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114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114B1
KR102199114B1 KR1020190038461A KR20190038461A KR102199114B1 KR 102199114 B1 KR102199114 B1 KR 102199114B1 KR 1020190038461 A KR1020190038461 A KR 1020190038461A KR 20190038461 A KR20190038461 A KR 20190038461A KR 102199114 B1 KR102199114 B1 KR 10219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height
elevating
stepping plate
hexagona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716A (ko
Inventor
문동해
Original Assignee
(주)미래담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담은 filed Critical (주)미래담은
Priority to KR102019003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1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2Luminous pa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7Ramp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단면이 "
Figure 112019033805407-pat00007
" 형상을 취하는 한쌍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형상적으로 대응되고, 상기 각 받침부의 외측면에 하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단면이 "
Figure 112019033805407-pat00008
"형상을 취하는 승강부;와, 상기 각 승강부의 일측과 중간측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에 일측 및 중간측에 고정되는 암스크류봉과, 상기 암스크류봉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각 승강부와는 자유회전되게 결합되는 육각머리스크류로 이루어지는 승강수단;과, 상기 각 승강부의 일측과 중간측을 상호 간 연결시키기 위해 양측이 상기 각 승강부의 상부 경사면에 볼팅 결합되는 한쌍의 보강바;와, 상기 각 보강바의 상부면에 볼팅 결합되는 디딤판; 및 상기 디딤판의 상부면에 끼움 결합되는 발판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육각머리스크류의 헤드는 상기 디딤판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디딤판과 보강바를 상호 간 볼팅 결합되는 결합볼트의 단부는 승강부까지 체결되며,상기 승강수단은 육각머리스크류가 디딤판의 경사 각도에 대해 직립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디딤판의 경사면에서 승강부의 승강을 원할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FOOTREST BEVELING ASSEMBLY FOR HEIGHT-ADJUSTABLE}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딤판의 경사면에 노출된 승강수단을 통해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택적으로 일정크기의 발판 조립체를 일체로 다단 연설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가나 건물의 출입구에는 지면과의 단차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단차는 휠체어나, 자전거 또는 구루마의 출입이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발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발판은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어 단차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휠체어나, 자전거 또는 구루마의 출입을 용이하게 한다.
하지만 종래의 발판은 금속판을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된 것으로, 이러한 발판은 단턱의 높이에 따라 그 높이에 맞게 주문 제작거나, 발판의 하부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나무판을 고여 설치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금속 발판은 설치한 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게를 무겁게 제작하여 이동 설치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금속 발판은 설치하고 하는 장소의 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여러개의 금속 발판을 나란히 설치하는데, 이럴 경우, 금속 발판과 금속 발판의 사이가 벌어져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하편 종래의 건물용 발판(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67844호)는 하부에 높이조정구가 형성되어 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하지만 이러한 건물용 발판의 높이조정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발판을 들어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렇게 건물에 쓰는 발판은 통상 단품으로 제작되고, 높이가 낮은 장소에서도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에 모터와 같은 전동기구를 설치하기가 어렵고, 설사 설치한다 하더라도 단가 상승으로 인해 판매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678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디딤판의 경사면에 노출된 승강수단을 통해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택적으로 일정크기의 발판 조립체를 일체로 다단 연설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디딤판이 비록 경사진 형태이지만 승강수단을 기준으로는 수직하게 승강됨으로 보다 안정적인 승강구조를 이룰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단면이 "
Figure 112019033805407-pat00001
" 형상을 취하는 한쌍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형상적으로 대응되고, 상기 각 받침부의 외측면에 하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단면이 "
Figure 112019033805407-pat00002
