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403Y1 -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 Google Patents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403Y1
KR200331403Y1 KR20-2003-0021942U KR20030021942U KR200331403Y1 KR 200331403 Y1 KR200331403 Y1 KR 200331403Y1 KR 20030021942 U KR20030021942 U KR 20030021942U KR 200331403 Y1 KR200331403 Y1 KR 200331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uilding
workbench
gangfor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김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현 filed Critical 김석현
Priority to KR20-2003-0021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부작업대의 세로지지대 중에 외벽에 근접되는 후방세로지지대를 절곡하여 절곡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지지부까지 안전용 발판을 설치하도록 하는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건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갱폼의 외측에 상부작업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작업대의 하방에 결합되고, 외벽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하부작업대로 이루어진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작업대의 세로지지대 중에 외벽에 근접되는 후방세로지지대를 절곡하여 외벽에 접촉되는 절곡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지지부까지 안전용 발판을 설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LOWER WORKING DESK OF GANG FORM FOR A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작업대의 세로지지대 중에 외벽에 근접되는 후방세로지지대를 절곡하여 절곡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지지부까지 안전용 발판을 설차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철근을 배근하여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골격의 외측에 다수의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기간 동안 양생시킴으로서 건물을 신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거푸집은 다수개의 목재 판넬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고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이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였고, 건물 외장공사를 위해 별도의 비계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건물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대형 거푸집, 소위 갱폼이 개발되어 고층건물을 신축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갱폼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어 반영구적을 사용가능하며 외장공사를하기 위해서 다단식의 작업대를 설치하여 갱폼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가 설치된 건물 외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갱폼(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갱폼(1)의 외측으로 상부작업대(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작업대(2)에 하방에는 하부작업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작업대(2)는 전방세로지지대(2a)와, 상기 전방세로지지대(2a) 사이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일정간격으로 용접설치되는 복수의 가로지지대(2c)로 이루어진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복수개 제작하여 갱폼의 외면에 일정간격 볼트 결합하게 되고, 단위작업대 프레임 사이에 연결대(2d)를 용접 등으로 결합한 후 상기 가로지지대(2c) 사이에 안전용 발판(4)을 안착시키고, 상기 안전용 발판(4)에서 작업자가 건물 외벽의 외장공사를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작업대(3)는 상부 작업대(2)의 하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전,후방세로지지대(3a)(3b)와 상기 전,후방세로지지대(3a)(3b) 사이에 설치된 가로지지대(3c)로 이루어진 단위작업대 프레임이 일정간격 설치되고, 상기 단위작업대 프레임 사이에 연결대(3d)를 용접 등으로 결합한 후 상기 가로지지대(3c) 사이에 안전용 발판(4)을 안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의 하부작업대(3)가 설치되는 건물 외벽에는 갱폼(1)이 분리된 상태임으로 하부작업대(3)의 후방세로지지대(3b)가 외벽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져 상단부는 상부작업대(2)에 고정할 수 있으나 하단부는 지지하는 부위가 없어 별도의 지지판(3e)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부작업대(3)의 하방에 지지판(3e)을 설치하게 되면, 도면상 "L" 만큼의 간격이 발생되고, 상기 "L" 만큼의 간격은 안전용 발판(4)이 미치지 못하여 작업자의 안전상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안전용 발판(4)은 가로지지대(3c)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후방세로지지대(3b)에 의해 외벽측으로는 안전용 발판(4)이 밀착되지 못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부작업대의 세로지지대 중에 외벽에 근접되는 후방세로지지대를 절곡하여 절곡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지지부까지 안전용 발판을 설치하도록 하는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가 설치된 건물 외벽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가 설치된 건물 외벽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갱폼 20: 상부작업대
30: 하부작업대 31: 전방세로지지대
32: 후방세로지지대 32a: 절곡지지부
33: 가로지지대 34: 연결대
40: 안전용 발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갱폼의 외측에 상부작업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작업대의 하방에 결합되고, 외벽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하부작업대로 이루어진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작업대의 세로지지대 중에 외벽에 근접되는 후방세로지지대를 절곡하여 외벽에 접촉되는 절곡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지지부까지 안전용 발판을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지지부는 상기 후방세로지지대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절곡지지부의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또한, 상기 절곡지지부는 상기 후방세로지지대의 중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절곡지지부의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지지부는 상기 후방세로지지대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절곡지지부의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가 설치된 건물 외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갱폼(10)에 상부작업대(2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작업대(20)의 하방에 결합되고, 외벽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하부작업대(30)가 설치되어지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은 하부작업대(30)의 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작업대(30)는 전방세로지지대(31)와, 상기 전방세로지지대(31)에 일정간격 이격되고, 외벽에 접촉되도록 되는 절곡지지부(32a)가 형성된 후방세로지지대(32)와, 상기 전,후방 지지대(31)(32) 사이에 용접 결합되는 복수의 가로지지대(33)로 이루어진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일정간격으로 배열시키고, 상기 단위작업대 프레임 사이에 연결대(34)로 용접결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지지부(32a)는 상기 후방지지대(32)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절곡지지부(32a)는 상부가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대(33)의 상면에는 안전용 발판(40)이 위치되어진다.
