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219B1 -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219B1
KR101086219B1 KR1020100030652A KR20100030652A KR101086219B1 KR 101086219 B1 KR101086219 B1 KR 101086219B1 KR 1020100030652 A KR1020100030652 A KR 1020100030652A KR 20100030652 A KR20100030652 A KR 20100030652A KR 101086219 B1 KR101086219 B1 KR 101086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post
adjust
fixed bea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1199A (ko
Inventor
김근섭
전석언
Original Assignee
(주)블루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폼 filed Critical (주)블루폼
Priority to KR1020100030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21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은, 거푸집을 구성하는 다수의 판넬 중 어느 하나의 판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빔; 고정빔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포스트; 포스트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난간; 및 포스트에 대한 안전난간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포스트에 마련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발판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Safety guard unit for easy to adjustment angle}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발판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기타의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 다수의 판넬로 거푸집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의 판넬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이러한 상태 하에서 판넬들을 대향하도록 직립시켜 조성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에 따라 건축물을 이루는 벽체 및 기둥 등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거푸집의 제작에 사용되는 판넬은 크게 갱폼과 유로폼으로 분류되는데, 여기서 갱폼은 철판으로 제작한 모든 폼을 말하며, 유로폼은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면은 합판으로 구성하고 합판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프로파일과, 멍에·장선재는 금속으로 구성하여 무게를 가볍게 한 거푸집을 말한다.
한편, 다수의 판넬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하는 작업 등에 있어서 작업자가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을 진행해야만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 경우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안전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난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유로폼(2)을 사용하여 거푸집(1)을 형성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유로폼(2)에 인접하게 설치된 비계(3)의 좌측 또는 우측에 사다리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비계(3)의 상단부에 마련된 발판(4)에 올라간 뒤 웨지핀 체결 등의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도중 작업자가 유로폼(2)의 반대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계(3)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가로빔(5)을 이격시켜 마련한 안전난간(6)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난간(6)은 작업자가 유로폼(2)의 반대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유로폼(2)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자는 유로폼(2)에 인접하게 설치된 비계(3)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된 사다리를 통해 비계의 상단부에 마련된 발판(4)에 올라가야만 하므로 비계(3)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안전난간(6)을 설치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안전난간(6)은 작업자가 유로폼(2)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에 작업자가 비계(3)의 상단부에 마련된 발판(4)에 올라가는 과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가 유로폼(2)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난간(6)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발판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거푸집을 구성하는 다수의 판넬 중 어느 하나의 판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빔; 상기 고정빔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난간; 및 상기 포스트에 대한 상기 안전난간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에 마련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안전난간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회전브래킷;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 회전브래킷; 및 상기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브래킷과 상기 제2 회전브래킷의 사이에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포스트에 대한 상기 안전난간의 회전각도를 미리 결정된 각도 단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포스트의 일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각도조절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브래킷 및 상기 제2 회전브래킷 중 상기 각도조절부에 인접한 회전브래킷의 하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각도조절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각도조절돌기는,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90°간격만큼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4개의 각도조절돌기이며, 상기 제2 회전브래킷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도조절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4개의 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빔은,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일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클램프체결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빔은,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은,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홀 또는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홀 또는 '
Figure 112010021361727-pat00001
'자 단면형상을 갖는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일 수 있다.
상기 포스트는, 상기 고정빔의 중앙영역에서 상기 고정빔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빔의 상단부에서 상기 고정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은, 상기 고정빔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판넬 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포스트의 회전시 상기 고정빔의 전도를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 회전브래킷 및 상기 제2 회전브래킷을 상호 연결하는 제1 강관; 및 상기 제1 강관의 상측 및 하측을 상호 연결하는 제2 강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푸집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판넬에 결합되는 고정빔과, 고정빔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포스트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난간을 통해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를 도모하면서도, 작업자가 발판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난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100, 이하 '안전난간유닛(100)'이라 함)은 판넬(P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빔(110)과, 고정빔(1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포스트(120)와, 포스트(12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난간(130)과, 안전난간(1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도조절부(140)를 포함한다.
고정빔(110)은 거푸집을 구성하는 다수의 판넬(P1) 중 어느 하나의 판넬(P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거푸집은 다수의 판넬(P1)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물을 말한다. 고정빔(110)은 프레임을 형성하는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클램프체결 그루브(112)를 포함한다.
