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269Y1 - 단턱 연결용 디딤판 - Google Patents

단턱 연결용 디딤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269Y1
KR200166269Y1 KR2019980000043U KR19980000043U KR200166269Y1 KR 200166269 Y1 KR200166269 Y1 KR 200166269Y1 KR 2019980000043 U KR2019980000043 U KR 2019980000043U KR 19980000043 U KR19980000043 U KR 19980000043U KR 200166269 Y1 KR200166269 Y1 KR 200166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epping
tread
bottom plat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211U (ko
Inventor
문동해
Original Assignee
문동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동해 filed Critical 문동해
Priority to KR2019980000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269Y1/ko
Publication of KR980003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2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2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가, 가정, 공장, 병원 등과 같은 건물등에 형성된 단턱과 바닥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디딤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판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끼움돌기가 저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측벽이 마련되는 고무판과; 상기 바닥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프레임 및 이동프레임의 표면에 도포되어 야간에 보행자 및 운전자가 디딤판의 유무를 식별 가능케 하는 발광부와; 상기 고정프레임과 바닥판 사이에 체결된 가로판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다수의 디딤판을 연결하는 연결판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후면 바닥면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억지끼워 맞춤되는 끼움돌기가 상부에 형성되고 디딤판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미끌림방지판으로 구성하여, 야간에 보행자 및 운전자가 디딤판의 유무를 쉽게 식별토록 하여 안전하게 보행 및 운전을 행하게 하는 동시에 각진 모서리에 의해 보행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시 디딤판이 현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단턱 연결용 디딤판
본 고안은 상가, 가정, 공장, 병원 등과 같은 건물등에 형성된 단턱과 바닥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디딤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에 보행자 및 운전자가 디딤판의 유무를 쉽게 식별토록 하여 안전하게 보행 및 운전을 행하게 하는 동시에 각진 모서리에 의해 보행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시 디딤판이 현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단턱 연결용 디딤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통행하는 인도나 차량이 지나가는 도로를 구획하기 위해 그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단턱은 차량이 인도를 침범하지 못하도록 바닥면 보다는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단턱은 특정한 장소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상가,가정,공장, 병원등과 같은 건물의 실외 및 실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차량이 건물이나 주차장으로 진입하기 위해 단턱의 일부분을 까내고 바닥면과 수평으로 맞추는 공사를 하였으나, 이는 단턱과 바닥면의 수평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될 뿐 아니라 인도를 지나가는 보행자들에게 불편을 주는 단점이 있었으며, 특히 상가, 가정, 공장, 병원 등의 건물 주변에 형성된 단턱은 장애인이나 환자들이 출입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단턱과 바닥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디딤판이 안출된 바 있다.
디딤판의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단턱과 바닥면을 연결하는 바닥판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바닥판의 저면 좌우측에는 고정프레임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프레임의 하부에는 스크류에 승하강 되면서 디딤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스크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디딤판은 단턱과 바닥면을 경사지게 연결하여 원활하게 바닥면에서 단턱을 넘어가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었으나, 바닥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무판은 바닥판의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된 상태에서 바닥판 상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보행자가 철판으로된 바닥판의 모서리와 측면에 부딪칠 경우 크게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고, 디딤판 자체에 발광물질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야간에 보행자나 운전자가 디딤판의 식별하지 못하여 걸려 넘어지거나 안전운행에 방해가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장기간 디딤판을 사용시 차량이나 보행자의 충격에 의해 현 위치에서 이탈되므로 수시로 디딤판을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과 디딤판을 차량이 넘어갈시 심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야간에 보행자 및 운전자가 디딤판의 유무를 쉽게 식별하여 안전하게 보행 및 운전을 행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동시에 각진 모서리에 의해 보행자가 다치지 않도록 한 단턱 연결용 디딤판을 제공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디딤판을 장기간 사용시 현 위치인 단턱과 바닥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시로 현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동시에 사용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수 있도록 한 단턱 연결용 디딤판을 제공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연결판을 마련하여 디딤판과 다른 디딤판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단턱 연결용 디딤판을 제공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디딤판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디딤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디딤판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무판 11 ; 측벽 12 ; 끼움돌기
20 ; 바닥판 21 ; 끼움구멍 30 ; 가로판
40 ; 연결판 41 ; 체결구멍 50 ; 고정프레임
51 ; 이동프레임 51 ; 끼움구멍 60,60a ; 미끄럼방지판
61,61a ; 끼움돌기 70 ; 발광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인도와 도로 사이에 형성된 단턱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바닥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디딤판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끼움돌기가 저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측벽이 마련되는 고무판과, 상기 바닥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프레임 및 이동프레임의 표면에 도포되어 야간에 보행자 및 운전자가 디딤판의 유무를 식별 가능케 하는 발광부와, 상기 고정프레임과 바닥판 사이에 체결된 가로판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다수의 디딤판을 연결하는 연결판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후면 바닥면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억지끼워 맞춤되는 끼움돌기가 상부에 형성되고 디딤판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미끌림방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디딤판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디딤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디딤판의 평면도 이다.
