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348A - 비계 발판 - Google Patents

비계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348A
KR20080037348A KR1020060104309A KR20060104309A KR20080037348A KR 20080037348 A KR20080037348 A KR 20080037348A KR 1020060104309 A KR1020060104309 A KR 1020060104309A KR 20060104309 A KR20060104309 A KR 20060104309A KR 20080037348 A KR20080037348 A KR 20080037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channel
panel
unit plat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가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설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가설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10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7348A/ko
Publication of KR20080037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 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위 플레이트의 양측에 찬넬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위 플레이트와 찬넬의 모서리에 고리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비계 발판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는 얇은 철판을 절곡시켜 길이방향으로 배수홈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배수홈 사이에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가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미끄럼방지돌기의 가운데 관통홈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수홈과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철판의 양측을 하부로 수직되게 절곡시켜 웹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웹부의 하부를 서로 마주보도록 수평되게 절곡시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철판의 하부 중앙에 보강라이너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리부는 핀홈이 형성된 고리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를 갖는 고정고리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핀홈에 장홈이 형성된 언록킹편이 핀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계 발판과 다른 비계 발판이 비계용 강관에 설치되어지는 과정에서 각각의 비계 발판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단위 플레이트, 찬넬, 고리부, 발판, 웹부, 플랜지부

Description

비계 발판{Scaffold board}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계 발판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발판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발판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발판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단위 플레이트 110,110':배수홈
120:미끄럼방지돌기 121:관통홈
130:웹부 140:플랜지부
150:보강라이너 160:보강바
200:찬넬 300:고리부
310:고리몸체 311:핀홈
320:고정고리 330:언록킹편
331:장홈 340:핀
본 발명은 비계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램프로 고정된 비계용 강관에 비계 발판과 다른 비계 발판의 설치되어지는 과정에서 각각의 비계 발판 모서리 사이에 클램프가 위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각각의 비계 발판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발판을 밟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판이 들뜨는 것을 막아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틈 사이를 통해 작업도구 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현장이나 리모델링 현장에서는 구조물의 외벽에 근접하도록 비계용 강관을 수직 또는 수평형태를 갖도록 클램프로 설치하고, 각각의 클램프로 고정된 비계용 강관에 작업자가 밟고 이동하거나 외벽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계 발판이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계 발판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프레임(400)의 모서리 양측에 각각 하부를 향하여 벌어진 형태를 갖는 고리부(300)가 좌우 대칭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발판 프레임(400)의 전면에 플레이트(500)가 결합되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계 발판은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비계용 강관(600)에 발판 프레임(400)의 모서리 양측에 결합된 각각의 고리부(300)가 얹혀져 걸려지도록 설치되어지며 하나의 비계 발판 폭이 좁음에 따라 넓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설치된 비계 발판의 일측 또는 타측에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른 비계 발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비계 발판의 고리부(300)가 얹혀지는 비계용 강관(600)이 두개의 비계 발판이 나란히 놓여질 폭이나 길이로 구비되었을 경우 그 설치가 용이하나 그 사이에 비계용 강관(600)을 연결한 클램프(610)가 위치하게 될 경우 각각 비계 발판 사이가 일정 간격(W)으로 벌어지게 되는 원인이 있었다.
