는 상기 지주(10) 및 횡난간(20)의 소재로는, 금속재의 원형파이프가 적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계단난간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횡난간(20)은 계단구조물(1)의 경사각과 평행하게 배치되어야 하고, 또한 상기 지주(10)와 횡난간(20)을 일체로 결합시켜주는 상기 클램프나 유-보울트(5) 등의 체결구는 그 구조적 특성상 지주(10)와 횡난간(20)이 직교될 수 있는 경우에만 체결 가능하므로, 상기 지주(10)는 상기 횡난간(20)의 배치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입설될 수밖에 없다. 즉, 수평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계단구조물(1)의 경사각이 'D'일 때, 상기 지주(10)도 수평면에 대한 수직면(연직면)으로부터 'D'만큼의 경사각을 유지하며 기울어진 채로 입설되어야 하고, 이러한 지주입설경사각(D)은 작업자가 통행하는 계단참(층계참)의 공간을 감소시켜 통행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계단참은, 방향을 바꾸거나 층간통행 중 휴식 등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서 계단 도중에 단이 없이 편평하고 비교적 넓게 된 부분을 지칭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통행에 장애를 받지 않도록 계단참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계단참 쪽의 지주(10)가 연직방향으로 입설될 수 있는 계단난간의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계단난간에 있어서, 그 지주가 연직방향으로 입설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자의 층간이동시 계단참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통행장애의 우려가 전혀 없으며, 계단의 길이에 따라 횡난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현장환경에 적합한 별도의 파이프 절단공정이 불필요함은 물론이고 모든 설치공정이 보울트 등의 체결구를 사용하는 조립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이 간편·신속하며, 시설물의 철거시 간단히 분해할 수 있어 그 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은, 복수의 수직부재용 지주와 수평부재용 횡난간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는, 그 본체의 하단부 외측에는, 계단구조물의 표면상으로 노출된 철근 등의 돌출물을 삽입 수용하여 상기 본체를 연직방향으로 입설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중공형의 철근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중앙부의 외측에는, 상기 횡난간을 임의의 설치 지향각을 유지한 채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을 구비한 브래킷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횡난간은, 어느 한 쪽의 관체 내에 다른 한 쪽의 관체를 인접한 상태로 삽입 수용한 후 상호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정 직경 차를 유지하는 제1횡난간파이프 및 제2횡난간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각 횡난간파이프간 중첩정도에 따라 전체길이의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횡난간파이프의 대향되는 각 일단부에는, 보울트 등의 체결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지주의 브래킷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공을 구비한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의 계단난간이 계단구조물(1)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계단난간에 적용되는 횡난간(20)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관체(Pipe)의 구조를 갖는 복수의 수직부재용 지주(10)와 수평부재용 횡난간(20)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10)는 연직 상방향(수평선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입설 고정됨으로써, 기존 지주가 계단참의 공간부 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른 지주입설경사각(D)의 형성으로 인한 작업자의 통행장애 우려를 해소하는 한편, 상기 횡난간(20)은 그 양단부가 상기 지주(10)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계단구조물(2)의 경사각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기 지주(10)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본체의 하단부 외측에는, 계단구조물(1)의 표면상으로 노출된 철근(2) 등의 돌출물을 삽입 수용하여 상기 본체를 연직방향으로 입설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중공형의 철근지지대(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중앙부의 외측에는, 상기 횡난간(20)을 임의의 설치 지향각을 유지한 채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2)을 구비한 브래킷(11)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철근지지대(14)는 상기 지주(10)를 계단구조물(1)에 고정시키기 위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지주착탈장치부의 일부 구성에 포함된다. 즉, 상기 지주착탈장치부는, 도 1의 부분확대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또는 강철 프레임 등과 같은 계단구조물(1)에 상기 지주(10)를 직접 설치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지주(10)의 하단부 외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공관체 형상의 철근지지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중공부인 철근삽입공(14a)을 통해 상기 계단구조물(1)의 표면상에 수직상으로 노출된 철근(2)이 삽입 수용되고, 상기 철근지지대(14)의 외측에는 복수의 지지너트(15)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나사공과 상기 철근지지대(14)의 철근삽입공(14a)이 상호 연통되며, 상기 지지너트(15)의 나사공에는, 상기 철근삽입공(14a) 내에 수용된 노출철근(2)이 상기 지주(10)의 외주면 쪽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가압 고정시켜주는 체결보울트(16)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지주착탈장치부의 구성은,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선 제안된 바 있는 2006년 등록실용신안 제 426056호의 일부 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브래킷(11)은, 상기 지주(10)의 일 외측 상부와 중앙부(도 1의 계단구조물(1)의 하단쪽 지주(10) 구조 참조)에, 또는 상기 지주(10)의 양 외측 상부와 중앙부(도 1의 계단구조물(1)의 상단쪽 지주(10) 구조 참조)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횡난간(20)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의 관체 내에 다른 한 쪽의 관체를 인접한 상태로 삽입 수용한 후 상호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정 직경 차를 유지하는 제1횡난간파이프(21) 및 제2횡난간파이프(22)로 구성되어 상기 각 횡난간파이프(21)(22)간 중첩정도에 따라 전체길이의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횡난간파이프(21)(22)의 대향되는 각 일단부에는, 체결보울트 또는 나비나사(13) 등의 체결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지주의 브래킷(11)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공을 구비한 체결부(21a)(22a)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각 체결부(21a)(22a)에 형성된 체결공(도면부호 미도시)의 일측에는 지지너트(21b)(22b)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10)의 브래킷(11)에 형성된 각 체결공(12)과 상기 각 체결부(21a)(22a)의 지지너트(21b)(22b) 나사공을 통해서는, 체결보울트 또는 나비나사(13)가 체결됨으로써 간편하게 고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횡난간파이프(22)가 삽입되는 쪽의 제1횡난간파이프(21) 단부 외측에는, 이를 관통하며 일체로 형성된 지지너트(23)이 구비되어, 그 나사공을 통해 체결보울트(24)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횡난간파이프(21)(22)간의 적정한 길이만큼의 중첩조작 후 그 조절된 길이상태를 간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의 설치공정을 상기 도면에 의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단구조물(1)의 상·하단측 표면상 적정 위치에 한 쌍의 지주(10)를 연직상으로 각각 설치한다. 