몸체부(111)는 판넬(P1)의 상단부 프로파일(P11)과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금속성 부재이다. 몸체부(111)의 하측에는 마찰방지 그루브(111a)가 마련된다. 마찰방지 그루브(111a)는 몸체부(111)의 하측표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판넬(P1)과 안전난간유닛(100)의 결합 및 해체 편의를 도모하는 구성이다. 즉, 판넬(P1)의 상단부 프로파일(P11)의 상측에는 몸체부(111)의 마찰방지 그루브(111a)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마찰방지 그루브(P11a)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판넬(P1)과 안전난간유닛(100)을 결합시키는 경우 몸체부(111)와 판넬(P1)의 상단부 프로파일(P11) 상호 간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적은 힘을 들이고도 간편하게 안전난간유닛(100)을 판넬(P1)에 결합시키거나 판넬(P1)로부터 해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클램프체결 그루브(112)는 몸체부(111) 일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판넬(P1)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시스템 판넬(출원번호 제10-2009-0040999호, 코너보강부 제외)로 마련된다. 한편, 시스템 판넬로 마련되는 판넬(P1)과 본 실시예의 안전난간유닛(100)은 클램프(C)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는데, 클램프체결 그루브(112)는 이러한 클램프(C)의 체결돌기(C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시스템 판넬 및 클램프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각각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시스템 판넬(출원번호 제10-2009-0040999호) 및 클램프(출원번호 제10-2009-0131338호)를 참조하면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스트(120)는 고정빔(110)의 중앙 영역에서 포스트(1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이다. 포스트(120)는 일반적인 원형 파이프 등을 사용하여 마련된다.
안전난간(130)은 포스트(12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포스트(12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회전브래킷(131)과, 포스트(12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 회전브래킷(132)과, 제1 회전브래킷(131) 및 제2 회전브래킷(132)을 상호 연결하는 메인 프레임(133)을 포함한다.
제1 회전브래킷(131)은 포스트(120)의 상단부에서 포스트(12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회전브래킷(131)은 포스트(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중공 파이프로 마련된다. 또한, 제1 회전브래킷(131)에는 후술하는 각도조절부(140)의 4개의 각도조절돌기(1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 둘레를 따라 4개의 돌기삽입홈(131a)이 형성된다. 4개의 돌기삽입홈(131a)은 각각 제1 회전브래킷(131)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상호 90°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 회전브래킷(132)은 포스트(120)의 하단부에서 포스트(12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회전브래킷(131)과 마찬가지로 제2 회전브래킷(132)에는 하단부 둘레를 따라 4개의 돌기삽입홈(132a)이 형성되며, 기타 사항은 전술한 제1 회전브래킷(131)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 프레임(133)은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회전브래킷(131)과 제2 회전브래킷(132)의 사이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메인 프레임(133)은 제1 회전브래킷(131)과 제2 회전브래킷(132)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1 강관(133a)과, 제1 강관(133a)의 상측 및 하측을 연결하는 제2 강관(133b)과, 제2 강관(133b)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에 마련되는 손잡이(133c)를 포함한다.
제1 강관(133a)은 제1 회전브래킷(131)과 제2 회전브래킷(132)을 일체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파이프로 마련된다. 다만, 이와 달리 제1 강관(133a)은 다수의 각형 파이프를 상호 용접하여 'ㅁ'자형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미도시). 제2 강관(133b)은 제1 강관(133a)의 상측 및 하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제1 강관(133a)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성이다. 제2 강관(133b)은 일반적인 원형 파이프 등을 사용하여 마련된다. 손잡이(133c)는 제1 강관(133a)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제2 강관(133b)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손잡이(133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를 잡고 제1 강관(133a)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부분을 갖도록 마련된다.
