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440B1 -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440B1
KR101966440B1 KR1020160068298A KR20160068298A KR101966440B1 KR 101966440 B1 KR101966440 B1 KR 101966440B1 KR 1020160068298 A KR1020160068298 A KR 1020160068298A KR 20160068298 A KR20160068298 A KR 20160068298A KR 101966440 B1 KR101966440 B1 KR 101966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oof structure
work
footres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678A (ko
Inventor
정태호
Original Assignee
정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호 filed Critical 정태호
Publication of KR2016014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2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oof coverings comprising tiles, shingles, or like roof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4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oof coverings comprising slabs, sheets or flexibl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은: 지붕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게 일정한 구간마다 꺾이도록 마련되어 지붕구조물에 설치되는 발판 본체; 및, 상기 발판 본체의 양측에 구비된 안전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지붕구조물의 마지막 공정인 피복 작업에서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으며, 작업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work safety scaffolding for installation in roof structure}
본 발명은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시공의 마지막 단계인 지붕구조물에서의 피복 마감재 시공단계에서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능률을 개선할 수 있는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이나 토목공사시에는 필수적으로 골조공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골조공사는 먼저, 작업현장에 골조로 사용될 강관, 철근, 에이치빔(이하, '건축 빔'이라 함) 등을 실어다 놓고, 바닥이나 벽면 부분을 보강한 후 바닥, 벽면, 지붕 순으로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상기 방식으로 진행되는 공사는 바닥골조를 만든 후, 벽면골조를 세우고, 지붕골조나 2층, 3층 등 층간 골조를 세우게 되는데, 골조의 높이가 올라갈수록 별도의 발판골조를 만들거나 상기 벽면골조를 올라타고 가서 그 부분에 매달려 상기 지붕골조나 층간 골조를 세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위험이 있으며, 골조를 결합시키기 위한 각종 장비를 작업자가 항상 소지하고 있음으로 인해 작업의 번거로움, 작업능률의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빔 하나하나를 기중기로 소정 위치까지 올리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철 구조물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9486호(2006년02월15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철 구조물의 마지막 공정인 피복 작업에 있어서 기존의 작업 방식이나 장비 등으로는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르게 된다. 특히, 작업자의 안전과 과도한 장비 사용으로 인한 비용발생 그리고 현저히 낮은 작업능률이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9486호(2006년02월15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구조물의 마지막 공정인 피복 작업에서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으며, 작업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은: 지붕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게 일정한 구간마다 꺾이도록 마련되어 지붕구조물에 설치되는 발판 본체; 및, 상기 발판 본체의 양측에 구비된 안전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 본체는,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안전판재와, 상기 안전판재의 사이에 구비된 경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 판재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전 판재의 하부에는 발판 보강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붕구조물의 마지막 공정인 피복 작업에서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으며, 작업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안전판재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안전판재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 지붕구조물(1)의 형상에 대응되게 일정한 구간마다 꺾이도록 마련되어 지붕구조물(1)에 설치되는 발판 본체(100)와, 발판 본체(100)의 양측에 구비된 안전로프(2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발판 본체(100)가 곡선형 지붕구조물(1)의 형상에 대응되게 일정구간마다 꺾일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지붕구조물(1)의 마지막 공정인 피복 작업에서의 작업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고, 안전로프(200)에 의해 만약의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2차적인 안전성도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발판 본체(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 지붕구조물(1)의 곡률반경에 대응되게 일정한 곡률로 꺾이도록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안전판재(110)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안전판재(110)의 사이마다 구비된 경첩(12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곡선형 지붕구조물(1)의 형상에 대응되게 발판 본체(100)가 일정구간마다 용이하게 꺾여지도록 함으로써, 발판 본체(100)의 길이를 지붕구조물(1)의 폭에 따라 자유자재로 줄이거나 늘일 수도 있으며, 현장 상황에 따라서 지붕구조물(1)의 폭이 변경될 때마다 발판을 새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 시간과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안전판재(11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경첩(120)은 세 개씩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판재(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판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고, 평면상으로는 장방형이나 정방형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서로 인접한 한 쌍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경첩(12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부에는 안전판재(110)를 가로지르는 미끄럼방지부(111)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안전판재(110)를 지지하도록 각관이나 각재로 마련된 발판 보강부(113)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안전판재(110)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된 미끄럼방지부(111)에 의해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을 딛고 직업 시 발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 안전성이 더욱 높아지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발판 보강부(113)에 의해 강도가 더욱 보강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이 작업자의 하중을 비롯한 외력에 대해 충분히 견디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미끄럼방지부(111)는 고무재질의 각재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판재(110)에는 안전로프(200)가 간편하게 설치되도록 걸림고리가 구비된 로프 걸이대(115)가 마련되며, 로프 걸이대(115)의 걸림고리를 통해 설치되는 안전로프(200)는 로프 고정장치(117)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발판 본체(100)의 양단부를 이루는 안전판재(110)의 일측에는 우수 등이 모일 수 있도록 물받이부(119)가 구비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판재(110)의 하부에는 발판 본체(10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며 서로 직각을 이루며 지붕구조물(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회전 지지대(130a)를 포함하는 이동식 회전 지지부(130)가 구비되고, 이동식 회전 지지부(130)는 체결 핀이나 볼트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재(131)에 의해 안전판재(110)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된 위치와 회전 지지대(130a)가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지붕구조물(1)의 형상과 배치된 위치에 따라 이동식 회전 지지부(130)가 슬라이딩 이동되고 회전 지지대(130a)가 가변적으로 회전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회전 지지대(130a)가 지붕구조물(1)에 맞물리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발판이 지붕구조물(1)에 더욱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은 건축구조물의 지붕을 구성하는 철재 빔, 각관, 비철 금속재 또는 콘크리트 재 등을 포함하는 여러 형태(곡면 또는 평면)의 지붕구조물(1)에 설치되어 설치 작업부터 마감 작업까지 모든 시공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고, 그외에 지붕구조물과 유사한 다른 모든 건축 현장에서도 응용되어 설치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에 탁월하게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지붕구조물의 마지막 공정인 피복 작업에서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으며, 작업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발판 본체 110 : 안전판재
111 : 미끄럼방지부 113 : 발판 보강부
120 : 경첩 200 : 안전로프