이때 발생되는 간격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이동중에 균형을 잃거나 발을 잘못 디뎠을 경우 그 간격 사이로 빠지게 되면서 심지어 작업자가 추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계 발판 사이의 간격을 통해 작업도구 등이 낙하되어 그 하부에 있던 다른 작업자 및 바닥에 있던 보행자 등이 다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클램프로 고정된 비계용 강관에 비계 발판과 다른 비계 발판의 결합되어지는 과정에서 그 사이에 클램프가 위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각각의 비계 발판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이를 밟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들뜨는 것을 막아 추락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하고, 그 틈 사이를 통해 작업도구 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계 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위 플레이트(100)의 양측에 찬넬(200)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위 플레이트(100)와 찬넬(200)의 모서리에 고리부(3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비계 발판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100)는 얇 은 철판을 절곡시켜 길이방향으로 배수홈(110)(110')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배수홈(110)(110') 사이에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120)가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20)의 가운데 관통홈(1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수홈(110)과 미끄럼방지돌기(120)가 형성된 철판의 양측을 하부로 수직되게 절곡시켜 웹부(130)가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웹부(130)의 하부를 서로 마주보도록 수평되게 절곡시켜 플랜지부(14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철판의 하부 중앙에 보강라이너(15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리부(300)는 핀홈(311)이 형성된 고리몸체(31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를 갖는 고정고리(32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핀홈(311)에 장홈(331)이 형성된 언록킹편(330)이 핀(340)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320)가 형성된 고리몸체(310)에 간격유지패널(350)이 직각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절곡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패널(350)에 연장패널(360)이 직각으로 절곡되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간격유지패널(350)이 찬넬(200)의 단부 모서리에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장패널(360)이 상기 단위 플레이트(100)의 웹부(130)와 찬넬(200)의 양단 사이의 틈새로 각각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320)가 형성된 고리몸체(310)에 상기 고리몸체(310)와 같은 방향으로 고정패널(370)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패널(370)이 단위플레이트(100)와 찬넬(200)이 용접 이음된 모서리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찬넬(200)에 형성된 결합홈(210)에 끼워져 용접 이음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 계 발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 발판은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플레이트(100), 찬넬(200) 및 고리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100)는 작업자가 그 위를 밟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빗물 등이 용이하게 배수되어질 수 있는 주된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 플레이트(100)는 얇은 두께를 갖는 철판을 프레스로 절곡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복수개의 배수홈(110)(110')이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방향을 향하여 연속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수홈(110)(110') 사이에는 펀칭 및 프레스의 공정을 통해 관통홈(121)이 형성된 미끄럼방지돌기(120)가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있다.
상기 단위 플레이트(100)는 작업자가 그 위를 밟고 이동하는 과정중에 발생되는 가변하중 및 부자재들을 올려 놓았을 때 작용하는 하중을 충분하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배수홈(110)과 미끄럼방지돌기(120)가 형성된 철판의 양측을 하부로 수직되게 소정 길이를 갖도록 절곡시켜 웹부(130)가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웹부(130)의 하부를 서로 마주보도록 수평되게 절곡시켜 플랜지부(140)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웹부(130)와 플랜지부(140) 사이에는 후술하는 고리부(300)의 연장패널(360)이 삽입되어질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어짐과 동시에 삽입되어진 연장패 널(360)의 일부가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 플레이트(100)를 구성하는 철판의 중앙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보강라이너(15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지도록 형성되어 배수홈(110)과 더불어 중앙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고, 보강라이너(150)가 끝나는 양측단은 후술하는 찬넬(200)의 내측 중앙 하부에 설치된 라이너 받침편(220)에 의하여 받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플레이트(100)의 웹부(130) 사이의 가운데 보강바(160)가 가로지르듯 결합되어 중앙부분을 더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 플레이트(100)는 길이에 비하여 그 폭이 좁게 제조되어 있음에 따라 후술하는 찬넬(200)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단위 플레이트(100)를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찬넬(200)은 단위 플레이트(100)의 양측단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여러개의 단위 프레이트(100)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질 수 있는 형태를 갖는 C형 찬넬로 구성되어지고, 내측 중앙 하부에는 라이너 받침편(220)을 결합시켜 단위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보강라이너(150)의 양측단이 받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리부(300)는 단위 플레이트(100)가 결합된 찬넬(200)을 비계용 강관 사이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핀홈(311)이 형성된 고리몸체(31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를 갖는 고정고리(320)가 형성되어 비계용 강관에 걸려지도록 구성 되어있다.
