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300A -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300A
KR20110068300A KR1020090125181A KR20090125181A KR20110068300A KR 20110068300 A KR20110068300 A KR 20110068300A KR 1020090125181 A KR1020090125181 A KR 1020090125181A KR 20090125181 A KR20090125181 A KR 20090125181A KR 20110068300 A KR20110068300 A KR 20110068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herical body
cover
deck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규
Original Assignee
나원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원이엔지(주) filed Critical 나원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09012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8300A/ko
Publication of KR20110068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7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 E04B1/58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circular form with separate connection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68Hing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책로나 야외 계단 및 호수위의 산책로와 같이 형강위에 나무 바닥판을 연결하여 형성하는 데크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로 굴곡지거나 상, 하로 경사지는 부위를 편리하게 형성함으로 데크를 설치하는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위한 목적을 가지고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으로서는 내부에 구형 수납공간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구형체와, 상기 구형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결합판을 가지는 연결봉으로 구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결합판에 결합되는 형강과; 상기 형강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판으로 구성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산책로나 등산로 및 호수 위 산책로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좌, 우로 굴곡지게 형성하는 데크의 꺽이는 부위를 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연결구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고 구형체가 커버에서 자유롭게 움직임으로 원하는 각도를 쉽게 맞출 수 있으며, 연결구로 상, 하, 좌, 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대단히 편리한 발명이다.
산책로, 등산로, 테크