Claims (4)

  1. 지붕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게 일정한 구간마다 꺾이도록 마련되어 지붕구조물에 설치되는 발판 본체; 및
    상기 발판 본체의 양측에 구비된 안전로프;
    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 본체는,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안전판재와, 상기 안전판재의 사이에 구비된 경첩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판재의 하부에는 상기 발판 본체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며 서로 직각을 이루며 지붕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회전 지지대를 포함하는 이동식 회전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68298A 2015-06-01 2016-06-01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KR101966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77020 2015-06-01
KR1020150077020 2015-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678A KR20160141678A (ko) 2016-12-09
KR101966440B1 true KR101966440B1 (ko) 2019-04-05

Family

ID=5757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298A KR101966440B1 (ko) 2015-06-01 2016-06-01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060B1 (ko) 2017-12-27 2019-12-09 정진구 허리지압구
KR102283044B1 (ko) 2019-08-16 2021-07-28 정진구 허리지압구
KR20240042316A (ko) 2022-09-23 2024-04-02 정진구 허리지압구
KR20240044563A (ko) 2022-09-28 2024-04-05 (주) 드림에어 허리 보호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1871B2 (ja) 2005-06-16 2011-03-02 セフトグリー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屋根工事用足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39U (ja) * 1981-07-20 1983-01-27 東日本鉄工株式会社 仮設通路の構造
JPH08151623A (ja) * 1994-11-28 1996-06-11 Maeda Corp 梯子状足場
JPH08302943A (ja) * 1995-04-28 1996-11-19 Toru Ishida 屋根葺き装置
KR200409486Y1 (ko) 2005-12-14 2006-02-24 장종태 조립식 철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1871B2 (ja) 2005-06-16 2011-03-02 セフトグリー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屋根工事用足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678A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440B1 (ko)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US11970873B2 (en)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20070028550A1 (en) Rafter platform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US20100293875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WO2014080998A1 (ja) 足場または支保工の支柱用鋼管
KR20080037348A (ko) 비계 발판
TW201912904A (zh) 外牆懸臂式施工平台工法
US7014011B1 (en) Scaffolding lift system
EP1524386A1 (en) A scaffold clamp for supporting a barrier post
JP6145362B2 (ja) 中間作業床形成装置及び中間作業床形成方法
KR20200044405A (ko) 가변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KR100726467B1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JP2008019605A (ja) 多目的ステージ
JP2014043678A (ja) 安全支柱用の型枠取付け金具
KR20210010031A (ko)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
JP6276073B2 (ja) 拡幅・狭幅用足場部材及びこの足場部材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JP2007154523A (ja) 小径縞鋼板製鋼管
WO2019126187A1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JP5753716B2 (ja) 幅木および幅木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JPH1072939A (ja) 親綱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pc建築物の施工における親綱架設方法
KR102355982B1 (ko) 건축비계용 안전발판 결합형 작업지지대
KR20080045595A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KR200367391Y1 (ko)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