각도조절부(140)는 포스트(120)에 대한 안전난간(1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며, 회전된 안전난간(130)을 다시 포스트(12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포스트(12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도조절부(140)는 포스트(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90°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4개의 각도조절돌기(141)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각도조절부(140)는 180°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각도조절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270°간격으로 이격된 3개의 각도조절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각도조절부(140)는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한 다수의 각도조절돌기를 포함함으로써 포스트(120)에 대한 안전난간(130)의 회전각도를 미리 결정된 각도 단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도조절부(140)는 포스트(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모두에 마련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각도조절부(140)는 포스트(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어느 일측에만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회전브래킷(131)의 돌기삽입홈(131a) 및 제2 회전브래킷(132)의 돌기삽입홈(132a)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유닛(100)은 고정빔(110)의 양측면으로부터 판넬(P1)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방지판(151, 152)을 더 포함한다. 전도방지판(151, 152)은 메인 프레임(133)을 들어올리고 이를 회전시키는 과정 중 고정빔(110) 및 프로파일(P11)이 서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메인 프레임(133)을 들어올리고 이를 회전시키면 전후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멘트는 고정빔(110) 및 프로파일(P11)이 서로 벌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전도방지판(151, 152)은 이러한 모멘트를 억제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유닛(100)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판넬로 마련되는 다수의 판넬(P1)을 정위치에 배치시킨 뒤 작업자는 판넬(P1)의 상부에 마련된 발판(F) 위에서 다양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렇게 판넬(P1)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판넬(P1)의 뒤쪽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넬(P1) 상부를 가로지르는 가로빔(B)이 마련되며, 작업자가 판넬(P1)의 우측 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난간유닛(100)이 마련된다. 물론 안전난간유닛(100)은 작업자가 판넬(P1)의 좌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넬(P1)의 좌측에도 마련될 수 있다(미도시).
안전난간유닛(100)은 판넬(P1)에 미리 결합된 상태로 준비되거나, 작업자가 발판(F)에 올라선 뒤 안전난간유닛(100)을 판넬(P1)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된다. 어느 경우에나 안전난간유닛(100)은 작업자가 발판(F)에 올라선 상태에서는 판넬(P1)의 폭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메인 프레임(133)이 배치되도록 준비된다. 안전난간유닛(100)은 고정빔(110)을 판넬(P1)의 상단부 프로파일(P11)에 배치시킨 뒤, 고정빔(110)의 좌우측에서 고정빔(110)에 형성된 클램프체결 그루브(112)와, 이에 대칭되도록 판넬(P1)의 상단부 프로파일(P11)에 형성된 클램프체결 그루브(미도시)를 따라 클램프(C)를 체결함으로써 상호 결합된다.
발판(F)에 올라선 작업자는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손잡이(133c)를 잡고 제1 강관(133a) 및 제2 강관(133b)을 들어올리며, 이를 반 시계방향으로 90°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거푸집의 상부에서 해야하는 작업을 위한 작업준비를 마치게 된다. 한편, 작업이 끝난 이후 작업자는 손잡이(133c)를 잡고 제1 강관(133a) 및 제2 강관(133b)을 들어올린 뒤, 이를 원하는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90°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발판(F)으로부터 내려갈 통로를 확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유닛(100)은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를 도모하면서도, 작업자가 발판(F)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200, 이하 '안전난간유닛(200)'이라 함)은 판넬(P2)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고정빔(210)과, 고정빔(2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포스트(220)와, 포스트(22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난간(230)과, 안전난간(2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도조절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판넬(P2)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판넬(P1)과 동일하게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시스템 판넬로 마련된다.
고정빔(210)은 몸체부(211)와, 몸체부(211)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클램프체결 그루브(212)와, 몸체부(211)의 타측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마찰방지 그루브(211a)를 포함한다. 이에 대칭되도록 판넬(P2)의 일측부에 마련된 프로파일(P21)에는 클램프체결 그루브 및 마찰방지 그루브(P21a)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고정빔(210)은 판넬(P2)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서 적은 힘을 들이고도 클램프(C)를 통해 체결될 수 있게 된다.
포스트(220)는 고정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결합되는 구성이다. 클램프(C)는 고정빔(210)과 포스트(220)가 결합된 지점을 제외한 영역인 고정빔(210)의 하측에 체결된다.