본 고안은 도1과 도2에서와 같이 단턱과 바닥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디딤판(A)과, 이 디딤판(A)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프레임(50) 및 이동프레임(51)이 종래와 같이 사용되면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무판(10),발광부(70),연결판(40),미끌림방지판(60,60a)이 각각 구성된다.
고무판(10)은 바닥판(2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이는 바닥판(20)에 형성된 끼움구멍(21)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끼움돌기(12)가 대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보행자가 다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측벽(11)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고무판(10)은 끼움돌기(12)에 의해 바닥판(20)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발광부(70)는 바닥판(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프레임(50) 및 이동프레임(51)의 표면에 도포되어 야간에 보행자 및 운전자가 디딤판(A)의 유무를 식별 가능케 형성되고, 연결판(40)은 다수의 디딤판(A)을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50)과 바닥판(20) 사이에 위치한 가로판(30)의 양단부에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멍(41)이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40)에 형성된 체결구멍은 바닥판(20),가로프레임(30) 및 고정프레임(50)의 체결구멍(22,31,51)과 체결되고,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체결구멍(41)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는다. 즉, 디딤판(A)을 다수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체결구멍(41)이 외부로 노출되게 체결되고, 디딤판(A)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때에는 디딤판(A)을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체결구멍(4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미끌림방지판(60,60a)은 이동프레임(51)의 전후면 바닥면에 형성된 끼움구멍(51a)에 억지끼워 맞춤되는 끼움돌기(61,61a)가 상부에 형성되고, 미끌림방지판(60a)에는 장홈(62)이 형성되어 이동프레임(51)의 장홈(52)과 앙카볼트로 체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미끌림방지판(60,60a)과 고무판(10)의 재질은 폐타이어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2에서와 같이 먼저 바닥판(20)의 끼움구멍(21)에 끼움돌기(12)를 일치시킨 후 약간 강압적으로 끼워 고무판(10)을 바닥판(20)에 결합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프레임(51)의 끼움구멍(51a)에 끼움돌기(61,61a)를 끼워 미끄럼방지판(60,60a) 이동프레임(51)에 고정시키면 고무판(10)에 형성된 측벽(11)에 의해 보행자가 다치지 않게 되고 디딤판(A)은 미끄럼방지판(60,60a)에 의해 미끌리지 않게 되며, 이러한 고무판(10)과 미끄럼방지판(60,60a)은 비교적 무거운 차량이 디딤판(A)을 넘어갈시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디딤판(A)을 사용하다가 다수개의 디딤판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도3에서와 같이 바깥쪽에 있는 체결구멍(41)이 외부로 돌출되게 디딤판(A)에 연결판(40)을 체결한 후, 바깥쪽으로 노출된 체결구멍(41)에 다른 디딤판을 각각 연결하면 된다.