"형상을 취하는 승강부;와, 상기 각 승강부의 일측과 중간측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에 일측 및 중간측에 고정되는 암스크류봉과, 상기 암스크류봉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각 승강부와는 자유회전되게 결합되는 육각머리스크류로 이루어지는 승강수단;과, 상기 각 승강부의 일측과 중간측을 상호 간 연결시키기 위해 양측이 상기 각 승강부의 상부 경사면에 볼팅 결합되는 한쌍의 보강바;와, 상기 각 보강바의 상부면에 볼팅 결합되는 디딤판; 및 상기 디딤판의 상부면에 끼움 결합되는 발판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육각머리스크류의 헤드는 상기 디딤판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디딤판과 보강바를 상호 간 볼팅 결합되는 결합볼트의 단부는 승강부까지 체결되며,상기 승강수단은 육각머리스크류가 디딤판의 경사 각도에 대해 직립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디딤판의 경사면에서 승강부의 승강을 원할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승강부의 상부면에는 보강바와 수평면을 이룰 수 있게 한쌍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바는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측과 타측에 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각 절곡부는 승강부의 결합홈에 형성된 절개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승강부의 타측에는 받침부를 지면에 고정시키 위한 앙카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결합홈과 보강바의 사이에는 인접한 발판 조립체를 연설시키기 위한 연결브라켓이 더 개재되어 다수의 발판 조립체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디딤판과 경사진 형태이되, 지대가 높은 단턱과 수평면을 이룰 수 있는 수평부가 일측에 부분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는 지면과의 접지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엠보싱 요철이 형성된 미끄럼방지패드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디딤판과 경사진 형태이되, 지대가 높은 단턱과 수평면을 이룰 수 있는 수평부가 일측에 부분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는 지면과의 접지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엠보싱 요철이 형성된 미끄럼방지패드가 더 결합되고, 상기 발판패드는 자체발광할 수 있도록 형광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에 따르면, 디딤판의 경사면에 노출된 승강수단을 통해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택적으로 일정크기의 발판 조립체를 일체로 다단 연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단가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절곡된 받침부와 승강부를 통해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딤판이 비록 경사진 형태이지만 승강수단을 기준으로는 수직하게 승강됨으로 보다 안정적인 승강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발판패드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를 2set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판패드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의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를 2set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딤판의 경사면에 노출된 승강수단을 통해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택적으로 일정크기의 발판 조립체를 일체로 다단 연설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100)는 크게 6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받침부(10)와, 승강부(20)와, 승강수단(30)과, 보강바(40)와, 디딤판(50) 및 발판패드(6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10)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호 간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단면을 "
Figure 112019033805407-pat00003
" 의 형태로 상향 절곡시켜 강성을 높이고 더불어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20) 역시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는 단면이 "
Figure 112019033805407-pat00004
"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승강부(20)는 상기 각 받침부(10)의 외측면에 하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받침부(10)를 지지삼아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30)은 암스크류봉(31)의 스크류 결합되는 육각머리스크류(32)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암스크류봉(31)은 상기 받침부(10)의 일측과 중간측 내부에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되고, 중앙부위에는 육각머리스크류(32)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도록 암스크류(311)가 관통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육각머리스크류(32)는 상기 승강부(20)의 상부와는 자유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암스크류봉(31)을 기준으로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부(2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강바(40)는 2개로 분리된 승강부(20)를 상호 간 연결하고, 더불어 디딤판(50)을 지지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각 승강부(20)의 일측과 중간측의 상부면에 각각 볼팅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승강부(20)의 상부면에는 상기 각 보강바(40)를 안착시킬 수 있는 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보강바(40)와 