고정빔(210), 포스트(220), 안전난간(230) 및 각도조절부(240)에 관한 기타 사항은 각각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고정빔(110), 포스트(120), 안전난간(130) 및 각도조절부(14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안전난간유닛(200)은 판넬(P2)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함께 안전난간유닛(100, 200)의 사용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300, 이하 '안전난간유닛(300)'이라 함)은 판넬(P3)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빔(310)과, 고정빔(3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포스트(320)와, 포스트(32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난간(330)과, 안전난간(3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도조절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판넬(P3)은 일반적인 유로폼이며, 유로폼으로 마련되는 판넬(P3)의 둘레를 따라서는 유로폼용 프로파일(UP)이 결합된다. 또한 유로폼용 프로파일(UP)에는 인접하는 다른 유로폼과의 체결을 위한 웨지핀(WP)이 삽입되는 다수의 웨지핀홀(WH)이 관통형성된다.
고정빔(310)은 판넬(P3)의 상단부에 마련된 유로폼용 프로파일(UP)과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웨지핀홀(WH)이 형성된 지점에 대응되는 지점에는 체결홀(H1)이 관통형성된다. 체결홀(H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핀(WP) 및 웨지핀홀(WH)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다.
체결홀(H1) 및 웨지핀홀(WH)을 따라서는 웨지핀(WP)이 삽입된 후 고정됨으로써 판넬(P3)에 고정빔(310)을 고정시키게 된다.
고정빔(310), 포스트(320), 안전난간(330) 및 각도조절부(340)에 관한 기타 사항은 각각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고정빔(110), 포스트(120), 안전난간(130) 및 각도조절부(14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안전난간유닛(300)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유로폼으로 마련되는 판넬(P3)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유닛(300)은 유로폼에 쉽게 적용될 수 있으면서도,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를 도모하며, 작업자가 발판(F)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400, 이하 '안전난간유닛(400)'이라 함)은 판넬(P4)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빔(410)과, 고정빔(4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포스트(420)와, 포스트(42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난간(430)과, 안전난간(4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도조절부(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판넬(P4)은 일반적인 알루미늄폼이며, 알루미늄폼으로 마련되는 판넬(P4)의 둘레를 따라서는 알루미늄폼용 프로파일(AP)이 결합된다. 또한 알루미늄폼용 프로파일(AP)에는 인접하는 다른 알루미늄폼과의 체결을 위한 알폼핀(AP1)이 삽입되는 다수의 알폼핀홀(AH)이 관통형성된다.
고정빔(310)은 판넬(P4)의 상단부에 마련된 알루미늄폼용 프로파일(AP)과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알폼핀홀(AH)이 형성된 지점에 대응되는 지점에는 체결홀(H2)이 관통형성된다. 체결홀(H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폼핀(AP) 및 알폼핀홀(AH)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다.
체결홀(H2) 및 알폼핀홀(AH)을 따라서는 알폼핀(AP1)이 삽입된 후 고정됨으로써 판넬(P4)에 고정빔(410)을 고정시키게 된다.
고정빔(410), 포스트(420), 안전난간(430) 및 각도조절부(440)에 관한 기타 사항은 각각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고정빔(110), 포스트(120), 안전난간(130) 및 각도조절부(14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안전난간유닛(400)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알루미늄폼으로 마련되는 판넬(P4)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유닛(400)은 알루미늄폼에 쉽게 적용될 수 있으면서도,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를 도모하며, 작업자가 발판(F)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500, 이하 '안전난간유닛(500)'이라 함)은 판넬(P5)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빔(510)과, 고정빔(5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포스트(520)와, 포스트(52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난간(530)과, 안전난간(5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도조절부(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판넬(P5)은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프로파일(NP)을 제외한 다른 부분이 일반적인 유로폼 또는 알루미늄폼의 형식을 따르도록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의 판넬(P5)은 유로폼 또는 알루미늄폼의 형식을 따르는 내부면(P51)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10021361727-pat00002
'자 단면형상을 갖는 체결홀(NH)이 관통형성되는 프로파일(NP)을 포함한다. 고정빔(510)에 형성되는 체결홀(H3)의 형상은 판넬(P5)에 형성된 체결홀(NH)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체결홀(H3)의 형상은 전술한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웨지핀(WP) 또는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알폼핀(AP)이 모두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웨지핀(WP) 또는 알폼핀(AP) 중 어느 하나의 핀을 사용하여 판넬(P5)에 고정빔(5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고정빔(510), 포스트(520), 안전난간(530) 및 각도조절부(540)에 관한 기타 사항은 각각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고정빔(110), 포스트(120), 안전난간(130) 및 각도조절부(14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안전난간유닛(500)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유로폼으로 마련되는 판넬(P3)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유닛(500)은 웨지핀(WP) 또는 알폼핀(AP)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안전난간유닛 110 : 고정빔
120 : 포스트 130 : 안전난간
