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15U -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 Google Patents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15U
KR20160000615U KR2020140006060U KR20140006060U KR20160000615U KR 20160000615 U KR20160000615 U KR 20160000615U KR 2020140006060 U KR2020140006060 U KR 2020140006060U KR 20140006060 U KR20140006060 U KR 20140006060U KR 20160000615 U KR20160000615 U KR 201600006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ember
horizontal
length
members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076Y1 (ko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주)미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미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140006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7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다양한 곡률의 다른 시공물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는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재(31) 상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안전발판(33)을 거치하도록 된 가설구조물용 수평재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수직재(31) 중의 하나에 결합되도록 체결구(35)가 구비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된 파이프 형태의 제1 수평부재(51)와; 상기 제1 수평부재(51)에 유사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부재(51)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재(31) 중의 다른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구(35)에 대향된 단부에 다른 체결구(35)가 구비된 제2 수평부재(52)와; 상기 제1 수평부재(51)의 단부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평부재(52)의 외주상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재(53)와; 상기 연결부재(53)에 의해 내장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수평부재(51,52)의 각 중심에 상호 나사체결되게 구비된 볼트축(54)과 너트체(55)로 이루어진 가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Length adjusting horizontal pipe for a temporary structure}
본 고안은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다양한 곡률의 다른 시공물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는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시스템은 시공중인 건물의 외벽에 가설되어 작업자 등의 안전을 보호하거나 작업발판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건축용 재료의 운반이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비계시스템은 대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파이프를 연장시켜 일정 규격의 프레임을 형성한 후에, 그 사이에 이동 또는 작업을 위한 발판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계시스템 중에서 저장탱크와 같은 원통형 또는 구형의 시설물이나 일정 곡률의 곡선이 포함된 건축물 등을 시공할 때에 가설되는 종래의 비계시스템을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례에 따른 곡선구간용 비계시스템(10)은 스틸 재질의 파이프로 된 다수의 수직재(11)를 일정 곡률을 이루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각 수직재(11)를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재(12)가 결합되는데, 상기 각 수직재(11)는 시공물(B) 측에 접하여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는 내측수직재(13)와, 상기 내측수직재(13)에 대해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외측수직재(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재(12)는 상기 내측수직재(13)를 상호 연결하도록 된 내측수평재(15)와, 상기 외측수직재(14)를 상호 연결하도록 된 외측수평재(16) 및 상기 내측수직재(13)와 외측수직재(14)를 상호 연결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방향수평재(17)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수직재(11)와 수평재(12)에 의해서는 일정 면적을 형성하는 안전발판(18)이 결합되는데, 상기 안전발판(18)은 일정 곡률로 연장되는 곡선구간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면적으로 된 직사각형의 메인발판(19)과, 상기 메인발판(19) 사이에 작은 면적으로 형성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조각발판(20)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조각발판(20)은 상기 메인발판(19)의 폭에 비해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작은 사이즈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비계시스템(10)은 상기 메인발판(19)의 규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조각발판(20)을 추가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상기 조각발판(20)을 결합하기 위해 상기 수직재(11)에 근접되어 별도의 보조수직재(21,22)와 그에 연결되는 보조수평재(23~25)를 더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비계시스템(10)은 시공물(B)의 형상에 따라 일정 곡률의 곡선형태로 연장되는데, 상기 내측수평재(15)와 외측수평재(16)는 그 길이가 상호 다르게 형성되거나 상호 길이를 달리하는 보조수평재(23,24)가 더 구비되는 것이고, 종래에는 일정 길이로 된 내측수평재(15)나 외측수평재(16) 및 이와 길이를 달리하는 다른 보조수평재(23,24)를 각각 별도로 구비한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상기 내측수평재(15)와 외측수평재(16)를 규격에 맞추어 각각 별도로 제작하거나 상호 다른 길이로 된 보조수평재(23,24)를 더 구비함에 따라 제작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고, 특히 특정한 시공물(B)에 적합하도록 내측수평재(15)와 외측수평재(16)나 상기 보조수평재(23,24)의 길이가 고정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다른 곡률을 갖는 시공물(B)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제10-2014-0068641호) 2014. 06. 09.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다양한 곡률의 다른 시공물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에 의해 비계시스템의 제작 및 시공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따른 다중의 결합구조에 의해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재(31) 상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안전발판(33)을 거치하도록 된 가설구조물용 수평재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수직재(31) 중의 하나에 결합되도록 체결구(35)가 구비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된 파이프 형태의 제1 수평부재(51)와;