수평면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보강바(40)는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측과 타측에 절곡부(41)가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각 절곡부(41)는 승강수단(30)의 결합홈(21)에 형성된 절개구(22)에 삽입되어 강성 증대와 함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딤판(50)은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각 보강바(40)와 승강수단(30)의 면상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지면 보다 높은 단턱과 수평면을 이룰 수 있는 수평부(51)가 일측에 부분 형성되어 휠체어 또는 보행하는데 있어 단차에 의한 간섭을 없앨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디딤판(50)은 상기 각 보강바(40)의 상부면에 볼팅 결합되어 일체화되는데, 여기서 상기 디딤판(50)과 보강바(40)를 상호 간 볼팅 결합되는 결합볼트(B)의 단부는 승강부(20)까지 체결되어 일체화되는 것으로, 이는 결국 승강부(20)가 승강하면 상기 디딤판(50) 역시 승강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도 3과 같이, 상기 승강수단(30)의 육각머리스크류(32)의 헤드(321)는 상기 디딤판(50)의 상부로 노출되어 있어, 디딤판(50)의 경사면에서 육각렌치를 통해 육각머리스크류(32)를 회전시키면 받침부(10)를 지지삼아 승강부(20)와 디딤판(50)의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에서 승강수단(30)은 육각머리스크류(32)가 디딤판(50)의 경사 각도에 대해 직립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기 때문에 승강부(20)의 상부면과 디딤판(50)은 비록 경사진 형태이지만 승강수단(30)을 기준으로는 수직하게 승강됨으로 보다 안정적인 승강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와 같이, 받침부(10)와 승강부(20)를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 직삼각형태를 취하고, 수직변은 밑변에 대해 내각으로 경사진 형태를 취하며, 수직변과 빗변(디딤판의 경사 각도)은 직각을 이루는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30)의 육각머리스크류(32)는 경사진 빗변(디딤판의 경사 각도)에 대해 직립 하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승강부(20)의 상부면과 및 디딤판(50)은 비록 경사진 형태이지만 승강수단(30)을 기준으로는 수직하게 승강됨으로 보다 안정적인 승강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부(10)의 저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1)가 결합되되,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1)의 저면에는 다수의 엠보싱 요철이 형성되어 지면과의 접지면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1)는 미끄럼 방지 뿐만 아니라, 충격을 흡수하고 더불어 충격음을 상쇄시키는 기능을 겸한다.
한편 상기 승강부(20)의 타측에는 발판 조립체(10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앙카홈(23)이 더 형성되어 있어 설치된 발판 조립체(100)의 위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20)는 받침부(10)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바, 상기 앙카홈(23)은 받침부(10)와 미끄럼방지패드(11)에도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다.
아울러 상기 발판패드(60)는 상기 디딤판(50)의 상부면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발판패드(60)는 표면에 다수의 요철무늬를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형광물질을 도포시켜 자체 발광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과 같이, 상기 승강부(20)의 결합홈(21)과 보강바(40)의 사이에는 별도의 발판 조립체(100)를 상호 간 병렬로 연설시키기 위한 연결브라켓(70)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브라켓(70)의 양측은 1set의 발판 조립체(100)에 형성된 결합홈(21)과, 2set의 발판 조립체(100)에 형성된 결합홈(21)에 안착되어 보강바(40)와 함께 결합볼트(B)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는 결국,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다수의 발판 조립체(100) 병렬로 일체화시켜 연설할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의 설치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발판 조립체(100)의 발판패드(60)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발판패드(60)가 분리된 발판 조립체(100)를 단턱이 형성된 장소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발판 조립체(100)의 위치를 정하고, 디딤판(50)의 4개소에 노출된 육각머리스크류(32)의 헤드(321)를 회전시키면, 받침부(10)를 지지삼아 승강부(20)를 승강시켜 디딤판(50)의 전체 높이를 셋팅한다.
여기서 만약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가 2set의 발판 조립체(100)를 요구할 경우에는 각 1set의 발판 조립체(100)에 결합된 디딤판(50)과 보강바(40)를 분리시켜 연결브라켓(70)을 통해 2set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발판 조립체(100)의 받침부(10)에 형성된 앙카홈(23)에 앙카볼트(미도시)를 삽입하여 지면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발판패드(60)를 디딤판(50)에 재조립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받침부 11: 미끄럼방지패드
20: 승강부 21: 결합홈 22: 절개구
23: 앙카홈
30: 승강수단 31: 암스크류봉 311: 암스크류
32: 육각머리스크류 321: 헤드
40: 보강바 41: 절곡부
50: 디딤판 51: 수평부
60: 발판패드
70: 연결브라켓 B: 결합볼트
100: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Claims (5)

  1.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단면이 "
    Figure 112020132333292-pat00015
    " 형상을 취하는 한쌍의 받침부(10);