140 : 각도조절부 151, 152 : 전도방지판

Claims (11)

  1. 거푸집을 구성하는 다수의 판넬 중 어느 하나의 판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빔;
    상기 고정빔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난간; 및
    상기 포스트에 대한 상기 안전난간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에 마련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1 회전브래킷;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 회전브래킷; 및
    상기 거푸집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브래킷과 상기 제2 회전브래킷의 사이에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포스트에 대한 상기 안전난간의 회전각도를 미리 결정된 각도 단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포스트의 일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각도조절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브래킷 및 상기 제2 회전브래킷 중 상기 각도조절부에 인접한 회전브래킷의 하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각도조절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각도조절돌기는,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90°간격만큼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4개의 각도조절돌기이며,
    상기 제2 회전브래킷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도조절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4개의 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빔은,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일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클램프체결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빔은,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홀 또는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홀 또는 '
    Figure 112010021361727-pat00003
    '자 단면형상을 갖는 홀 중 어느 하나의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고정빔의 중앙영역에서 상기 고정빔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빔의 상단부에서 상기 고정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빔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판넬 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포스트의 회전시 상기 고정빔의 전도를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 회전브래킷 및 상기 제2 회전브래킷을 상호 연결하는 제1 강관; 및
    상기 제1 강관의 상측 및 하측을 상호 연결하는 제2 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KR1020100030652A 2010-04-02 2010-04-02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KR101086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652A KR101086219B1 (ko) 2010-04-02 2010-04-02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652A KR101086219B1 (ko) 2010-04-02 2010-04-02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199A KR20110111199A (ko) 2011-10-10
KR101086219B1 true KR101086219B1 (ko) 2011-11-23

Family

ID=4502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652A KR101086219B1 (ko) 2010-04-02 2010-04-02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388B1 (ko) * 2012-12-05 2014-05-20 주식회사 블루폼 측면 부착형 건축용 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572B1 (ko) 2018-02-14 2019-10-01 박정윤 거푸집용 안전 난간대 체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619B1 (ko) 2000-04-10 2003-11-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슬라이드갱폼
KR200445310Y1 (ko) 2007-05-21 2009-07-20 삼목정공주식회사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619B1 (ko) 2000-04-10 2003-11-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슬라이드갱폼
KR200445310Y1 (ko) 2007-05-21 2009-07-20 삼목정공주식회사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388B1 (ko) * 2012-12-05 2014-05-20 주식회사 블루폼 측면 부착형 건축용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199A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9847B (zh) 侧护板、具有至少一个这种侧护板的天花板模板系统及用于架设这种侧护板的方法
CN107313506A (zh) 设有边梁的建筑框架结构及其施工方法
JP2013076315A (ja) クサビ用枠付クランプ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JP2021529275A (ja) 建築用システム足場
KR101966440B1 (ko) 지붕구조물 설치를 위한 작업용 안전발판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KR101086219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난간유닛
US20170028232A1 (en) Lifeline device for temporary scaffold and lifeline support device
KR20080037348A (ko) 비계 발판
KR101811001B1 (ko) 작업 발판을 구비하는 원형 강관 버팀보
KR20150015826A (ko)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갱폼 케이지
KR200442099Y1 (ko) 건설현장용 안전발판 보호대의 연결장치
CN207160217U (zh) 设有边梁的建筑框架结构
JP6889630B2 (ja) 階段開口部手摺および階段開口部手摺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KR101138805B1 (ko) 안전 작업대유닛
KR200442222Y1 (ko) 발판 각도 조절용 사다리
JP6145362B2 (ja) 中間作業床形成装置及び中間作業床形成方法
KR102373890B1 (ko) 수평빔 측면 고정 중량구조물의 수직전단하중지지 고정 러그 조립체
KR20160000615U (ko)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KR200476313Y1 (ko) 코너 가설재를 이용한 작업발판 설치구조
KR20130004588U (ko) 건축용 가설구조물
JP3202588U (ja) 手すり付き安全足場の構造
KR101202300B1 (ko)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