상기 제1 수평부재(51)에 유사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부재(51)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재(31) 중의 다른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구(35)에 대향된 단부에 다른 체결구(35)가 구비된 제2 수평부재(52)와;
상기 제1 수평부재(51)의 단부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평부재(52)의 외주상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재(53)와;
상기 연결부재(53)에 의해 내장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수평부재(51,52)의 각 단부의 중심에 상호 나사체결되게 구비된 볼트축(54)과 너트체(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볼트축(54)과 너트체(55)에 의해 상호 나사체결되는 제1 수평부재(51)와 제2 수평부재(52)를 포함한 길이조절식 수평재(50)가 구비됨으로써, 시공물(B)의 곡률에 따라 용이하게 길이 조절하여 내측수평재(38)나 외측수평재(39)에 구분없이 용이하게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곡률의 시공물(B)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제작 및 시공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볼트축(54)과 너트체(55)에 더블어 상기 제1 수평부재(51)와 제2 수평부재(52)를 끼움결합하는 연결부재(53)가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볼트축(54)과 연결부재(53)에 의한 이중의 연결구조에 의해 상기 제1 수평부재(51)와 제2 수평부재(52)의 길이조절된 상태를 견고하여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계시스템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길이조절식 수평재(50)가 적용된 비계시스템(3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 시공물(B)에 가설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재(31)와 이 수직재(31)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재(32)가 구비되는데, 상기 수직재(31)와 수평재(32) 상에는 일정폭과 길이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안전발판(33)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재(31)와 수평재(32) 상에는 상호 연결을 위해 체결플랜지(34)와 체결구(35)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재(31)는 시공물(B)에 대응되도록 일정 곡률을 형성하여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내측수직재(36)와, 상기 내측수직재(36)에 대해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정 곡률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외측수직재(37)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수평재(32)는 상기 수직재(31)를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안전발판(33)을 설치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것으로, 이 수평재(32)는 상기 내측수직재(36)를 상호 연결하는 내측수평재(38)와, 상기 내측수평재(38)에 나란하게 위치되어 상기 외측수직재(37)를 상호 연결하는 외측수평재(39) 및 상기 내측수직재(36)와 외측수직재(37)를 상호 연결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방향수평재(40)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재(32) 상에는 다수의 안전발판(33)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데, 상기 안전발판(33)은 폭방향에 비해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 단면의 제1 발판(41)과, 대략적으로 상기 제1 발판(41)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단면의 제2 발판(42)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 발판(41)과 제2 발판(42)은 그 연장방향의 전후로 위치되는 한 쌍의 폭방향수평재(40)에 거치되도록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고리형태의 걸림구(4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계시스템(30)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내측수평재(38)와 외측수평재(39) 등과 같은 수평재(32)에 적용할 수 있도록 된 길이조절식 수평재(50)로, 이를 도 3과 도 4를 더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길이조절식 수평재(5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된 제1 수평부재(51)와 제2 수평부재(5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수평부재(51)와 제2 수평부재(52)의 일단부에는 각각 상기 체결구(35,35)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구(35,35)는 체결플랜지(34)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핀(44)에 의해 고정되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1 수평부재(51)의 타단부에는 외주면에 일정 길이의 연결부재(53)가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부재(53)는 상기 제1 수평부재(51)와 제2 수평부재(5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된 파이프로 구비되고, 이 연결부재(53)의 일단은 상기 제1 수평부재(51)의 단부측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며, 타단측은 상기 제2 수평부재(52)의 외주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수평부재(51)와 제2 수평부재(52)의 타단 내부에는 볼트축(54)과 