Description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The deque coupling device }
본 발명은 산책로나 야외 계단 및 호수위의 산책로와 같이 형강위에 나무 바닥판을 연결하여 형성하는 데크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굴곡진 경사로나 구불구불한 데크를 설치할 때 경사각도 및 측면각도를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로나 자연조경 및 호수 등지에는 사람이 걸어다니는 길을 형성하는 바, 이러한 길 위에 사람이 편하게 걸어다닐 수 있도록 나무바닥판을 촘촘하게 연결한 데크를 설치한다.
이러한 데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1)에 금속의 형강(2)을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시키고 그 상부에 나무바닥판(3)을 고정시켜 데크를 형성하는바, 호수와 같은 수중 위에 데크를 형성할 때에는 기둥을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세우고 그 기둥위에 형강을 연결한 후 나무바닥판을 고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데크는 직선 또는 직각으로 형성되지 않고 좌, 우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특히 등산로의 경우에는 경사진 길이나 계단을 형성함 으로 지면의 경사각도에 따라 형강을 절곡하여 지면에 설치하였다.
따라서 종래에 데크를 설치할 때 상기와 같이 좌, 우로 일정한 각도로 형강을 형성하거나 경사진 지면에 형강을 설치할 때는 꺽여지는 부위를 필요한 각도로 절단한 다음 이를 용접 등과 같은 수단으로 고정하여야 함으로 데크를 설치하는 시간이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용접기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장비사용이 많은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등산로나 계단과 같은 경사진 곳에 데크를 설치를 할 때 지면에 따라 설치를 하여야 함으로 굴곡간격이 짧아 빈번한 용접을 하여야 함으로써 데크의 설치가 대단히 번거로워 많은 공사기간이 소요됨과 동시에 공사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등산로나 산책로 및 호수위의 산책로를 형성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좌,우로 굴곡지거나 상, 하로 경사지는 부위를 편리하게 형성함으로 데크를 설치하는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위한 목적을 가지고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으로서는
내부에 구형 수납공간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구형체와, 상기 구형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결합판을 가지는 연결봉으로 구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결합판에 결합되는 형강과;
상기 형강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판으로 구성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의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구형체는 일측에 반구형의 삽입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형체에 연결되는 연결봉은 구형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일측이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타측에는 결합공을 형성한 결합판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형강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끝단에 결합판이 삽입되어 연결구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면으로는 하중을 견고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절곡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는 커버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수납공간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양측에 삽입홈을 가지는 하나의 구형체를 구비한 후 구형체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각각 연결봉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로서는 하나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커버의 일측에 연결봉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수납공간에 수납된 구형체에 다른 연결봉을 결합함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산책로나 등산로 및 호수 위 산책로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좌, 우로 굴곡지게 형성하는 데크의 꺽이는 부위를 용접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연결구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고 구형체가 커버에서 자유롭게 움직임으로 원하는 각도를 쉽게 맞출 수 있으며, 연결구로 상, 하, 좌, 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대단히 편리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과 같은 실시 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 하, 좌, 우로 각도로절이 자유롭도록 구형체(110)를 가지고 양측으로 결합판(130)을 고정한 연결봉(120)을 구형체(110)에 결합시킨 연결구(10)와;
상기 연결구(10)의 결합판(130)이 삽입되어 연결구(10)와 결합하는 형강(20)과;
상기 형강(20)의 상부에 고정되는 바닥판(30)으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10)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내부에 구형 수납공간(10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된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의 수납공간(101)에 삽입하고 커버(100)의 개방된 일측으로 는 반구형의 삽입홈(111)을 가지는 구형체(110)와,
상기 구형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일측이 삽입되도록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타측에는 결합공(131)이 형성된 결합판(130)을 가지는 연결봉(120)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형강(20)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끝단에 결합판(130)이 삽입되어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합판(130)과 결합하는 것으로, 형강(20)의 측 면으로는 하중을 견고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절곡홈(200)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경사진 곳이나 좌, 우로 절곡된 부위에 연결구(10)를 위치시키고 경사각도 및 절곡 각도에 맞추어 커버(100)의 양측으로 돌출된 결합판(130)을 회전시키면 결합판(130)을 고정한 연결봉(120)에 의하여 구형체(110)가 커버(100)의 수납공간(101)에서 회전을 하여 각도를 맞출 수 있다.
이때, 구형체(110)가 회전을 하여 맞추어지는 각도는 커버(100)의 양측에 형성된 개방부위의 크기에 따라 정해짐으로 개방부가 쿠형체(110)의 지름보다 클 때에는 구형체(110)가 커버(100)의 수납공간(101)에서 이탈됨으로 개방부위가 구형체(110)의 지름보다 작음으로 꺽이는 각이 45°이내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형체(110)에 형성된 삽입홈(111)은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삽입홈(111)에 삽입되는 연결봉(120)의 일측 단부가 반구형의 형상을 가짐으로 연결봉(120)이 구형체(110)의 삽입홈(111)에서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발생됨으로 커버(100) 내의 구형체(110)의 각도조절과 연결봉(120)이 구형체(110)의 삽입홈(111)에의 각도조절이 발생되어 직각에 가까운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제 2 실시 예로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0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01)을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수납공간(101)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수납공간(101)에는 양측으로 개방부위를 형성하며, 상기 수압공간(101)에 양측으로 삽입홈(111)을 가지는 하나의 구형체(110)를 구비한 후 구형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연결봉(120)을 각각 결합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제 3 실시 예로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수납공간(101)을 가지는 커버(100)의 외부 일측에 연결봉(121)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수납공간(101)이 개방되게 개방부위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101)에 수납되는 구형체(110)는 개방부위로 삽입홈(111)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111)에 연결봉(120)을 결합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제 4 실시 예로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10)의 커버(100)에 작동홈(103)을 상, 하 또는 좌, 우로 형성하여 결합판(130)을 가지는 연결봉(120)이 상기 작동홈(103)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결합판(130)에 결합되는 형강(20)의 각도를 보다 크게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커버(100)의 내부에서 구형체(110)가 회전을 하여 각도를 이루고 구형체(110)의 삽입홈(111)에서 연결구(120)가 회전을 하여 각도를 가짐으로 연결구(10)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형강(20)이 서로 다른 각도로 연결되어 경사진 산책로나 굴곡진 산책로를 쉽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데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 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결구 20 : 형강
100 : 커버 101 : 수납공간
110 : 구형체 111 : 삽입홈
120 : 연결봉 130 : 결합판
131 : 결합공 200 : 절곡홈

Claims (6)

