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345Y1 -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 Google Patents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345Y1
KR200458345Y1 KR2020090007203U KR20090007203U KR200458345Y1 KR 200458345 Y1 KR200458345 Y1 KR 200458345Y1 KR 2020090007203 U KR2020090007203 U KR 2020090007203U KR 20090007203 U KR20090007203 U KR 20090007203U KR 200458345 Y1 KR200458345 Y1 KR 200458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bench
wall
work platform
gangform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379U (ko
Inventor
이강록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에프 filed Critical (주) 에스에프
Priority to KR2020090007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345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3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이 콘크리트 외벽에 근접될 수 있도록 안전용 발판을 작업현장에서 연장 형성하여(이음연결함), 안전용 발판과 외벽사이의 틈새를 통해 추락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은,
건축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갱폼 외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작업대와, 상부 작업대에 연장형성되며 안전용 발판이 안착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하부 작업대를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외벽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쪽의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겹쳐 이음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 일측에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날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압출 성형되는 L자 형상의 발판용 브라킷을 포함한다.
건축용 갱폼, 작업대, 추락, 낙하, 안전사고, 작업발판

Description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a working step of working desk of gang form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이 콘크리트 외벽에 근접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갱폼 작업대의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이 콘크리트 외벽에 근접될 수 있도록 안전용 발판을 작업현장에서 연장 형성하여(이음연결함), 안전용 발판과 외벽사이의 틈새를 통해 추락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는,
건축물의 외벽(8)을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도록 유로폼(7)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갱폼(1)과,
갱폼(1)의 외측으로 고정되며, 안전용 발판(2)이 안착되는 지지대(3)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상부 작업대(4)와,
상부 작업대(4)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안전용 발판(2)이 안착되는 지지대(5)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부 작업대(6)를 포함한다.
전술한 갱폼 작업대를 설치하여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할 경우, 외벽(8)의 외측면과 하부 작업대(6)에 안착되는 안전용 발판(2)사이에 틈새(S)(약 100~150㎜ 정도임)가 발생된다. 이로 인해 안전용 발판(2) 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한 실족으로 추락하거나, 안전용 발판(2) 상에 놓여있는 작업공구 등이 지면쪽으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갱폼 작업대의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이 콘크리트 외벽에 근접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용 발판과 외벽사이의 틈새를 통해 작업자가 작업중 부주의로 인한 실족으로 추락하거나, 또는 작업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안전용 발판의 난간측에 장착되어 잔여물(건설폐기물, 건축자재 등)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보드(toe board)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은,
건축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갱폼 외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작업대와, 상부 작업대에 연장형성되며 안전용 발판이 안착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하부 작업대를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외벽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쪽의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겹쳐 이음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 일측에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날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압출 성형되는 L자 형상의 발판용 브라킷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은,
건축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갱폼 외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작업대와, 상부 작업대에 연장형성되며 안전용 발판이 안착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하부 작업대를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외벽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쪽의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에 고정되고,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결합홈을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 일측에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날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압출 성형되는 L자 형상의 발판용 브라킷과,
결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브라킷의 결합홈에 커넥터를 결합후, 브라킷 및 커넥터의 관통공에 체결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브라킷을 길이방향으로 이음연결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은,
건축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갱폼 외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작업대와, 상부 작업대에 연장형성되며 안전용 발판이 안착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하부 작업대를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외벽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쪽의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겹쳐 이음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 양단부에 대향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압출 성형되는 발판용 브라킷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갱폼 작업대의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이 콘크리트 외벽에 근접될 수 있도록 작업현장에서 연장형성함에 따라, 안전용 발판과 외벽사이의 틈새를 통해 작업자가 작업중 부주의로 인한 실족으로 추락하거나, 또는 작업공구 등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전용 발판의 난간측에 장착될 경우 터보드 용도로서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터보드 제작이 불필요하므로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은,