즉, 그 적정 위치에 노출된 철근(2)을 상기 지주(10)의 철근지지대(14) 내부로 삽입한 후, 체결보울트(16)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 다음, 마주보는 한 쌍의 지주(10)의 대응하는 각 브래킷(11)간에 한 쌍의 횡난간파이프(21)(22)를 각각 설치한다. 즉, 상기 제1횡난간파이프(21) 단부의 체결보울트(24)를 풀거나 죄면서 상기 제1 및 제2횡난간파이프(21)(22)의 길이를 적정상태로 신축 조절한 후, 상기 횡난간(20) 양단부의 각 체결부(21a)(22a)와 상기 각 지주(10)의 브래킷(11) 위치를 일치시켜서 그 각 체결공(12)을 통해 나비나사(13)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며, 이로써 계단난간의 모든 설치공정이 간단히 완료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의 출원인은 본 고안의 설치구조에 의해 제작된 계단난간의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00kg 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즉, 지주(10)간을 연결하는 횡난간(20)에 100kg 하중의 중량체를 매단 후 이를 자유 낙하시켰을 때 상기 지주(10)의 변형 정도를 확인하는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지주 상태의 변위 정도가 규정치 이내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통상의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용 계단난간은 80kg 정도의 하중을 버틸 수 있으면 안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에 의하면, 그 지주가 횡난간과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노출철근을 이용하여 연직방향으로 입설될 수 있는 단순화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층간이동시 계단참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통행장애의 우려가 전 혀 없으며, 계단의 길이에 따라 제1,2횡난간파이프 간의 중첩정도에 의해 횡난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현장환경에 적합한 별도의 파이프 절단공정이 불필요함은 물론이고 모든 설치공정이 보울트 등의 체결구를 사용하는 조립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이 간편·신속하며, 시설물의 철거시 간단히 분해할 수 있어 그 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것 등의 다양한 이점이 발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복수의 수직부재용 지주와 수평부재용 횡난간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건설현장용 계단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그 본체의 하단부 외측에는, 계단구조물의 표면상으로 노출된 철근 등의 돌출물을 삽입 수용하여 상기 본체를 연직방향으로 입설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중공형의 철근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중앙부의 외측에는, 상기 횡난간을 임의의 설치 지향각을 유지한 채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을 구비한 브래킷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횡난간은,
    어느 한 쪽의 관체 내에 다른 한 쪽의 관체를 인접한 상태로 삽입 수용한 후 상호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정 직경 차를 유지하는 제1횡난간파이프 및 제2횡난간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각 횡난간파이프간 중첩정도에 따라 전체길이의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횡난간파이프의 대향되는 각 일단부에는, 보울트 등의 체결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지주의 브래킷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공을 구비한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계단난간.
KR2020060026628U 2006-09-29 2006-09-29 건설현장용 계단난간 KR200434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628U KR200434150Y1 (ko) 2006-09-29 2006-09-29 건설현장용 계단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628U KR200434150Y1 (ko) 2006-09-29 2006-09-29 건설현장용 계단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150Y1 true KR200434150Y1 (ko) 2006-12-18

Family

ID=4178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628U KR200434150Y1 (ko) 2006-09-29 2006-09-29 건설현장용 계단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1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79Y1 (ko) 2008-04-11 2010-07-30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H 빔에의 소켓부재 고정용 클램핑유닛
KR102371025B1 (ko) * 2021-05-11 2022-03-10 주식회사 대도 개폐형 안전펜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79Y1 (ko) 2008-04-11 2010-07-30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H 빔에의 소켓부재 고정용 클램핑유닛
KR102371025B1 (ko) * 2021-05-11 2022-03-10 주식회사 대도 개폐형 안전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2874B1 (en) Suspended scaffolding
US5678654A (en) Hanging-scaffold panel and hanging scaffold comprising said panels
KR101290296B1 (ko) 교량 점검로 접근용 계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9541612A (ja) 建設現場用階段
KR200434150Y1 (ko) 건설현장용 계단난간
US3994113A (en) Stairs and railing system for multi-floored buildings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101428742B1 (ko) 도로용 확장 인도 구조물
JP5773469B1 (ja) 吊足場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KR102444870B1 (ko) 고소작업용 합벽지지대 설치장치
JP6590512B2 (ja) 階段仮設足場
JP2023089377A (ja) 中央分離帯防護柵の可搬式乗り越え階段構造及び組立方法
US4050203A (en) Stairs and railing system for multi-floored buildings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EP1181423B1 (en) Inner stairs fo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it
JPH02274962A (ja) 階段用仮設手摺り装置
JPS6215403Y2 (ko)
KR20100010750U (ko) 철근 안전 난간대 조립 좌대
KR102370425B1 (ko)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KR200463386Y1 (ko) 철근난간대 결속재
KR200375145Y1 (ko) 내진형 교량점검로용 난간
KR200211926Y1 (ko) 계단난간의 설치부재
KR200497116Y1 (ko) 무해체 거푸집용 철근 안전고정장치
KR101854159B1 (ko) 외부 비계 결합구조
KR200367391Y1 (ko)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JPH10140822A (ja) 吊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