상기 고리몸체(310)에는 핀홈(311)을 형성하여 장홈(331)이 형성된 언록킹편(330)이 핀(340)으로 결합되어 상기 핀(340)을 중심으로 언록킹편(330)이 장홈(331)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비계용 강관에 밀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정고리(320)가 비계용 강관으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경우 비계용 강관으로 부터 고정고리(320)가 용이하게 분리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고리(320)가 형성된 고리몸체(310)는 간격유지패널(350)이 직각으로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단위 플레이트(100)가 결합된 찬넬(200)의 모서리 측면에 상기 간격유지패널(350)의 둘레를 따라 용접이음으로 용이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절곡된 길이 만큼 고정고리(320)가 내측에 위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비계용 강관에 결합된 또는 고정된 클램프가 그 사이로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패널(350)을 찬넬(200)의 모서리에 결합시키는 용접이음이 간격유지패널(350)의 둘레를 따라 용접됨으로써 접촉 또는 이음면적을 넓혀 보다 안정되게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패널(350)에 연장패널(360)이 직각으로 절곡되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패널(360)이 단위 플레이트(100)의 웹부(130)와 플랜지부(140)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용이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연장패널(360)은 단위 플레이트(100)의 웹부(130)와 찬넬(200)의 양측단 사이로 형성되어지는 틈새로 삽입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간격유지패널(350)에 연장패널(360)이 절곡되어지도록 형성하여 단위 플레이트(100) 및 찬넬(200)에 용접 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용접 이음 이외에 각각 결합되어지는 부위에 관통홈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패널(350)의 길이를 달리할 경우 즉, 일측의 간격유지패널(350)의 길이를 고정고리(320)의 두께 만큼 더 길게하며 이와 마주보는 다른 간격유지패널의 길이를 고정고리(320)의 두께 만큼 더 짧게하면 단위 플레이트(1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지는 과정에서 단위 플레이트(100)가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직선인 형태를 갖도록 설치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비계 발판은 단위 플레이트(100)와 찬넬(200)이 결합된 모서리 양측단에 용접이음으로 결합된 고정고리(320)가 비계용 강관 사이에 각각 걸려지도록 한 후 록킹편(330)을 하측으로 밀게되면 록킹편(330)에 형성된 장홈(331)이 핀(340)에 의하여 안내를 받으면서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고리(320)의 하부 폭이 좁아져 비계용 강관으로 부터 고정고리(320)가 역방향으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비계용 강관 사이에 비계 발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미리 설치된 비계 발판의 일측에 클램프가 위치하게 될 경우 미리 설치된 비계 발판의 단위플레이트(100)에 설치되어질 다른 발판 프레임을 맞닿게 설치하면 된다.
이때 단위 플레이트(100)에 용접 이음된 찬넬(200)의 모서리인 단부로 부터 고리몸체(310)에 절곡되도록 형성된 간격유지패널(350)의 길이 만큼 고정고리(320) 가 찬넬(200)의 양측단으로 부터 각각 내측방향으로 들어간 상태가 됨에 따라 클램프와의 상호간섭이 제거된 상태로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100)의 웹부(130)와 찬넬(200)이 맞닿아 틈의 발생이 방지되어지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고정고리(320)의 고리몸체(310)에 간격유지패널(350) 및 연장패널(360)이 절곡되도록 형성하여 찬넬(200) 및 단위 프레이트(100)의 모서리에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성 이외에 고정고리(320)가 형성된 고리몸체(310)에 상기 고리몸체(310)와 같은 방향으로 고정패널(370)이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단위 플레이트(100)가 결합된 찬넬(200)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곳에 결합홈(210)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패널(370)이 끼워지도록하고, 결합홈(210)을 관통하여 끼워진 고정패널(370)을 용접이음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리몸체(310)에 간격유지패널(350) 이나 연장패널(360)을 절곡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음에 따라 그 만큼의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램프로 고정된 비계용 강관에 비계 발판과 다른 비계 발판의 설치되어지는 과정에서 고리부가 발판 프레임으로 부터 일정 길이 만큼 내측으로 위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사이에 비계용 강관에 고정된 클램프가 위치되어지도록 하여 각각의 비계 발판 사이에서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작업자가 발판을 밟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판이 들뜨는 것을 막아 추락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하고, 그 틈 사이를 통해 작업도구 등이 낙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단위 플레이트(100)의 양측에 찬넬(200)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위 플레이트(100)와 찬넬(200)의 모서리에 고리부(3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비계 발판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100)는 얇은 철판을 절곡시켜 길이방향으로 배수홈(110)(110')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배수홈(110)(110') 사이에 다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120)가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20)의 가운데 관통홈(1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수홈(110)과 미끄럼방지돌기(120)가 형성된 철판의 양측을 하부로 수직되게 절곡시켜 웹부(130)가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웹부(130)의 하부를 서로 마주보도록 수평되게 절곡시켜 플랜지부(14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철판의 하부 중앙에 보강라이너(15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리부(300)는 핀홈(311)이 형성된 고리몸체(31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를 갖는 고정고리(32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핀홈(311)에 장홈(331)이 형성된 언록킹편(330)이 핀(340)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320)가 형성된 고리몸체(310)에 간격유지패널(350)이 직각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절곡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간격유지패널(350)에 연장패 널(360)이 직각으로 절곡되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간격유지패널(350)이 찬넬(200)의 단부 모서리에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장패널(360)이 상기 단위 플레이트(100)의 웹부(130)와 찬넬(200)의 양단 사이의 틈새로 각각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발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320)가 형성된 고리몸체(310)에 상기 고리몸체(310)와 같은 방향으로 고정패널(370)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패널(370)이 단위플레이트(100)와 찬넬(200)이 용접 이음된 모서리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찬넬(200)에 형성된 결합홈(210)에 끼워져 용접 이음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발판.