  1. 상, 하, 좌, 우로 각도로절이 자유롭도록 구형체(110)를 가지고 양측으로 결합판(130)을 고정한 연결봉(120)을 구형체(110)에 결합시킨 연결구(10)와;
    상기 연결구(10)의 결합판(130)이 삽입되어 연결구(10)와 결합하는 형강(20)과;
    상기 형강(20)의 상부에 고정되는 바닥판(3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가 내부에 구형 수납공간(101)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된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의 수납공간(101)에 삽입하고 커버(100)의 개방된 일측으로 는 반구형의 삽입홈(111)을 가지는 구형체(110)와,
    상기 구형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일측이 삽입되도록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타측에는 결합공(131)이 형성된 결합판(130)을 가지는 연결봉(1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20)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끝단에 결합판(130)이 삽입되어 볼 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합판(130)과 결합하고, 형강(20)의 측면으로는 하중을 견고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절곡홈(20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커버(100)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01)을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수납공간(101)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수납공간(101)에는 양측으로 개방부위를 형성하며, 상기 수압공간(101)에 양측으로 삽입홈(111)을 가지는 하나의 구형체(110)를 구비한 후 구형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연결봉(120)을 각각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5. 제 1항에 있어서,
    하나의 수납공간(101)을 가지는 커버(100)의 외부 일측에 연결봉(121)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수납공간(101)이 개방되게 개방부위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101)에 수납되는 구형체(110)는 개방부위로 삽입홈(111)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111)에 연결봉(120)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구(10)의 커버(100)에 작동홈(103)을 상, 하 또는 좌, 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KR1020090125181A 2009-12-16 2009-12-16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KR20110068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81A KR20110068300A (ko) 2009-12-16 2009-12-16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81A KR20110068300A (ko) 2009-12-16 2009-12-16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300A true KR20110068300A (ko) 2011-06-22

Family

ID=4440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181A KR20110068300A (ko) 2009-12-16 2009-12-16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83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120A (ko) * 2015-04-07 2016-10-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매립형 앵커 캡 세트를 갖는 가속도계 행거
KR101973330B1 (ko) 2018-08-20 2019-04-26 조광덕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976994B1 (ko) 2018-09-21 2019-08-28 조광덕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097339B1 (ko) * 2019-05-28 2020-05-26 제경주 데크 받침대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120A (ko) * 2015-04-07 2016-10-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매립형 앵커 캡 세트를 갖는 가속도계 행거
KR101973330B1 (ko) 2018-08-20 2019-04-26 조광덕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976994B1 (ko) 2018-09-21 2019-08-28 조광덕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097339B1 (ko) * 2019-05-28 2020-05-26 제경주 데크 받침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1455B1 (en) Drive/auger anchor and stabilizer
CN105492696B (zh) 本桩、桩头部与用于其的连接器
US4126006A (en) Boat dock assembly
KR20110068300A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데크 연결구
US10753086B2 (en) Modular floor platform
US8479757B2 (en) Tie down anchor
KR200488363Y1 (ko) 낚시좌대의 높이조절용 지주
US20150247336A1 (en) Structural post and beam connection device with friction release bracket
US6745529B2 (en) Pole anchor for decking or ground support
US9631392B2 (en) Structural post and beam connection device with friction release bracket
CN104563300B (zh) 柱脚部接合构造
US20210340751A1 (en) Ground anchor bracket with simulated slab support for concrete wall braces
US20090205275A1 (en) Support structure for elevated floor assembly
KR100887366B1 (ko) 지붕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받침 장치
US20130048928A1 (en) Post extractor and methods thereof
US10221876B1 (en) Slidable mount for diving platform
KR100868932B1 (ko) 목재 기둥 설치구조
KR20170095555A (ko) 텐트
KR102403606B1 (ko) 구조용집성재를 이용한 보행시설물용 기초구조물
JP3913311B2 (ja) 建物の高さ調整方法
CN108265653A (zh) 一种护栏横梁连接机构
KR200456117Y1 (ko) 데크 지지기둥용 받침고정물
KR100642327B1 (ko) 조립식 인공암벽
KR200465986Y1 (ko) 블록설치용 식생 파레트
KR102062511B1 (ko) 한식 구조물 시공용 추녀 매립형 주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