즉, 후방세로지지대(32)의 절곡지지부(32a)까지 안전용 발판(40)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하부 작업대(30)의 절곡지지부(32a)가 후방세로지지대의 중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절곡지지부(32a)의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하부 작업대(40)의 절곡지지부(32a)가 후방세로지지대(32)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절곡지지부(32a)의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건물에 갱폼(10)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외벽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갱폼(10)의 외측에 상부작업대(20)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작업대(20)의 하방에 하부작업대(30)를 결합시킨 후에 작업자들이 상,하부 작업대(20)(30)의 가로지지대(33)의 상면에 안전용 발면(40)을 안착시키고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하부작업대(30)의 후방세로지지대(32)의 절곡지지부(32a)와 외벽 사이가 접촉되므로 하부작업대(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안전용 발판(40)도 절곡지지부(32a)까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는 후방세로지지대에 절곡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지지부까지 안전용 발판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건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갱폼(10)의 외측에 상부작업대(2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작업대(20)의 하방에 결합되고, 외벽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하부작업대(30)로 이루어진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작업대(30)의 세로지지대 중에 외벽에 근접되는 후방세로지지대(32)를 절곡하여 외벽에 접촉되는 절곡지지부(32a)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지지부(32a)까지 안전용 발판(4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지지부(32a)는 상기 후방세로지지대(32)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절곡지지부(32a)의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지지부(32a)는 상기 후방세로지지대(32)의 중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절곡지지부(32a)의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지지부(32a)는 상기 후방세로지지대(32)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절곡지지부(32a)의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KR20-2003-0021942U 2003-07-08 2003-07-08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KR200331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942U KR200331403Y1 (ko) 2003-07-08 2003-07-08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942U KR200331403Y1 (ko) 2003-07-08 2003-07-08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403Y1 true KR200331403Y1 (ko) 2003-10-30

Family

ID=4933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942U KR200331403Y1 (ko) 2003-07-08 2003-07-08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40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552B1 (ko) * 2007-03-06 2007-08-06 (주)세건이엔지 벽면 상승유니트
KR100746551B1 (ko) * 2007-03-06 2007-08-06 (주)세건이엔지 건축물의 폼을 상승시켜 건축하는 시공방법과 그폼상승시스템
KR101103293B1 (ko) 2009-06-03 2012-01-11 (주)영웅엔지니어링 갱폼의 낙하물 방지장치
KR200458345Y1 (ko) 2009-06-04 2012-02-15 (주) 에스에프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KR101641340B1 (ko) 2015-03-05 2016-07-20 서보산업 주식회사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552B1 (ko) * 2007-03-06 2007-08-06 (주)세건이엔지 벽면 상승유니트
KR100746551B1 (ko) * 2007-03-06 2007-08-06 (주)세건이엔지 건축물의 폼을 상승시켜 건축하는 시공방법과 그폼상승시스템
KR101103293B1 (ko) 2009-06-03 2012-01-11 (주)영웅엔지니어링 갱폼의 낙하물 방지장치
KR200458345Y1 (ko) 2009-06-04 2012-02-15 (주) 에스에프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KR101641340B1 (ko) 2015-03-05 2016-07-20 서보산업 주식회사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88108B (zh) 内置定位预制件钢筋混凝土剪力墙及施工方法
CN104060825B (zh) 可调节式通用楼梯模板
CN105863253A (zh) 整体支模异步浇筑楼梯间墙柱支模体系及施工方法
KR200331403Y1 (ko)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KR101759710B1 (ko) 건축물의 보 성형을 위한 보 거푸집 받침방법
KR20080037348A (ko) 비계 발판
KR100774553B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100413854B1 (ko) 작업용 발판 지지대
KR101103293B1 (ko) 갱폼의 낙하물 방지장치
KR200441658Y1 (ko) 구조 개선된 거푸집
KR20100042377A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CN205531290U (zh) 轻型简易脚手板支架
CN220747662U (zh) 一种设在铝模背楞上的单个定型操作架
CN215358945U (zh) 一种烟道机用底部振动架
EP3183398B1 (en) Concrete formwork and a formwork support bracket
CN211200966U (zh) 一种钢结构的预制楼梯
CN210217115U (zh) 一种建筑工程用的模板
CN217420428U (zh) 一种电梯井防护及施工组件
CN215212324U (zh) 一种砼高低台可调节高度的吊模支撑与加固装置
KR200303810Y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수평 규준틀
KR200233656Y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KR102433546B1 (ko) 슬라브 판넬 지지장치
KR102121363B1 (ko) 기능성 지지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건축구조물
KR102207334B1 (ko) 유로폼의 타이 홀 고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