너트체(55)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볼트축(54)과 너트체(55)는 상기 연결부재(53)에 의해 내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수평부재(51)와 제2 수평부재(52)를 상호 나사체결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길이조절식 수평재(50)는 상기 수평재(32)의 내측수평재(38)나 외측수평재(39) 등으로 사용되어 상기 수직재(31)의 간격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곡률의 다양한 시공물(B)에 용이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재(31)의 간격이 일부 불균일한 경우에도 미세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시공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식 수평재(50)는 상기 볼트축(54)과 너트체(55)에 의해 상기 제1 수평부재(51)와 제2 수평부재(52)의 길이를 조절할 때에 상기 연결부재(53)에 안내되어 안정적인 조절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심재를 형성하는 볼트축(54)과 외통체를 형성하는 연결부재(53)에 의해 이중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수평부재(51)와 제2 수평부재(52)의 길이조절 상태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

  1.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재(31) 상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안전발판(33)을 거치하도록 된 가설구조물용 수평재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수직재(31) 중의 하나에 결합되도록 체결구(35)가 구비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된 파이프 형태의 제1 수평부재(51)와;
    상기 제1 수평부재(51)에 유사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부재(51)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재(31) 중의 다른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구(35)에 대향된 단부에 다른 체결구(35)가 구비된 제2 수평부재(52)와;
    상기 제1 수평부재(51)의 단부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평부재(52)의 외주상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재(53)와;
    상기 연결부재(53)에 의해 내장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수평부재(51,52)의 각 단부의 중심에 상호 나사체결되게 구비된 볼트축(54)과 너트체(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KR2020140006060U 2014-08-13 2014-08-13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KR200480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60U KR200480076Y1 (ko) 2014-08-13 2014-08-13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60U KR200480076Y1 (ko) 2014-08-13 2014-08-13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15U true KR20160000615U (ko) 2016-02-23
KR200480076Y1 KR200480076Y1 (ko) 2016-04-08

Family

ID=5544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060U KR200480076Y1 (ko) 2014-08-13 2014-08-13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3607A (zh) * 2022-05-13 2022-07-15 唐山衡康实业有限公司 一种圆盘以及盘扣式脚手架及其使用方法
KR20220158480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디섹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구조물 및 상기 발판구조물의 설치방법
KR20240056219A (ko) 2022-10-21 2024-04-30 반도스틸(주) 가설재용 수평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83B1 (ko) 2012-04-18 2013-01-22 신성컨트롤(주) 조립식 시스템비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8480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디섹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구조물 및 상기 발판구조물의 설치방법
CN114753607A (zh) * 2022-05-13 2022-07-15 唐山衡康实业有限公司 一种圆盘以及盘扣式脚手架及其使用方法
KR20240056219A (ko) 2022-10-21 2024-04-30 반도스틸(주) 가설재용 수평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76Y1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591B2 (en) Adjustable vertical pipe support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1510158B1 (ko) 곡선형 연장구조를 갖는 비계시스템
KR200480076Y1 (ko)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KR20090119504A (ko)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JP2013076315A (ja) クサビ用枠付クランプ
KR101968222B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20150015826A (ko)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갱폼 케이지
US11255065B2 (en) Cover band of steel pipe strut connector, steel pipe strut connector having same, and steel pipe strut assembly
TWI751278B (zh) 臨時支架
KR101836936B1 (ko)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KR20190142913A (ko) 작업대 지지 장치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KR20200006325A (ko) 족장 연결 브라켓
KR101567301B1 (ko) 점검시설용 발판 설치구조
KR101707037B1 (ko) 조립식 시스템 비계와 그 설치 방법
KR200487857Y1 (ko) 거푸집 및 철근용 버팀대 전도방지장치
KR101834630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20130065941A (ko) 아치형 시스템 비계 및 시공방법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101194410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JP6924650B2 (ja) パイプサポート用補強金物
KR101086219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KR101894169B1 (ko)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