여기서 디딤판(A)을 연결하지 않을때에는 바깥쪽으로 노출된 체결구멍(41)이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연결판(40)을 디딤판(A)에 체결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 표면에 발광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야간에 보행자 및 운전자가 디딤판의 유무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안전하게 보행 및 운전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고무판에 측벽이 형성되어 있어 디딤판에 보행자가 부딪치더라도 크게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딤판의 이동프레임 바닥면에 미끌림방지판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현 위치인 단턱과 바닥면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수시로 디딤판의 현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것이다.
또한, 디딤판의 상부와 하단에 폐타이어 재질의 고무판과 미끄럼방지판이 형성되어 있어 비교적 무거운 차량이 디딤판을 넘어가더라도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함은 물론 연결판에 의해 간단하게 다수의 디딤판이 연결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인도와 도로 사이에 형성된 단턱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바닥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디딤판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끼움돌기가 저면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측벽이 마련되는 고무판과; 상기 바닥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고정프레임 및 이동프레임의 표면에 도포되어 야간에 보행자 및 운전자가 디딤판의 유무를 식별 가능케 하는 발광부와; 상기 고정프레임과 바닥판 사이에 체결된 가로판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다수의 디딤판을 연결하는 연결판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후면 바닥면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억지끼워 맞춤되는 끼움돌기가 상부에 형성되고 디딤판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미끌림방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턱 연결용 디딤판.
KR2019980000043U 1998-01-07 1998-01-07 단턱 연결용 디딤판 KR200166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043U KR200166269Y1 (ko) 1998-01-07 1998-01-07 단턱 연결용 디딤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043U KR200166269Y1 (ko) 1998-01-07 1998-01-07 단턱 연결용 디딤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211U KR980003211U (ko) 1998-03-30
KR200166269Y1 true KR200166269Y1 (ko) 2000-01-15

Family

ID=1953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043U KR200166269Y1 (ko) 1998-01-07 1998-01-07 단턱 연결용 디딤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2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716A (ko) * 2019-04-02 2020-10-13 (주) 미래담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716A (ko) * 2019-04-02 2020-10-13 (주) 미래담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KR102199114B1 (ko) * 2019-04-02 2021-01-06 (주)미래담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사 발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211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6269Y1 (ko) 단턱 연결용 디딤판
JP4691616B2 (ja) 歩道工事現場迂回用段差スロープ装置
EP3322854B1 (en) Kerb ramp
KR100757358B1 (ko) 트랜치용 트랜치커버
JP7398110B2 (ja) 階段構造
JP2004169369A (ja) 舗装板及び盲人の歩行誘導用舗装板
KR100471733B1 (ko) 규석알과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공동 주택 단지내 미끄럼방지 블럭
KR20090035865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KR200318082Y1 (ko) 미끄럼방지형 배수로 덮개
KR200213794Y1 (ko) 비탈면 주차시 자동차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구
KR20040050982A (ko) 발판을 갖는 트럭용 범퍼
KR200315822Y1 (ko) 정전시 비상용 계단 미끄럼 방지 턱
CN209904605U (zh) 脚垫及汽车
JP2590578Y2 (ja) 歩道用構成体
KR200294793Y1 (ko) 신발의 미끄럼 방지구
KR100729868B1 (ko) 차량진입 차단구조
KR200349148Y1 (ko) 에스컬레이터용 안전장치
KR200194045Y1 (ko) 복공판 구멍용 커버
KR200378242Y1 (ko) 계단용 미끄럼 방지구
KR200237672Y1 (ko) 도로의 단턱 통과용 경사매트
JPH0714401Y2 (ja) 歩行路上の段部に架設する橋板の補強用枕木
KR930006328Y1 (ko) 타이어미끄럼 방지장치
KR200380126Y1 (ko) 계단용 미끄럼 방지구
KR200253527Y1 (ko) 장애인 안전용 보차도 경계 블럭
KR200214292Y1 (ko) 미끄럼 방지 구두 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