KR1020060104309A 2006-10-26 2006-10-26 비계 발판 KR20080037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309A KR20080037348A (ko) 2006-10-26 2006-10-26 비계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309A KR20080037348A (ko) 2006-10-26 2006-10-26 비계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348A true KR20080037348A (ko) 2008-04-30

Family

ID=3957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309A KR20080037348A (ko) 2006-10-26 2006-10-26 비계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734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62Y1 (ko) * 2008-09-22 2010-10-0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발판지지용 거치대
KR101024655B1 (ko) * 2010-12-08 2011-03-25 신성화인스틸 주식회사 건축용 비계 안전발판과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CN104631813A (zh) * 2015-02-23 2015-05-20 湖南元拓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无铆钉铆接钢踏板及其加工方法
KR20160100019A (ko) 2015-02-13 2016-08-23 명진공업 주식회사 비계용 발판 제조용 용접장치
KR102143866B1 (ko) * 2020-04-24 2020-08-12 이한억 건축용 사다리의 후크 결합구조
KR102255702B1 (ko) 2020-06-20 2021-05-24 이한억 건축용 안전발판 및 사다리의 후크 및 그 결합구조
KR102591224B1 (ko) 2023-05-08 2023-10-20 (주)대산이엔지 회피형 공간 구조를 갖는 비계 발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62Y1 (ko) * 2008-09-22 2010-10-0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발판지지용 거치대
KR101024655B1 (ko) * 2010-12-08 2011-03-25 신성화인스틸 주식회사 건축용 비계 안전발판과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20160100019A (ko) 2015-02-13 2016-08-23 명진공업 주식회사 비계용 발판 제조용 용접장치
CN104631813A (zh) * 2015-02-23 2015-05-20 湖南元拓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无铆钉铆接钢踏板及其加工方法
KR102143866B1 (ko) * 2020-04-24 2020-08-12 이한억 건축용 사다리의 후크 결합구조
KR102255702B1 (ko) 2020-06-20 2021-05-24 이한억 건축용 안전발판 및 사다리의 후크 및 그 결합구조
KR102591224B1 (ko) 2023-05-08 2023-10-20 (주)대산이엔지 회피형 공간 구조를 갖는 비계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403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
KR20080037348A (ko) 비계 발판
KR100722403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0758346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1966440B1 (ko)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US20050066609A1 (en) Preassembled roof and floor deck panel system
CN207160217U (zh) 设有边梁的建筑框架结构
JP2020200639A (ja) 枠組足場用の連結ピン及び枠組足場の巾木取付構造
US11105104B2 (en)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vertical wall sections that include connection reinforcement elements for a floor
JP2014043678A (ja) 安全支柱用の型枠取付け金具
KR101990733B1 (ko) 유로폼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0331403Y1 (ko)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JPH0673243U (ja) 鋼管足場用階段枠
JP6909000B2 (ja) 重機支持機構
KR101202296B1 (ko) 조립식 거푸집
KR101915567B1 (ko)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JPH1113274A (ja) ベント作業足場
KR20210010031A (ko)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
EP3183398B1 (en) Concrete formwork and a formwork support bracket
KR20110030851A (ko) 갱폼용 조립형 알루미늄재 안전발판
KR102524591B1 (ko)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KR102207334B1 (ko) 유로폼의 타이 홀 고정용 브라켓
KR102283268B1 (ko)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
KR200495306Y1 (ko) 비계발판용 체결구
KR101985310B1 (ko) 갱폼을 이용한 개선된 기능의 외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113

Effective date: 2008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