    상기 받침부(10)에 형상적으로 대응되고, 상기 각 받침부(10)의 외측면에 하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단면이 "
    Figure 112020132333292-pat00016
    "형상을 취하는 승강부(20);
    상기 각 승강부(20)의 일측과 중간측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10)에 일측 및 중간측에 고정되는 암스크류봉(31)과, 상기 암스크류봉(31)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각 승강부와는 자유회전되게 결합되는 육각머리스크류(32)로 이루어지는 승강수단(30);
    상기 각 승강부(20)의 일측과 중간측을 상호 간 연결시키기 위해 양측이 상기 각 승강부(20)의 상부 경사면에 볼팅 결합되는 한쌍의 보강바(40);
    상기 각 보강바(40)의 상부면에 볼팅 결합되는 디딤판(50); 및
    상기 디딤판(50)의 상부면에 끼움 결합되는 발판패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20)의 상부면에는 보강바(40)와 수평면을 이룰 수 있게 한쌍의 결합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바(40)는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측과 타측에 절곡부(41)가 형성되되, 상기 각 절곡부(41)는 승강부(20)의 결합홈(21)에 형성된 절개구(22)에 삽입되고,
    상기 육각머리스크류(32)의 헤드(321)는 상기 디딤판(50)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디딤판(50)과 보강바(40)를 상호 간 볼팅 결합되는 결합볼트(B)의 단부는 승강부(20)까지 체결되며, 상기 승강수단(30)은 육각머리스크류(32)가 디딤판(50)의 경사 각도에 대해 직립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디딤판(50)의 경사면에서 승강부(20)의 승강을 원할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21)과 보강바(40)의 사이에는 인접한 발판 조립체를 연설시키기 위한 연결브라켓(70)이 더 개재되어 다수의 발판 조립체(100)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38461A 2019-04-02 2019-04-02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KR10219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461A KR102199114B1 (ko) 2019-04-02 2019-04-02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461A KR102199114B1 (ko) 2019-04-02 2019-04-02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716A KR20200116716A (ko) 2020-10-13
KR102199114B1 true KR102199114B1 (ko) 2021-01-06

Family

ID=7288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461A KR102199114B1 (ko) 2019-04-02 2019-04-02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1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650B1 (ko) 2023-10-04 2024-03-26 김근수 선택적 경사면 조절 기능을 구비한 경사로 높이 조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4990B (en) * 2019-02-04 2023-10-18 Nal Ltd Modular Ramp Assembly
KR20220156185A (ko) 2021-05-18 2022-1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138Y1 (ko) * 1997-05-19 1999-07-15 문동해 턱받이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166269Y1 (ko) * 1998-01-07 2000-01-15 문동해 단턱 연결용 디딤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844B1 (ko) 1997-11-26 2000-10-16 조행범 자동표면실장기용 릴슬리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138Y1 (ko) * 1997-05-19 1999-07-15 문동해 턱받이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166269Y1 (ko) * 1998-01-07 2000-01-15 문동해 단턱 연결용 디딤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650B1 (ko) 2023-10-04 2024-03-26 김근수 선택적 경사면 조절 기능을 구비한 경사로 높이 조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716A (ko)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11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CN101666206B (zh) 扶手式护栏及其梯子
US11292695B2 (en) Stair lift device
US20080236066A1 (en) Segmented spiral staircase and kit for its construction
US20060169966A1 (en) Fencing system and post insert for use therewith
KR101414821B1 (ko) 조립식 계단
JP5160143B2 (ja) 吊足場構造
US20030234391A1 (en) Aluminum universal angle brackets
WO2014172754A1 (en) Portable stairs and landing assembly
CN1901825A (zh) 用于床架的侧面围栏端部连接系统
CN2515339Y (zh) 伸缩式楼梯
AU2012223754B2 (en) An adjustable stairway
JP4887029B2 (ja) 組立式スロープユニット
KR20180070002A (ko) 경사로 가변 계단
US20070000191A1 (en) Spiral staircase kit
CN203742424U (zh) 一种可调角度活动梯子
KR20200106469A (ko) 보조커버의 높이조절이 연동되는 경사면 발판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JP5578905B2 (ja) ユニット式スロープ
KR20230124382A (ko)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CN110080490B (zh) 一种地板系统
KR20060134737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
KR101492138B1 (ko)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EP3647511A1 (en) A modular ramp
CN211257605U (zh) 一种钢结构板房楼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