건축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갱폼 외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작업대와, 상부 작업대에 연장형성되며 안전용 발판이 안착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하부 작업대를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외벽(8)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쪽의 하부 작업대(6)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2)에 일측이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겹쳐 이음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11)(볼트가 사용됨)가 체결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되는 몸체(13)와, 몸체(13) 일측에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날개부(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알루미늄(Al)재로서 압출 성형되는 L자 형상의 발판용 브라킷(15)을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몸체(13)와 날개부(14)로 이루어지고, 외벽(8)의 외측면과 하부 작업대(6)의 안전용 발판(2)사이의 틈새(S)에 장착됨에 따라, 틈새(S)를 통해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해 추락하거나, 작업공구 등의 낙하를 방지하는 L자 형상의 발판용 브라킷(15)을 제외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작업대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 및 사용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L자 형상의 발판용 브라킷(15)의 몸체(13) 일측을 외벽(8)의 외측면과 대향되는 쪽의 하부 작업대(6)의 최하단 안전용 발판(2)에 고정수단(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에 의해 고정한다.
이때 L자형 발판용 브라킷(15)은 이들을 겹친 상태에서, 이들의 몸체(13)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2)을 일치시킨 후, 관통공(12)에 체결되는 고정부재(11)(일 예로서 볼트가 사용됨)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음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파트 등의 건축물을 신축공사하는 작업현장에서 길이방향으로 이음연결되는 발판용 브라킷(15)을, 외벽(8)과 하부 작업대(6)의 안전용 발판(2)사이의 틈새(S)에 설치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안전용 발판(2) 위에서 작업중, 또는 안전용 발판(2)에서 콘크리트 타설된 외벽(8) 안쪽으로 이동할 경우, 틈새(S)에 설치된 발판용 브라킷(15)이 보조 발판 역할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한 실족으로 틈새(S)를 통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용 발판(2)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개인적으로 휴대하는 작업공구 또는 건축자재 등이 틈새(S)를 통해 지면쪽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L자형 브라킷(15)을 안전용 발판(2)의 난간측에 U볼트에 의해 수직바에 체결할 경우, 터보드 용도로서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터보드 제작이 불필요하고, 안전용 발판 및 터보드 자재를 각각 안전용 발판 위에 운반하는 작업공정이 불필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은, 건축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갱폼 외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작업대와, 상부 작업대에 연장형성되며 안전용 발판이 안착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하부 작업대를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외벽(8)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쪽의 하부 작업대(6)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2)에 고정되고, 결합홈(1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결합홈(16)을 관통하도록 관통공(17)이 형성되는 몸체(18)와, 몸체(18) 일측에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날개부(19)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알루미늄(Al)재로서 압출 성형되는 L자 형상의 발판용 브라킷(20)과,
결합홈(16)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관통공(21)이 형성되는 커넥터(22)를 포함하여,
브라킷(20)의 결합홈(16)에 커넥터(22)를 결합후, 브라킷(20) 및 커넥터(22)의 관통공(17,21)에 체결되는 고정부재(23)에 의해 브라킷(20)을 길이방향으로 이음연결된다.
전술한 몸체(18)와 날개부(19)로 이루어지고, 외벽(8)의 외측면과 하부 작업대(6)의 안전용 발판(2)사이의 틈새(S)에 장착되는 L자 형상의 발판용 브라킷(20)을 제외한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작업대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 및 사용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 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L자 형상의 발판용 브라킷(20)의 몸체(18) 일측을 외벽(8)의 외측면과 대향되는 쪽의 하부 작업대(6)의 안전용 발판(2)에 고정수단(볼트 등이 사용됨)에 의해 고정한다.
전술한 발판용 브라킷(20)의 몸체(18)에 형성된 결합홈(16)에 커넥터(22)를 결합후, 발판용 브라킷(20)의 관통공(17)과 커넥터(22)의 관통공(21)을 일치시키며, 관통공(17,2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3)를 체결시킴에 따라, 외벽(8)의 외측면과 안전용 발판(2)사이의 틈새(S)에 설치되는 L자형 발판용 브라킷(20)을 길이방향으로 이음연결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L자형 발판용 브라킷(20)을 커넥터(22)를 이용하여 맞대어 이음연결함에 따라, 값비싼 발판용 브라킷(20)의 사용량을 최소화시켜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은, 건축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갱폼 외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작업대와, 상부 작업대에 연장형성되며 안전용 발판이 안착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하부 작업대를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외벽(8)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쪽의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2)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겹쳐 이음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28)가 체결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되는 몸체(25)와, 몸체(25) 양단부에 대향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2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알루미늄(Al)재로서 압출 성형되는 발판용 브라킷(27)을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몸체(25)와 날개부(26)로 이루어지고, 외벽(8)의 외측면과 안전용 발판(2)사이의 틈새(S)에 설치되는 발판용 브라킷(27)을 제외한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작업대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 및 사용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용 브라킷(15)은 이들을 겹친 상태에서, 이들의 몸체(25)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24)을 일치시킨 후, 관통공(24)에 체결되는 고정부재(28)(볼트가 사용됨)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음연결할 수 있다.
이때 몸체(25)에 대향되게 형성된 날개부(26)의 근접에 의해 발판용 브라킷(27)의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작업대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의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작업대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의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작업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23,28; 고정부재
12,17,21,24; 관통공
13,18,25; 몸체
14,19,26; 날개부
15,20,27; 발판용 브라킷
16; 결합홈
22; 커넥터

Claims (3)

  1. 건축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갱폼 외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작업대와, 상기 상부 작업대에 연장형성되며 안전용 발판이 안착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하부 작업대를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쪽의 상기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에 일측이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겹쳐 이음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에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날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압출 성형되는 L자 형상의 발판용 브라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2. 건축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갱폼 외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작업대와, 상기 상부 작업대에 연장형성되며 안전용 발판이 안착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하부 작업대를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쪽의 상기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에 일측이 고정되고,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에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날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압출 성형되는 L자 형상의 발판용 브라킷과,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브라킷의 결합홈에 상기 커넥터를 결합후, 상기 브라킷 및 커넥터의 관통공에 체결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브라킷을 길이방향으로 이음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3. 건축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갱폼 외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작업대와, 상기 상부 작업대에 연장형성되며 안전용 발판이 안착되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하부 작업대를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쪽의 상기 하부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최하단 안전용 발판에 일측이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겹쳐 이음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양단부에 대향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압출 성형되는 발판용 브라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KR2020090007203U 2009-06-04 2009-06-04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KR200458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03U KR200458345Y1 (ko) 2009-06-04 2009-06-04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03U KR200458345Y1 (ko) 2009-06-04 2009-06-04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379U KR20100012379U (ko) 2010-12-14
KR200458345Y1 true KR200458345Y1 (ko) 2012-02-15

Family

ID=4420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203U KR200458345Y1 (ko) 2009-06-04 2009-06-04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34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403A (ko) * 2001-10-15 2003-04-2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연마가공판
KR20030075135A (ko) * 2001-11-22 2003-09-2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감광성 수지조성물, 드라이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가공부품
KR200331403Y1 (ko) 2003-07-08 2003-10-30 김석현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KR200375135Y1 (ko) 2004-11-19 2005-03-11 태원공영 (주) 작업대
KR100758346B1 (ko) 2007-02-14 2007-09-14 주식회사 거성산업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403A (ko) * 2001-10-15 2003-04-2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연마가공판
KR20030075135A (ko) * 2001-11-22 2003-09-2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감광성 수지조성물, 드라이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가공부품
KR200331403Y1 (ko) 2003-07-08 2003-10-30 김석현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KR200375135Y1 (ko) 2004-11-19 2005-03-11 태원공영 (주) 작업대
KR100758346B1 (ko) 2007-02-14 2007-09-14 주식회사 거성산업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379U (ko) 201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2425A (en) Auxiliary scaffolding attachment
KR102357311B1 (ko) 비계용 안전발판
JP5837332B2 (ja) 廻り階段用作業足場
KR200458345Y1 (ko) 건축용 갱폼 작업대의 작업발판
KR20200110720A (ko) 로프 고정 유닛 및 그 로프 고정 유닛 설치방법
KR20150015826A (ko)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갱폼 케이지
KR200442099Y1 (ko) 건설현장용 안전발판 보호대의 연결장치
KR200411024Y1 (ko) 계단 벽체 배근용 안전 작업대
KR20120097839A (ko)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20160000615U (ko)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KR200372312Y1 (ko) 구조물 공사용 고소작업 안전발판
KR101973798B1 (ko) 비계용 토보드
KR20110003034U (ko) 갱폼용 알루미늄재 안전발판
KR20090051796A (ko) 거리조절 낙하물 방지망 시스템
ITUB20150688A1 (it) Dispositivo di guida per transenne provvisorie di ponteggi
JP3202588U (ja) 手すり付き安全足場の構造
KR101642875B1 (ko) 핸드레일 안전 커플러
KR20110104599A (ko) 건축 안전 시설물용 파이프 연결 장치
CN203361669U (zh) 一种建筑工程用防护栅栏
CN216811090U (zh) 一种装配式预制楼梯用临边防护栏
KR101376948B1 (ko) 안전 난간대 지지장치
CN217680699U (zh) 一种新型组合式电梯井防护栏杆
KR102583454B1 (ko) 안전성이 개선된 건축공사용 발판시스템
JP2018197450A (ja) 筋交い下桟連結金具
JP2012017596A (ja) 足場用幅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